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567B1 - 화장료 충전용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료 충전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567B1
KR960013567B1 KR1019890001496A KR890001496A KR960013567B1 KR 960013567 B1 KR960013567 B1 KR 960013567B1 KR 1019890001496 A KR1019890001496 A KR 1019890001496A KR 890001496 A KR890001496 A KR 890001496A KR 960013567 B1 KR960013567 B1 KR 960013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smetic
substrate
relief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919A (ko
Inventor
다카시 기네토모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샨송 게쇼힌 혼포
가와무라 오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샨송 게쇼힌 혼포, 가와무라 오사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샨송 게쇼힌 혼포
Publication of KR900005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sme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장료 충전용 용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충전용 용기의 구성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릴리이프 층의 제작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도는 릴리이프 층 적층 형식의 용기의 일례에 대한 제작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평탄한 기판위에 릴리이프 층을 형성시킨 예비성형 용기를 진공성형에 의해 그 기판의 캐비티 부분을 오목하게 설치하는 제작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및 제6도는 기판을 밀 요철성형시켜 두고, 상기 요철 기판위에 릴리이프 층을 형성시키는 형식의 용기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5도는 기판의 프레스 성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6도는 프레스 성형후의 요철 기판위에 릴리이프 층을 형성시킬 경우의 제작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네가티브 필름 4,6 : 릴리이프 층
5 : 릴리이프 부편 7 : 금형
9 : 제2베이스 판 10 : 제1베이스 판
11 : 베이스 기판 12 : 감광성 수지 시이트
본 발명은 신규의 화장료 충전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판매 상품 형태는 볼에 바르는 연지 등의 화장료를 충전하는 캐비티를 가진 접시모양의 용기, 또는 근래에 있어서는 얇은 판에 얇은 오목한 부분을 형성시켜서 화장료 충전 요부로 한 카드형 용기를 하나의 단위로 하고 있다.
그 용기 자체의 형성 또는 화장료를 충전하는 캐비티의 형상 등의 단순하건 복잡하건 간에, 상당히 많은 양의 것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판매되는 상품이며, 일품생산품이 아니므로 이 용기를 효율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생산 기술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같은 화장료 충전 용기의 대량생산에 적합한 종래 일반적인 제조 방법에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1) 충전 화장료의 형상에 맞는 트리밍 다이를 만들고, 두께가 있는 소재를 그 형상으로 타발한다. 베이스 부가 필요한 경우에는 접착제, 열융착 등에 의해 베이스 시이트를 접착시킨다.
(2)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레스 요철 형성용 금형을 제작하여 시이트재를 프레스 성형시킨다.
(3) 금형을 제작하여 주입 성형시킨다.
(4)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용 금형 또는 진공 성형용 금형을 제작하여 재료를 성형시킨다.
근래의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개별화 및 차별화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화장품의 제품 분야에서도 같은 용도, 같은 기능이 상품이더라도 모양이나 색깔을 서로 다르게 한 다양한 상품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르기 위해서는 다품종의 상품을 소량씩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단품의 용기를 제조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얇은 판자를 깍가 내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소량생산(small-lot production)의 경우에도 상업적인 대량 생산 규모의 수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일품 생산품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기술은 원가면에서 화장료 충전용 용기를 생산하는데 도저히 채산이 맞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상이한 화장료 충전용 캐비티를 갖는 용기를 소량생산하는데 적합한 용기 및 용기 제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일반적인 화장료중 예를 들어 메이크-업 화장료를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접시모양의 용기에 프레스 충전 또는 주입 충전시키는 것으로 화장료 상품을 제공하는 경우에 이 용기내의 접시는 일반적으로 원형, 장방형 또는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용기를 임의의 도형, 그림의 오목한 부분을 가진 화장료 충전용 용기로서 효율적으로 그리고 염가로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근래와 같이 패션화 상품의 하나가 된 화장료에 대해서도 매우 바람직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비용과 제작 기간이 걸리는 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목적하는 도형 및 그림을 화장료 충전용의 오목한 부분으로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용기 소재 및 용기 제조 방법에 대해 검토하고, 본 발명과는 그 용도, 분야가 전혀 다른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작 기술 또는 플렉소인쇄판(flexographic printing plate)의 제판 기술을 응용하는 방안을 착안해 냈다. 