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130B1 - 광케이블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130B1
KR960014130B1 KR1019920009535A KR920009535A KR960014130B1 KR 960014130 B1 KR960014130 B1 KR 960014130B1 KR 1019920009535 A KR1019920009535 A KR 1019920009535A KR 920009535 A KR920009535 A KR 920009535A KR 960014130 B1 KR960014130 B1 KR 96001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optical
circular bar
optical c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976A (ko
Inventor
와타루 카쯔라시마
요시노브 키타야마
히로아끼 사노
히로키 이시카와
시게루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쿠라우찌 노리타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쿠라우찌 노리타카 filed Critical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0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7Optical cables with internal fluted support member
    • G02B6/4408Groove structures in support members to decrease or harmonise transmission losses in ribb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4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the means comprising water blocking or hydrophobic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케이블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광케이블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케이블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에 사용되는 다심광유니트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에 의한 광케이블에 사용되는 다심광유니트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테이프슬롯형 광케이블의 일예의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테이프슬롯형 광케이블의 다른 일예의 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다층구조테이프슬롯형 광케이블의 일예의 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테이프튜브형 광케이블의 일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형광유니트 2 : 원형막대형상부재
3 : 외장 4 : 항장력체
5 : 플라스틱튜브 6 : 방수혼화물
7 : 가압감기테이프
본 발명의 양호한 전송특성을 가지고 또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다심 고밀도 광케이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다심고밀도광케이블로서, 일본국의 테이프슬롯형 광케이블(일본국 실개소 58-188613호)이 다심의 광케이블이다. 이와같은 테이프슬롯형 광케이블에 있어서는, 광파이버의 심수는 1000개의 이르고, 단위면적당 피복된 광파이버의 실장밀도는 1㎟당 0.8개정도의 광파이버를 가진다.
또한, 테이프형 광유니트를 수납하는 홈이 개구부를 가지고 있어, 테이프형 광유니트를 제거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테이프형광케이블이 다른 형의 광파이버케이블보다 작업성이 우수하다. 특히, 방수특성이 요구되는 광케이블에서는 「간이방수의 광파이버케이블의 특성」(1988년 일본국, 전자정보통신학회추계전국대회 B-37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흡수가압감기형테이프(water-absorbing press-winding tape)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게 방수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미국의 ATT사의 High-Fiber-Count Optical Cable(International Wir e Cable Symposium Proceedings 1982, p396)의 테이프튜브형 광케이블은 광파이버의 실장밀도가 1㎟당 1.3개 정도의 피복된 광파이버이다. 따라서, 테이프튜브형 광케이블은 밀도성이 가장 우수한 다심광케이블중 하나이다.
그러나,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프형 광유니트(1)는, 튜브(5)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형광유니트(1)의 인출작업성에 문제가 있다. 또, 충분한 방수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튜브(5)내에 겔형상의 방수혼합물(6)을 봉입할 필요가 있으므로, 광케이블을 접속하는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테이프슬롯형 광케이블에서는, 제5도,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롯로드(8) 외부주연부에 형성된 홈내에 테이프형 광유니트가 수납되어 있다. 테이프형 광유니트(1)는, 슬롯로드(8)의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각각의 홈바닥에 대해 불리하게 가압되어 축압을 받게 된다.
