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234B1 - 해제 가능한 벨트리드 댐핑을 구비한 벨트텐셔너 - Google Patents

해제 가능한 벨트리드 댐핑을 구비한 벨트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234B1
KR960015234B1 KR1019880006503A KR880006503A KR960015234B1 KR 960015234 B1 KR960015234 B1 KR 960015234B1 KR 1019880006503 A KR1019880006503 A KR 1019880006503A KR 880006503 A KR880006503 A KR 880006503A KR 960015234 B1 KR960015234 B1 KR 960015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aring
pivot
pulley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107A (ko
Inventor
에스 코모로우스키 자식크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커크 비트잭
리튼스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730143 온타리오 인코포레이티드
데이비드 고우드비
730144 온타리오 인코포레이티드
스코트 본드
테스마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2230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1523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커크 비트잭, 리튼스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730143 온타리오 인코포레이티드, 데이비드 고우드비, 730144 온타리오 인코포레이티드, 스코트 본드, 테스마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클라우스 커크 비트잭
Publication of KR89000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1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ry fric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06Endless member is a be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Torsio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2007/08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having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nsioner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해제 가능한 벨트리드 댐핑을 구비한 벨트텐셔너
제 1 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하는 벨트텐셔너를 포함한 S자형 벨트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 내연기관의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2-2선을 따라 취한 확대 부분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3-3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4-4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벨트텐셔너를 포함한 타이밍 벨트어셈블리를 내장하고 있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일부를 보인 부분정면도,
제 6 도는 제 2-4 도에서 보인 벨트텐셔너의 측면도로서, 변형된 댐핑토크저항 해제 메카니즘의 형태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절취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내연기관 12 : 기관프레임
14 : 출력샤프트 16 : 구동풀리
18 : S자형 벨트시스템 20 : 무한벨트
42 : 벨트텐셔너 44 : 브래킷
46 : 고정구조체 60 : 슬리브베어링
68 : 선회구조체 70 : 환상부재
72 : 스탭 74 : 록킹너트
80 : 선회축 82 : 원통형리세스
84 : 볼베어링 어셈블리 88 : 벨트인장풀리
90 : 회동축 100 : 장력코일스프링
110 : 타이밍벨트
본 발명은 벨트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내연기관의 S자형 벨트시스템과 타이밍 벨트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타입의 벨트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벨트텐셔너는 고정구조체,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운동을 하기 위해 선회베어링에 의해 고정구조체에 장착된 선회구조체, 그리고 선회축과 평행한 회전축으로 회전운동하기 위해 회전베어링에 의해 선회구조체에 장착된 벨트인장풀리로 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은 선회구조체로 하여금 제 1 제한 위치로부터 선회하도록 탄성적 바이어싱(biasing)을 하는데 필요한 것이며, 여기서 제 1 제한 위치란 벨트가 맞물려 장력을 받는 동안을 뜻하는 제 2 위치로 움직이려는 느슨해진 벨트를 뜻한다. 비틀림 스프링은 벨트가 장력을 받았을때 벨트부하토크와 그 값이 같고 방향이 서로 반대인 토크를 선회구조체에 공급한다. 선회구조체가 제 1 위치에 제 2 위치로 움직일때 상기 스프링토크는 감소하고 부하토크도 감소한다. 공급받은 운동범위에 대하여 벨트부하토크가 감소될 동안 벨트부하력 즉 벨트텐션은 공급받은 전운동범위를 통해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리의 위치는 정적벨트부하력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선회구조체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옮겨감에 따라 벨트부하력이 작용하는 레버암(lever arm)이 감소하도록 하는 벨트에 의해 정해진다. 이런식으로 벨트텐셔너가 벨트마모와 벨트신장을 수용할 수 있는 운동범위 전체를 통해서 일정한 정적벨트텐션을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벨트가 움직일때 인장풀리에 작용하는 동적벨트부하력이 정적부하력에서 벗어나 결과적으로 스프링토크에 의해 이루어지고 유지되었던 평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이 탄성적 움직임이 제어없이 발생하도록 놓아둔다면 풀리의 공진 진동움직임(resonant vibratory movement)으로 위험한 결과가 뒤따를수 있다. 이런 제어는 구조물의 선회운동에 충분한 저항을 제공하는 별개의 메카니즘을 제공하므로써 탄성적 움직임이 감쇠되고 공진진동 움직임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상용자동차 응용에 널리 사용되온 별개의 댐핑메카니즘을 실시한 텐셔너가 미국 특허 제 4,473,362 호에 공고되어 있다. 필요한 저항을 선회동작에 공급하는 댐핑 메카니즘은 댐핑저항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미끄럼표면 마찰을 이용하는 원리에서 나온 것이다. 저항의 크기는 미끄럼 마찰을 공급하는 표면간 압력을 만들어내는 다수의 힘, 표면의 마찰계수 및 선회축에서 마찰표면까지의 반경거리의 함수이다. 스프링에 의해 공급된 토크는 선회구조체의 위치가 제 2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감소하므로 최적댐핑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댐핑토크저항을 마찬가지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된다. 상기 특허에서 공개된 것과 같이 비례적인 합성댐핑은 미끄럼 표면을 통하여 스프링힘의 성분을 가하는 스프링 서포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표면간압력을 스프링 압력에 따라서 그리고 마찰계수와 레버암이 한편으로는 일정하기 때문에 댐핑토크저항이 스프링 압력토크에 비례함에 따라서 변한다. 미국특허 제 4,473,363 호에 보인 원리에 따라 비례댐핑은 독특한 잇점으로써 풀리의 동작위치가 제 2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서 행업(hang-ups)의 발생없이 풀리의 전 동작범위를 통해서 댐핑이 최대화 될 수 있었다.
격러된 비례댐핑의 단점은 선회운동 혹은 댐핑토크에 저항이 근본적으로는 선회운동 양방향에서 같은 크기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스프링토오크의 결과로서 제 2 위치방향으로의 선회운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항 혹은 댐핑토크는 행업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기상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마찰계수 증가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범위까지 스프링토크 이하의 값으로 제한되어야만 했었다. 결과적으로 풀리운동이 적절히 제어된다 하더라도 상당량의 풀리운동이 동작중에 발생했다. 이러한 운동동안 발생했던 미끄럼마찰 또한 마모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동작운동양이 제한될 수 있었다면 사용시간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
출원인이 이전에 등록한 출원내용에서는 댐핑배열(도켈번호 20)로 동작운동을 줄이려는 노력을 했었다.
이 결과를 얻기 위해 상기 출원에 포함된 원리는 다른 방향보다는 한방향으로 운동이 가해진 좀더 큰 그립핑작용 또는 압력이 존재하는 방법으로 표면마찰 댐핑포면간 압력을 적용시키는 것이다. 특히 상기 원리실시를 위한 메카니즘을 밴드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로서 운동발생시 비례댐핑을 사용할 수 있도록 비틀림 스프링과 연속해서 밴드브레이크를 장착시키는 것이다. 제 2 실시예로서 동적하중 상태하에서 그립핑작용을 방출하는데 쓰이는 벨트운동 및 기관동작에 부수되는 동적진동을 허용했던 별개의 스프링과 인접하여 밴드브레이크를 장착시킨다. 공지의 모든 벨트텐셔너에서는 인장풀리에 부가된 벨트부하력을 저지하기 위해 선회베어링을 통하여 가하여지는 반동력으로 선회운동에 어떤 저항이 확립된다는 것이 인정되 왔다. 그러나 종래에는 베어링의 긴수명을 보장하고 마모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반마찰재를 사용하고 선회 베어링의 직경크기를 작게하려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댐핑을 이루는데 요구되는 저항의 양과 비교해서 공급된 저항은 매우 작았다.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우세한 댐핑저항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별도의 메카니즘을 제공할 필요때문에 필요이상으로 비용이 들고 복잡하였다.
