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413B1 -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413B1
KR960013413B1 KR1019940010149A KR19940010149A KR960013413B1 KR 960013413 B1 KR960013413 B1 KR 960013413B1 KR 1019940010149 A KR1019940010149 A KR 1019940010149A KR 19940010149 A KR19940010149 A KR 19940010149A KR 960013413 B1 KR960013413 B1 KR 96001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lt
blackboard eraser
automated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542A (ko
Inventor
임천수
임익수
Original Assignee
임천수
임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천수, 임익수 filed Critical 임천수
Priority to KR101994001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413B1/ko
Publication of KR95003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Ⅰ-Ⅰ선을 따라 절취한 요부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요부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요부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의 정면도로서, 펠트의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절개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의 우측면도로서, 부분적으로 절개한 부분 절개 우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통 1a : 측벽
1b : 측벽 1c :바닥판
1d : 안내공 1f : 미끄럼 방지판
1j : 와이어 1k : 스프링
2 : 전면 커버 3 : 집진통
4 : 축전지 박스 4a : 축전지
5 : 스위치 버튼 6 : 펠트
10 : 피동롤러 11 : 종동롤러
12 : 전기모터 13 : 유성기어
14 : 제1감속기어 15 : 동력 분배 샤프트
15c : 구동풀리 16 : 제2감속기어
17 : 피동 샤프트 17a : 피동 샤프트 기어
18 : 제1브러시 롤러 18a : 제1풀리
18b : 제1평기어 19 : 제2브러시 롤러
19a : 제2풀리 19b : 제2평기어\
20 : 아이들링 기어 22 : 고무벨트
24 : 보빈 24a : 요홈
25 : 블레이드 드럼 25a : 블레이드 풀리
25b : 블레이드 26 : 러버 디스크
26b : 스크류
본 발명은 칠판 지우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칠판 표면에 쓰여진 분필적(粉筆跡)을 지울 때, 지우개의 표면에 닦여진 분필가루를 자동적으로 털어내는 집진함으로써 더욱 깨끗하게 칠판을 닦을 수 있으며, 교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청소기능 및 분필가루 집진장치를 갖는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폰지 또는 솜 등이 내장된 헝겊으로 만들어진 칠판 지우개로 칠판에 쓰여진 분필적을 닦아낸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칠판 지우개는 헝겊의 표면적이 적기 때문에 많은 양의 분필적을 지울 경우, 지우개의 표면에 분필가루가 쉽게 포화상태로 부착되므로 칠판 표면에 지우개가 지나간 자리에 분필가루가 남게되므로 칠판 표면이 매우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필가루가 포화상태로 부착된 칠판 지우개를 사용할 경우, 분필가루가 칠판 주위로 떨어지거나 대기로 날아 다니게 되므로 교육환경이 매우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칠판 표면을 보다 깨끗이 관리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지우개를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된 지우개는 부착된 분필가루를 매번 털어낸 뒤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헤진 지우개는 사용하기가 어려워 폐기되므로 환경공해의 원인이 되는등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칠판 지우개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칠판 대용으로 표면에 흰색으로 피복된 피막층을 갖는 화이트 보드와, 분필 대용으로 분진이 발생되지 않는 수성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수성펜의 잉크에 의해 화이트 보드의 표면이 오염되어 선명도가 저하되기도 하며, 또한 수성펜용 지우개 역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깨끗하게 지울 수 없어 수시로 지우개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설치비용이나 유지비용 역시 종래의 칠판 및 지우개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종래의 칠판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가 개발되었던 것으로, 즉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87-2244호에 의하면 양단에 기어가 고정된 한쌍의 원통로울러 지우개를 철판의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칠판의 상,하부에는 상기 기어 안내되는 랙을 설치하여 동력원으로 상기 원통로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통로울러가 랙을 따라 칠판의 좌우로 이동하면서 칠판 전체를 닦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칠판 지우개가 칠판에 고정설치된 것이므로 임의로 이동시킬 수 없고, 동력원을 작동시키게 되면 한쌍의 원통로울러 지우개가 랙을 따라 칠판의 좌우로 이동하면서 칠판 전체를 지우게 되는 것이므로 칠판의 분필적을 부분적으로 