또한, 500개 이상 또는 1000개 이상의 피복된 광파이버를 가진 테이프슬로트형 케이블인 경우에는, 슬롯로드(8)의 중심부의 체적이 사용될 수 없으므로, 케이블의 수납효율이 저하된다. 수납효율을 개선한 것으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다층구조를 고려할 수 있으나, 이와같은 구조에서는, 중심층의 테이프형 광유니트의 인출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이 해소된 광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형 광유니트가 각각의 홈내에서 측압을 거의 받지 않고, 광유니트의 인출작업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고, 또한 다심의 피복된 광파이버에 대해서도 수납효율이 높은 광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케이블은, 복수개의 광파이버를 일렬로 배열해서 일괄 피복한 복수개의 테이프형 광유니트가 긴쪽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원형막대형상부재가 구부러질때에 각각의 테이프형 광유니트가 개별적으로 긴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테이프형광유니트의 일체화 형성을 행함이 없이, 원형막대형상부재의 홈에 상기 복수개의 테이프형광유니트를 적층하여 수납한 적층체와, 원형막대형상부재의 홈에 상기 적층체를 수납한 후 원형막대형상부재의 주연부를 가압감기테이프에 의해 가압하여 감은 복수의 원형막대형상부재를 중심항장력체의 주위에 감아서 배치한 때에, 원형막대형상부재의 중심과 적층체의 중심이 일치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원형막대형상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원형막대형상부재의 홈의 바닥까지의 거리는 적층체의 높이의 절반이상이 되게 형성되고, 또한 긴쪽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회전가능한 홈을 가진 원형막대형상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형 광유니트는 일방향으로 연선되거나 교호로 쌍방향으로 반전되는 상태로 연선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형막대형상부재에 도달하도록 원형의 막대형상 부재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500개이상 또는 1000개이상의 피복된 광유니트를 가지는 다심의 고밀도 광케이블에서 광파이버의 수납효율을 향상하고, 또한 케이블의 직경을 테이프슬롯형 광케이블의 직경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슬롯형 광케이블과는 달리, 테이프형 광유니트가 다심의 광유니트의 대략 중심에 배치되기 때문에, 통상의 상태에서는, 테이프형 광유니트가 홈바닥에 대해 거의 가압되지 않는다. 테이프형 광유니트가 바닥에 대해 일시적으로 가압되어, 광유니트가 가압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측압에 기인한 광파이버의 잠정적인 굽힘을 실질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1도에 도시한 광케이블에 있어서는, 중심항장력체(4)의 주위에 테이프형광유니트(1)로 이루어진 다심광유니트를 한방향으로 층꼬임하고, 또한 상기 다심광유니트의 외부쪽에 다심광유니트를 한방향으로 층꼬임하여 외장(3)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2도에 도시한 광케이블에 있어서는, 광케이블의 중심에 다심의 광유니트(1)를 배치한다. 다심광유니트의 외부쪽에 외장(3)을 실시하고, 또한 광유니트의 대향하는 쪽에 있도록 2개의 항장력체(4)를 외장(3) 내부에 배치하였다.
제3도, 제4도에 도시한 상기 다심광유니트의 각각에 있어서는, 원형의 막대 형상부재(2)는,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꼬임형상의 직사각형 홈을 가진다. 상기 원형의 막대형상부재(2)에 사용되는 재료는 압출성형성에 우수한 폴리프로필렌등의 플라스틱이거나 가공성에 우수한 알루미늄등의 금속이어도 된다.
사용되는 각각의 피복된 광파이버는, 광파이버의 수납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200㎛정도의 작은 외경을 가진다.
16개의 광파이버를 일렬로 배열해서 일괄피복한 14개의 테이프형광유니트(1)가 긴쪽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원형막대형상부재(2)가 구부러질때에 각각의 테이프형광유니트(1)가 개별적으로 긴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14개의 테이프형광유니트(1)의 일체화형성을 행함이 없이, 원형막대형상부재(2)의 홈에 상기 14개의 테이프형광유니트(1)를 적층하여 수납한다. 홈에 수납한 후에 가압감기테이프(7)에 의해 테이프형광유니트(1)는 홈내에 유지된다.
홈의 깊이와 적층체의 높이사이의 관계는, 테이프형광유니트에 측압이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적층된 테이프형광유니트의 중심이 원형막대형상부재의 대략 중심에 배열되도록 설정된다.
가압감기테이프(7)는 통상 플라스틱테이프이다. 특히 방수특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테이프형광유니트를 덮도록 직접 플라스틱을 파이프형상으로 압출하여도 된다. 방수용케이블이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피복된 광파이버는 방수성을 가지도록 하거나, 또는 흡수성을 가진 재료를 가압감기테이프로서 사용하여도 된다.
또, 원형막대형상부재에 형성된 광파이버 수납부의 형상을 대략 직사각형으로 함으로써, 테이프형 광유니트의 배열의 불규칙성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여분의 공간이 의도적으로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방수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방수특성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흡수가압감기테이프를 개구부에 사용함으로써, 접속작업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방수벽을 형성하는 것이 유용하다.
케이블로 조립한 후에 광파이버의 잔류변형은, 광파이버의 장기간의 신뢰성을 고려해서 0.02% 이하로 되도록 선택된다. 케이블제조공정의 각단계에서 원형막대 형상부재, 테이프형광유니트, 다심광유니트 및 항장력체등의 각 부재의 장력을 선택적으로 조정하였다.
일예로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광케이블의 실시예는 47.2㎜의 외경을 가지는 초다심의 고밀도 광케이블이 된다. 이 광케이블은 4,032개의 피복된 광파이버를 포함하고, 따라서 1㎟당 2.3개정도의 광파이버의 실장밀도를 가진다.