별도의 댐핑메카니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한 복잡성과 비용을 제거함과 동시에 벨트브레이크형 텐셔너의 모든 장점을 획득한 벨트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입각하여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벨트텐셔너로 달성되고, 벨트텐셔너는 느슨하게 감겨있는 벨트와 풀리가 횡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고정구조체에 관한 선회구조체의 선회운동들을 정하고 서로서로에 관계하여 미끄럽도록 하기 위해서 풀리의 회동축과 평행한 고정선회축에 대해 활형으로 상호 맞물린 표면을 제공한다.
스프링토크에 의한 제 2 위치방향으로 선회구조체에 스프링은 탄성적으로 바이어스하고 상기 스프링토크는 상기와 같은 탄성적 바이어스에 대항하여서 선회구조체의 위치가 제 1 위치로 풀리에 접근함에 따라 변한다. 이러한 결과로 수동조작후 탄성적 바이어스로 인해 풀리가 중간조작 정적 평형위치로 움직이고 그 위치에서 스프링토크는 벨트부하토크와 그 값이 같고 방향이 반대가 되며 벨트부하력이 작용하는 선회축으로 레버암을 변화시키고 풀리에 작용하는 벨트부하력을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유발된 벨트신장에 의한 제 2 위치로 중간조작위치가 접근함에 따라서 벨트부하토크는 스프링토크 변화와 함께 변한다.
스프링은 선회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스프링토크 총합이 평형을 이루도록 선회구조체를 기준으로 하여 장착된다. 더구나 선회축과 회동축의 위치는 텐셔너가 동작중에 있을 때 풀리와 벨트의 맞물림위치에 상당히 관계되므로 선회구조체에 전달된 벨트부하력은 고정구조체내에서 창출된 반발력 즉 서로 상호 맞물림 표면을 압착함으로서 저지되고, 따라서 댐핑토크 저항을 확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댐핑토크 저항은 활형으로 상호 맞물린 표면과 선회축과의 고정된 거리와, 상기 표면을 구성하는 물질의 마찰계수 그리고 벨트부하의 크기와 반발력들의 함수이다.
마지막으로 상호 맞물린 표면을 구성하는 물질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설계상의 정마찰계수를 갖는다. 즉 (1) 다수의 벨트부하력이 동적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벨트부하토크에 의한 제 1 위치로의 방향 (2)벨트부하력이 동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스프링토크에 의한 제 2 위치로의 방향으로 선회구조체의 선회운동들을 서로서로에 대하여 표면이 움직이지 않고 남아있는 시간만큼 하지 못하게 하는 사항 그리고 반발력은 일정한 벨트부하력의 백분률을 미리 결정한 크기 이상이도록 하는 사항으로써 배열은 이를테면 동적 벨트부력력들과 무관한 진동력들이 순간적으로 댐핑토크 저항을 방출하도록 하며 그 방법으로써 정적 상태에서 동적상태까지 마찰계수 함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표면을 연화시키며 혹은 반발력이나 그 양쪽 모두를 감소시켜 순간적 선회동작(그렇지 않다면 금지되어야 함)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오히려 댐핑토크 저항을 방출하는 독립된 진동력들이 자동차 내연기관에 의해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에 입각한 새로운 조합으로써 내연기관의 동작으로 인한 진동력을 받는 기관프레임을 포함한 내연기관, 기관프레임에 관하여 고정된 평행축 주위로 회동운동을 하기 위하여 장착된 다수의 샤프트, 다수의 샤프트에 고정된 다수의 풀리, 다수의 샤프트증 하나는 내연기관의 출력샤프트, 다수의 풀리위에 느슨하게 감겨질 수 있는 크기의 무한 플렉서블벨트 그리고 벨트텐서너로 구성된다. 벨트텐서너는 기관프레임에 대해서 고정된 고정구초체, 선회구조체 그리고 회동축으로 대해서 고정된 고정구조체, 선회구조체 그리고 회동축으로 회동운동을 하기 위한 선회구조체에 장착되는 벨트인장풀리를 포함한다.
고정선회축으로 선회운동을 하기 위하여 선회구조체가 고정구조체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선회축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간 회동축과 평행하다. 스프링토크에 의한 제 2 위치 방향으로 선회구조체에 스프링은 탄성적으로 바이어스하고, 상기 스프링토크는 선회구조체의 위치가 제 2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변한다. 이러한 결과로 벨트인장풀리는 벨트와 인장으로 맞물려 중간조작정적 평형위치로 바이어스되며, 여기서 스프링토크는 벨트부하토크와 그 값이 같고 방향이 반대가 되며 벨트부하력이 작용하는 선회축으로 레버암을 변화시키고 풀리에 작용하는 벨트부하력을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유발된 벨트신장에 의한 제 2 위치로 중간조작위치가 접근함에 따라서 벨트부하토크는 스프링토크 변화와 함께 변한다. 선회구조체의 선회운동은 동적 벨트부하력에 의해 제동되고, 상기 동적 벨트부하력은 대체로 일정한 벨트부하력에서 변화되어 나온 것이며, 이때에는 선회구조체의 선회운동을 제한하는데 충분한 댐핑토크 저항을 확립시켜주는 미끄럼 마찰표면에 의해 벨트가 움직이고 이 이유는 여러 변화에 대한 어떤 범위이내에서 벨트부하력내의 동적 변화들에 반응한 운동들이 금지되도록 하는 범위로 선회축으로부터 미끄럼 마찰표면의 상호 맞물림 위치와 미끄럼 마찰표면의 상호 맞물림의 압력 때문이다.
기관프레임이 순간적으로 댐핑토크 저항을 방출하기 쉬운 진동력에 응하여 배열이 실시가능하며 그 수준은 변화의 범위이내에 있는 미끄럼 마찰표면에 의해서 동적변화가 아니면 금지될 벨트부하력내의 동적변화에 응하여 순간적 선회운동을 허락하는 수준까지 가능하다.
선회베어링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생기는 이점은 벨트텐셔너가 쉽게 축상 평형을 이룰 수 있도륵 회동베어링을 감싸는데 충분히 크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축상 평형을 이루는 배열은 공지의 사실이며 미국특허 번호 4,077,272와 4,551,120 그리고 4,634,407에 실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기술에서는 회동베어링이 선회베어링보다 큰 크기의 것이다.
전통적으로 회동베어링은 크기가 커짐에 따라 실제로 비용이 들어가는 볼베어링 어셈블리이다. 그러한 반면 전통적으로 선회베어링은 볼베어링 어셈블리처럼 같은 정도로 크기가 커질때 비용이 증가하지 않는 슬리브 베어링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에 입각하여 고정선회축에 대해 활형의 고정선회 베어링 표면을 정하는 고정선회 베어링부를 포함한 고정구조체를 내장한 벨트텐셔너가 제공된다. 고정선회 베어링부는 한개의 축방향의 외팔보형태로 뻗어있다. 선회구조체는 가동선회 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있고, 가동선회 베어링부는 고정선회 베어링 표면에 관하여 축상 반대로 겹쳐 배치되 있는 가동선회 베어링 표면과 선회축에 평행한 회동축을 정하는 선회환상 베어링부로 구성되어 있다. 풀리는 방사상으로 확장된 벽을 포함하고, 환상의 벨트는 회동축중심과 같은 중심의 벽과 맞물려 있고, 외팔보 형태이면서 일축방향과 반대인 축방향으로 방사상 확장된 벽 외부로부터 축상 확장되었다. 그리고 회동축과 동심인 회동환상 베어링부는 방사상으로 확장된 벽의 내부로부터 축상으로 확장되 있으며, 이 형태는 축방향과 반대인 외팔보 형태이며 선회환상 베어링부에 대해 축상에서 반대로 겹친관계를 하고 있다. 환상베어링부 사이의 회동베어링은 회동축으로 회동운동을 하기 위한 선회구조체에 풀리는 장착한다. 고정선회 베어링 표면과 가동선회 베어링 표면 사이의 선회베어링에 선회구조체를 장착하여 선회구조체는 느슨하게 감겨있는 벨트와 횡으로 배열될 수 있는 풀리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고정선회축으로 선회운동하기 위한 고정구조체 위에 있다.