지우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칠판 지우개를 칠판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이므로 하나의 칠판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여러개를 구비하여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고장시 수리하는 동안 칠판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종래의 칠판 지우개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칠판 지우개를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칠판에 쓰여진 분필적을 닦아낸 분필가루를 수시로 털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항상 깨끗하게 칠판을 닦을 수 있는 칠판 지우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칠판주위로 날리는 미세한 분필가루를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교육환경을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칠판 지우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칠판에 쓰여진 분필적을 닦아냄과 동시에 닦여진 분필가루를 털어내어 집진통에 일괄 수거할 수 있는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칠판의 분필적을 원하는 부분만 선택적으로 지울 수 있고,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의 단일품으로 제작하여 이동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통과, 상기 몸통내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정간격 이격된 피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피동롤러 및 종동롤러에 양단이 밀착되도록 걸림유지되고 몸통의 저면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칠판의 분필적을 닦아내는 무한궤도형 펠트와, 상기 펠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펠트가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펠트 표면에 부착된 분필가루를 털어내기 위한 크리닝수단과, 상기 크리닝수단에 의해 털려진 분필가루를 일정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및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분필가루를 집진통으로 수거하기 위한 집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 참조하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크게 몸통(1), 전면 커버(2), 집진통(3), 축전지 박스(4) 및 스위치 버튼(5) 및 무한 궤도형 펠트(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1)은 칠판 지우개의 메인 몸체로 그 내부에 칠판 표면을 닦는 펠트(6)와 상기 펠트(6)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 상기 크리닝수단, 이송수단 및 집진수단이 내장되거나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면 커버(2)는 상기 펠트(6)의 교환시 상기 몸통(1)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상기 몸통상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집진통(3)은 상기 몸통(1)속에 내장된 펠트에 의해 닦여진 분필가루를 수거하고 일정량 이상 집진되었을때, 집진된 분필가루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뚜껑(3g)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1)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축전지 박스(4)는 상기 펠트(6)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 즉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회동수단이 전기모터(12)인 것으로 예시하였는바, 상기 전기모터(12)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4a) 수납부이다.
상기 스위치 버튼(5)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전기모터(12)로 공급되는 축전지(4a)의 전류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손잡이로서, 칠판 지우개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칠판 지우개를 파지하였을때, 상기 몸통(1)속으로 상기 스위치버튼(5)이 가압되어 내장된 스위치가 온·오프 접점이 연동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축전지 대용으로 외부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의 외부에 콘넥터가 부설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제2도는 제1도의 Ⅰ-Ⅰ선을 따라 절취한 요부 다면도이고, 제3도는 제1도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요부 단면도로서, 펠트에 동력 전달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 궤도형 펠트(6)는 몸통(1)의 양측벽(1a)(1b)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피동롤러(10)와 종동롤러(11)의 원주면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펠트(6)의 하측은 상기 몸통(1)의 바닥판(1c)의 양측에 절결된 안내공(1d)를 통과하여 상기 바닥판(1c)의 저면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펠트(6)의 상측은 상기 몸통(1)과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상측 