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224Y1 - 자동차용 시트 팔받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팔받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224Y1
KR970000224Y1 KR92005155U KR920005155U KR970000224Y1 KR 970000224 Y1 KR970000224 Y1 KR 970000224Y1 KR 92005155 U KR92005155 U KR 92005155U KR 920005155 U KR920005155 U KR 920005155U KR 970000224 Y1 KR970000224 Y1 KR 970000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adjusting
adjusting shaft
shaft
slider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5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413U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92005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224Y1/ko
Publication of KR930021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4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팔받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본체 3 : 팔받침대
4 : 슬라이드레일 5a, 5b, 5c : 안내공
6 : 슬라이더 7 : 판스파링
8 : 고정판 12 : 코일스프링
14 : 핸들 9, 10 : 1조의 지지부재
19 : 위치조절용축 20 : 걸림부
21 : 제지턱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 팔받침대의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체형이나 습성에 따라 시트 팔받침대의 위치를 상, 하로 조절하여 편안한 상태로 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승차에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팔받침대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용 시트는 팔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없는 고정식으로 한정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팔받침대 고정식의 시트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고정된 팔받침대를 사용하게 되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장시간 승차시에는 피로감을 증가시키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이나 습성에 따라 시트 팔받침대의 위치에 상, 하로 조절하여 편안한 상태로 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승차에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시이트 팔받침대의 높이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핸들의(14)의 조작에 따라 상, 하로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 걸림부(20)를 가지고 있는 위치조절용축(19)과,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이 전,후방으로 이동시 이를 탄력있게 설치하여 수축 혹은 복원될 수 있도록 된 코일 스프링(12)과,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의 소정된 위치에 각각 축끼움형태로 고정되며 위치조절용축(19)에 코일스프링(12)의 탄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위치조절용축의 전, 후방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1쌍의 와셔형태의 걸림판 (11, 13)과 상기 코일스프링(12)를 조정하며 위치조절용축(19)을 지지하는 1조의 지지부재(9, 10)와, 상기 지지부재(9, 10)를 팔받침대(3)에 고정하는 고정판(8)과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의 일단에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이 위치조절용축(19)을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레일(4)의 내축에서 미끄럼운동을 하며, 판스프링 하우징(6')을 가지고 있는 슬라이더(6)와,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이 상, 하로 이동시 이를 탄력있게 조절하는 판스프링(7)과 상기 슬라이더(6)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이를 안내하며, 다수의 안내공(5a, 5b, 5c)과 제지턱(21)을 가지고 있는 슬라이드레일(4)을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팔받침대(3)와 이를 조절하는 핸들(14)은 시트 본체(1)의 일축 또는 양축에 설치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들(14)은 볼트(15)에 의하여 위치조절용축(19)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의 일단에는 걸림부(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부(20)는 후술하는 슬라이드레일(4)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공(5a, 5b, 5c)에 결합됨으로써 팔받침대(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이 전, 후로 이동시 이를 탄력있게 조절하는 코일스프링(12)은 위치고정용축(19)에 축끼움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와셔형태의 걸림판(11)에 의하여 상기 위치고정용축(19)이 전, 후방으로 이동시 수축 혹은 복원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스프링(12)은 이를 고정하는 1조의 지지부재(9, 10)와 이 지지부재(9, 10)를 고정하는 고정판(8) 및 볼트(17)에 의하여 팔받침대(3)에 고정된다.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의 일측에는 걸림부(20)의 소정된 위치에 축끼움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와셔형태의 걸림판(13)에 의하여 슬라이더(6)가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이 와셔형태의 걸림판(13)은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이 선, 후방으로 이동시 슬라이더(6)의 일측벽에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위치조절용축(19)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6)의 일측에 있는 판스프링하우징(6')에는 위치조절용축(19)과 슬라이더(6)가 상, 하로 이동된 후 이를 복원시킬 수 있도록 된 판스프링(7)이 설치되어 있으며, 판스프링(7)의 소정된 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더(6)가 일정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지턱(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프레임(2)에 볼트(18)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레일(4)은 상기 슬라이더(6)가 내벽에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이 슬라이더(6)를 감싸는 형태로 슬라이더(6)와 결합되어 있는 한편, 소정된 위치에는 상기한 위치조절용축(19)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20)가 끼워짐으로써, 