선회베어링 고정 및 가동의 선회베어링 표면과 맞물려 있는 외부베어링 표면과 내부베어링 표면을 갖고있으며, 상기 두 표면은 회동베어링과 환상베어링부를 둘러싸고 있는 환상평면내에 위치해 있다. 벨트맞물림 환상벽은 선회베어링과 회동베어링에 대하여 축상중첩되어 감싸는 관계를 갖고 확장되어 있어 상기 폴리에 작용하는 벨트부하력이 상기 회동베어링 수단을 통해 상기 선회구조체에 전달되도록 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축상균형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선회베어링 수단에 전달된 상기 고정구조체내의 크기는 같고 상반된 반발력으로 대립된 상기 선회구조체의 벨트부하력을 확립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조상 간단하고 동작상 효과적이고 제조상 경제적인 상기 기술된 형태의 벨트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목적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청구범위를 다루는 과정에서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또한 실시예와 도면을 보면 본 발명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관프레임(12)와 출력샤프트(14)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 내연기관(10)이 제 1 도에 보여져 있다. S자형 벨트시스템(18)을 이루는 구동풀리(16)이 출력샤프트(14)에 고정되었다. 벨트시스템(18)은 무한벨트(20)을 포함하고 있으며, 벨트(20)는 얇은 플렉서블형의 이를테면 풀리-V 벨트같은 형의 것이다. 벨트(20)는 구동풀리(16)에 감겨 있으며, 샤프트(32),(34),(36),(38),(40)의 각각에 고정되 있는 풀리(22),(24),(26),(28),(30)에도 감겨있다. 상기 샤프트들은 여러기관 부수품을 동작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예를들면, 샤프트(32)는 파워스티어링장치, 샤프트(34)는 기관물펌프, 샤프트(36)은 기관의 오염방지 시스템형 공기펌프,샤프트(38)는 기관의 교류발전기, 샤프트(40)은 기관(10)을 이용하는 자동차용 에어콘시스템의 압축기 등을 동작하도록 연결한다. 내연기관(10)은 공지의 구조를 하고 있음은 명백하다. 종래의 관습대로 기관의 동작은 이를테면 진동력을 기관프레임(12)에 분배하도록 한다. 모든 부속품들을 기관프레임(12)에 장착하여 샤프트가 기관프레임(12)에 고정된 평행한 축으로 회동토록 하고 출력샤프트(14)와 나란히 있도록 한다. 벨트(20)은 본 발명의 원리의 실시예인 벨트텐서너(42)에 의해 장력을 받는다. 벨트텐서너(42)는 또한 기관프레임(12)에 장착된다. 기관프레임이 아닌 자동차 프레임으로부터 내연기관동작의 생긴 진동력을 분리시키기위한 적절한 쇽(shook) 흡수장치를 하여 자동차의 샤시에 기관프레임(12)을 장착시킴이 명백하다. 더 충분히 설명되겠지만 기관프레임(12)이 받기쉬운 내연기관(10)의 동작으로 인해 생긴 진동력은 고정장치를 통해 벨트텐셔너(42)에 전달된다.
도면에 보인 바와같이 상기 고정장치는 기관프레임(12) 한쪽끝에 고정된 브레킷(44)과 같은 형태의 것이다. 그리고 기관프레임(12)의 다른 한쪽끝은 고정구조체(46)에 연결되고 고정장치는 벨트텐서너(42)의 일부를 이룬다. 제 2 도에 명백히 보인 바와 같이 고중구조체(46)은 원통형벽부(48)을 포함하고 있는 환상부재의 형태이며, 그리고 한쪽끝이 외부를 향하여 방사적으로 확장되 있는 반경방향벽부(50)과 종단벽부(52)를 포함하며, 종단벽부(52)는 중심부에 함몰이 있으며 그 반대끝에서 내부를 행해 방사적으로 확장되 있는 구멍이 뚫려 있다. 반경방향벽부(50)의 외부경계로부터 외팔보형태로 외부를 향하여 축과 일치하여 확장한 것이 통상 원통형 구조인 환상베어링벽부(54)이다. 베어링부(54)가 포함하고 있는 것은 슬리브베어링(60)의 외부주위 베어링 표면(58)과 맞물려 배치되 있는 내측원통형 베어링 표면(56)이다.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슬리브베어링(60)은 고정구조체(46)의 반경방향벽부(50)의 표면과 이웃하여 맞물려 있는 후미의 내측반경 방향으로 신장하는 플랜지(62)를 포함한다. 슬리브베어링(60)은 또한 선회구조체(68)의 외부원통형 베어링 표면(66)과 맞물려 있는 내측주위 베어링 표면(64)를 포함한다. 상기 출원에 포함된 사실에 입각해서 슬리브베어링(60)은 그 표면에 릴리브될 수 있게 할 수 있음이 자명하며, 상기 사실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었다. 더군다나 표면(66)과 (64)는 미끄럽고 표면(56)과 (58)은 고정된다고 제안되었지만 상기 관계는 역으로 될 수 있고 혹은 양쪽모두 미끄럽게 만들어질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것은 자명하다. 선회구조체(68)은 통상 스템(72)의 한쪽끝으로부터 후방으로 확장됨 스템(72)을 갖고 있는 환상부재(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템(72)의 끝은 직경을 줄이고 록킹너트(74)을 맞추기 위해 나사에 홈을 낸다.
록킹너트(74)의 역할은 강한 와셔(74)와 맞물리도록 하여 연이어 탄성적 물론 즉 지텔(zytel) 혹은 이런류의 물질로된 환상와셔(38)과 맞물리도록 한다. 환상와셔(78)은 전진방향으로 고정구조체(46)와 선회구조체를 축상 정열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쓰이며 여기서 슬리브베어링(60)의 플랜지(62)는 반대방향으로 축상정열을 유지한다. 선회구조체(68)의 외부원통형 베어링 표면(66)과 슬리브베어링(60)의 내측주위 베어링 표면(68)이 미끄러운 선회운동을 하기 때문에 선회구조체(68)은 고정구조체(46)에 대하여 스템(72)축에 대응하는 선회축(80)(제 2 도의 가상선)으로 선회토록 한다. 볼베어링 어셈블리(84)가 장착되어 있는 원통형리세스(82)는 선회축(80)에 대하여 방사상 보상관계에 있는 선회구조체(68) 전단부에 형성된다. 볼베어링 어셈블리(84)의 역할은 선회축(80)과 평행한 회동축(90)(제 2 도의 가상선)으로 회동운동을 하기 위해서 벨트인장풀리(88)의 계단상허브부(86)를 회동적으로 장착시키는 것이다.