본 케이블은, 통상사용파장 μ=1.31㎛으로 제조공정의 각 스텝에서 광파이버를 시험했을때에 측정오차의 범위내에서 손실의 증거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양호한 성능특성을 가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은 다심의 고밀도성을 가지고, 또한 광파이버유니트에 용이하게 접근하여 광파이버유니트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및 접속작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케이블에서는, 광파이버에 대한 측압의 영향이 감소되고, 이에 의해 광파이버의 신뢰도를 높힐 수 있다.
따라서, 측압에 기인하여 전력손실에 한층 더 민감한 광파이버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저코스트의 광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광케이블은, 가입자 광케이블등의 다심광케이블에 대해서 특히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복수개의 광파이버를 일렬로 배열해서 일괄 피복한 복수개의 테이프형 광유니트가 긴쪽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원형막대형상부재가 구부러질때에 각각의 테이프형 광유니트가 개별적으로 긴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테이프형 광유니트의 일체화형성을 행함이 없이, 원형막대형상부재의 홈에 상기 복수개의 테이프형 광유니트를 적층하여 수납한 적층체와, 원형막대형상부재의 홈에 상기 적층체를 수납한 후 원형막대형상부재의 주연부를 가압감기테이프에 의해 가압하여 감은 복수개의 원형막대형상부재를 중심항장력체의 주위에 감아서 배치한 때에, 원형막대형상부재의 중심과 적층체의 중심이 일치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원형막대형상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원형막대형상부재의 홈의 바닥까지의 거리는 적층체의 높이의 절반이상이 되게 형성되고, 또한 긴쪽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회전가능한 홈을 가진 원형막대형상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 광유니트는 일방향으로 합쳐서 꼬이거나 교호로 쌍방향으로 반전되는 상태로 합쳐서 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KR1019920009535A 1991-06-03 1992-06-02 광케이블 KR960014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30212 1991-06-03
JP3130212A JP2680943B2 (ja) 1991-06-03 1991-06-03 光ケ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976A KR930000976A (ko) 1993-01-16
KR960014130B1 true KR960014130B1 (ko) 1996-10-14

Family

ID=1502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535A KR960014130B1 (ko) 1991-06-03 1992-06-02 광케이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233678A (ko)
EP (1) EP0517144B1 (ko)
JP (1) JP2680943B2 (ko)
KR (1) KR960014130B1 (ko)
CN (1) CN1030109C (ko)
AU (1) AU652108B2 (ko)
CA (1) CA2070229C (ko)
DE (1) DE69222223T2 (ko)
TW (1) TW2250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0943B2 (ja) * 1991-06-03 1997-1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ケーブル
US5229851A (en) * 1992-04-02 1993-07-20 Pirelli Cable Corporation Optical fiber cable with large number of ribbon units containing optical fibers and enclosed in tubes
JPH07333475A (ja) * 1994-06-03 1995-12-22 Fujikura Ltd 多芯リボンを収納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6052502A (en) * 1997-09-22 2000-04-18 Siecor Corporation Ribbon optical cable having improved strength
US6178278B1 (en) 1997-11-13 2001-01-23 Alcatel Indoor/outdoor dry optical fiber cable
US6169834B1 (en) 1998-05-13 2001-01-02 Alcatel Slotted composite cable having a cable housing with a tubular opening for copper pairs and a slot for an optical fiber
DE19838351C2 (de) * 1998-08-14 2000-10-26 Siemens Ag Optisches Kabel und Kabelanordnung
US6253012B1 (en) 1998-11-12 2001-06-26 Alcatel Cycled fiber lock for cross-functional totally dry optical fiber loose tube cable
JP2000241685A (ja) * 1999-02-19 2000-09-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ケーブル
US6480654B1 (en) * 1999-07-14 2002-11-12 Alcoa Fujikura Ltd. High fiber count ribbon sub-unit breakout cable
US20030174977A1 (en) * 2001-02-05 2003-09-18 Yaron Mayer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much more information in optic fiber cables 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number of fibers per cable
US20070047885A1 (en) * 2000-11-21 2007-03-01 Yaron Mayer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much more information in optic fiber cables 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number of fibers per cable
US20060140557A1 (en) * 2001-03-30 2006-06-29 Parris Donald R Fiber optic cable with strength member formed from a sheet
US7079734B2 (en) * 2004-12-22 2006-07-18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drop cables suitable for fiber to the subscriber applications
BR112014021671B1 (pt) * 2012-03-02 2020-09-24 Ofs Fitel, Llc Cabos aéreos de fibra ótica
US8620124B1 (en) 2012-09-26 2013-12-31 Corning Cable Systems Llc Binder film for a fiber optic cable
US9091830B2 (en) 2012-09-26 2015-07-28 Corning Cable Systems Llc Binder film for a fiber optic cable