펠트(6)의 저면을 지지하는 트레이(1e)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피동 및 종동롤러(10)(11)는 상기 몸통(1)의 양측벽(1a)(1b)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롤러(11)에는 상기 펠트(6)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 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력 조절수단은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장력 조절수단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지게 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피동롤러(10)의 원주면에는 미립자의 모래 알갱이 등이 접착되어 상기 펠트(6)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며, 그 양측에는 가이드 홈(10b)이 형성되어 상기 펠트가 벗어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피동롤러(10)가 회동되면, 상기 펠트(6)는 상기 피동 및 종동롤러(10)(11)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펠트(6)는 전술한 회동수단 즉, 전기모터(12)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전기모터(12)와 피동롤러(10)간의 동력 전달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전기모터(12)는 제1도에 도시된 스위치 버튼(5)을 몸통(1)의 내측으로 가압하면, 축전기(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전기모터(12)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상기 전기모터(12)가 회전하면, 그 로터(12a)의 끝단에 결합된 메인기어(12)가 회전하고 메인기어(12b)와 치합된 유성기어(13) 및 상기 유성기어(13)와 맞물린 제1감속기어(14)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감속기어(14)는 상기 전기모터(1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일정한 비율로 감속 또는 가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1감속기어(14)는 상기 몸통(1)의 양측벽(1a)(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동력 분배 샤프트(15)의 일측에 결합된 종동기어(15a)와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동력 분배 샤프트(15)를 회전시킨다. 상기 동력 분배 샤프트(15)가 회전되면, 상기 종동기어(15a)의 대응단에 일체로 형성된 스퍼기어(15b)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스퍼기어(15b)와 맞물린 제2감속기어(16)가 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동력 분배 샤프트(15)가 회전할 때 전술한 펠트(6)의 상측방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 즉, 분필가루를 털어내기 위해 크리닝수단과 분필가루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분필가루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수단으로 동력이 분배되어지게 되지만, 이 또한 본 명세서의 후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감속기어(16)는 상기 몸통(1)의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피동 샤프트(17)와 일체로 결합된 피동 샤프트 기어(17a)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피동 샤프트(17)를 회전시킨다. 상기 피동 샤프트(17)가 회전되면, 상기 몸통의 양측벽(1a)(1b) 중 일측벽(1b)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피동 샤프트(17)의 끝단에 고정된 피동 샤프트 풀리(17b)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피동 샤프트 풀리(17b)와 고무벨트(22)에 의해 연결된 피동롤러(10)의 피동롤러 풀리(10a)에 의해 상기 피동롤러(10)를 회전시킨다. 상기 피동롤러(10)가 회전하면, 상기 피동롤러(10)의 원주면에 밀착된 상기 펠트(6)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펠트(6)는 전기모터(1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롤러(10)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펠트(6)는 상기 피동롤러(10)와 종동롤러(11)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이 과정에 상기 몸통(1)의 바닥판(1c)의 양측에 형성된 안내공(1d)을 통해 상기 바닥판(1c)의 저면에 밀착되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펠트(6)가 횡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고무 등과 같은 연질소재로 만들어진 미끄럼 방지판(1f)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미끄럼 방지판(1f)의 저면에는 상기 펠트(6)의 주행방향으로 복수개의 홈(1g)(제6도 참조)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판(1f)과 바닥판(1c) 사이에는 스폰지 또는 솜 등과 같은 완충재가 내장되어 상기 펠트가 칠판에 밀착되어질 때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통(1)의 바닥판(1c)의 저면에 노출되어 회전하는 펠트(6)의 표면으로 칠판에 쓰여진 분필적을 닦아내게 된다. 이때, 상기 몸통(1)의 바닥판(1c)을 지나가는 상기 펠트(6)는 상기 바닥판(1c)과 미끄럼 방지판(1f) 사이에 충진된 스폰지 또는 솜 등에 의해 상기 펠트(6)의 밀착도가 향상되어 상기 분필적이 깨끗하게 닦아내어지게 된다.
