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020Y1 -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 균형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 균형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020Y1
KR970000020Y1 KR92007122U KR920007122U KR970000020Y1 KR 970000020 Y1 KR970000020 Y1 KR 970000020Y1 KR 92007122 U KR92007122 U KR 92007122U KR 920007122 U KR920007122 U KR 920007122U KR 970000020 Y1 KR970000020 Y1 KR 970000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witch
vehicle body
pump
dis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371U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92007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020Y1/ko
Publication of KR930023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3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6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6Fluid actuator using a pump, e.g. in the line connecting the lower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1Steering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 균형유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감지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감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감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균형유지 실린더의 설치 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지수단 2 : 펌프
3 : 역전압 방지밸브 4 : 탱크
5 : 공급관 6 : 공급밸브
7 : 실린더 8 : 차체
9 : 피스톤 10 : 바퀴축
11 : 바퀴
본 고안은 자동차가 주행할 때 커브길 등에서 차체가 관성에 의해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차체의 균형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한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 균형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주행시 바퀴의 노면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이 차체에 최소한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 쇽업소바등의 완충장치가 설치되어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는데 자동차가 커브길 또는 경사노면등을 주행할 때에는 관성에 의해 상기 완충장치는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차체가 진행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탑승자가 불편을 겪게 되고 심하게는 자동차가 전복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일부 방지하고자 커브길의 노면을 적당히 경사지게 하여 자동차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그 차이가 쏠림현상을 막을 수가 없었다.
종래에도 노면 상태에 따라 바퀴의 높낮이가 적절히 조절되도록 한 것이 있었는데, 그 일례로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보 소 62-141505호 차량용에어써스펜션장치를 들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차량과 차량의 사이에 배치된 에어스프링과, 이 에어스프링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으로부터 차측에 대한 차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차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써스펜션 장치에 있어서, 후축이 전, 후 두개의 축으로 구성하고 각각 좌우에 상기 에어스프링을 구비하고 각각 전, 후 두축의 에어스프링의 내기압이 상호 연통되도록 관로를 구비한 것으로써, 노면의 굴곡이나 거친상태에 따라 각 바퀴가 독립적인 현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선행기술은 노면의 표면상태에 따른 차량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경사노면이나 커브길에서의 차체의 쏠림현상을 방지하는데는 부적절한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경사노면, 커브길등에서의 자동차 주행시 자동차와 속도, 노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자동차의 평행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균형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쏠림상태를 감지하여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 부터 연결되어 동작되는 유합 또는 공압에서 선택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탱크와, 상기 감지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와 탱크에 연결되어 유압 또는 공압을 송출하는 공급밸브와, 상기 공급밸브에 연결되고 자동차의 차체와 바퀴축에 설치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서 선택되는 다수의 실린더로 구성되어서 자동차의 주행시 자동차의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경사노면 또는 커브길의 주행시 자동차가 균형을 잃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펌프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기울어진 쪽의 바퀴축에 설치된 실린더에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어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차체의 균형이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수단은 자동차의 쏠림을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쏠림감지쎈서에 의해 연결 또는 차단되는 스위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핸들의 회전각도에 따라 조작되는 스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회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쏠림상태가 감지되는 감지수단(1)에 펌프(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중간에는 역전압방지밸브(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2)에는 탱크(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탱크(4)로부터 연결되는 공급관(5)에는 공급밸브(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공급밸브(6)는 상기 감지수단(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5)의 단부에는 다수의 실린더(7)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7)는 자동차의 좌측과 우측의 쏠림에 따라 각각 좌측과 우측에서 동작되도록 각 바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급관(5)은 좌측과 우측으로 보내어지는 두개 이상의 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2), 탱크(4) 및 각 실린더(7)는 유압 또는 공압에서 선택되어질 수 있으며, 그 어느 것에 제한하는 취지는 아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자동차는 경사길 또는 커브길에서 균형이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자동차가 급격한 회전 또는 노면의 경사에 따른 쏠림현상이 발생되면 즉시 감지수단(1)에 의해 감지되어 전기적으로 펌프(2)의 공급밸브(6)가 동작되고 따라서 탱크(4)로 부터 유압 또는 공압이 각 실린더에 공급되어 기울어지는 쪽의 차체를 밀어올리고 올라가는 쪽의 차체를 끌어내림으로써 차체의 균형이 적절히 유지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감지수단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감지수단이 자동차의 좌, 우측쏠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1)로 되고 이에 따라 개폐되는 스위치(SW1)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일측으로 쏠리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21)에 의해 스위치(SW1)가 연결되어 펌프가 동작되고 결국 실린더에 의해 차체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감지수단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핸들(31)의 조작시 좌, 우측의 어느 회전각도에서 이미 설정된 적정각도가 되면 연결되는 리미스트스위치(SW2)로써 감지수단이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시 핸들을 적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스위치(SW2)가 연결되어 펌프를 동작시키고 회전방향에 따라 좌, 우측의 실린더가 반대로 동작되어 차체의 균형이 유지되는 것이다.