US11287589B2 (en) 2012-09-26 2022-03-2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Binder film for a fiber optic cable
US9482839B2 (en) 2013-08-09 2016-11-01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fiber cable with anti-split feature
US9075212B2 (en) 2013-09-24 2015-07-0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Stretchable fiber optic cable
US8805144B1 (en) 2013-09-24 2014-08-12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Stretchable fiber optic cable
US8913862B1 (en) 2013-09-27 2014-12-1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communication cable
US9594226B2 (en) 2013-10-18 2017-03-1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 cable with reinforcement
WO2017122518A1 (ja) * 2016-01-13 2017-07-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ケーブルおよび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
JP6840659B2 (ja) * 2017-12-19 2021-03-1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111474651A (zh) * 2020-05-15 2020-07-31 江苏亨通海洋光网系统有限公司 一种500芯及以上芯数层绞式无中继海底光缆
EP4220260A4 (en) * 2020-09-28 2024-03-2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FIBER OPTICAL CABLE AND CABLE WITH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4385B1 (fr) * 1982-10-08 1986-02-14 Cabeltel Cable optique a structure libre, notamment monovoie
GB8406636D0 (en) * 1984-03-14 1984-04-18 Bicc Plc Flexible elongate body
JPS6153612A (ja) * 1984-08-24 1986-03-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ペ−サ形光ケ−ブルの製造方法
DE3650256T2 (de) * 1985-09-14 1995-06-29 Stc Plc Optisches Kabel.
JPH01163710A (ja) * 1987-02-25 1989-06-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ケ−ブル
JPH07111493B2 (ja) * 1987-03-17 1995-11-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フアイバケ−ブル
DE3811126A1 (de) * 1988-03-31 1989-10-12 Siemens Ag Optisches kabel mit mehreren buendelelementen
US4900126A (en) * 1988-06-30 1990-02-13 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 Bonded array of transmission media
GB8908446D0 (en) * 1989-04-14 1989-06-01 Bicc Plc Optical cable
GB2233779B (en) * 1989-07-01 1993-05-05 Stc Plc Optical fibre cable
GB2237655B (en) * 1989-10-12 1993-04-28 Stc Plc Aerial optical fibre cable
US5179611A (en) * 1990-07-17 1993-01-12 Tokai Rubber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cable having a water absorptive member
US5067830A (en) * 1990-12-21 1991-11-26 Siecor Corporation Indented tube for optical ribbon
JP2680943B2 (ja) * 1991-06-03 1997-1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70229A1 (en) 1992-12-04
JPH04355418A (ja) 1992-12-09
EP0517144A1 (en) 1992-12-09
TW225051B (ko) 1994-06-11
EP0517144B1 (en) 1997-09-17
KR930000976A (ko) 1993-01-16
US5233678A (en) 1993-08-03
DE69222223T2 (de) 1998-01-15
CN1030109C (zh) 1995-10-18
CA2070229C (en) 1997-03-25
JP2680943B2 (ja) 1997-11-19
AU1737692A (en) 1992-12-10
CN1067746A (zh) 1993-01-06
DE69222223D1 (de) 1997-10-23
AU652108B2 (en) 199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130B1 (ko) 광케이블
US6229944B1 (en) Optical fiber cable
US5740295A (en) Low fiber count optical cable
CN102768883B (zh) 光电混合线缆
JP4324147B2 (ja) 低温乾式ルースチューブ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6870995B2 (en) High fiber count optical fiber cable with buffer tubes around central strength member
CA2143774C (en) Optical fiber cable containing ribbon fibers
US5517591A (en) Compact slotted core ribbon cable
US4312566A (en) Dielectric optical waveguide cables
US10914906B2 (en) Optical fiber cable
US5651082A (en) Optical ribbon cables and stranding method
US6798958B2 (en) Cable with a high density of optical fibers
JP3058203B2 (ja) 光ケーブル
JP2001194567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3523996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3159872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0241685A (ja) 光ケーブル
JP3294952B2 (ja) 防水型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3291080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S6336321Y2 (ko)
JPS6322285B2 (ko)
JPH10227956A (ja) スペーサ型光ケーブル
EP0709702A1 (en) Improved core configuration for optical fiber cables
JPH07218781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H08220392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