상기 펠트(6)는 소정의 장력 조절수단에 의해 피동롤러(10)와 종동롤러(11), 트레이(1e) 및 상기 미끄럼 방지판(1f)의 저면에 적절히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장력 조절수단의 일예로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의 양측벽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드 장공(1h)과, 상기 슬라이드 장공(1h)상에 유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롤러(11)와, 일측단은 상기 몸통(1)의 양측 외벽(1a)(1b)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일단이 상기 종동롤러(11)의 양측의 센터축에 고정되고 상기 장공(1h)의 하측에 형성된 돌기(1i)에 의해 방향 절환되어진 와이어(1j)의 끝단과 연결되는 스프링(1k)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종동롤러(11)는 전술한 슬라이드 장공(1h)을 따라 유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스프링(1k)의 인장력에 의해 피동롤러(10)와 떨어지는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므로 그 원주면을 둘러 쌓고 있는 상기 펠트(6)가 팽팽한 상태로 놓여져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칠판 표면에 쓰여진 분필적을 지우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칠판 지우개를 파지할 때, 몸통(1)의 양측에 돌출된 각각의 스위치 버튼(5)을 가압하면서 상기 펠트(6)의 표면으로 칠판 표면을 닦아낸다. 이때, 상기 칠판 지우개는 상기 스위치 버튼이 동시에 가압되어야만이 전술한 전기모터(12)가 작동되도록 하였으며, 이는 상기 칠판 지우개가 바닥에 떨어졌을 때 자중에 의해 스위치 버튼이 가압되어 상기 모터가 작동함으로써 축전지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하나의 스위치 버튼(5)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펠트(6)에 의해 닦여진 분필가루는 상기 몸통(1)내의 상측방에 위치한 크리닝수단에 의해 털어 내어지고, 털려진 상기 분필가루는 이송수단에 의해 일측으로 모여지고, 모여진 분필가루는 집진수단에 의해 집진통(3)속으로 집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펠트(6)에 부착된 상기 분필가루를 털어내어 집진통(3)속으로 집진하기까지의 과정을 첨부된 도면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의 크리닝수단과 분필가루 이송수단 및 상기 분필가루 집진수단을 도시하는 몸통(1)의 상측에 대한 횡단면도로서, 먼저, 상기 펠트(6)의 표면에 의해 닦여진 분필가루를 털어내기 위한 크리닝수단은 펠트(6)의 상측방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되되, 양측단이 상기 몸통(1)의 양측벽(1a)(1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각각의 일측 단부에 제1 및 제2브러시 풀리(18a)(19a)를 구비하고, 각각의 타측단부에 제1 및 제2평기어(18b)(19b)가 구비되고 원주에 끝단이 상기 펠트(6)의 표면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브러시 롤러(18)(19)와, 상기 제1 및 제2평기어(18b)(19b)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몸통(1)의 일측외벽(1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아이들링 기어(20)와 ; 상기 제1브러시 풀리(18a)와 동력 분배 샤프트(15)의 구동풀리(15c)가 고무벨트(18c)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크리닝수단에 대한 작용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모터(12)의 동력이 동력 분배 샤프트(15)까지 전달되면, 상기 동력 분배 샤프트(15)의 일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풀리(15c)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풀리(15c)상에는 펠트(6)의 상측방에 제1브러시 롤러(18)의 일측단에 결합된 제1브러시 풀리(18a)와 고무벨트(18c)로 연결되어 제1브러시 롤러(18)가 회전한다.