이는 자동차의 주행시 회전을 하게 되면 자동차는 자연히 관성에 의해 일측으로 쏠리게 되는데 따라서 핸들에 의해 실린더가 동작되도록 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감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좌, 우측 쏠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1)에 의해 개폐되는 제1스위치(SW1)와 핸들(31)의 조작시 좌, 우측의 어느 회전각도에서 설정된 각도의 회전에 따라 동작되는 제2스위치(SW2)가 직렬로 연결되고, 여기에 속도미터를 감지하여 적정속도이상이 되면 동작되는 제3스위치(SW3)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제2, 제3의 스위치(SW1), (SW2), (SW3)가 모두 연결되었을 때 펌프가 동작되어 회전방향 및 경사방향에 따라 좌, 우측의 실린더가 반대로 동작되어 차체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된다.
즉, 핸들을 많이 회전시켜도 속도 및 쏠림정도에 따라서 실린더가 적절히 동작됨으로써 여러가지의 주행상태에 맞추어 적절히 차체의 균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린더의 설치상태를 일례로써 나타낸 것이며, 이와같이 실린더(7)는 차체(8)에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7)로부터 인출되는 피스톤(9)은 바퀴축(10)에서 바퀴(11)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차체(8)와 바퀴축(10)을 실린더(7)와 피스톤(9)에 의해 밀거나 당김으로써 노면으로 부터 차체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실린더(7)가 기존의 쇽 업소바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다르게는 쇽 업소바와는 별도로 차체와 바퀴축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시 노면으로 부터의 완층과 더불어 경사진 노면 또는 커브길에서의 자동차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운행에 크게 기여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자동차의 쏠림상태를 감지하여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 부터 연결되어 동작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서 선택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탱크와, 상기 감지수단이 연결되고 상기 펌프와 탱크에 연결되어 유압 또는 공압을 송출하는 공급밸브와, 상기 공급밸브에 연결되고 자동차의 차체와 바퀴축에 설치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서 선택되는 다수의 실린더로 구성되어서 자동차의 주행시 자동차의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된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균형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쏠림감지 센서에 의해 연결 또는 차단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균형유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자동차 핸들의 회전각도에서 좌, 우적정각도 이상의 회전시 연결 또는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균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쏠림감지 센서에 의해 연결 또는 차단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되면서 자동차 핸들의 회전각도에서 좌, 우적정각도 이상의 회전시 연결 또는 차단되는 제2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균형유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자동차가 적정속도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3스위치가 직렬로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균형유지장치.
KR92007122U 1992-04-28 1992-04-28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 균형유지장치 KR970000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122U KR970000020Y1 (ko) 1992-04-28 1992-04-28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 균형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122U KR970000020Y1 (ko) 1992-04-28 1992-04-28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 균형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371U KR930023371U (ko) 1993-11-26
KR970000020Y1 true KR970000020Y1 (ko) 1997-01-04

Family

ID=1933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122U KR970000020Y1 (ko) 1992-04-28 1992-04-28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 균형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0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897B1 (ko) * 1996-12-13 1999-08-02 정몽규 가변식 현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371U (ko)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9328A (en) Roll control system
US10384739B2 (en) Control system of the trim of vehicles with more than two wheels
JPS62299418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ヨンの制御装置
GB2104464A (en) Stabilising two-wheeled vehicles
JP2002505638A (ja) カーブ走行車両に作用する遠心力の低減化自動装置
US11260923B2 (en) Four-wheel off-road vehicle having an anti-lock braking system assembly
KR970000020Y1 (ko)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 균형유지장치
BR112021014819A2 (pt) Um sistema hidropneumático inteligente para controlar a inclinação de duas rodas de um veículo e um veículo equipado com o referido sistema
GB2313347A (en) Anti-grounding suspension, sensing strut extension, pressure drop and wheel slip
KR100371419B1 (ko) 차량의 현가장치
JPS58128911A (ja) 車輛用懸架装置
JPH11348798A (ja) 後軸操舵装置
KR100224032B1 (ko) 차량용 센터링 댐퍼 장치
JP3797918B2 (ja) 前2軸車の駆動力減少防止装置
KR0142383B1 (ko) 차량용 능동 롤 제어장치
KR20030083181A (ko) 태그액슬 적용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슬립방지장치 및 그방법
JPH0635247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192316B1 (ko) 자동차 전복방지용 제동장치
JPS6334213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ヨン装置制御方式
KR0130835Y1 (ko) 자동차 차체의 균형유지장치
JPH06107221A (ja) 車両の操舵装置
KR0172684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H0755126Y2 (ja) 車高センサの故障検出装置
JPS61108064A (ja) 動力舵取装置の操舵力制御装置
JPH0733924Y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