팔받침대(3)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안내공(5a, 5b, 5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의 상태에서 팔받침대 (3)를 위로 올리고자 할 경우에는 핸들(14)을 전방으로 당기며 핸들(14)은 섬선(16-1)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함께 코일스프링(12)이 수축되면서 위치조절용축(19)이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이 위치조절용축(19)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20)가 슬라이드레일(4)에 형성된 안내공(5b)을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20)가 안내공(5b)을 이탈한 상태에서 핸들(14)을 위로 밀게 되면 슬라이더(6)가 슬라이드레일(4)의 내벽에 따라 위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위치조절용축(19)과 결합된 팔받침대(3) 또는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위치조절용축(19)의 일단부에 있는 걸림부(20)가 슬라이드레일(4)의 안내공(5)에 위치하게 되면 코일스프링(12)이 복원되면서 위치조절용축(19)을 후방으로 밀게 되므로 걸림부(20)가 안내공(5a)에 끼워지면서 위치조절용축(19)이 고정되고 이에 따라 팔받침대(3) 또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팔받침대(3)가 이동한 상태에서 이를 다시 원위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16)을 전방으로 당겨서 점선(16-1)의 위치로 이동시켜 위치조절용축(19)의 단부에 있는 걸림부(20)를 안내공(5a)으로부터 이탈시키면 판스프링(7)의 복원력으로 슬라이더(6)가 슬라이드레일(4)의 내벽을 미끄러지면서 하강하게 되며, 이때 결합부(20)가 안내공(5b)에 위치하게 되면 코일스프링(12)의 복원력으로 위치조절용축(19)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부(20)가 안내공(5b)에 결합되어 팔받침대(3)가 고정되는 것이며, 슬라이드레일(4)의 소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지턱(21)에 의하여 슬라이더(6)가 일정한 위치이하로 내려가서 슬라이더(6)가 슬라이드레일(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체형이나 습성에 따라 시트팔받침대의 위치를 상, 하로 조절하여 편안한 상태로 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승차에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핸들(14)의 조작에 따라 상, 하로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 걸림부(20)를 가지고 있는 위치조절용축(19)과,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이 전, 후방으로 이동시 이를 탄력있게 설치하며 수축 혹은 복원될 수 있도록 된 코일스프링(12)과,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의 소정된 위치에 따라 축끼움 형태로 고정되며 위치조절용축(19)에 코일스프링(12)의 탄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위치조절용축의 전, 후방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1쌍의 와셔형태의 걸림판(11, 13)과 상기 코일스프링(12)을 고정하며 위치조절용축(19)을 지지하는 1조의 지지부재(9, 10)와, 상기 지지부재(9, 10)를 팔받침대(3)에 고정하는 고정판(8)과,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의 일단에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이 위치조절용축(19)을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레일(4)의 내측에서 미끄럼운동을 하며 판스프링하우징(6')을 가지고 있는 슬라이더(6)와, 상기 위치조절용축(19)이 상, 하로 이동시 이를 탄력있게 조절하는 판스프링(7)과, 상기 슬라이더(6)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이를 안내하며 다수의 안내공(5a, 5b, 5c)과 제지턱(21)을 가지고 있는 슬라이드레일(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팔받침대의 높이조절 장치.
KR92005155U 1992-03-31 1992-03-31 자동차용 시트 팔받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KR970000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155U KR970000224Y1 (ko) 1992-03-31 1992-03-31 자동차용 시트 팔받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155U KR970000224Y1 (ko) 1992-03-31 1992-03-31 자동차용 시트 팔받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413U KR930021413U (ko) 1993-10-15
KR970000224Y1 true KR970000224Y1 (ko) 1997-01-10

Family

ID=1933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5155U KR970000224Y1 (ko) 1992-03-31 1992-03-31 자동차용 시트 팔받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2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413U (ko) 199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6123C (en) Child safety seat for automobile
US5022677A (en) Motor vehicle seat featuring two seat belts
US5951084A (en) Seat structure for a vehicle
EP1185434B1 (en) Continuous self-adjusting head restraint system
ZA909338B (en) Seats for motor vehicles
CA1303954C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armrest of an automobile vehicle seat
JPH0367752A (ja) 上側ベルトヒンジ点ないしベルト転向点の高さ調整可能に受けるための装置
KR970000224Y1 (ko) 자동차용 시트 팔받침대의 높이 조절장치
KR200159427Y1 (ko) 수평조절식 헤드 레스트
KR10022325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위치조절장치
KR100195037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위치조절장치
KR100373121B1 (ko)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장치
JPH0220101Y2 (ko)
KR20000003312U (ko) 센터 암레스트의 위치 조절 장치
KR200150390Y1 (ko)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KR970003878Y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WO2022263637A1 (en) Child safety seat
KR960007631Y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각도조절장치
KR100208617B1 (ko) 자동차용 시트 이동장치
KR19980052720U (ko) 헤드 레스트 조절장치
KR19980052449U (ko) 차량의 운전자 보호용 헤드레스트
KR100302419B1 (ko) 이동가능한차량용시트쿠션장치
JPH08282346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ダのストッパ機構
KR0142343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전.후이동 조절장치
KR0114457Y1 (ko) 팔걸이가 장착된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