회전하는 상기 제1브러시 롤러(18)는 회전하는 상기 상측 펠트(6)의 표면에 부착된 분필가루를 털어내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브러시 롤러(18)에 부착된 상기 분필가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몸통의 양측벽(1a)(1b)을 가로 질러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복수개의 강선(23)을 설치하되 상기 제1브러시 롤러(18)의 회전 반경내에 상기 강선(23)이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1브러시 롤러(18)의 회전시, 상기 강선(23)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브러시 롤러(18)의 표면에 부착된 분필가루도 털어내게 된다. 상기 제1브러시 롤러(18)가 회전하면, 상기 제1브러시 롤러(18)의 끝단에 결합된 제1평기어(18b)와 맞물린 아이들링 기어(20)가 회전하고, 아이들링 기어(20)는 전술한 제1브러시 롤러(18)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브러시 롤러(19)를 상기 아이들링 기어(20)와 맞물린 제2평기어(19b)에 의해 회전시켜 상기 펠트(6)의 표면을 닦아낸다. 상기 제2평기어(19b)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2브러시 롤러(18)가 회전되어질 때, 상기 제1 및 제2브러시 롤러(18)(19) 사이에 위치한 보빈(24)이 상기 제2브러시 롤러(19)와 접촉되어 함께 회전된다. 상기 보빈(24)은 상기 몸통(1)의 양측벽(1a)(1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2브러시 롤러(19)의 회전반경내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빈(24)의 원주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요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브러시 롤러(18)에 의해 제거된 분필가루는 상기 보빈(24)의 요홈(24a)에 쌓여진 뒤 상기 제2브러시 롤러(19)와 연동되면서 상기 제2브러시 롤러(19)에 의해 다시 집진통(3)의 연장판(3b)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브러시 롤러(18)(19)에 의해 상기 펠트(6)는 오염된 분필가루를 제거하여 깨끗한 표면으로 칠판 표면으로 공급되므로 더욱 깨끗하게 칠판을 닦아내게 된다. 아울러, 제거된 상기 분필가루는 집진통(3)의 상기 연장판(3b)쪽으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펠트(6)에 오염된 분필가루를 전술한 바와 같은 크리닝수단을 통해 털어내고 털려진 상기 분필가루를 연장판(3b)쪽으로 집합시켜 집진통(3)속으로 모으기 위해 분필가루를 한곳으로 이송시켜 모으게 된다.
상기 분필가루를 모으기 위한 이송수단은 몸통(6)의 양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단에 제2브러시 롤러(19)의 제2브러시 풀리(19a)와 연결되는 블레이드 풀리(25a)를 구비하고, 원주면에 복수개의 블레이드(25b)를 일체로 포함하는 블레이드 드럼(2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필가루 이송수단에 따른 작용예를 첨부된 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크리닝수단에 의해 털어내어진 분필가루는 제2브러시 롤러(19)의 일측단에 결합된 제2브러시 풀리(19b)와 몸통(1)의 양측벽(1a)(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블레이드 풀리(25a)와 고무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드럼(2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 드럼의 끝단은 그 하측에 집진 케이스(3a)의 연장판(3b) 위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장판(3b) 위에 떨어진 분필가루를 일측으로 이송시켜 집합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필가루 크리닝수단과 이송수단을 통해 한곳으로 모여진 상기 분필가루는 집진통(3)에 수거하기 위한 분필가루 집진수단을 통해 상기 집진통(3)속으로 집진되게 된다.
상기 분필가루 집진수단은 칠판 지우개의 몸통(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외부 표면에 투시창(3c)이 형성되고, 재치대(3d)의 일측에 분필가루를 집진하는 집진 구멍(3e)을 포함하는 집진통(3)과 ; 상기 집진통(3)의 재치대(3d)와 연장판(3b)상에 위치되되, 상기 집진통(3)의 재치대(3d)의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단부에 블레이드 풀리(25a)의 원주면에 접속되는 러버 디스크(26a)와 원주면에 스크류(26b)가 일체로 형성된 스크류 샤프트(26)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필가루 집진수단에 따른 작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통(3)은 칠판 지우개의 몸통(1) 내벽에 탄성돌기(3f)가 탄력 결합되어 부착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집진통(3)을 몸통(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집진통(3)의 외부 즉, 우측면에는 내부에 수거되는 분필가루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3c) 및 상기 집진통(3)에 수거된 상기 분필가루를 제거하기 위한 뚜껑(3g)이 형성되어 있으며, 재치대(3d)상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끝단이 재치대(3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크류 샤프트(26)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집진통(3)에는 상기 재치대(3d)와 연장판(3b)의 사이에 일측에 집진통(3)속으로 분필가루를 안내하는 집진구멍(3e)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 샤프트(26)의 일측 단부에는 블레이드 드럼(25)의 풀리(25a)에 당접되는 러버 디스크(26)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드럼(25)이 회전할 경우, 상기 블레이드 드럼(25)의 풀리(25a)와 당접된 상기 러버 