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005B1 - 설포닐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설포닐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005B1
KR960015005B1 KR1019930006409A KR930006409A KR960015005B1 KR 960015005 B1 KR960015005 B1 KR 960015005B1 KR 1019930006409 A KR1019930006409 A KR 1019930006409A KR 930006409 A KR930006409 A KR 930006409A KR 960015005 B1 KR960015005 B1 KR 960015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yanate
organic base
general formula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배
이재철
서병우
사종신
최종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19930006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005B1/ko
Priority to US08/205,400 priority patent/US5480993A/en
Priority to AT96106126T priority patent/ATE203532T1/de
Priority to AT96106127T priority patent/ATE202350T1/de
Priority to EP96106126A priority patent/EP0727423B1/en
Priority to DE69427541T priority patent/DE69427541T2/de
Priority to AT94103306T priority patent/ATE168688T1/de
Priority to EP96106127A priority patent/EP0727424B1/en
Priority to DE69411783T priority patent/DE69411783T2/de
Priority to PT96106126T priority patent/PT727423E/pt
Priority to ES96106126T priority patent/ES2159659T3/es
Priority to DK96106126T priority patent/DK0727423T3/da
Priority to BR9400817A priority patent/BR9400817A/pt
Priority to JP6034599A priority patent/JP2851524B2/ja
Priority to DK94103306T priority patent/DK0613896T3/da
Priority to DE69427827T priority patent/DE69427827T2/de
Priority to ES94103306T priority patent/ES2118993T3/es
Priority to EP94103306A priority patent/EP0613896B1/en
Priority to US08/350,979 priority patent/US5534637A/en
Priority to US08/389,042 priority patent/US55257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005B1/ko
Priority to JP10024407A priority patent/JP3004957B2/ja
Priority to JP10024412A priority patent/JP2965539B2/ja
Priority to GR20010401261T priority patent/GR3036403T3/el

