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604B1 - 고로취입용 혼합미분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로취입용 혼합미분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604B1
KR960013604B1 KR1019930031053A KR930031053A KR960013604B1 KR 960013604 B1 KR960013604 B1 KR 960013604B1 KR 1019930031053 A KR1019930031053 A KR 1019930031053A KR 930031053 A KR930031053 A KR 930031053A KR 960013604 B1 KR960013604 B1 KR 960013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mixed
volatile
content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398A (ko
Inventor
김성만
진병철
이호창
Original Assignee
조말수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백덕현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말수,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백덕현,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조말수
Priority to KR101993003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604B1/ko
Publication of KR950018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4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powdered co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7Carbonized vegetable substances, e.g. charcoal, or produced by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biom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로취입용 혼합미분탄 제조방법
제1도는 혼합탄의 휘발분함량 측정치와 이론 평균휘발분함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고로에 취입되는 미분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저휘발분탄과 고휘발분탄을 혼합하여 고로취입용 혼합미분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로를 이용한 선철생산에 소요되는 연료인 코크스의 제조는 환경오염, 코크스로 신설을 위한 막대한 투자비 및 코크스 제조원가 상승등의 요인에 의해 용선제조원단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코크스 사용량의 일부를 석탄에 의해 대체하고자 고로 풍구부를 통해 미분탄을 직접 투입하는 미분탄 취입조업이 실시되고 있으며 각 제철소별로 취입량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미분탄 취입조업 및 취입량증대의 전제조건으로 고로 연소대내에서 미분탄의 연소성 확보가 요구된다. 즉 연소성이 불량한 탄종을 취입하는 경우 연소되지 못한 상태로 고로 연소대를 벗어나 노상부로 이송되는 미연소분의 발생은 직접적인 연료비 상승을 야기시킬 뿐 아니라 노내 통기성 악화, 노벽부의 열부하 심화, 풍압상승등을 야기시킴으로 노황불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 고로 미분탄 취입조업의 경우 연소성이 좋은 석탄의 선택적 취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취입량이 증대될수록 연소성이 우수한 탄종의 확보를 위해 취입가능한 석탄의 성상이 제약을 받고 있다. 즉 미분탄의 연소성과 관련하여 휘발분량이 약 30% 이상인 단일탄종에 의존하는 취입이 진행되고 있다. 이 이하의 휘발분함유량을 갖는 석탄에 의한 미분탄 취입조업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들로 인한 연료비의 현격한 상승 및 노황불화의 가능성으로 인해 취입이 제한을 받고 있다.
본 발명은 연소성이 불량하여 고로 미분탄 취입조업에 사용할 수 없는 석탄을 고휘발분탄과 혼합하여 고로 취입조업에 사용이 가능한 혼합미분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저휘발분탄과 고휘발분탄을, 최종 혼합분탄의 휘발분함량이 25% 이상이 되도록 혼합하여 고로취입용 혼합미분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표 1은 본 실시예에 사용된 시료탄에 대한 공업분석치를 나타내며, 통상, 휘발분이 약 22% 이하인 탄종을 저휘발분탄이라고 하고, 약 30% 이상인 탄종을 고휘발분탄이라고 한다.
상기 표 1에서 C, D, E탄은 휘발분함량이 30% 이상으로 현재 실고로에서 취입조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미분탄이고 A 및 B탄은 미분탄 취입조업의 휘발분함량 관리치 약 30% 보다 낮아 취입이 불가능한 범위의 휘발분함량을 갖는 탄종이다.
이들 시료탄을 기준으로 각 탄종간의 여러 혼합형태에 의해 제조된 혼합시료탄의 연소성을 비교, 평가하여 실고로에의 취입성을 판단하였다. 하기 표 2는 고로 연소대를 모사한 조건하에서의 각 단일 시료탄의 상대적인 연소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대 연소율은 실험연소조건하에서 실고로 취입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D 시료탄의 연소율에 대한 각 시료탄이 나타내는 연소율의 상대적인 비를 의미한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휘발분 함량이 낮은 A 및 B 시료탄의 경우 실고로에 취입되는 C, D 및 E 탄종들에 비해 매우 낮은 연소율을 나타내어 이 탄종들 자체만으로는 실고로 미분탄 취입조업에 사용되기 적합치 못한 탄종임을 알 수 있다. 이 탄종들의 실고로 취입을 가능케하기 위해 여러형태의 혼합탄시료를 제조하여 동일한 연소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3에 나타내었다.
즉, 하기표 3은 A, B 시료탄에 휘발분함량이 높은 C, D 및 E 탄종들을 혼합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 혼합시료탄의 휘발분량 및 상대연소율을 나타낸다.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A탄과 B탄간의 혼합의 경우에 있어서는 어느 혼합비에 있어도 낮은 상대 연소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이외의 혼합의 경우에 있어서는 고휘발분탄의 혼합에 따라 연소성이 뚜렷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휘발분함량이 낮아 연소성이 불량한 탄종에 고휘발분의 탄종을 혼합하는 경우 혼합형태에 따라 연소율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때 혼합된 시료탄의 휘발분함량이 약 25% 이상인 경우 혼합형태에 관계없이 실고로 취입탄종이 D 시료탄의 연소율 이상의 연소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두 가지의 서로 다른 탄종을 혼합하여 휘발분함량 25% 이상이 되는 혼합탄을 제조하는 경우 미분탄 취입조업에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휘발분함량이 낮아 단일 탄종으로는 취입이 곤란한 탄종의 사용을 원하는 경우, 휘발분함량이 높은 탄을 중량비를 조정하여 첨가함으로써 혼합탄의 휘발분함량이 25% 이상되도록 혼합탄을 제조하면 실고로 조업에 취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휘발분함량 25% 이상의 혼합탄 제조를 위해서는 임의의 탄종끼리의 혼합비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게된다. 이와 같은 기준의 설정을 위해 상기 탄종들을 여러 혼합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탄을 사용하여 공업분석에 의한 휘발분함량을 측정하고 이를 이론치와 비교하여 제1도에 나타내었다.
제1도에는 개개의 단일 탄종의 휘발분함량 및 탄종간 질량비로부터 계산된 이론적 평균휘발분함량과 제조된 혼합탄을 공업분석하여 실측한 제조혼합탄의 휘발분함량과의 관계를 표시하였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된 혼합탄의 휘발분 실측치는 혼합탄 제조에 사용된 개개 단일 탄종의 휘발분함량 및 질량비에 의해 계산된 이론적 평균 휘발분함량과 잘 일치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탄종의 혼합에 의해 고로 미분탄 취입을 위해 요구되는 25% 이상의 휘발분을 함유하는 혼합탄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혼합탄 제조에 사용되는 개개 탄종의 휘발분함량만 측정되면 임의의 휘발분함량을 갖는 혼합탄 제조를 위한 혼합비를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미분탄을 사용하여 미분탄 취입조업을 시행하는 경우 고로공정에서의 미분탄취입용 석탄의 선택범위가 확대되며 현재취입이 불가능한 저가탄종의 취입을 통해 용선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1)

