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673B1 -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 Google Patents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673B1
KR960016673B1 KR1019940027990A KR19940027990A KR960016673B1 KR 960016673 B1 KR960016673 B1 KR 960016673B1 KR 1019940027990 A KR1019940027990 A KR 1019940027990A KR 19940027990 A KR19940027990 A KR 19940027990A KR 960016673 B1 KR960016673 B1 KR 960016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output
unit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624A (ko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7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673B1/ko
Publication of KR960016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8Chord
    • G10H1/383Chord detection and/or recognition, e.g. for correction, or automatic bass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제1도는 종래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의 블럭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에서 마이컴의 동작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제4도는 본 발명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다른 실시예의 블럭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2 : 마이크 입력부
3 : 제한부4 : 에코우부
5 : 제1레벨검출부6 : 신호출력부
7 : 제2레벨검출부8 : 마이컴
9 : 전압제어 증폭부10 : 합성부
11 : 볼륨/톤 조정부12 : 앰프부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크기를 조절하지 않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배경음에 묻히지 않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21)와, 상기 마이크(21)에서 변환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 입력부(22)와, 상기 마이크 입력부(22)에서 증폭출력된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입력레벨 조정부(23)와, 상기 입력레벨 조정부(23)에서 레벨조정되여 출력된 신호에 잔향음을 부가시키는 에코우부(24)와, 씨디(CD), 씨디지(CDG) 및 비디오 씨디(Video CD)등에서 재생되는 배경음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신호출력부(25)와, 상기 신호출력부(25)에서 출력된 배경음 신호와 에코우부(24)에서 출력된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26)와, 상기 합성부(26)에서 출력된 신호의 음색 및 볼륨을 조정하는 볼륨/톤 조정부(27)와, 상기 볼륨/톤 조정부(27)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9)로 출력하는 앰프부(28)와, 상기 앰프부(28)에서 증폭출력된 신호를 외부로 음성출력시키는 스피커(2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는 마이크(21)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고, 마이크 입력부(22)에서 이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입력레벨 조정부(23)로 출력하면, 입력레벨 조정부(23)에서는 상기 마이크 입력부(23)에서 증폭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신호출력부(25)에서 출력되는 씨디, 씨디지 또는 비디오 씨디등에서 재생되는 배경음 신호의 크기와 비교하여 마이크(21)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하게 되고, 에코우부(24)에서 입력레벨 조정부(23)에서 레벨조정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잔향음을 부가하여 합성부(26)에 출력한다.
이때 합성부(26)에서는 신호출력부(25)에서 출력되는 씨디, 씨디지 및 비디오 씨디등에서 재생되는 배경음의 신호와 에코우부(24)에서 잔향음이 부가되여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합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합성부(26)에서 합성되여 출력된 합성신호를 볼륨/톤 조정부(27)에서 음색 및 볼륨을 조정하고, 상기 볼륨/톤 조정부(27)에서 음색 및 볼륨이 조정된 신호를 앰프부(28)에서 증폭하여 스피커(29)를 통하여 외부로 음성출력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는 씨디, 씨디지 및 비디오 씨디에서 재생되여 신호출력부(25)로 출력되는 배경음의 신호가 너무 크면 마이크(21)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상대적으로 작게되므로, 입력레벨 조정부(23)에서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레벨 조정을 크게 해야한다.
상기와 같이 레벨조정을 크게 하다보면 마이크(21)를 통하여 과도한 입력이 들어올때도 있기 때문에 앰프부(28)와 스피커(29)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반대로 배경음이 작게 되면 마이크(21)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레벨도 줄여주어야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레벨과 배경음의 신호레벨을 검출하여 배경음신호와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균형을 자동으로 맞추어주고, 또한 마이크의 신호입력에 제한회로를 구성하여 과도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크기를 조정하지 않고도 마이크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배경음에 묻히지 않도록 배경음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1)와, 상기 마이크(1)에서 변환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 입력부(2)와, 상기 마이크 입력부(2)에서 증폭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1)로 과도한 입력이 들어올때 그 크기를 제한출력하여 앰프부(12)와 스피커(13)를 보호하기 위한 제한부(3)와, 상기 제한부(3)에서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잔향음을 부가하여 합성부(10)로 출력하는 에코우부(4)와, 상기 마이크 입력부(2)에서 증폭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1레벨검출부(5)와, 씨디, 씨디지 및 비디오 씨디등에서 재생되는 배경음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6)와, 상기 신호출력부(6)에서 출력되는 배경음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2레벨검출부(7)와, 상기 제1레벨검출부(5)와 제2레벨검출부(7)에서 검출되여진 레벨값을 입력받아 비교하여 전압제어증폭부(9)와 볼륨/톤 조정부(11)를 제어하는 마이컴(8)과, 상기 마이컴(8)의 제어를 받아 신호출력부(6)에서 출력되는 배경음의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여 출력하는 전압제어증폭부(9)와, 상기 에코우부(4)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전압제어증폭부(9)에서 출력되는 배경음의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10)와, 상기 합성부(10)에서 합성출력되는 신호를 마이컴(8)의 제어를 받아 음색 및 볼륨을 조정하는 볼륨/톤 조정부(11)와, 상기 볼륨/톤 조정부(11)에서 조정되여 출력된 합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3)로 출력하는 앰프부(12)와, 상기 앰프부(12)에서 증폭출력된 합성신호를 외부로 음성출력하는 스피커(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3도는 상기 마이컴(8)에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배경음의 신호 레벨을 비교하는 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는 마이크(1)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출력되면 마이크 입력부(2)에서 마이크(1)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제한부(3)에서 상기 마이크 입력부(2)에서 증폭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1)로 과도한 입력이 들어올때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여 앰프부(12)와 스피커(13)를 보호하고, 에코우부(14)에서 상기 제한부(3)를 거쳐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잔향음을 부가하여 합성부(10)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마이크 입력부(2)에서 증폭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제1레벨검출부(5)로도 인가되여 제1레벨검출부(5)에서 마이크 입력부(2)에서 증폭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음성 레벨(A)을 검출하여 마이컴(8)으로 출력한다.