이러한 기술은 액체나 고체를 충전시키기 위한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은 아니지만, 프토레지스트에 대해 목적하는 미소 패턴의 포지티브 상과 네가티브 상을 갖는 마스크를 통해 노광시키고, 현상시킨 후, 미경화부를 세정제거하고, 경우에 따라 에칭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판상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점에서 광의로는 공통된 기술이며, 미소한 패턴을 형성시키는데 적합한 기술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기술을 용기 제작에 응용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다품종의 용기를 소량생산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고하고, 동시에 금형 제작비의 부담이 적은 화장료 충전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복잡한 그림 패턴을 갖는 용기를 정밀도 높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화장료 용기로서 요구되는 화학적, 물리적 안정성, 내약품성, 내열성 및 표면 경도가 만족스럽고 용기 표면의 보호나 장식도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충전 면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동시에 오목한 부분의 깊이(두께)도 간단히 선택할 수 있는 신규의 화장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 실현을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화장료 충전용 용기의 특징은 일반적으로는 평판 모양의 기판, 상기 기판위에 마스크를 통해 노광시킨 다음, 미노광부를 세정 제거하여 소정 패턴을 갖는 화장료 충전용의 캐비티를 형성시킨 감광성 수지를 소재로 한 릴리이프 층을 지니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릴리이프 층의 상부 표면을 피복시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용기의 베이스 부가 되는 기판은 용기의 베이스부로서의 기계적 강도와 릴리이프 층 제작시의 세정 작업에 대한 내수성을 만족하는 한, 특별한 제한이 없다. 기판의 예로는 알루미늄, 철 등의 여러 가지 금속 시이트, 플라스틱 시이트, 플라스틱 라미네이트지를 들 수 있다.
화장료 충전용의 캐비티를 제공하는 릴리이프 층은 감광으로 충분히 경화시켜 캐비티에 충전시킨 화장료에 대해 화학적으로 안정함과 동시에 화장료 충전시의 충전조건에 대해서도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기판과의 사이의 접착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하는 릴리이프 층을 형성하는 감광성수지 소재의 예로서는 일본 특허 공고 공보 제 55-13018호, 제55-34931호, 제 56-1618호, 제 56-54344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환화 폴리이소프렌,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계 광중합성 모노머, 폴리비닐알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감광성 수지는 액생의 것을 사용해도 되지만 미리 소정 두께로 건조 시이트화하여 성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치수 제어, 제판 스피드, 기포, 이물 흡입 등의 관점에서 작업상 적합하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릴리이프 층 표면의 표면층에 의한 피복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수행된다.
그 하나는 캐비티에 충전되는 화장료에 이물이 혼압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 때문이다. 즉, 캐비티를 구성하는 벽면등은 감광성 수지제 층, 접착제 층 및 기판이며, 이들은 기본적으로 독성이 실질적으로 없고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용기로서 충분히 안정성이 높은 것이지만, 당해 화장료가 피부의 도포되어 사용되는 것임을 감안하여 만약의 경우 이물 혼합도 방지할 목적으로 캐비티의 내면 코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처리로서는 화장료 용기로서 사용되어온 아크릴계 도료, 래커 도료, 에폭시 도료, 니스, UV이크 또는 화장료 원료인 왁스류를 스프레이, 침지, 커튼코트 등으로 도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피복의 다른 목적의 하나로서는 릴리이프 층의 표면(상부표면)을 장식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감광성 수지 층은 자와선을 받아 경화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므로 차폐성이 없는 무색투명의 것이 일반적이지만 노광 광선이 조사 목적 부위 이외로 산란하지 않도록 할레이션 방지 도장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형성된 예를들어 판모양(카드모양)의 용기는 전체에 할레이션 방지 도료의 색(일반적으로 황색)을 띤다. 이 경우 그 바탕색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화장료를 충전시킨 부분을 구분하는 릴리이프 층의 상부표면은 적절히 착색시키므로써 화장료의 색깔을 돋보이게 하는 등의 배색 처리를 하는 것이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게 되는 잇점이 있다.
