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883B1 - 장식체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장식체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883B1
KR960013883B1 KR1019940002476A KR19940002476A KR960013883B1 KR 960013883 B1 KR960013883 B1 KR 960013883B1 KR 1019940002476 A KR1019940002476 A KR 1019940002476A KR 19940002476 A KR19940002476 A KR 19940002476A KR 960013883 B1 KR960013883 B1 KR 960013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product
hole
handle
ins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820A (ko
Inventor
신승우
Original Assignee
신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우 filed Critical 신승우
Priority to KR101994000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883B1/ko
Publication of KR950024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3/00Centrifugal casting; Casting by using centrifugal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식체 제작방법
본 발명은 원심주조법을 이용하여서 스푸운, 가구, 문고리등과 같은 손잡이를 장식하는 장식체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심주조법에 의해서 장식체의 무게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는 장식체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장식체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모재위에 별도의 다른 재질 또는 동일재질로 된 다른 모형의 장식품을 부착 및 결합시켜 만들고 있는바, 모재에 덧붙혀지는 장식품이 금속으로 된 경우에는 별도의 부착 또는 결합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모재를 원하는 바의 장식형태로 만든 금형속에 넣고, 이 모재에 장식품을 이루는 금속의 용탕을 상기 금형속으로 주입시키면서 금형에 조각된 소정의 형태에 따라 장식체가 모재에 일체로 용착되어 만들어지게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방법에 따라 장식체를 만드는 경우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70)의 주변을 장식체(71)를 이루는 재료가 소정의 요구하는 크기와 두께 만큼으로 용착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바, 첫째:장식체(71)가 장식효과를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대개 값비싼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잉 장식체(71)의 재료가 많이 소요되면 그 만큼 원가가 높아지게 된다. 둘째:모재(70)의 주변을 장식체(71)만으로 둘러싸므로서 장식체의 재료 종류에 따라 제품의 무게가 무거워지거나 때로는 무게를 요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가벼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문제점들 중에서, 두 번째 문제는 모재(70)를 만들 때 미리 소정무게 만큼 되도록 만드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지만 제품의 종류에 따라, 예컨데 스푸운, 가구 손잡이 등과 같이 기본제품의 모재(70)성질상 또는 기본제품의 성질상 관련 부분을 필요에 따라 두껍게 혹은 얇게하여 무게를 조정하기에는 소요원자재 또는 금형 및 기타 여러가지 주변문제가 오히려 더 심각해지기 때문에 최종적인 장식체 부착과정에서 이를 조정핸 주는 것이 편리한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최종 제품의 필요한 부분이 요구하는 바와 적정무게가 될 수 있도록 장식체 제작과정에서 조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체를 이루는 재료의 소요량이 최대한으로 적어지게 할 수가 있어 비용면에서 큰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장식체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식체 제작방법은, 장식체를 부착시키고저 하는 기본제품의 조정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기본제품을 펀칭하는 펀칭스텝과; 상기 펀칭스텝에 의하여 관통홀이 형성된 기본 제품에 인서어터를 삽입시켜 중간제품을 제작하는 인서어트스텝과; 상기 인서어트스텝에 의해서 제작된 중간 제품을 원심주조법에 의하여 상기 인서어터의 외주면에 장식재료를 융착·응고시켜 장식체를 성형시키는 성형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체 제작방법에 의하면, 장식체를 부착시키고자 하는 기본제품의 필요한 부분에 펀칭등의 방법으로 관통홀을 형성시키고, 이 관통홀에 필요에 따라 모재의 무게보다도 가벼운 혹은 무거운 재질로 이루어진 인서어터를 끼워 결합시키며, 인서어터가 끼워진 중간제품의 장식체 형성부분을 필요한 장시고형이 성형된 금형속에 걸은 다음, 장식재료의 금속용탕을 원심주조법으로 상기 각 중간제품의 장식체 성형부분으로 공급시켜 상기 인서어터 주변에서 장식재료의 금속용탕이 최소한 두께 만큼 용착·응고되게 하므로써 필요한 장식체를 요구되는 바의 무게에 따라 가볍게 혹은 무겁게 조절하면서 최소한의 장식재료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스푸운의 손잡이에 장식체를 만드는 경우에서 제1단계인 스푸운 손잡이 본체에 펀칭으로 관통홀을 뚫은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와 같이 뚫린 관통홀 속에 다른 재질의 인서어터를 삽입하여 끼운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상태에서 원심주조법에 인해 인서어터 위에 장식체를 주조성형시킨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구등의 손잡이에 적용시킨 경우를 제4도와 같이 도시한 종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스푸운 손잡이에 장식체를 만든 경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기본제품 B : 손잡이부
C : 중간제품 D : 장식체
E : 최종제품 F : 손잡이
1 : 관통홀 1a : 리브