제 2 도에서 풀리(88)은 또한 동심의 원형벽(92)를 포함하고, 허브부(86)에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확장되어 있고 고정구조체(46)의 외부베어링부(54)와 선회구조체(68)의 전단끝에 앞쪽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있다. 풀리(88)의 원형방사벽(92)의 바깥경계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축상 우방으로 확장한 것이 환상벽 혹은 림부(94)이고 이것의 역할은 S자형 벨트시스템(18)의 벨트(20)와 맞물리도록 한다. 유념할 사항은 풀리(88)의 림부(94)는 고정구조체(46)과 슬리브베어링(60)에 관하여 축상중첩되어 있고 환상으로 감싸쥔 관계에 있다는 것이며, 연이어서 볼베어링 어셈블리(84)와 이것에 의해 정해진 회동축(80)에 관하여 축상 중첩되 있고 환상으로 감싸쥔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제 2 도와 제 4 도에 보인것처럼, 선회구조체(68)는 그 뒷쪽부분 위에 활형의 슬롯으로 형성되고 고정구조체(46)의 반경방향벽부(50)와 장착용 브래킷(44)에 적절히 고정된 스탑핀(98)을 확장시킨 것이 선회구조체 뒤쪽에 있다. 슬롯(96)내에 핀(98)을 맞물린 것은 근사적으로 70°정도의 활형인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고정구조체에 대하여 선회구조체(68)의 선회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관습에 따라서 선회구조체(68)은 제 2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비틀림 코일스프링(100)에 의해 탄성적으로 바이어스 된다. 제 2 도에서 선회부재(70)의 후측표면은 위쪽으로 구부러진 장력스프링(100) 한쪽끝(102)을 연결하기 위해 함몰되어 있으며, 함몰과 교통하는 방사슬롯이내에 맞물려 있다. 장력스프링의 반대쪽끝은 위로 구부러져 원통형 벽부(48)의 후측끝(104)에 형성된 개구내에 맞물려 있다. 고정구조체와 선회구조체 사이에 장력스프링(100)을 연결함으로써 스프링은 선회구조체가 제 2 위치로 옮겨갈때 선회구조체에 스프링힘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한다. 이 스프링힘은 고정레버암을 통해 연속적으로 선회구조체에 적용됨으로써 선회구조체가 제2 위치로 옮겨감에 따라 마찬가지로 감소하는 스프링 토크가 발생한다. 유념할 사항은 코일스프링(100)의 구부러진 끝(102)와 (104)이 단지 고정구소체와 선회구조체에만 접촉하므로 스프링의 방사상힘들이 선회구조체(68)에 대하여 균형을 이룬다. 선회구조체(68)의 전단부는 사각홈(106)으로 되어 있고 풀리(88)의 원형벽(92)는 유사한 모양의 기구(108)로 형성되 있으며, 108의 위치는 홈(106)과 대항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홈(106)은 조작자가 S자형 벨트시스템(18)의 조작적 맞물림으로 벨트텐셔너를 위치시킬 수 있는 가설도구(도면에 없음)를 둘수 있는 곳이다. 시스템(18)의 벨트(26)는 풀리(16),(22),(24),(26),(28),(30)에 느슨하게 감겨있는 크기의 것을 유념해야 한다. 장착용 브레킷(44)가 기관프레임(12)에 설치되어 고정된 후에 가설도구 사각홈(106)에 맞물리고, 그때 선회구조체(68)은 수동으로 선회축(80)을 중심으로 움직여지며, 그 방향은 느슨하게 감겨있는 벨트(20)이 풀리(88)의 림부(94)와 축상 정열될 수 있는 제 1 위치방향이다. 수동으로 가설도구를 제거한 후에는 장력스프링(100)의 장착때문에 선회구조체(68)에 작용하는 스프링토크로 인해서 선회구조체가 제 1 위치에서 벨트(20)과 장력으로 맞물리는 제 2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도구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적당한 장력을 벨트에 줄 수 있으며 연이어 스프링부하토크와 그 값이 같고 방향이 반대인 벨트부하토크를 선회구조체(68)에 가하게 된다. 벨드부하토크는 풀리(88)에 작용하는 벨트부하 장력에 해당하는 벨트부하력에 의해 회동축(90)을 향한 방향으로 만들어지고, 회동축(90)은 풀리림(94)를 기준으로 해서 벨트(20)이 감고 있는 각도를 2등분하는 축이다. 종래와 같이 감싼각의 위치는 풀리가 제 2 위치로 옮겨갈때 벨트텐셔너의 선회축(80)으로 레버암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하는 위치이다. 결과적으로, 대체적으로 일정한 벨트의 장력에 상응하는 벨트부하력을 대체로 일정히 유지하면서, 벨트부하력이 작용하는 레버암을 감소시킴으로 인하여 선회구조체가 제 2 위치를 옮겨갈때 스프링토크에 따라서 벨트부하토크가 감소하도록 만들어진다. 초기에 벨트부하토크가 스프링토크와 같도록 만들어지는 벨트텐셔너의 위치는 풀리(88)과 벨트텐셔너(42)가 동작하는 정적평형 동작위치를 구성한다.
더군다나 볼베어링(84)를 통하여 상기방향으로 선회구조체(68)에 작용하는 벨트부하력은 선회구조체의 선회측에 토크를 발생시킬뿐 아니라 선회구조체(66)의 외부원통형 베어링 표면(66)을 슬리브베어링(60)의 베어링 표면(64)와 맞물리게 하려는 선형힘을 구성함을 유념한다. 벨트부하력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반발력을 확립함으로써 고정구조체(46)에 의해 베어링 구조체에 적용된 상기 힘이 저지된다. 상기 두 힘은 베어링 표면(66)과 (64)가 이웃해 있는 부분을 서로 맞물리도록 압착시킨다. 이러한 상호 맞물림 때문에 고정구조쳬(46)에 대한 선회구초체(68)의 선회운동에 댐핑토크저항을 확립하게 되고, 상기 대핑토크저항은 다수의 힘의 크기, 선회축(80)에서부터 표면(64)과 (66)의 방사상거리 그리고 표면(64)과 (66)을 구성하는 물질에 대한 마찰계수의 함수이다.
볼베어링 어셈블리(84)를 둘러쌀 크기로 슬리브베어링(60)의 최소크기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는 축상정열된 위치로 풀리(88)에서 선회구조체(68)로 그리고 그때 슬리브베어링(60)으로 벨트부하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것이며 이러한 수단으로 슬리브베어링에 축상 혹은 균등하게 베어링이 고르게 마모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어떤 특별한 설치에 대해서 베어링의 방사상크기가 고정되고, 요망된 일정한 정적 벨트부하가 고정되기 때문에 댐핑의 범위를 변경시키기 위해 요망된 마찰계수를 갖는 물질을 선택할 수 있다. 기관의 동작으로 인해 벨트가 일단 운동상태에 들어가면 여러 풀리의 부하특성과 이것에 의해 구동되는 부속품들에 의해 벨트텐션내에 동적변화를 일으키고 풀리(88)에 기하여진 벨트부하력의 동적변화로 나타난다. 일정한 밸트부하력에서 벨트부하력이 증가하게 되면 결국 선회구조체(68)가 스프링(100)의 바이어스와 반대로 제 1 위치로 움직이게 될 것이다. 벨트부하력이 감소하면 결국 선회구조체가 제 2 위치 방향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스프링힘을 낳는다. 상기 댐핑토크저항이 그와 같은 운동을 못하도록 충분히 높게 선택되지 않는다면 상기와같은 운동이 발생될 것이다. 시스템동작 전체를 통해서 이런류의 운동을 하도록 하는 마찰계수를 갖는 물질을 선택하는 것은 본 발명의 계획중의 일이다. 유념할 사항은 댐핑토크저항이 벨트부하에 비례하도록 배열을 하며 그러므로써 댐핑토크저항은 부하력이 일정한 정적벨트부하력 이상으로 증가됨에 따라서 증가될 것이다.
반면 일정한 정적 벨트부하력 이하로 벨트부하가 감소함에 따라 댐핑토크 저항이 감소할때, 스프링토크는 그만큼의 정도로 감소하지는 않을 것이며, 따라서 벨트를 탄탄하게 하려는 방향으로 감소된 토크저항을 보장받는다.
벨트부하력이 변하는 범위이내에서 운동을 못하도록 충분히 높은 일정마찰계수를 갖는 물질을 선택하는것도 본 발명의 계획하에 있다. 예를들면 제 1 도에 보인 S자형 시스템(18)에서 최적범위는 일정 정적벨트부하력의 -50% 이상인 범위이다.
상기 마찰계수를 갖고 있을만한 최적의 물질은 슬리브베어링(60)에 대해선 지텔이며 선회구조체(68)에 대해선 마일드 스틸(mild stool)이다. 상기 물질로서 표면(64)과 (66)이 움직이지 않고 있을 동안 그리고 반발력이 벨트부하력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상태에 있을 동안 적어도 일정 벨트부하력의 50%를 감축할 벨트부하력내의 어떠한 동적변화도 선회구조체(68)를 움직일 영향을 보이지 못하게 된다.