Links

Landscapes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설포닐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제초활성을 갖는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설포닐우레아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수소원자, C1-C4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 R2는 수소원자, C1-C4알킬기, 알릴기 또는 프로파길기이며, R3는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페닐기이며, 상기 일반식(Ⅰ)의 설포닐우레아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유럽 공개특허 제87,780호에는 다음 3가지 방법을 기재하고 있는데, 첫째는 하기 일반식(Ⅱ)의 이소시아네이트와 일반식(Ⅶ)의 아민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이고, 둘째는 하기 일반식(Ⅲ)의 아민을 일반식(Ⅵ)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는 방법이며, 셋째는 하기 일반식(Ⅳ)의 카바메이트와 일반식(Ⅶ)의 아민을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식에서, R1, R2및 R3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의 첫째 방법과 둘째 방법은 모두 이소시아네이트를 합성하여 분리한 후 아민과 반응시켜 설포닐우레아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출발물질인 이소시아네이트를 합성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일반식(Ⅲ) 또는 (Ⅶ)의 아민에 유독물질인 포스겐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포스겐을 공업적으로 대량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안전시설을 갖추어야 하고, 생성된 염산을 처리하고 잉여의 포스겐을 회수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첫 번째 방법은 하기 반응도식(Ⅰ)에서와 같이 화합물(Ⅴ)의 설포닐클로라이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화합물(Ⅱ)의 이소시아네이트를 거쳐 여러 단계의 복잡한 반응을 거쳐야 하므로 공업적인 대규모의 생산 방법에 적용되기에는 불리한 점이 많다.
한편 상기 유럽 공개특허의 세 번째 방법은 일본국 특개평 03-200742호에 알려진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서, 높은 반응온도 등 반응조건이 가혹하고 수율 또한 저조하므로 이 방법 역시 공업적으로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일반식(Ⅰ)의 목적 화합물을 간편하게 합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중 1단계의 반응으로 고순도의 목적 화합물(Ⅰ)을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하기 반응도식(2)에 나타난 바와같이, 하기 화합물(Ⅴ)의 설포닐클로라이드를 일반식(Ⅶ)의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R1, R2및 R3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M은 알칼리 금속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반응도식(2)에 나타낸 바와같이 특히 금속시아네이트와 유기염기 촉매존재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반응은 거의 정량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출발물질을 포함한 반응물질들은 동물량으로 반응시킬 수 있으나 반응효율을 고려하여 출발물질인 일반식(Ⅴ)의 설포닐클로라이드나 금속시아네이트는 일반식(Ⅶ)의 아민 화합물에 대하여 각각 1.0 내지 2.0당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구조식(Ⅴ)의 화합물이 비교적 고가의 물질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1.0 내지 1.2당량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금속시아네이트는 1가의 알칼리 금속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시아네이트 또는 칼륨시아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촉매로 사용되는 유기염기는, 반응속도 및 반응선택성을 경정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 예로는 3급 알킬 아민이나 피리딘 유도체 또는 환상 3급 아민 등을 들 수 있으나, 특히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을 촉매로 사용할 경우 반응 선택성과 수율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유기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Ⅶ)의 아민에 대하여 0.01 내지 2.0당량의 범위내에서는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좋은 결과를 보이나 경제성을 고려하면, 0.1 내지 1.0당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와 방향족 탄화수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비양자성(aprotic) 극성 용매 및 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니트릴류, 아세톤, 디이소프로필 케톤 등의 케톤류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가 있으며, 이때 용매는 가능한한 무수조건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응은 0℃ 내지 사용되는 용매의 환류온도에서 무리없이 진행되나, 반응속도와 부생성물의 생성정도 등을 고려할 때 대부분의 경우 25 내지 45℃의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의 반응시간은 0.5 내지 4.0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4-에톡시카르보닐-1-메틸피라졸-5-설폰아미드의 제조
4-에톡시카르보닐-1-메틸피라졸-5-설포닐클로라이드 2.603g을 아세토니트릴 20.0ml에 녹여 용액상태로 만들고 교반하면서 나트륨 시아네이트 0.715g과 4,6-디메톡시-2-아미노피리미딘 1.552g(10.0mM)을 넣고 약 10분 동안 40℃를 유지시켰다. 이 혼합물에 피리딘 0.396g을 주사기로 5분 동안 적가한 후 40 내지 45℃ 온도를 유지하면서 계속 3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반응이 완결 후 반응 용액에 5% 황산 수용액과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반응물의 pH를 4로 조정하여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고상의 표제 화합물 4.103g(수율 99%)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8]
상기 실기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4-에톡시카르보닐-1-메틸피라졸-5-설포닐클로라이드 2.603g와 4,6-디메톡시-2-아미노피리미딘 1.552g(10.0mM)을 하기의 조건에서 반응시킨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주: *¹당량은 4,6-디메톡시-2-아미노피리미딘(10.0mM) 기준
*²수율은 목적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정한 것임
*³실시예7 및 8은 촉매를 사용하지 않았거나 기존의 TBAB를 촉매로 하여 반응시킨 경우에 대하 비교실시예임
*⁴TBAB : 테트라 n-부틸암모니움 브로마이드
[실시예 9]
N-[(4-메톡시-6-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4-메톡시카르보닐-1-메틸피라졸-5-설폰아미드의 제조
4-메톡시카르보닐-1-메틸피라졸-5-설포닐클로라이드 23.8g을 아세토니트릴 100ml에 녹여 용액상태로 만들고 교반하면서 나트륨시아네이트 8.0g과 2-아미노-4-메톡시-6-메틸피리미딘 13.9g을 넣고 약 10분 동안 40℃를 유지시켰다. 이 혼합물에 피리딘 0.3g을 5분 동안 적가한 후 40 내지 45℃ 온도를 유지하면서 계속 2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 35.3g(수율 92%)을 얻었다.
[실시예 10]
N-[(4-메톡시-6-메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1,3-디메틸-5-메톡시카르보닐피라졸-4-설폰아미드의 제조
1,3-디메틸-5-메톡시카르보닐피라졸-4-설포닐클로라이드 25.2g과 2-아미노-4-메톡시-6-메틱-1,3,5-트리아진 13.9g, 칼륨시아네이트 9.7g 및 피리딘 0.3g을 아세토니트릴 100ml에 녹여 5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 35.5g(수율 89%)을 얻었다.

Claims (8)

