KR970000525B1 - 제어페달과 병진운동하는 제어부재간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제어페달과 병진운동하는 제어부재간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525B1
KR970000525B1 KR1019890002963A KR890002963A KR970000525B1 KR 970000525 B1 KR970000525 B1 KR 970000525B1 KR 1019890002963 A KR1019890002963 A KR 1019890002963A KR 890002963 A KR890002963 A KR 890002963A KR 970000525 B1 KR970000525 B1 KR 970000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rod
diameter
predetermin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315A (ko
Inventor
고띠에 쟝-삐에르
뻬레 미겔
Original Assignee
벤딕스 프랑스 소시에떼 아노님
크리스띠앙 레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딕스 프랑스 소시에떼 아노님, 크리스띠앙 레제 filed Critical 벤딕스 프랑스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890014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어페달과 병진운동하는 제어부재간의 연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작동기구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따라 페달에 뚫은 구멍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따라 로드의 단부의 세부분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페달의 보스의 개략 종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페달의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페달 2 : 피보트
3 : 실(sill) 4 : 로드
5 : 피제어부재 6 : 구멍의 제1부분
7 : 구멍의 제2부분 8 : 로드단부의 제1부분
9 : 로드단부의 원통형 제2부분 10 : 로드단부의 제3부분
12 : 보스
본 발명은 피보트 주위를 회전하는 레버를 구성하는 제어 페달과 페달의 운동에 의해 결정되는 평면을 따라 병진운동하는 피제어 부재에 부착된 로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래 발로써 작동되는 자동차용 제어장치, 특히 자동차용 유합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다.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은, 한쪽은 페달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플런저의 베어링에 접속된 로드에 의해 플런저와 연결되는데 이 플런저는 브레이크 모우터의 유압공급회로속의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마스터 실린더의 부우스터 안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장치는 자동차의 엔진쪽의 실(sill)에 고정되고 로드는 실을 통과하여 운전실쪽의 페달까지 도달하였다. 오랫동안 로드는 요크와 핀으로 페달에 고정되는 방식을 취해왔다. 이러한 고정방법은 상대적을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에서 불리한데 이는 고정시키는 작업에 줄일수 있는 얼마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영국특허공개번호 제1,434,290호에서는 페달에 보스를 부착하여 쇼울더가 설치된 원형의 헤드를 가진 로드의 단부를 지지하며 쇼울더의 미리 형성된 스프링 베어링은 원형 헤드와 이에 대응하는 페달의 보스간에 접촉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국특허 공개번호 제2,051,317호에서 제시되는 해결책은 전술한 바와같이 미리 형성된 스프링을 제거할 수 있게 한것인데 이는 보스안에 직사각형형태의 구멍으로서, 이곳을 통해 원형의 헤드에서 돌출한 팁이 통과되도록된 적어도 페달의 행정길이 만한 구멍을 만들고 이 팁에 설치된 단순한 서클립(circlip)이 페달이 정지상태로 되돌아오는 동안 원형의 헤드와 보스와의 접촉을 유지한다.
이 해결책의 장점은 조립이 간편하고 서클립이 떨어져나가도 로드가 페달에서 분리되지않으므로 높은 신뢰성을 가진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것은 페달에서 돌출한 팁이 있어야하고, 더욱이 자동차의 조립과정에서 서클립을 장치하는 운전실 내부작업을 요하는 점에서 불리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불편들을 극복하고 동시에 전술한 신뢰성을 확보하는데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페달과 로드간의 연결장치로서 로드는 페달의 운동에 따라 움직이고 로드의 설치작업시 자동차의 운전실 내부작업을 요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지름의 둥근형태의 제1부분과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진 직사각형 형태의 제2부분으로 구성되고 제1부분은 페달의 종축방향으로 페달의 피보트의 반대쪽으로 확장되며, 그 소정의 폭은 소정의 지름보다 작은 구식열쇠구멍 형태의 구멍이 페달위의 로드의 지지점의 반대쪽에 만들어지며, 페달에 면하는 로드의 단부는 상기의 소정의 폭보다 크고 상기의 소정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짧은 길이의 제1부분과 상기한 소정의 폭보다 약간 작은 지름과 페달구성부재의 두께보다 약간 큰 길이를 가진 제2부분과 기의 소정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제3부분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되어서 로드의 단부의 제1부분이 페달에 뚫은 구멍의 둥근부분으로 통과할 수 있으나 제3부분은 그곳을 통과할 수 없으며 제2부분은 상기 구멍의 직사각형 형태부분을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바람직하게는 로드의 단부의 제3부분은 제2부분의 방향으로 둥근형상의 측면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부분은 원뿔대형태이고 그것의 베이스는 제2분의 반대쪽에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하게는 페달은 로드의 지지점부근에, 로드의 반대쪽으로 돌출하고, 로드의 단부의 가능하게는 둥근측면의 제3부분과 작용하도록 형태를 갖춘 보스를 가지는 것이다. 첨부된 여러도면을 참조할 때, 브레이크페달(1)은 자동차의 엔진실과 운전실을 구획하는 실(3)에 고정된 피보트(2)에 장착된 레버로서 구성된다.