상기에 지적한 바와 같이 내연기관(10)의 동작은 이를테면 진동력을 기관프레임(12)에 분배하도록 하는것이다. 브래킷(44)는 기관프레임(12)와 벨트텐셔너(42)의 고정구조체(46)에 고정되 있기 때문에 이들 진동력은 직접 벨트텐셔너의 고정구조체에 전달된다. 선회구조체(68)와 풀리(88)이 고정구조체(46)에 대해 움직이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고정구조체에 작용하는 진동력은 벨트부하력에 관하여 반발력 크기를 동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진동력이 반발력을 감소시켜 표면(64)과 (66)간 압력이 경감될때 보존되었던 벨트부하력이 운동에 충분한 영향을 미치게되고 그렇지 않다면 영향을 못미치게 되었을 것이다. 물론 벨트부하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력의 성분은 단지 반발력에 상대적 영향만을 미치게 될 것이다.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력성분은 축의 작은 운동을 확립함으로써 두표면(64)과 (66)간 부동성을 줄 효과를 미칠 수 있다. 일단 표면(64)과 (66)이 운동상태로 들어가면 그때 댐핑토크저항은 정적 마찰계수보단 오히려 동마찰계수의 함수가 된다. 마른 표면의 동적 마찰계수는 정적 마찰계수보다 횔씬 적다는 것은 잘 알려진 공지의 사실이다.
정적 마찰계수보다 오히려 동적 마찰계수가 작용하기 시작하는 어떤 시간에도 운동을 하도록 허락할 수준으로 댐핑토크저항을 세트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계획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준의 저항은 제안된 수준인 -50%보다 적거나 혹은 큰 것이다. 이러한 배열로 벨트부하력 크기에 대한 반발력 크기내의 상대적 변화는 선회운동이 발생할 수 있는 점에(그런 경우가 아니면 금지되어야 할 사항) 댐핑토크저항을 방출하는 효과 를 위해서 요구된다. 이러한 배열로 진동력이 방출효과를 낼 수 있는 순간순간의 동작중에 발생할 수 있다. 운동을 제한시키는 바람직한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동작중의 운동량은 실제로 감소되어 결국 마모가 줄어들고 따라서 벨트텐셔너 같은 유용성을 배가시켜 준다. 내연기관에 의해 만들어진 진동력은 공지의 요소이며 쉽게 계산될 수 있다. 반발력과 벨트부하력내의 상대변화를 알기 위해서 선회구조체(68)과 풀리(88)의 무게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변경시킬 수 있고 혹은 방출을 얻기 위하여 특정기관의 특정진동력에 조화있게 할 수 있다는 것을 고찰할 수 있다. 예를들면 내연기관(10)이 제너널모터사의 모델 3200 -6인 경우 -50%이상의 방출이 선회구조체와 1파운드의 폴리무게를 이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제 5 도는 내연기관(10)에 대한 타이밍 벨트시스템(110)을 보인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 톱니바퀴를 지닌 풀리(12)는 기관의 출력샤프트(14)에 고정되고 안쪽으로 톱니바퀴를 지닌 벨트(114)는 풀리(112)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기관의 캠샤프트(110)에 감겨있다. 상기와 같이 브래킷(44)의 역할은 장력을 받는 동작관계로서 벨트텐셔너(42)와 벨트(114)를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타이밍벨트시스템(110)의 텐셔너(42)에서 변수는 이를테면 운동에 좀더 큰 저항을 공급하기 위하여 S자형 벨트시스템(18)보다 더 큰 범위이내에서 벨트부하력내의 동적 변화가 존재할때 댐핑토크저항으로 운동을 못하도록 선택된다.
큰저항이 필요한 이유는 가장 심각한 변화인 셋어프(shut-off)로 톱니바퀴가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타이밍벨트(110)에 대한 변위를 정적벨트부하력의 -80%보다 더크다.
벨트텐셔너(42)의 댐핑토크저항 해제는 타이밍 벨트시스템(110)에서 사용될때 S자형 벨트시스템(18)에서 처럼 같은 형태로 해제됨은 자명하며 그 이유는 동작중인 기관(10)의 진동력으로 해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몇몇기관의 진동특성 때문에 선회구조체와 풀리 혹은 양쪽 모두의 불필요한 무게의 증가를 초래할 경우 진동의 부가적 독립원(源)으로 많은 무게를 더함이 없이 해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한 부가적 진동원은 벨트시스템이 전기모타 또는 그외 근본적으로 비진동 원동기에 의해 구동될때 역시 유용하다.
그러한 진동력의 부가적 근원이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진동메카니즘(120)의 형태로 제 6 도에 보여졌다. 도시된 바와같이 진동메카니즘(120)은 스템(72)위에 장착되어 있고 벨트부하력과 반발력이 서로 서로 반대인 위치에서 보상관계로 선회구조체(68)의 부재(70)에 이웃해 있다. 스템(72)의 끝에 메카니즘을 부가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것은 자명하며, 이경우에 상기에 지적한 방식대로 정에서 동으로 마찰계수함수의 변화로 인해 해제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완전히 또 효과적으로 달성됨을 볼 수 있고, 그러나 상기 제안된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기능적으로 구조적으로 일예를 보이기 위해 기술되었던 것으로 상기 원리에서 벗어나지않고 변화를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사항의 범위와 정신내에 포함한 모든 수정을 포함한다.

Claims (39)

  1. 내연기관의 동작으로 인한 진동력을 받는 기관프레임과, 상기 기관프레임에 대해 고정된 평행한 축으로 회동운동을 하기 위하여 장착된 다수의 샤프트와, 다수의 샤프트에 고정된 다수의 풀리와, 내연기관의 출력샤프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샤프트들중 하나와, 다수의 풀리에 느슨하게 감길 수 있는 크기의 무한 플렉서블벨트와, 벨트텐셔너로 이루어지며, 벨트텐서너가 상기 기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구조체, 선회구조체,회동축으로 회동운동을 하기 위한 상기 선회구조체에 장착된 벨트인장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회구조체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상기 회동축에 평행한 고정선회축으로 선회운동올 하기 위한 상기 고정구조체에 장착되며, 스프링토크로써 상기 제 2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선회구조체를 탄성적으로 바이싱하기위한 스프링 수단으로서 상기 스프링토크는 상기 선회구조체 위치가 제 2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변하고, 따라서 상기 벨트인장풀리는 상기 벨트와 장력으로 맞물려 있는 중간조작정적 평형위치로 바이어스되고, 상기위치에서의 스프링토크는 벨트부하토크와 그 값이 같고 방향이 반대가 되며 벨트부하토크는 벨트부하력이 작용하는 상기 선회축으로 레버암을 변화시키고 대체로 일정한 벨트부하력을 유지함으로 인한 벨트신장을 원인으로 중간조작위치가 제2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서 스프링토크내의 변화에 따라 변하고, 벨트가 움직이고 있을때 대체로 일정한 벨트부하력이 변한 동적벨트부하력의 결과로써 상기 선회구조체의 선회운동을 댐핑하는 수단이 있으며, 상기 댐핑수단은 변화의 어떤 범위이내로 벨트부하력의 동적변화에 응한 운동이 금지되도록 하는 정도로 상기 선회축으로부터 미끄럼 마찰표면 수단의 상호 맞물린 위치와 상기 미끄럼 마찰표면 수단의 상호 맞물림 압착으로 인하여 상기 선회구조체의 선회운동올 제한하기에 충분한 댐핑토크저항을 확립하기 위한 상기 미끄럼 마찰표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수단은 변화의 상기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써 상기 미끄럼 마찰표면 수단에 의해 한편으로 금지될 벨트부하력내의 동적 변화에 응답하여 순간적 선회운동을 허락하는 수준까지 상기 기관프레임이 순간적으로 댐핑토크저항을 방출하기 쉬운 진동력에 반응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가능한 벨트리드 댐핑을 구비한 벨트텐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샤프트는 상기 내연기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캠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이것과 측면으로 맞물리는 풀리위에 톱니바퀴를 갖고 있고, 상기 모든 풀리는 벨트톱니와 맞물리는 외부 