1b : 관통부분 2 : 인서어터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는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된 모재에 거의 모두 적용시킬수가 있는바, 예컨데 장식체를 만들고자 하는 장식재질의 용융온도 보다 모재의 용융온도가 현걱하게 낮지 않고 또 쉽게 연소되지 않는 재질로된 모재이면 본 발명의 방법을 거의 모두 적용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경우를 다들어 설명하기가 불가능 하므로 2가지의 경우만을 들어서 설명하는바, 즉 스푸운 손잡이에 장식체를 형성시키는 경우와, 가구 또는 문고리 손잡이에 장식체를 형성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1내지 도5까지는 스푸운 손잡이에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장식체를 형성시킨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것인바, 먼저 장식체를 형성시키고자 하는 기본제품(A)울 이루는 숟가락의 손잡이부(B)에 프레스등을 이용해 펀칭하여 관통홀(1)을 형성시키고, 이 관통홀(1)속에 상기 기본제품(A)과는 다른재질로 된 인서어터(2)를 삽입시켜 중간제품(C)을 만든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1)을 형성시킬 때 이 관통홀(1)의 길이에 따라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리브(1a)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서어터(2)는 필요에 따라 기본제품(A)의 재질보다 가벼운 재질 또는 더 무거운 재질로 된 것, 예컨데 플라스틱 또는 납등을 사용할 수가 있고, 그 크기는 마지막으로 요구되는 장식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그러나 숟가락의 경우에 있어서는 손잡이부가 무거우면 사용하기가 불편하므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중간제품(C)을 도시되지 아니한 원심주조기에 사용되는 금형속에다 물려체결시킨 드음, 원심주조기의 중심부분에서 공급되는 금속의 용탕이 원심력에 의해 반경의 바깥쪽으로 유동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금형속에 주입되면, 금형에 형성된 캐빌의 형상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식체(D)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용탕의 금속은 장식체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를 할 수가 있는바, 가능한 유동성이 좋은 금속을 이용하는 바람직하다. 즉, 금, 은, 동 주석등의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장식체(D)의 바깥모양은 필요에 따라 성형금형의 캐비티를 제작자의 마음대로 만들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최종제품(E)은 도4와 도5에서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체(D)의 외가가을 이루는 장식재료가 인서어터(2)의 주변에 얇게 입혀지게 되기 때문에 그 소요량이 극히 작아지게 되고, 또 이러한 방식으로 장식체(D)의 외각이 용착되어 입혀지더라도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홀(1)의 앞·뒷쪽 일부분을 남겨두고 인서어터(2)를 삽입시키므로써 관통부분(1b)이 형성되도록 하여, 장식체의 장식재료를 용착시킬 때 상기 관통부분(1b)을 통해 손잡이의 상·하측 장식체(D)가 도4와 같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비록 인서어터(2) 주변에는 얇은 두께로 용착되지만 견고한 결합력을 유디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본 발명의 방법을 문고리 또는 가구등의 손잡이(F)에 적용시킨 경우를 도시한로서, 이러한 손잡이(F)는 육중한 맛이 있어야 좋으르로, 그 무게를 기본 모재보다 더 주도록 하기 위해 인서어터(2)를 무거운 재질로 된 것, 즉 납등을 이용해서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식체 제조방법에 의하면, 장식체의 무게를 필요에 따라 임의대로 조정할 수가 있고, 또 장식체의 재질소요량을 줄일수가 있으므로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장식체를 부착시키고저 하는 기본제품(A)의 소정 위치에 관통홀(1)이 형성되도록 기본제품(A)을 펀칭하는 펀칭스텝과; 상기 펀칭스텝에 의하여 관통홀(1)이 형성된 기본제품(A)에 인서어터(2)를 삽입시켜 중간제품(C)을 제작하는 인서어트스텝과; 상기 인서어트스텝에 의해서 제작된 중간제품(C)을 원심주조법에 의하여 상기 인서어터(2)의 외주면에 장식재료를 융착·응고시켜 장식체(D)를 성형시키는 성형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체 제조방법.
KR1019940002476A 1994-02-08 1994-02-08 장식체 제작방법 KR96001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2476A KR960013883B1 (ko) 1994-02-08 1994-02-08 장식체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2476A KR960013883B1 (ko) 1994-02-08 1994-02-08 장식체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20A KR950024820A (ko) 1995-09-15
KR960013883B1 true KR960013883B1 (ko) 1996-10-10

Family

ID=1937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2476A KR960013883B1 (ko) 1994-02-08 1994-02-08 장식체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8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20A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75523B2 (ja) 装身具の製造方法
KR960013883B1 (ko) 장식체 제작방법
EP1391160A2 (en) Pull tab of Slide Fastener Sli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260470B2 (ja) 異種金属による象嵌品の製造方法
US20030107153A1 (en) Mea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rier of information or decoration
JPH04253545A (ja) 象嵌品の製造方法
GB238096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jewellery
US6303198B1 (en) Hollow form surface pattern structure
JP2733538B2 (ja) メガネフレーム用モダンの製造方法
JPS59130137A (ja) 表面に文字、図形等の装飾を施したチヨコレ−ト菓子の製造方法
KR100332405B1 (ko) 다단 주조형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N208812344U (zh) 一种安装有微型模芯的模具
US5806167A (en) Ornament of steel tube furniture fr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078559U (ja) 貴金属装飾品
KR200189132Y1 (ko) 다단 주조형 귀금속 장신구
KR950026591A (ko) 금주조 시계 및 그 제조방법
JP3900423B2 (ja) 自動車用ナックル
JPH03143406A (ja) フック式中留の製造方法
JPS60189408A (ja) プラスチツク及びダイカスト用成形金型
JP2002320508A (ja) 貴金属装飾品の製造方法
US5952113A (en) Multi-colored cast jewelry
JP2005160523A (ja) バックル
JPS6083740A (ja) 貴金属指輪の製造方法
JPH0245579B2 (ko)
JP2002186510A (ja) 貴金属装飾品および貴金属装飾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