표면피복의 또 다른 목적은 릴리이프 층의 상부 표면에 발유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릴리이프가 비교적 얕고 또한 복잡한 도형의 캐비티에 화장료를 충전시킬 경우, 내용물의 레빌링성과 충전물의 고화 정착까지의 취급 용이성은 이러한 제품류의 생산 능률상 커다란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유성 재료의 충전시에는 용기의 표면장력 또는 습윤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립스틱 베이스용 왁수류의 표면장력은 50 내지 60dyn/㎝이며, 용제 유동화시킨 아이섀도우 조성물은 30 내지 50dyn/㎝이므로 당해 용기의 상표표면이 상기 물질들의 표면장력보다도 수치적으로 작은 표면장력을 갖도록 발유성 물질을 도포해 두는 것이 상기한 생산성면에서 요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표면처리를 위해서는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등이 적절하게 사용되며, 이것을 스크린인쇄, 전사도포, 롤러코트 등으로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수지 층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하기 공정(1) 내지 (4)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 1개 또는 복수개의 도형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미리 네가티브 필름을 제작하고, 소정의 깊이, 예를 들어 0.5 내지 7.0㎜의 깊이가 얻어지도록 기판(2)위에 적층(도포 또는 시이트를 접착)시킨 감광성 수지층(3)위에 상기 네가티브 필름(1)을 겹쳐 노광시킨다.
이어서, 미노광된 미경화 부분(3a)의 감광성 수지를 충분히 세정시키고, 충분히 후경화시킨 후, 경화 부분(31)을 완전히 경화시켜서 제1도에 예시된 것과 같은 소정의 도형이 형성된 용기의 수지 층을 형성시킨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스프린인쇄등에 의해 릴리이프 층(감광성 수지가 경화된 부분)의 상부표면을 인쇄도장시키고, 표면의 점착 방지와 착색 효과를 갖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마무리 처리로서 용기의 표면을 왁스,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등으로 처리하여 안전성과 표면 오염 방지성을 부여한다.
(2) 상기 (1)에서 얻어지는 용기의 릴리이프 층의 길이가 부족할 경우(1회의 노광에 의한 릴리이프 층의 깊이는 통상 7㎜정도임)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의 캐비티를 갖는 릴리이프 층(4)위에 이것과 동일한 패턴의 네가티브 필름으로 성형되고 감광 경화가 완료된 릴리이프 부편(기판이 없는 릴리이프 층에 해당)(5)을 다층으로 겹쳐서 접착하여 캐비티 깊이가 갚은 화장료 용기를 제조한다.
(3) 우선 결질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시이트를 기판으로 하여 상기 (1)의 공정에 따라 릴리이프 층(6)을 지니며 또한 베이스부가 수평인 기판의 용기를 예비성형시킨다.
이어서 이것과 동일한 캐비티를 갖는 금형(7)을 사용하여 진공 성형법에 의해 상기 예비성형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시이트로 된 평탄한 기판에 캐비티 부분의 베이스 부를 오목하게 형성시킨다.(제4도 참조).
이렇게 하면 캐비티 용적이 약 2배로된 용기가 얻어진다.
이 경우, 진공 성형법에 사용되는 금형(7)으로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네가티브 필름과 기판으로서 금속 시이트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1)에 따라 제작할 수 있다.
(4) 금속 기판위에 캐비티의 역전 네가티브 상을 갖도록 상기 (1)의 방법으로 형성시킨 릴리이프 층을 갖는 제1의 베이스 판(10), 및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정전 네가티브 상을 갖도록 형성시킨 릴리이프 층을 갖는 제2의 베이스판(9)을 각각 제작한다. 이것을 요철 형성용 금형으로서 사용하여 용기의 베이스 기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요철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11)을 먼저 제작한다(제5도 참조).
이어서, 상기 프레스 성형시킨 요철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11)위에 감광성 수지 시이트(12)를 고착시킨다. 다시 그 위에 정전 네가티브 필름(1)을 소정 위치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정확하게 겹쳐 놓고, 상기 (1)의 순서에 따라 노광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릴리이프 층의 깊이는 같아도 용기의 깊이를 2배로 한 용기가 얻어진다.
