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777B1 - 갭식 써지(surge)흡수소자 - Google Patents

갭식 써지(surge)흡수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777B1
KR960016777B1 KR1019920024990A KR920024990A KR960016777B1 KR 960016777 B1 KR960016777 B1 KR 960016777B1 KR 1019920024990 A KR1019920024990 A KR 1019920024990A KR 920024990 A KR920024990 A KR 920024990A KR 960016777 B1 KR960016777 B1 KR 960016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insulating substrate
surge absorbing
gap
gap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657A (ko
Inventor
쯔네히사 도오가와
Original Assignee
쯔네히사 도오가와
하구산 인다나쇼날 가부시기가이샤
진우근
한국전자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네히사 도오가와, 하구산 인다나쇼날 가부시기가이샤, 진우근, 한국전자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쯔네히사 도오가와
Publication of KR93002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3Mount members, e.g. sub-mount members
    • H01S5/0231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3Integrated head arrangements, e.g. with source and detectors mounted on the same subst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8Coatings ; Treatment of the laser facets, e.g. etching, passivation layers or reflec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014Measuring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thereof
    • H01S5/0021Degradation or life time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metry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갭식 써지(surge)흡수소자
제1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한 써지흡수소자의 1실시예를 표시한 전체 사시도.
제2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한 써지흡수소자의 1실시예의 제조공정을 표시한 사시도.
제3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한 써지흡수소자의 1실시예의 평면도.
제4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한 써지흡수소자의 1실시예의 평면도.
제5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기재한 써지흡수소자의 1실시예의 평면도.
제6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기재한 써지흡수소자의 1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50,60 : 써지흡수소자12,62 : 절연기판
14a,14b,52a,52b : 방전전극16,54 : 방전간극
18,42,56 : 관통공53a,53b : 트리거 방전부
66a,66b : 접속단자
본 발명은 천둥써지, 개폐써지, 정전기등의 과전압으로부터 전자부품이나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갭식 써지흡수소자로서 평판 또는 원주형 무라이트 자기(murite ceram ics)등의 절연체에 도전박막을 증착하여 이 도전박막을 레이저광으로 분단함으로서 50㎛정도의 방전간극을 형성한 것이 있었다.(예를들면 특공소 56-4454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이런 종류의 갭식 써지흡수소자는 방전전극간의 연면거리(沿面距離)가 방전간극의 길이와 거의 같다. 그래서 방전에 따른 전극재료의 스파크링으로 인해 상기 연면거리의 절연체에 전극재료가 부착되어 방전특성이 열화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방전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기 위한 갭식 써지흡수소자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특허청구의 범위(이하 "청구항"이라 함)제1항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는 절연기판상에 방전 전극과 방전간극이 설치되고 이 방전간극 주위의 상기 절연기판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는 청구항 1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에서 관통공이 절연기판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는 청구항 1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에서 방전전극 선단에 예각형태의 트리거 방전부가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에는 방전전극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접속단자가 절연기판의 한쪽으로만 집중되게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에 의하면 방전간극 주위의 절연기판에 관통공을 형성하므로서 방전간극과 관통공을 동시에 레이저 가공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방전간극 주위의 절연기판에도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전전극간의 연면거리는 관통공 주연의 길이가 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에 의하면 관통공이 절연기판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관통공 주연의 길이를 길게 할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에 의하면 방전전극 선단에 예각으로 된 트리거 방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트리거 방전부에서 트리거 방전이 생긴다.
또 청구항 4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에 의하면 접속단자가 절연기판 한쪽에 집중해서 설치되었기 때문에 접속단자가 1개의 코넥터에 접속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청구항 1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이하 "써지흡수소자"라 함)의 1실시예를 표시하고 제1도는 전체사시도, 제2도는 제조공정을 표시한 사시도, 제3도는 평면도이다. 이하 이들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방전간극의 길이를 타부분보다 확대 시켰다.