또한 신호출력부(6)에서 씨디, 씨디지 및 비디오 씨디에서 재생되는 배경음의 신호를 출력하면, 제2레벨검출부(7)에서는 신호출력부(6)에서 출력되는 배경음 신호의 레벨(B)을 검출하여 마이컴(8)으로 출력한다.
이후 마이컴(8)에서는 제1레벨검출기(5)와 제2레벨검출기(7)에서 출력되는 레벨값을 비교(A-B)하여 제1레벨검출기(5)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레벨값이 더 크면(A-B≥0) 그대로 진행하고, 제2레벨검출기(7)에서 검출된 값이 더 크면(A-B<0), 전압제어증폭부(9)를 제어하여 신호출력부(6)에서 출력되는 배경음의 신호를 제1레벨검출기(5)에서 검출된 레벨값(A)과 제2레벨검출기(7)에서 검출된 레벨값(B)의 차(A-B)만큼 감소시켜 합성부(1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합성부(10)는 에코우부(4)에서 잔향음이 부가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전압제어증폭부(9)에서 사용자의 음성신호 레벨(A)과 배경음 신호의 레벨(B)의 차(A-B)만큼 감소시켜 출력된 신호를 합성하여 볼륨/톤 조정부(11)로 출력하면, 볼륨/톤 조정부(11)에서는 상기의 마이컴(8)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의 음성신호 레벨(A)과 배경음 신호의 레벨(B)의 차(A-B)만큼 증폭하여 앰프부(12)로 출력하고, 상기 볼륨/톤 조정부(11)에서 출력된 합성신호를 앰프부(12)에서 증폭하여 스피커(13)를 통하여 외부로 음성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배경음의 신호에 묻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마이컴(8)에서 전압제어증폭부(9)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레벨(A)과 배경음 신호의 레벨(B)의 차(A-B)만큼 배경음 신호를 감소시켜 출력하면, 전체적인 음량이 줄어들게 되므로서, 마이컴(8)에서는 볼륨/톤 조정부(11)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레벨(A)과 배경음 신호의 레벨(B)의 차(A-B)만큼 보상하여 전체적인 음량이 줄어들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4도는 본 발명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설명은 상기 본 발명과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기로 하고, 상기한 부분만을 설명을 하면, 상기 본 발명에서 레벨검출 비교수단인 마이컴(8)을 대신하여, 제1레벨검출기(5)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레벨값과 레벨검출기(7)에서 검출된 배경음 신호의 레벨값을 입력받아, 레벨값의 차를 전압제어증폭부(9)로만 출력하여 전압제어증폭부(9)에서 그 차만큼 감소시켜 출력하도록 하는 차동증폭기(8')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여 마이크 입력부(2)에서 증폭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레벨을 제1레벨검출기(5)에서 검출하여 차동증폭기(8')로 출력하고, 또한 신호출력부(6)에서 출력되는 배경음 신호의 레벨을 제2검출기에서 검출하여 차동증폭기(8')로 출력하면, 차동증폭기(8')에서는 레벨값의 차를 비교하여 제2레벨검출기(7)에서 검출된 레벨값이 크면 즉, 배경음 신호의 레벨값이 크면 (+)값을 출력하게 되어 전압제어증폭부(9)에서 그 차만큼 감소하여 합성부(10)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음성보다 배경음이 더커서 사용자의 음성이 묻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경음의 신호가 클때 다시 말하면, 차동증폭기(8')에서 (+)값을 출력할때 전압제어 증폭부(9)에서는 그 차만큼 신호출력부(6)에서 출력되는 배경음 신호를 감소시켜 합성부(10)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1)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씨디, 씨디지 및 비디오 씨디등에서 재생되는 배경음보다 작게 될 경우에 사용자의 음성이 배경음에 묻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각 레벨값을 검출하고 이를 비교하여 그 차만큼 배경음을 감소시켜 주므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한부(3)를 구성하여 주므로서 마이크(1)로 과도한 입력이 있을때 앰프부(12)와 스피커(13)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1)와, 상기 마이크(1)에서 변환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로 입력부(2)와, 상기 마이크 입력부(2)에서 증폭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1)로 과도한 압력이 들어올때 그 크기를 제한출력하여 앰프부(12)와 스피커(13)를 보호하기 위한 제한부(3)와, 상기 제한부(3)에서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잔향음을 부가하여 합성부(10)로 출력하는 에코우부(4)와, 상기 마이크 입력부(2)에서 증폭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1레벨검출부(5)와, 씨디, 씨디지 및 비디오 씨디등에서 재생되는 배경음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6)와, 상기 신호출력부(6)에서 출력되는 배경음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2레벨검출부(7)와, 