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168A -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168A
KR19990039168A KR1019970059156A KR19970059156A KR19990039168A KR 19990039168 A KR19990039168 A KR 19990039168A KR 1019970059156 A KR1019970059156 A KR 1019970059156A KR 19970059156 A KR19970059156 A KR 19970059156A KR 19990039168 A KR19990039168 A KR 19990039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bass
low
microcomputer
low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9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9168A/ko
Publication of KR1999003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168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오디오의 볼륨이 큰 출력일 때 저음보강기능을 동작시키면 높은 레벨의 음압에 저음대역의 레벨이 추가로 올라가 오히려 음질이 나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볼륨데이터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되는 저음보강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저음보강제어신호에 의해 입력신호의 저음에 대한 게인을 조정하는 저음보강조정앰프와; 상기 저음보강조정앰프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메인앰프로 구성함으로써 오디오제품에서 대츨력일때 저음보강기능을 동작시킴으로써 스피커가 그 음압을 받아들이지 못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음의 찌그러짐을 개선하여 부드럽고 강력한 음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
본 발명은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의 볼륨 상승시 저음보강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음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저음보강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디오는 볼륨을 상승시켰을 때 음의 찌그러짐이 발생하여 음의 상태가 불량하였다.
이에따라, 저음보강기능을 오디오에 추가하여 볼륨을 상승시켰을 때 발생하는 음의 찌그러짐을 해결했는데, 즉 저음보강기능으로 동작하는 오디오의 볼륨을 상승시키면 도1과 같이 저역부분만 일정한 레벨로 상승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장치는 오디오의 볼륨이 큰 출력일 때 저음보강기능을 동작시키면 높은 레벨의 음압에 저음대역의 레벨이 추가로 올라가 오히려 음질이 나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볼륨상승에 따라 저음보강기능을 마이크로컴퓨터가 자동으로 조정하여 그 기능을 점차 낮춤으로써 대출력일 때 음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의 볼륨변화에 따른 저역이득의 변화도.
도 2는 본 발명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볼륨변화에 따른 저역이득의 변화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 볼륨변화에 따른 바스값의 데이터를 보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저음보강 조정앰프 21:메인앰프
22:마이크로컴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볼륨데이터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되는 저음보강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저음보강제어신호에 의해 입력신호의 저음에 대한 게인을 조정하는 저음보강조정앰프와; 상기 저음보강조정앰프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메인앰프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볼륨데이터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되는 저음보강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22)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2)의 저음보강제어신호에 의해 입력신호의 저음에 대한 게인을 조정하는 저음보강조정앰프(20)와; 상기 저음보강조정앰프(20)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메인앰프(21)로 구성하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컴퓨터(22)는 제품의 볼륨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볼륨데이터의 값을 감지하여 그에 해당되는 저음보강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에서, 마이크로컴퓨터(22)는 도3에서 보는 바와같이 감지된 볼륨데이터값에 따라 저역이득을 차등제어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22)는 감지된 볼륨데이터의 값이 0~70데시벨일때 저역이득이 6데시벨 되도록 제어하고, 감지된 볼륨데이터의 값이 70~76데시벨일때 저역이득을 6데시벨에서 4데시벨까지 감쇄되도록 제어하며, 또한 감지된 볼륨데이터의 값이 76~82데시벨일때 저역이득을 4데시벨에서 2데시벨까지 감쇄되도록 제어하고, 감지된 볼륨데이터의 값이 82~88데시벨일때 저역이득을 2데시벨에서 0데시벨까지 감쇄되도록 제어하며, 감지된 볼륨데이터의 값이 88~99데시벨일때 저역이득이 0데시벨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에따라, 저음보강조정앰프(20)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2)로부터 저음보강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라 입력신호의 저음에 대한 게인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이후, 메인앰프(21)는 상기 저음보강조정앰프(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그 증폭신호(OUT)를 출력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22)가 볼륨데이터의 값을 입력받아 그에 해당되는 저음보강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자동적으로 저음에 대한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음의 찌그러짐을 개선하여 부드럽고 강력한 음질을 발생한다.
도4는 볼륨데이터의 변화에 따른 바스(BASS)값에 대한 데이터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제품에서 대츨력일때 저음보강기능을 동작시킴으로써 스피커가 그 음압을 받아들이지 못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음의 찌그러짐을 개선하여 부드럽고 강력한 음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볼륨데이터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되는 저음보강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저음보강제어신호에 의해 입력신호의 저음에 대한 게인을 조정하는 저음보강조정앰프와; 상기 저음보강조정앰프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메인앰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는 감지된 볼륨데이터값에 따라 저역이득을 차등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
KR1019970059156A 1997-11-11 1997-11-11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 KR19990039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156A KR19990039168A (ko) 1997-11-11 1997-11-11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156A KR19990039168A (ko) 1997-11-11 1997-11-11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168A true KR19990039168A (ko) 1999-06-05

Family

ID=6608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156A KR19990039168A (ko) 1997-11-11 1997-11-11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91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067A (ko) * 2002-05-10 2002-06-21 장영복 차량용 앰프
KR100835637B1 (ko) * 2004-03-19 2008-06-0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음성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067A (ko) * 2002-05-10 2002-06-21 장영복 차량용 앰프
KR100835637B1 (ko) * 2004-03-19 2008-06-0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음성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68402A1 (en) Digital audio processor
KR19990039168A (ko) 저음보강 자동조정장치
KR20050089187A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스피커 특성 보상장치 및 방법
JPH06121393A (ja) 拡声方法および拡声装置
JPS5975744A (ja) 音声スイッチ
KR100269711B1 (ko)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 개선 장치
JPH0754998B2 (ja) 自動音場補正装置
KR100543623B1 (ko) 자동 볼륨조정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960016673B1 (ko) 노래반주기기의 마이크 합성장치
KR0136701B1 (ko) 오디오 시스템의 초기 증폭 레벨 조정 방법
JP2002171177A (ja) 中間周波数がゼロである構造の送信機で、htb技術によるパワー増幅器を使用可能にする制御方法および回路
JPH10284964A (ja) 音量調節装置
JP3364010B2 (ja) オーディオ装置
KR100324747B1 (ko) 음성 잡음신호 제거회로
KR20040046369A (ko) 차량용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
KR10057579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앰프의 이득 제어 장치와방법
KR19990041228A (ko) 이퀄라이즈 기능을 구비한 오디오 기기의 자동 음량조정장치
JP2001060836A (ja) マイク装置
JPH09312538A (ja) 音量調整装置
KR19990002202A (ko) 자동음량 조절장치
JP2000137489A (ja) 車載用音響装置
KR19980065016U (ko) 하울링 방지회로
JP2001189988A (ja) マイクロホン装置及びそのマイクロホン装置を有する無線装置
KR970024524A (ko) 카오디오의 전자볼륨 미세조정장치
KR20000001524U (ko) 마이크로폰의 하울링 감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