로드(4)의 한쪽은 페달(1)에 걸쳐지고 다른한쪽은, 실(3)에 고정되어 유리하게 브레이크 부우스터를 구성하는 도시된 바와같은 플런저(5)에 걸쳐진다. 로드(4)의 지지점부근의 페달에 만들어진 구멍은 구식의 열쇠구멍의 형태로서, 둥근부분(6)과 이 둥근부분(6)에서부터 페달의 피보트(2)의 종축방향에서 볼때 반대쪽으로 확장되는 직사각형부분(7)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페달에 면하는 로드(4)의 단부는 연속적으로 몇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그 제1부분(8)은 페달(1)에 뚫린 구멍의 직사각형부분(7)의 폭보다 크나, 이 구멍의 둥근부분(6)의 지름보다는 작은 지름을 가지므로 그것이 둥근부분은 통과할 수 있으나 직사각형 부분은 통과할 수 없게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원뿔대 형태로 되어 구멍의 둥근부분(6)에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제2부분(9)은 직사각형부분(7)의 폭보다 작고 페달을 구성하는 부재의 두께보다는 약간 큰 원통형으로되어 그것이 구멍의 직사각형부분의 전길이를 자유로이 활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부분(10)은 구멍의 둥근부분(6)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므로 이곳을 통과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제3부분이 제2부분과 반대로 둥근형태로 되고 그로인한 이로움은 다음에서 보게될 것이다. 로드의 단부의 이들 세부분(8,9,10)은 로드(4)의 나단부에 플라스틱 후드를 열수축부착(shrunk)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로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과정이 채택된다. 브레이크 부우스터가 엔진쪽의 실(3)에 고정될 때 이러한 목적으로 실(3)에 설치된 구멍(11)으로 로드(4)가 관통하게 된다.
페달(1)의 종축은 이때 사실상 실(3)에 평행하게 되고 페달(1)의 구멍의 둥근부분은 실(3)의 구멍과 반대로 된다. 로드(4)의 단부의 제(8) 및 제(9)부분은 구멍의 둥근부분(6)을 관통하나 로드의 단부의 제(10)부분은 페달에 부딪힌다. 로드(4)의 삽입이 계속되면, 페달에 충돌한 제(10)부분이 피보트(2) 주위를 회전운동하는 페달을 밀게된다. 이때 로드의 단부의 (9)부분이 페달에 뚫린 구멍의 직사각형 부분(7)속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브레이크 부우스터가 정위치에 고정되면 로드(4)는 페달에 완전히 연결된다. 왜냐하면 페달에 대한 로드의 어떠한 운동도 구멍의 직사각형 부분(7)의 가장자리에 부딪히게될 로드단부의 제(10)부분 또는 (8)부분보다 한발 늦어지게되기 때문이다. 물론 플런너(5)의 행정은 페달측이 실(3)에 평행하게 되돌아 오지 않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이와같이 장치된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사용할 때 로드의 제(9)부분이 구멍의 직사각형부분(7)속에서 페달의 종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로드(4)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이 구멍에서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동을 돕기위해 보스(12)를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위의 로드의 지지점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보스는 실(3)의 반대쪽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 보스의 중공부분은 로드(4)의 단부의 둥근형태의 제3부분(10)과 유리하게 상호작용하게 되어 구멍의 직사각형 부분의 주변에 압력을 균등하게 분포 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페달의 강성과 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단면을 가진다. 비록 단 한 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만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여러가지의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페달의 운동에 의해 결정되는 평면에서 병진운동하는 피제어부재(5)에 부착된 로드(4)로 대향된 측상에서 돌출한 보스(12)내에 형성된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피보트(2)에 대해 회전하는 레버로 형성되어 있는 제어페달(1), 그리고 소정의 제1직경의 제1부분(8), 소정의 제2직경이며 상기 페달을 구성하는 재료의 두께보다 약간 큰 길이인 실린더 형태의 제2부분, 및 소정의 제3직경의 제3부분(10)으로 연속하여 구성되며 제2부분(9)의 방향으로 둥근형상으로 되어 보스(12)의 중공부분과 협동하는 형상을 가지며 페달(1)에 대항해 있는 로드(4) 단부 사이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스내에 형성된 구멍은 구식열쇠구멍의 형태로서, 소정의 제3직경보다 작고 소정의 제1직경보다는 큰 직경인 둥근형태의 제1부분(6)과 그리고 소정의 제2직경보다 약간 크고 제1부분(6)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페달의 종축방향으로 피보트(2)로 대향된 측상에서 제1부분을 뻗친 직사각형형태의 제2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드단부에 제1부분(8)은 둥근형태의 구멍부분(6)을 통과하는 반면에 제3부분(10)은 통과할 수 없으며, 로드(4)의 제2부분(9)은 길게 늘어진 구멍형태의 제2부분(7)에서 페달(1)의 축선에 관계하는 종방향으로 자유로이 미끄러질 수 있는 방식이며, 로드(4)의 제1부분(8)은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페달과 병진운동하는 제어부재간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로드단부의 상기 제1부분(8)은 원뿔대의 형태를 이루고, 제1부분의 큰 베이스는 상기 제2부분(9)에 대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단부의 상기 제1, 제2 및 제3부분(8,9,10)은 상기 로드의 나단부상으로 수축되는 플라스틱 후드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KR1019890002963A 1988-03-18 1989-03-10 제어페달과 병진운동하는 제어부재간의 연결장치 KR970000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803497A FR2628861B1 (fr) 1988-03-18 1988-03-18 Moyen de liaison entre une pedale de commande et un organe de commande mobile en translation
FR8803497 1988-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15A KR890014315A (ko) 1989-10-23