상기 제1레벨검출부(5)와 제2레벨검출부(7)에서 검출되여진 레벨값을 입력받아 비교하여 전압제어증폭부(9)와 볼륨/톤 조정부(11)를 제어하는 마이컴(8)과, 상기 마이컴(8)의 제어를 받아 신호출력부(6)에서 출력되는 배경음의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여 출력하는 전압제어증폭부(9)와, 상기 에코우부(4)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전압제어증폭부(9)에서 출력되는 배경음의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10)와, 상기 합성부(10)에서 합성출력되는 신호를 마이컴(8)의 제어를 받아 음색 및 볼륨을 조정하는 볼륨/톤 조정부(11)와, 상기 볼륨/톤 조정부(11)에서 조정되어 출력된 합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3)로 출력하는 앰프부(12)와, 상기 앰프부(12)에서 증폭출력된 합성신호를 외부로 음성출력하는 스피커(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8)은 제1레벨검출부(5)와 제2레벨검출부(7)에서 검출된 레벨값을 비교하여 제2검출부에서 검출된 레벨값(B)이 클 경우에 제1레벨검출부(5)와 제2레벨검출부(7)의 레벨값의 차(A-B)만큼 전압제어증폭부(9)에서 신호출력부(6)에서 출력되는 배경음의 신호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고, 볼륨/톤 조정부(11)에서 레벨값의 차(A-B)만큼 합성부에서 출력된 합성신호를 증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검출 비교수단인 마이컴(8)을 제1레벨검출기(5)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레벨값과 제2레벨검출기(7)에서 검출된 배경음 신호의 레벨값을 입력받아, 레벨값의 차를 전압제어증폭부(9)로만 출력하여 전압제어증폭부(9)에서 그 차만큼 감소시켜 출력하도록 하는 차동증폭기(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로 합성장치.
KR1019940027990A 1994-10-28 1994-10-28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KR960016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990A KR960016673B1 (ko) 1994-10-28 1994-10-28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990A KR960016673B1 (ko) 1994-10-28 1994-10-28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624A KR960016624A (ko) 1996-05-22
KR960016673B1 true KR960016673B1 (ko) 1996-12-19

Family

ID=1939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990A KR960016673B1 (ko) 1994-10-28 1994-10-28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605B1 (ko) * 1998-07-04 2002-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Hcfc 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624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1617A (en) Loudspeaker arrangement with frequency dependent amplitude regulation
MY106871A (en) Noise reducing receiver device.
KR20060016103A (ko) 음질 조정 장치 및 음질 조정 방법
KR960016673B1 (ko)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JPS6450633A (en) Automatic broadcast equipment
WO2003013189A1 (fr) Appareil de reproduction acoustique
GB2207313A (en) Signal controlled by noise signal compensator
JPH09116362A (ja) 自動音量制御装置
JP2000059896A (ja) サラウンド調整装置
KR100269711B1 (ko)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 개선 장치
JPS61108294A (ja) 自動音場補正装置
JP2988358B2 (ja) 音声合成回路
KR960004961B1 (ko) 무선 서라운드 스피커
KR910003440B1 (ko) 스피커의 음량자동조절 시스템
KR0130816B1 (ko) 음향신호의 파형등화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12715U (ko) 자동 음량 조절 장치
KR100691534B1 (ko) 다채널 앰프를 갖는 노래반주기
KR20000031324A (ko) 저음 재생 보상 회로
KR930007296Y1 (ko) 채널 밸런스 자동 조정회로
JP2000137489A (ja) 車載用音響装置
KR20000008691A (ko) 음성보상 장치
JPH0630499A (ja) 音響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KR19990039168A (ko)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
KR970019524A (ko) 주변음 적응 스테레오 사운드 볼륨/밸런스 조정회로
KR19980025532U (ko) 외부소음 검출에 따른 자동 음량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