다음은 도면에 예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세로, 가로 97㎜의 정방형의 면내의 나비모양을 도안하였다(이 도안은 맥과 윤곽에 의해 23개의 구획으로 나뉜다). 상기 패턴을 24면 붙임한 A2판 크기의 아트지를 원판으로 하여 네가티브 농도가 3.0이상으로 완성시킨 네가티브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스틸로 된 기판위에 접착제, 및 할레이션 방지층이 도포된 시판 감광성 수지 시이트[Rigilon MX Ⅱ-145](일본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붙이고, 하기 순서에 따라 릴리이프 층의 높이가 1.1㎜인 캐비티를 갖는 릴리이프 층을 형성시켰다.
노광조건 : 파장 250 내지 430㎜의 40W 케미칼 램프로 3분간 노광시켰다.
세출 조건 : 브러시식 세출기에 의해 미경화된 수용성 감광 수지를 세정 제거했다. (용액 온도 30℃, 5분간)
수분 제거 조건 : 압출 공기로 수분 제거한 후, 90 내지 100℃의 온풍 순환 건조기로 10분간 건조시켰다.
후노광 : 10분간 상기 케미칼 램프로 노광 경화시켰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료 용기로서 하기 후처리를 실시하였다.
표면 도장 : 릴리이프 층의 상부표면을 흑색 잉크로 실키인쇄하여 상온건조시켰다.
표면 보호 : 시판 스프레이식 보호코팅 Scotch Guard(실리콘 수지)를 전면에 분무하여 도포하였다.
재단 : 마스킹 필름으로 커버하고, 사방 97㎜ 크기의 재단하여 24매의 카드형 용기를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한 화장료 충전용 용기를 고온 플레이트상에 놓고, 주입타입의 립스틱을 80℃로 가열 용융하여 이것을 상기 용기의 소정 요부(캐비티)에 주입했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모자이크식으로 착색된 나비그림의 립스틱 화장품이 제조되었다.
실시예 2
A4판 사이즈의 아트지에 8종의 꽃무늬를 도안하고 각각을 균등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원판을 제작하였다(도안 외곽치수 : 53㎜×86㎜)
이 원판으로부터 2종의 플레이트, 즉 밀도가 3.0이상인 통상의 네가티브 플레이트와 포지티브 플레이트를 만들었다.
알루미늄(두께 0.6㎜)으로 된 베이스 기판과 릴리이프 층의 두께가 2.1㎜(총 두께 2.7)인 감광성 수지 시이트[Rigilon MX Ⅱ-270](일본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포함하는 A4판 시이즈의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과 같은 순서로 오목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역전되어 있는 한쌍의 원판을 제작하였다.
노광 조건 : 파장 250 내지 430㎜의 40W 케미칼 램프로 4분간 노광시켰다.
세출 조건 : 브러시식 세출기에 의해 미경화된 수용성 감광 수지를 세정 제거했다. (용액 온도 30℃, 7분간)
수분 제거 조건 : 압출 공기로 수분 제거한 후, 100℃의 온풍 순환 건조기로 30분간 건조시켰다.
후노광 : 20분간 상기 케미칼 램프로 노광 경화시켰다.
이어서 종이 두께가 0.6㎜이고 양면에 0.1㎜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층이 도포된 폴리프로필렌 코팅지를 준비하였다. 상기 한쌍의 원판을 부착한 프레스기로 요철을 형성하여 약 2.0㎜의 요철부가 형성된 시이트를 제조했다. 프레스 조건은 80℃에서 3분간, 200㎏/㎠로 했다. 이어서 요철 형성된 시이트의 볼록한 부분에 롤러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감광성 시이트[Elaslon H-200]를 겹쳐 놓았다. 그 위에 8개로 나누어진 8개의 도안이 형성되어 있는 네가티브 타입의 네가티브 필름을 정합위치시켰다.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여 릴리이프 층의 두께 2.0㎜, 요철부의 두께 2.0㎜, 즉 오목한 부부의 총 두께가 4.0㎜인 용기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8매의 소정 크기로 타발하여 8종의 도안이 상이한 카드형 용기를 제조하였다. 이상과 같이 형성시킨 용기에 각기 배색을 바꾸어 가부시키가이샤 샹숑 게쇼힝 혼뽀의 액상화 충전타입의 아이섀도우를 충전하였다. 건조시킨 후, 도안과 배색이 상이한 여러 종의 화장품을 수득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형상의 캐비티를 가진 화장료 충전용 용기를 소량생산방식으로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소량 다품종의 요구에 대해서도 저렴한 원가로 용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제조 기술로서 그 유용은 매우 큰 것이다.