KR970000525B1 true KR970000525B1 (ko) 1997-01-13

Family

ID=936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963A KR970000525B1 (ko) 1988-03-18 1989-03-10 제어페달과 병진운동하는 제어부재간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333525B1 (ko)
JP (1) JP3156131B2 (ko)
KR (1) KR970000525B1 (ko)
BR (1) BR8900788A (ko)
DE (1) DE68903236T2 (ko)
ES (1) ES2035583T3 (ko)
FR (1) FR2628861B1 (ko)
PL (1) PL160251B1 (ko)
TR (1) TR28455A (ko)
YU (1) YU473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4324B (en) * 1990-05-26 1994-01-19 Ford Motor Co A foot pedal arrangement
US5531135A (en) * 1993-06-11 1996-07-02 Volkswagon Ag Pedal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FR2887652B1 (fr) * 2005-06-28 2009-01-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liaison autobloquante entre une pedale de frein d'un vehicule automobile et une tige de commande d'un amplificateur d'effort de freinage de ce vehicule
FR2901375B1 (fr) * 2006-05-16 2008-07-1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liaison autobloquante entre un levier et une tige
CN101439674B (zh) * 2007-11-23 2012-08-29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离合器踏板机构
CN101683825A (zh) * 2008-09-25 2010-03-31 曹德年 油门可转换为刹车的安全保护系统
DE202010004351U1 (de) * 2010-03-30 2010-08-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Pedalanordnung
CN103538475B (zh) * 2012-07-11 2016-05-04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加速踏板的限位装置以及具有该限位装置的车辆
FR3032754A1 (fr) * 2015-02-12 2016-08-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e pedal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fixation associ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2392A (en) * 1943-08-04 1944-06-27 Detroit Harvester Co Sheet clamping device
GB2051317A (en) * 1979-06-12 1981-01-14 Ford Motor Co Connection between foot pedal and braking system master cylinder
JPS61202005A (ja) * 1985-03-05 1986-09-06 エル・ウント・ツエ・シユタインミユラア・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燃焼またはガス化する方法およびバ−ナ
US4672860A (en) * 1986-02-06 1987-06-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Push rod to pedal arm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28861A1 (fr) 1989-09-22
EP0333525B1 (fr) 1992-10-21
DE68903236T2 (de) 1993-03-04
YU47302B (sh) 1995-01-31
YU33989A (sh) 1993-10-20
TR28455A (tr) 1996-07-01
JPH01301932A (ja) 1989-12-06
FR2628861B1 (fr) 1991-10-25
EP0333525A1 (fr) 1989-09-20
ES2035583T3 (es) 1993-04-16
DE68903236D1 (de) 1992-11-26
JP3156131B2 (ja) 2001-04-16
KR890014315A (ko) 1989-10-23
PL160251B1 (pl) 1993-02-26
BR8900788A (pt) 1989-10-17
PL277889A1 (en) 198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5079B1 (en) Pedal support structure for a vehicle
KR970000525B1 (ko) 제어페달과 병진운동하는 제어부재간의 연결장치
US3766802A (en) Brake pedal assembly
KR960004132A (ko) 전자제어식 부스터를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
US4181834A (en) Pedal stopper parking brake switch
JP4613001B2 (ja) ペダルモジュール
US3404246A (en) Brake switch assembly
GB2244324A (en) A foot pedal arrangement, eg. for vehicles
KR100235716B1 (ko) 클러치의 인게이지 포인트 조절장치
JPH0653488B2 (ja) 二連式マスターシリンダ用制御装置
KR950002993Y1 (ko) 소음차단 브레이크 페달장치
KR0184582B1 (ko) 멈춤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자동차의 스톱램프 스위치
KR930005414Y1 (ko) 자동차 브레이크 페달 조작용 부우스터
KR100235729B1 (ko) 단접점 조정식 클러치 부스터 제어기구
KR20030089853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KR0113834Y1 (ko) 유압식 주차브레이크
KR970003891Y1 (ko) 자동차의 유압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KR840000025Y1 (ko) 자동차용 유압브레이크장치의 유체부우스터
KR100516705B1 (ko) 페달 브레이크의 밀림방지장치
KR200147742Y1 (ko) 플라스틱재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플랜지에의 부시 장착구조
KR950001571Y1 (ko) 자동차클러치페달 및 브레이크페달 조작제어장치
KR100230203B1 (ko) 클러치의 인게이지 포인트 조절장치
KR19980078780A (ko) 차량용 페달 어셈블리
KR19980057157A (ko)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KR970040391A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주차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