톱니바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의 범위는 일정 벨트부하력의 -80% 이상의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벨트텐셔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구조체는 상기 고정구조체 위에 선회베어링 수단에 의해 선회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미끄럼 마찰표면 수단은 상기 선회베어링 수단에 제 1베어링 표면과 상기 제 1 베어링 표면에 미끄럽게 맞물려 배치된 상기 구조체중 하나위에 제 2 베어링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베어링 수단은 상기 회동축을 둘러싸고 있는 슬리브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인장풀리는 상기 슬리브 베어링을 환상으로 둘러싸고 축상 중첩하는 외팔보형 벨트 맞물림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인장풀리는 상기 선회구조체에 상기 외팔보형 벨트맞물림벽과 상기 슬리브 베어링에 의해 축상 중첩되고 환상으로 둘러싸여 있는 볼베어링 어셈블리에 의해 회동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샤프트는 기관부속품에 연결된 다수의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얇은 S자형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의 범위는 일정 벨트부하력의 -50% 이상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베어링 수단은 상기 회동축을 둘러싸고 있는 슬리브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인장풀리는 상기 슬리브베어링을 환상으로 둘러싸고 축상 중첩되는 외팔보형 벨트 맞물림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인장풀리는 상기 선회구조체에 상기 외팔보형 벨트맞물림벽과 상기 슬리브베어링에 의해 환상으로 둘러싸여 있고 축상 중첩되어 있는 볼베어링 어셈블리에 의하여 회동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구조체는 상기 고정구조체에 선회베어링 수단에 의해 선회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미끄럼 마찰표면 수단은 상기 선회베어링 수단상의 제 1베어링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어링표면과 미끄러웁게 맞물려 배치되 있는 상기 구조체중 하나에 제 2 베어링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베어링 수단은 상기 회동축을 둘러싸고 있는 슬리브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인장풀리는 상기 슬리브베어링을 환상으로 둘러싸고 축상 중첩되는 외팔보형 벨트 맞물림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인장풀리는 상기 선회구조체에 상기 외팔보형 벨트 맞물림벽과 상기 슬리브베어링에 의해 환상으로 감싸있고 축상 중첩되 있는 볼베어링 어셈블리에 의해 회동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17. 고정구조체와, 선회구조체와, 회동축으로 회동운동을 하기 위하여 상기 선회구조체에 장착된 풀리를 구비하고, 느슨하게 감겨있는 벨트와 풀리가 횡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고정구조체에 관한 상기 선회구조체의 선회운동을 정하고 서로서로 미끄러운 관계에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회동축과 평행한 고정선회축에 대해서 활형의 상기 구조체와 효과적으로 연관되 있는 상호 맞물린 표면을 정하는 수단이 있으며, 스프링토크에 의한 제 2 위치 방향으로 선회구조체에 탄성적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수단으로 상기 스프링토크는 상기와 같은 탄성적 바이어스에 대항하여서 선회구조체의 위치가 제 1 위치로 풀리에 접근함에 따라 변하여 이러한 결과로 수동조작후 탄성적 바이어스로 인해 풀리가 중간조작정적평행위치로 움직이고, 그 위치에서 스프링토크는 벨트부하토크와 그 값이 같고 방향이 반대가 되며 벨트부하력이 작용하는 선회축으로 레버암을 변화시키고 풀리에 작용하는 벨트부하력을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유발된 벨트신장에 의한 제 2 위치로 중간조작위치가 접근함에 따라서 벨트부하토크는 스프링토크변화와 함께 변하고, 상기 스프링수단은 선회축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스프링토크총합이 평형을 이루도록 선회구조체를 기준으로 하여 장착되며, 선회축과 회동축의 위치는 텐셔너가 동작중에 있을때 풀리와 벨트의 맞물림 위치에 상당히 관계되므로 선회구조체에 전달된 벨트부하력은 고정구조체내에서 창출된 반발력 즉 서로 상호 맞물린 표면을 압착함으로써 저지되고, 따라서 댐핑토크저항을 확립하게 되며, 그리고 상기 댐핑토크저항은 활형으로 상호 맞물린 표면과 선회축과 고정된 거리와 상기 표면을 구성하는 물질의 마찰계수 그리고 벨트부하의 크기와 반발력의 함수이고, 상호 맞물린 표면을 구성하는 물질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설계상의 정마찰계수를 갖는 물질로서(1) 다수의 벨트부하력이 동적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벨트부하토크에 의한 제 1 위치로의 방향 (2) 벨트부하력이 동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스프링토크에 의한 제 2 위치로의 방향으로 선회구초체의 선회운동들을 서로서로에 대하여 표면이 움직이지 않고 남아있는 시간만큼 하지 못하게 하는 사항 그리고 반발력은 일정한 벨트부하력의 백분률을 미리 결정한 크기이상이도록 하는 사항으로써 배열은 이를테면 동적벨트부하력들과 무관한 진동력들이 순간적으로 댐핑토크저항을 방출토록 하며 그 방법으로써 정적상태에서 동적상태까지 마찰계수 함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표면을 연화시키며 혹은 반발력이나 그 양쪽 모두를 감소시켜 순간적 선회동작(그렇지 않다면 금지되어야 함)이 발생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가능한 벨트리드댐핑을 구비한 벨트텐셔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초기 설정한 백분율의 크기는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설정한 백분률의 크기는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맞물림 표면을 구성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상호 맞물림 표면중 하나를 구성하는 제 1 환상베어링 표면을 안정하는 슬리브베어링과, 상기 상호 맞물림 표면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제 2 환상베어링 표면을 한정하는 상기 구조체들중 하나에 있는 환상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베어링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베어링은 지텔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상기 선회구조체에 상기 슬리브베어링에 환상으로 둘러싸인 관계와 중첩되어 있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는 회동베어링 수단에 의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상기 슬리브베어링을 환상으로 둘러싸여 있고 축상중첩된 외팔보형 벨트 맞물림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25. 