써지흡수소자(10)는 절연기판(12)상에 방전전극(14a)(14b)과 방전간극(16)이 마련되고 방전간극(16)주위의 절연기판(12)에 관통공(8)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기판(12)은 합성수지로 된 프린트 배선판이며, 절연기판(12)상의 선상의 배선(30)은 에칭등으로 형성한 동박(銅箔)이고 일단은 방전전극(14a)(14b), 타단은 접속단자(32a)(23b)로 되어 있다. 접속단자(32a)(32b)는 코낵터(도시 않음) 등에 접속된다.
써지흡수소자(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다수개의 배선(30)을 형성한 절연기판(12)을 준비한다.
그리고 제2도에서와 같이 YAG레이저, 탄산가스 레이저등의 레이저 발진기(La)로부터 레이저광(b)을 배선(30) 및 배선(30) 주위의 절연기판(12)에 조사한다. 그러면 배선(30) 밑의 절연기판(12) 및 배선(30) 주위의 절연기판(12)이 기화하면서 방전간극(16) 및 관통공(18)이 형성된다.
이때에 방전간극(16) 주위의 절연기판(12)에 관통공(18)이 형성되기 때문에 방전간극(16)과 관통공(18)을 동시에 레이저 가공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이어서 다수의 써지흡수소자(10)가 형성된 절연기판(12)에서 적어도 한쌍의 방전전극(14a,14b)과 더불어 써지흡수소자(10)를 잘라낸다. 또 필요에 따라 방전전극(14a)(14b)를 세라믹 등의 패케이지(도시않음)로 덮도록해도 좋다. 그리고 패케이지내에 원하는 가스를 봉입하는 구조로 할수도 있다.
써지흡수소자(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방전간극(16) 주위의 절연기판(12)에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어서 방전전극(14a)(14b)간의 연면거리(D1)은 관통공(18) 주위의 길이가 된다. 방전간극(16)에서 방전이 생기면 방전간극(14a)(14b)의 재료가 스파크링으로 연면거리(D1)의 절연기판(12)으로 튀어 부착한다.
그러나 연면거리(D1)이 크기 때문에 단위면적당의 전극재료의 부착량을 적게할 수 있으며 방전 특성의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치를 들어 설명한다.
절연기판(12)은 폴리에스텔제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고 두께(T2)가 25∼125㎛이다.
배선(30)은 폭(W1)이 0.5∼2.0㎜, 두께(T1)가 18∼70㎛이다. 방전간극(16) 및 관통공(18) 길이(L)는 30∼100㎛, 관통공(18)의 폭(W2)은 W2〉W1이다.
절연기판(12)은 폴리에스텔, 폴리이미드 또는 유리내열수지 등으로 만든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면 좋다.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은 배선(30)을 형성하기 쉽고 매우 얇아서 레이저광(6)으로 관통공(18)을 형성하기 쉽고 꺽어서 실장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절연기판(12)은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등의 프린트 배선판이라도 물론 좋고 세라믹등 이라도 레이저광(6)으로 관통공(18)을 형성할 수 있는 재질이나 두께를 갖고 있는 것이라면 상관없다.
제4도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써지흡수소자의 1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제3도에 표시한 써지흡수소자(10)에서는 관통공(18)의 폭(W2)을 넓게 하므로서 연면거리(D1)을 더 크게 할수가 있다. 그러나 폭(W2)이 절연기판(10)의 폭(W3)보다 넓을 수는 없다.
그런데 제4도에 표시한 써지흡수소자(40)에서는 관통공(42)이 절연기판(12)의 길이방향으로 꺾어져 있다.
따라서 관통공(42)의 폭은 절연기판(10)의 길이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크게하여 연면거리(D2)를 극히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관통공(42)의 형상은 본 실시예의 S자형에 한정하지 않고 H자형, X자형 등이라도 된다.
제5도는 청구항 3에 기재한 써지흡수소자의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써지흡수소자(50)는 방전전극(52a)(52b)간의 선단을 예각으로 하여 트리거 방전부(53a)(53b)를 형성하고 여기에 전계를 집중시킴으로서 트리거 방전을 일으키는 것이다. 방전간극(54) 및 관통공(56)의 형상은 방전전극(52a)(52b)의 형상에 맞춘 것이다. 트리거 방전부(53a)(53b)의 형상, 거리등을 여러가지로 변화시켜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6도는 청구항 4에 기재한 써지흡수소자의 1실시예의 전체사시도이다. 써지흡수소자(60)는 절연기판(62)상에 방전전극(14a)(14b)와 방전간극(16)이 형성되고 방전간극(16) 주위의 절연기판(62)에 관통공(18)이 형성된 것이다.