Claims (6)

  1. 평판상의 기판과 : 이 기판위에 고착되며, 감광성 수지를 소재로하여 스크를 통해 노광시킨 후에 미노광부를 세정제거하여 소정 패턴의 화장료 충전용의 캐비티를 형성시킨 릴리이프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충전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이프 층의 상기표면을 표면층으로 피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충전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이 착색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충전용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금속판, 플라스틱 시트 또는 필름 라미네이트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충전용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이프 층위에 동일 패턴의 관통공형 캐비티를 갖는 다른 릴리이프 층을 겹쳐서 쌓아 고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충전용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레스 성형 또는 진공 성형에 의해 소정 패턴의 캐비티의 베이스가 오목하게 설치된 기판위에 동일패턴의 관통공형 캐비티를 갖도록 릴리이프 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충전용 용기.
KR1019890001496A 1988-10-27 1989-02-10 화장료 충전용 용기 KR960013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71399 1988-10-27
JP63271399A JP2666985B2 (ja) 1988-10-27 1988-10-27 化粧料充填用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919A KR900005919A (ko) 1990-05-07
KR960013567B1 true KR960013567B1 (ko) 1996-10-09

Family

ID=1749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496A KR960013567B1 (ko) 1988-10-27 1989-02-10 화장료 충전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666985B2 (ko)
KR (1) KR960013567B1 (ko)
GB (1) GB2224368B (ko)
HK (1) HK1343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323B1 (ko) * 2017-02-08 2017-09-29 한종일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6367A (en) * 1934-12-06 1939-07-18 Edward O Norris In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etallic screens
US4664996A (en) * 1983-06-24 1987-05-12 Rca Corporation Method for etching a flat apertured mask for use in a cathode-ray tube
US4741988A (en) * 1985-05-08 1988-05-03 U.S. Philips Corp. Patterned polyimide film, a photosensitive polyamide acid derivative and an electrophoretic image-display cell
CA1308596C (en) * 1986-01-13 1992-10-13 Rohm And Haas Company Microplastic structure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737425A (en) * 1986-06-10 1988-04-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tterned resist and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66985B2 (ja) 1997-10-22
HK134394A (en) 1994-12-09
JPH02116310A (ja) 1990-05-01
GB2224368A (en) 1990-05-02
GB8901870D0 (en) 1989-03-15
GB2224368B (en) 1993-01-20
KR900005919A (ko) 199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8224A (en) Reproduction process for oil paintings
CN110382250A (zh) 用于制造印花的方法、印花、用于制造印花的设备以及用于装饰对象表面的方法
DE108320T1 (de)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r dekorfolie.
KR960013567B1 (ko) 화장료 충전용 용기
KR100516276B1 (ko) 3차원 입체무늬를 가지는 인공피혁의 제조 방법
US20060029744A1 (en) Method of making an energetic beam markable
KR102111277B1 (ko) 리얼 무늬 패턴이 형성된 판상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CA1043245A (en) Marble-patterned bathtub, basin or sink
JPS55111227A (en) Production of polyester resin decorative laminated board
JPH0380107B2 (ko)
JPS6230030A (ja) 合成樹脂成形品の模様形成方法
JPH0245934B2 (ko)
JPS62251181A (ja) エンボス形成法
KR960001654B1 (ko) 입체감을 갖는 고광택 장식무늬판 및 그 제조방법
JPS59220356A (ja) オフセツト印刷の施こされたアルミニウムキヤツプの製造方法
JPH0255109B2 (ko)
JPH0456675B2 (ko)
JPS642502B2 (ko)
JPS5584579A (en) Decorated plate and its manufacture
JPH0156643B2 (ko)
JPS6210125Y2 (ko)
JPH0692090A (ja) 凹凸模様付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法
JPH07246693A (ja) 虹彩模様を呈する積層体
JPS6322871B2 (ko)
JPH069832B2 (ja) 模様付プラスチック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