  1. 저휘발분탄과 고휘발분탄을, 최종혼합탄의 휘발분함량이 25% 이상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취입용 혼합미분탄의 제조 방법.
KR1019930031053A 1993-12-29 1993-12-29 고로취입용 혼합미분탄 제조방법 KR96001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053A KR960013604B1 (ko) 1993-12-29 1993-12-29 고로취입용 혼합미분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053A KR960013604B1 (ko) 1993-12-29 1993-12-29 고로취입용 혼합미분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398A KR950018398A (ko) 1995-07-22
KR960013604B1 true KR960013604B1 (ko) 1996-10-09

Family

ID=1937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053A KR960013604B1 (ko) 1993-12-29 1993-12-29 고로취입용 혼합미분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003A (ko) * 2014-08-27 2017-03-1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고로로의 미분탄 취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003A (ko) * 2014-08-27 2017-03-1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고로로의 미분탄 취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398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604B1 (ko) 고로취입용 혼합미분탄 제조방법
KR102080705B1 (ko) 산소 고로로의 미분탄 취입 방법
CN100376659C (zh) 一种熔窑熔制玻璃用固液混合燃料
US4428769A (en) Process for injecting a reducing agent including ash-bearing bituminous coal into the hearth of a blast furnace
KR100395096B1 (ko) 갈탄을이용한고로미분탄취입방법
CN105778959B (zh) 一种利用劣质炼焦煤生产民用焦的方法
JPS5712096A (en) Combustion method for powder fuel
CN101880562A (zh) 一种熔制玻璃用固体焦燃料
DE19613570C2 (de) Einrichtung zum Ausbrennen von Ofengasen in Schachtschmelzöfen
KR100206498B1 (ko) 고로취입용 혼합 미분탄 제조방법
CN112593031A (zh) 一种高炉喷吹用混合燃料及其喷吹方法
GB993010A (en) Method of protecting the refractory walls of industrial furnaces against radiation
KR20040035467A (ko) 미분탄 취입조업시 치환율 추정방법
RU1835029C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 смолистых веществ
Guan et al. Research on the Influence on Briquette Characteristics by Blended Coal Preparation
Zhou et al.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 COAL SLIME PARTICLE UNDER DIFFERENT OXYGEN CONCENTRATIONS AND COFLOW TEMPERATURES IN N2/O2 ATMOSPHERE
Hatamo et al. Basic study of the utilization of new commercial fuels by using an experimental blast furnace
JPS55116612A (en) Manufacture of activated carbon
Ishikawa et al. Combustion behavior of pulverized coal under high temperature atmosphere
JP2001064707A (ja) 高炉操業方法
CN113845955A (zh) 一种高炉煤粉助燃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7791A (en) Improvement in the use of coal-tar in iron-furnaces
CN115727338A (zh) 一种电站煤粉锅炉高负荷下大比例燃用准东煤的方法
JPH0351606A (ja) オイルコークスの吹込み方法
SU643451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изве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