고정구조체와, 선회구조체와, 회동축으로 회동운동을 하기 위하여 상기 선회구조체에 장착된 벨트인장풀리를 구비하고, 느슨하게 감겨있는 벨트와 상기 풀리가 횡적으로 정열될 수 있는 제 1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동축과 평형한 고정선회축으로 선회운동을 하기 위해 상기 선회구조체는 상기 고정구조체에 장착되며,스프링토크에 의한 제 2 위치 방향으로 선회구조체에 스프링수단은 탄성적으로 바이어스하고, 상기 스프링토크는 선회구조체의 위치가 제 1 위치로 풀리의 수동동작을 허락하는 제 2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변하며, 이러한 결과로 수동조작후 탄성적 바이어스로 인해 벨트인장풀리가 중재 동작정 평형위치로 움직이고, 그 위치에서 스프링토크는 벨트부하토크와 그 값이 같고 방향이 반대가 되며 벨트부하력이 작용하는 선회축으로 레버암을 변화시키고 벨트부하력을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유발된 벨트신장에 의한 제 2 위치로 중재동작 위치가 접근함에 따라서 벨트부하토크를 스프링토크 변화와 함께 변하고, 벨트가 움직이고 있을때 대체로 일정한 벨트부하력에서 벗어난 동적벨트부하력의 결과로 상기 선회구조체의 선회운동을 댐핑하는 수단인 상기 댐핑수단은 일정한 벨트부하력의 약 -50%의 벨트부하력내의 동작변화에 응한 운동을 못하도록 하는 정도까지 상기 선회축으로부터 상기 미끄럼 마찰표면 수단의 상호 맞물림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선회구조체의 선회운동을 제한하는데 충분한 댐핑토크저항을 확립하기 위한 미끄럼 마찰표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변화범위 이내에서 상기 미끄럼 마찰표면 수단에 의해 한편으로 금지될 벨트부하력내의 동적변화에 응한 순간적 선회운동을 허락하는 수준까지 댐핑토크저항을 순간적으로 방출키 위한 동적벨트부하력에 무관한 진동력에 반응하여 실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토크저항 방출수단은 상기 선회구조체와 풀리의 무게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를 상기 벨트텐셔너에 의해 장력이 가해진 벨트를 구동시키는 내연기관의 진동력과 상호관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토크저항 방출수단은 상기 선회구조체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진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28. 고정구조체가 고정선회축에 대해 활형으로 고정된 선회베어링 표면을 정하는 고정선회 메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된 선회베어링부는 일축방향으로 외팔보형태를 갖고서 확장되어 있으며, 선회구조체는 상기 고정된 선회베어링 표면에 관하여 축상 반대로 겹쳐있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는 가동선회 베어링 표면과 상기 선회축과 평형한 회동축을 정하는 선회되는 환상베어링부를 갖고 있는 가동선회 베어링부를 포함하고,풀리는 병사상으로 확장하는 벽, 상기 일축방향과 축상 반대방향의 외팔보 형태로 상기 방사적으로 확장된 벽의 외부로부터 축으로 확장되고 상기 회동축과 동심인 환상의 벨트맞물림벽, 상기 일축방향과 축상반대방향의 외팔보 형태로 상기 방사적으로 확장된 벽의 내부로부터 축으로 확장된 상기 회동축과 동심인 회동환상 베어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축으로 회동운동을 하기 위해 상기 선회구조체에 상기 풀리는 장착한 상기 환상베어링부간 회동베어링 수단이 있고, 상기 풀리가 느슨하게 감겨있는 벨트와 횡적으로 정열될 수 있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고정된 선회축으로 선회운동을 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조체에 상기선회구조체를 장착시킨 가동 선회베어링 표면과 상기 고정된 선회베어링 표면 사이의 선회베어링 수단이 있으며, 스프링토크에 의한 제 2 위치 방향으로 선회구조체에 스프링수단은 탄성적으로 바이어스하고, 상기 스프링토크는 상기와 같은 탄성적 바이어스에 대항하여서 선회구조체의 위치가 제 1 위치로 풀리의 수동동작을 허락하는 제 2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변하며, 이러한 결과로 수동조작후 탄성적 바이어스로 인해 풀리가 중간조작정적 평형위치로 움직이고 그 위치에서 스프링토크는 벨트부하토크와 그 값과 같고 방향이 반대가 되며 벨트부하력이 작용하는 선회축으로 레버암을 변화시키고 풀리에 작용하는 벨트부하력을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유발된 벨트신장에 의한 제 2 위치로 중재 동작위치가 접근함에 따라서 벨트부하토크는 스프링토크 변화와 함께 변하며, 상기 고정된 선회베어링 표면과 가동선회 베어링 표면과 맞물린 외부 내부베어링 표면을 갖는 상기 선회베어링 수단, 상기 회동베어링 수단과 상기 환상베어링부를 감싸는 환상평면내에 위치해 있는 외부와 내부베어링 표면을 갖고, 상기 선회베어링 수단과 상기 회동베어링 수단에 관하여 축상중첩적으로 감싸인 관계로 확장된 상기 벨트 맞물림 환상적으로 상기 풀리에 작용하는 벨트부하력이 상기회동베어링 수단을 통해서 상기 선회구조체에 전달되도록 하여 축상 균형을 이룬 형태로 상기 선회베어링수단에 전달된 상기 고정 구조체내에 값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반발력에 의해 반대인 상기 선회구조체의 벨트부하력을 확립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베어링 수단은 볼베어링 어셈블리이며, 상기 선회베어링 수단은 슬리브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베어링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메어링은 지텔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베어링 수단의 상기 외부와 내부 베어링 표면중 하나는 맞물려 있는 베어링 표면에 대해 미끄러운 관계에 있고, 상기 벨트부하력과 반발력은 상기 베어링 표면하나로 압착시키며, 압착된 베어링 표면을 형성하는 물질의 마찰계수와 상기 선회축으로부터 상기 압착된 베어링 표면의 거리의 함수이기도한 댐핑토크저항을 함께 맞물려 있는 표면이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베어링의 상기 외부와 내부 베어링 표면중 하나는 맞물려 있는 베어링표면에 대해 미끄럽고, 상기 벨트부하력과 반발력은 상기 베어링 표면 하나를 압착시키며, 압착된 베어링표면을 헝성하는 물질의 마찰계수와 상기 선회축으로부터 상기 압착된 베어링 표면의 거리의 함수이기도한 댐핑저항을 함께 맞물려 있는 표면이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단은 상기 선회구조체에 대하여 장착되어 스프링토크합을 선회축에 관하여 방사방향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35. 고정구조체가 고정된 선회축으로 고정환상베어링 표면을 활형으로 정하는 고정된 환상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선회구조체가 고정환상베어링 표면에 대하여 축상 반대로 중첩되 있는 관계로 배치되 있는 가동 환상베어링 표면을 갖고 있는 가동선희 베어링부를 포함하며, 회동베어링 수단이 상기 고정선회축과 평행한 회동축으로 회동운동을 하기 위해 상기 선회구조체에 상기 풀리를 장착시키고, 상기 풀리가 느슨하게 감겨있는 벨트와 횡적으로 정열될 수 있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간 상기 고정선회축으로 선회운동을 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조체에 상기 선회구조체를 장착시킨 고정된 환상베어링 표면과 가동환상베어링 표면사이의 환상슬리브 베어링이 있으며, 스프링토크에 의한 제 2 위치 방향으로 선회구조체에 스프링수단은 탄성적으로 바이어스하고, 상기 스프링토크는 상기와 같은 탄성적 바이어스에 대항하여서 선회구조체의 위치가 제 1 위치로 풀리의 수동동작을 허락하는 제 2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변하며, 이러한 결과로 수동조작후 탄성적 바이어스로 인해 풀리가 중간조작정적 평헝위치로 움직이고 그 위치에서 스프링토크는 벨트부하트크와 그 값이 같고 방향이 반대가 되며, 벨트부하력이 작용하는 선회축으로 레버암을 변화시키고 풀리에 작용하는 벨트부하력을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씨 유발된 벨트신장에 의한 제 2 위치로 중간조작 위치가 접근함에 따라서 벨트부하토크는 스프링토크 변화와 함께 변하고, 상기 고정환상베어링 표면과 가동 환상베어링 표면과맞물린 외부와 내부환상 베어링 표면을 갖는 상기 슬리브 베어링이 있으며, 상기 모든 베어링 표면은 상기 회동축을 에워싸고 상기 회동베어링 수단의 반지름 크기보다 더 큰 반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와 내부환상 베어링 표면중 하나는 이것과 맞물려 있는 베어링 표면에 대해 미끄럽고, 상기 미끄러운 베어링 표면은 상기 선회구조체의 선회운동에 우세한 댐핑토크저항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단은 선회축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스프링토크합이 균형을 이루도록 상기 선회구조체에 대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베어링 수단은 상기 슬리브베어링에 의해 축상 중첩되고 환상감싸인 관계를 갖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베어링을 축상 중첩하고 환상으로 감싸는 외팔보형 벨트 맞물림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텐셔너.