절연기판(62)상의 U자형 배선(64)는 일단이 방전전극(14a)(14b), 타단은 접속단자(66a)(66b)로 되어 있다. 접속단자(66a)(66b)는 한쪽에만 집중되어 있어서 1개의 코넥터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트 배선판등에 접속하는 작업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판등에 수직으로 세운채 실장할 수 있어서 실장밀도를 저감시킬 수도 있다. 또 이상에서 설명한 써지흡수소자에서는 1개의 관통공에 한쌍(2개)의 전극이 있는 구조를 표시하였으나 1개의 관통공에 3개의 전극 또는 1개의 관통공에 여러쌍의 전극이 있는 구조를 하여도 된다.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한 써지흡수소자에 의하면 방전간극 주위의 절연기판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방전전극간의 연면거리가 관통공 주연의 길이와 같기 때문에 연면거리를 크게 할수 있고 방전에 의한 열화를 막을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에 의하면 관통공 주연의 길이를 크게할 수 있어 연면거리를 더욱 크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에 의하면 트리거 방전부에서 트리거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4에 기재한 갭식 써지흡수소자에 의하면 접속단자를 1개의 코넥터를 접속할 수 있어서 접속작업의 경감과 실장밀도의 저감도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절연기판상에 방전전극과 이 방전전극의 방전간극이 마련되고, 이 방전간극 주위의 절연기판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갭식 써지(surge) 흡수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관통공이 절연기판의 길이쪽으로 뻗어서 형성된 갭식 써지(surge) 흡수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방전전극 선단에 뾰족한 예각상의 트리거 방전부가 형성된 갭식 써지(surge) 흡수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방전전극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접속단자가 절연기판 한쪽에 집중해서 설치한 갭식 써지(surge) 흡수소자.
KR1019920024990A 1992-04-10 1992-12-22 갭식 써지(surge)흡수소자 KR960016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91281 1992-04-10
JP4091281A JPH05290950A (ja) 1992-04-10 1992-04-10 ギャップ式サージ吸収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657A KR930022657A (ko) 1993-11-24
KR960016777B1 true KR960016777B1 (ko) 1996-12-20

Family

ID=1402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990A KR960016777B1 (ko) 1992-04-10 1992-12-22 갭식 써지(surge)흡수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290950A (ko)
KR (1) KR960016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2861B2 (ja) * 2006-05-26 2011-10-2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サージアブソ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90950A (ja) 1993-11-05
KR930022657A (ko) 199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037B1 (ko) 인쇄회로기판스파크갭
EP0211517B1 (en) High voltage transient protection device
KR0169265B1 (ko) 반도체장치
US4748293A (en) Flexible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5083237A (en) Electronic parts and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KR960016777B1 (ko) 갭식 써지(surge)흡수소자
KR960016778B1 (ko) 갭식 써지(surge)흡수소자
JPS616832A (ja) 実装体
JPH098488A (ja) 回路基板の設計方法及び回路基板
US6545855B1 (en) Low inductance termination for electronic components
JPH05335689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接続構造
US20040055782A1 (en) Surface-mounting type electronic circuit unit having no melting of solder attaching electric part thereto
JPH07142821A (ja) プリント配線板
US7105911B2 (en) Multilayer electronic substrat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electronic substrate
JPH05267494A (ja) 半導体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H07106144A (ja) 表面実装型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112432A (ko) 캐리어 기판 상에 배치된 전기 및/또는 전자 부품을정전기 방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치
JPH0945808A (ja) 電子部品
US6411518B1 (en) High-density mounted device employing an adhesive sheet
JPH08316592A (ja)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160923A (ja) ヒユ−ズ付き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S6225444A (ja) 連続配線基板
JPS6384145A (ja) 印刷抵抗体装置
JPH03160781A (ja) プリント基板
JPH0338845A (ja) 混成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