  1. 하기 일반식(Ⅴ)의 설포닐클로라이드를 용매중에서 금속시아네이트와 유기염기 촉매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Ⅶ)의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설포닐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상기 식에서, R¹은 수소원자, C1-C4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R²는 수소원자,C1-C4알킬기, 알릴기 또는 프로파길기이며, R³는 수소원자, 메틸기, 에텔기 또는 페닐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시아네이트가 나트륨시아네이트 또는 칼륨시아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유기염기는 트리알킬아민류, 피리딘 유도체 및 환상 3급 아민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유기염기는 피리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유기염기의 사용량이 구조식(Ⅶ)의 아민을 기준으로 0.1 내지 1.0당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용매가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1, 2-디클로로메탄, 벤젠, 톨루엔, 클로로벤젠, 디틀로로벤젠,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및 디이소프로필케톤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용매가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클로로메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반응온도가 25 내지 45℃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30006409A 1993-03-05 1993-04-16 설포닐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60015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409A KR960015005B1 (ko) 1993-04-16 1993-04-16 설포닐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US08/205,400 US5480993A (en) 1993-03-05 1994-03-03 Process for preparation of sulfonylurea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for the proces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6034599A JP2851524B2 (ja) 1993-03-05 1994-03-04 スルホニルウレア誘導体の製造方法
EP96106126A EP0727423B1 (en) 1993-03-05 1994-03-04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lfonylurea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for this process
DE69427541T DE69427541T2 (de) 1993-03-05 1994-03-04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lfonylharnstoffderivaten
AT94103306T ATE168688T1 (de) 1993-03-05 1994-03-04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lfonylharnstoffderivaten
EP96106127A EP0727424B1 (en) 1993-03-05 1994-03-04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lfonylurea derivatives
DE69411783T DE69411783T2 (de) 1993-03-05 1994-03-04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lfonylharnstoffderivaten
PT96106126T PT727423E (pt) 1993-03-05 1994-03-04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derivados de sulfonilureia e de intermediarios para este processo
ES96106126T ES2159659T3 (es) 1993-03-05 1994-03-04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derivados de sulfonilurea e intermedios para este procedimiento.
AT96106126T ATE203532T1 (de) 1993-03-05 1994-03-04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lfonylharnstoffderivaten und zwischenprodukte für dieses verfahren
BR9400817A BR9400817A (pt) 1993-03-05 1994-03-04 Processo para preparar derivados de sulfoniluréia, processo para preparar derivados de sulfonilcloreto, composto hidróxido de 1-(((pirazolesulfonil)amino)carbonil) piridínio e processo para preparar compostos
AT96106127T ATE202350T1 (de) 1993-03-05 1994-03-04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lfonylharnstoffderivaten
DK94103306T DK0613896T3 (da) 1993-03-05 1994-03-04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sulfonylurinstofderivater
DE69427827T DE69427827T2 (de) 1993-03-05 1994-03-04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lfonylharnstoffderivaten und Zwischenprodukte für dieses Verfahren
ES94103306T ES2118993T3 (es) 1993-03-05 1994-03-04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derivados de sulfonilurea.
EP94103306A EP0613896B1 (en) 1993-03-05 1994-03-04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lfonylurea derivatives
DK96106126T DK0727423T3 (da) 1993-03-05 1994-03-04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sulfonylurinstofderivater og mellemprodukter til denne fremgangsmåde
US08/350,979 US5534637A (en) 1993-03-05 1994-11-29 Starting materials for prepartion of sulfonylurea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08/389,042 US5525730A (en) 1993-03-05 1995-02-15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sulfonylurea derivatives
JP10024407A JP3004957B2 (ja) 1993-03-05 1998-02-05 スルホニルクロライド誘導体の製造方法
JP10024412A JP2965539B2 (ja) 1993-03-05 1998-02-05 スルホニルウレア誘導体の合成中間体
GR20010401261T GR3036403T3 (en) 1993-03-05 2001-08-16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lfonylurea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for this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409A KR960015005B1 (ko) 1993-04-16 1993-04-16 설포닐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005B1 true KR960015005B1 (ko) 1996-10-23

Family

ID=1935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409A KR960015005B1 (ko) 1993-03-05 1993-04-16 설포닐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00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6179A (en) Process for preparing sulfonylureas
US5274166A (en) Dithiocarbamic acid salt,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isothiocyanate using said dithiocarbamic acid salt
US5525730A (en)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sulfonylurea derivatives
KR960015005B1 (ko) 설포닐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674098B1 (ko) N,n-디알킬아릴아민 촉매의 존재하에서n-알크(엔)옥시(또는 아릴옥시)카보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및 그의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US5912379A (en) Processes for preparing sulfonylureas
US4391976A (en) Process for producing arylsulfamates
KR100210731B1 (ko) 2-클로로-5-메틸-피리딘의 제조방법
KR100519420B1 (ko) 헤테로아릴카복실아미드및에스테르의제조방법
US6066754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N-alkoxy(or aryloxy)carbonyl isothiocyanate derivatives using N,N-dialkylarylamine as catalyst
US4600792A (en) Preparation of biphenylylsulfonylureas and intermediates therefor
JP2991832B2 (ja) ピリミジ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3190410B2 (ja) スルホニル尿素の製造方法
US456077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2-benzoxathiines
US4448959A (en) Chlorosulfonyl urea triazines
KR930006198B1 (ko) 신규 α-클로로케톤 유도체 및 그 제조법
KR960007530B1 (ko) 설포닐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JP3144893B2 (ja) (1,3,5−トリアジン−2−イル)カルバミン酸フェニル誘導体の製造方法
KR970006853B1 (ko) 1-[[(피라졸설포닐)아미노]카보닐]피리디니움 하이드록사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HU212909B (en) Process for producing sulfonylurea derivatives
RU217700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ербицидных сульфонилмочевин и n-(пиримидинил- или триазинил)-карбаматов в качестве промежуточных продуктов
JPH0439464B2 (ko)
JPS61134378A (ja) ピリミジン誘導体の製法
JPS62175492A (ja) N−ホスフイノチオイルアミ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H02543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