KR1019880006503A 1987-08-28 1988-05-31 해제 가능한 벨트리드 댐핑을 구비한 벨트텐셔너 KR960015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90,495 US4824421A (en) 1987-08-28 1987-08-28 Belt tensioner with releasable belt load damping
US090,495 1987-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107A KR890004107A (ko) 1989-04-20
KR960015234B1 true KR960015234B1 (ko) 1996-11-04

Family

ID=2222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503A KR960015234B1 (ko) 1987-08-28 1988-05-31 해제 가능한 벨트리드 댐핑을 구비한 벨트텐셔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4824421A (ko)
EP (1) EP0306180B2 (ko)
JP (1) JP2846884B2 (ko)
KR (1) KR960015234B1 (ko)
BR (1) BR8804371A (ko)
CA (1) CA1304605C (ko)
DE (1) DE3854613T3 (ko)
ES (1) ES2078219T5 (ko)
MX (1) MX1658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0187C2 (de) * 1988-03-25 1997-03-20 Skf Gmbh Spannvorrichtung für Treibriemen
US4995832A (en) * 1989-10-26 1991-02-26 Specialty Connector Company, Inc. Connector for connecting to helically corrugated conduit
US5045029A (en) * 1990-12-20 1991-09-03 Gates Power Drive Products, Inc. Pulley encased tensioner with damping
US5073148A (en) * 1990-12-20 1991-12-17 Gates Power Drive Products, Inc. Tensioner with damping system
US5256112A (en) * 1992-08-07 1993-10-26 Gates Power Drive Products, Inc. Eccentric type belt tensioner
US5266067A (en) * 1992-09-25 1993-11-30 Federal-Mogul Corporation Self-releasing tensioner
DE4428560A1 (de) * 1994-08-12 1996-02-15 Schaeffler Waelzlager Kg Riemenspanneinrichtung mit lamellenförmigen Gleitlagerring
IT1275651B1 (it) * 1994-10-28 1997-10-17 Dayco Pti Spa Miglioramenti nei tenditori per cinghie di trasmissione
US5478285A (en) * 1995-01-31 1995-12-26 The Gates Rubber Company Belt tensioner with pivot bushing damping
JP3526653B2 (ja) * 1995-05-16 2004-05-17 株式会社共立 携帯式作業機
US5759125A (en) * 1996-06-21 1998-06-02 Clark Equipment Company Eccentrically supported tensioner
DE19631507A1 (de) * 1996-08-03 1998-02-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S5964674A (en) * 1997-03-21 1999-10-12 The Gates Corporation Belt tensioner with bottom wall of base juxtaposed pivot arm
JPH10267046A (ja) * 1997-03-24 1998-10-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動力伝達機構
US6375588B1 (en) 1999-04-12 2002-04-23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with viscous coupled one way wrap spring anti-kickback clutch
US6565468B2 (en) 1999-12-21 2003-05-20 The Gates Corporation Tensioner with damping mechanism
US6394247B1 (en) 2000-05-31 2002-05-28 Ntn Corporation Complaint one way over-running clutch pulley
JP3535480B2 (ja) * 2001-06-20 2004-06-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における補機駆動装置
US6592482B2 (en) * 2001-10-22 2003-07-15 The Gates Corporation Tensioner
US6896632B2 (en) * 2002-02-21 2005-05-24 The Gates Corporation Belt drive cantilever tensioner
KR101239553B1 (ko) * 2004-09-01 2013-03-06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타이밍 체인용 인장 장치
JP5148475B2 (ja) * 2005-03-21 2013-02-20 ライテン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パートナーシップ 再設置特徴付きテンショナ
DE602005027001D1 (de) 2005-04-20 2011-04-28 Dayco Europe Srl In gegenwart von öl arbeitend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antrieb
US20070006836A1 (en) * 2005-07-08 2007-01-11 Schaeffler Kg Traction mechanism drive having vibration damping
DE102006059550A1 (de) * 2006-12-16 2008-06-19 Schaeffler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US8641564B2 (en) * 2007-06-05 2014-02-04 Dayco Europe S.R.L. Pulley tensioner for an oil wet belt drive
US7803078B2 (en) * 2008-03-20 2010-09-28 The Gates Corporation Tensioner
CA2738697C (en) 2008-10-02 2017-01-03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Compact tensioner with sustainable damping
BRPI0921534B1 (pt) 2008-11-17 2021-01-19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dispositivo embreado
WO2011160202A1 (en) 2010-06-25 2011-12-29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Overrunning decoupler
EP2478984B1 (de) * 2011-01-20 2015-03-25 Makita Corporation Motorarbeitsgerät mit einer Spanneinrichtung für einen Riemen
US20140287860A1 (en) * 2011-10-26 2014-09-25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with damping structure made from two components with no rotational play therebetween
FR2987411B1 (fr) * 2012-02-27 2014-09-12 Skf Ab Dispositif tendeur d'un element de traction et procede de montage d'un tel dispositif
DE202012103489U1 (de) * 2012-09-13 2013-12-19 Makita Corp. Riementrieb für ein Motorarbeitsgerät
WO2014063228A1 (en) 2012-10-22 2014-05-01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with increased damping
WO2015035508A1 (en) * 2013-09-11 2015-03-19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with increased damping and arm on base cup configuration
US10859141B2 (en) 2015-10-28 2020-12-08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with first and second damping members and increased damping
EP3199834B1 (en) * 2016-01-29 2018-11-07 Aktiebolaget SKF Pulley device for a belt, installation method of such a device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US10989280B2 (en) * 2017-06-16 2021-04-27 Gates Corporation Tensioner
CN111065844B (zh) 2017-09-07 2023-06-16 利滕斯汽车合伙公司 单个弹簧式的扭转顺应的超越分离器
US11333223B2 (en) 2019-08-06 2022-05-17 Gates Corporation Orbital tension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40352B (it) * 1975-08-07 1979-12-20 Alfa Romeo Spa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automatica della tensione di una cinghia dentata di trasmissione
JPS56124426A (en) * 1980-03-07 1981-09-30 Nissan Eng Kk Wet type deodorizing method including regeneration process of oxidizing agent
US4473362A (en) * 1981-07-08 1984-09-25 Litens Automotive Inc. Belt tensioner with variably proportional damping
US4551120B2 (en) * 1984-04-10 1990-05-08 Belt tensioner
US4661087A (en) * 1984-08-23 1987-04-28 Dayco Products, Inc. Method of making a belt tensioner having a biased annular pad of friction material for dampening purposes
US4634407A (en) * 1985-08-12 1987-01-06 Federal-Mogul Corporation Self-tensioning belt tightener
US4725260A (en) * 1987-03-24 1988-02-16 Litens Automotive Inc. Belt tensioner with spring actuated band brake dam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54613T2 (de) 1996-04-04
MX165898B (es) 1992-12-09
CA1304605C (en) 1992-07-07
EP0306180B1 (en) 1995-10-25
KR890004107A (ko) 1989-04-20
EP0306180B2 (en) 2000-09-20
USRE34543E (en) 1994-02-15
US4824421A (en) 1989-04-25
JP2846884B2 (ja) 1999-01-13
DE3854613T3 (de) 2001-02-15
JPS6458846A (en) 1989-03-06
ES2078219T3 (es) 1995-12-16
EP0306180A3 (en) 1990-01-10
DE3854613D1 (de) 1995-11-30
EP0306180A2 (en) 1989-03-08
ES2078219T5 (es) 2001-01-01
BR8804371A (pt) 198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234B1 (ko) 해제 가능한 벨트리드 댐핑을 구비한 벨트텐셔너
US5632697A (en) Damping mechanism for a tensioner
CA2192419C (en) Tensioner with damping mechanism and belt drive system
MXPA96006527A (en) Tensioner with shock absorber mechanism and body system
EP0190336B2 (en) Belt tensioner
US4661087A (en) Method of making a belt tensioner having a biased annular pad of friction material for dampening purposes
US9341243B2 (en)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EP2057389B1 (en) Two way damper
US4832666A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698049A (en) Belt tensioner with frustoconical pivot bearing
CA1231259A (en) Belt tensioner
KR950002995B1 (ko) 활형 운동범위가 증가된 벨트 텐셔너
US4571223A (en) Automatic belt tensioner
US4784631A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20030586A (ko) 텐셔너
JPS622182B2 (ko)
CN109690134B (zh) V形张紧器及环形传动装置
JP2021518518A (ja) テンショナ
CA2396061C (en) Damping mechanism for a tensioner
MXPA05003954A (es) Tensor de bandas.
JP3842685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ンジン
MXPA96006526A (en) Cushion mechanism for a 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