디스크(26)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26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스크류(26b)가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 드럼(25)에 의해 이송된 분필가루는 상기 스크류(26b)에 의해 집진구멍(3e)쪽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집진구멍(3e)을 통해 상기 집진통(3)속으로 집진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는 하나의 지우개를 비치하여 사용하더라도 칠판에 쓰여진 분필적을 닦아냄과 동시에 펠트 표면에 부착된 분필가루를 털어냄과 동시에 분필가루를 집진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칠판 지우개를 털어내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교육환경 즉 칠판 주위에 분필가루가 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칠판 표면을 매우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칠판 지우개의 펠트(6)를 장기간 사용하여 훼손되었을 경우 상기 펠트(6)를 교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칠판 지우개의 전면 커버(2)를 몸통(1)의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전면 커버(2)가 개방되어 상기 펠트(6)가 노출되게 된다. 노출된 상기 펠트(6)를 피동롤러(10)와 종동롤러(11)에서 인출할 경우, 상기 종동롤러(11)를 상기 피동롤러(10)쪽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종동롤러(11)의 샤프트는 몸통(1)의 양측벽(1a)(1b)에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드 장공(1h)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펠트(6)와 상기 종동롤러(11)의 원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상기 펠트(6)가 전면 커버(2)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새로운 펠트로 교환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는 오직 예시적인 목적으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것일 뿐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기초로하여 극히 용이하게 다양한 변형예와 응용예를 실시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변형예 및 응용예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되고 정의된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기술적 사상과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밝혀 둔다.

Claims (19)

  1. 칠판 지우개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통(1) ; 상기 몸통(1)내의 양측벽(1a)(1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정간격 이격된 피동롤러(10) 및 종동롤러(11) ; 상기 피동롤러(10) 및 종동롤러(11)에 양단이 밀착되도록 걸림유지되고 몸통(1)의 저면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칠판의 분필적을 닦아내는 무한궤도형 펠트(6) ; 및 상기 펠트(6)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수단 ;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몸체(1) 내부에 설치된 전기모터(13) ; 상기 전기모터(13)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펠트(6)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1)의 바닥판(1c)에 고정된 상기 전기모터(12)의 로터(12a)에 결합된 메인기어(12b)와 맞물려 회전하되, 상기 몸통(1)의 내벽(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기어(12b)와 치합되는 유성기어(13) ; 상기 몸통(1)의 내벽(1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유성기어(13)와 맞물리는 제1감속기어(14) ; 상기 몸통(1)의 양측벽(1a)(1b)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고, 일측단에 상기 제1감속기어(14)와 맞물리는 종동기어(15a)가 결합되고, 타측단에 상기 종동기어(15a) 및 구동풀리(15c) 사이에 스퍼기어(15b)가 일체로 구비된 동력 분배 샤프트(15) ; 상기 몸통(1)의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스퍼기어(15b)와 맞물리는 제2감속기어(16) ; 상기 내측벽(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면상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감속기어(16)와 맞물리는 피동 샤프트 기어(17a) 및 상기 측벽(1b)을 관통하여 돌출된 단부에 고정된 피동 샤프트 풀리(17b)를 갖는 피동 샤프트(17) ; 및 상기 몸통(1)의 양측벽(1a)(1b)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기 피동 샤프트(17)의 풀리(17b)와 연결되는 피동롤러 풀리(10a)를 갖는 상기 피동롤러(10) ;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롤러(10)의 원주면에 미립자의 모래 알갱이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측 상기 펠트(6)를 지지하고 횡방향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통(1)의 바닥판(1c)의 저면에 미끄럼 방지판(1f)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판(1f)의 저면에 상기 펠트(6)의 주행방향으로 복수개의 홈(1g)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1)의 일측에 분필가루 집진용 집진통(3)이 착탈 가능하도록 탄성돌기(3f)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3)의 외부에 투시창(3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6)에 의해 닦여진 분필가루를 상기 펠트(6)로부터 털어내기 위한 크리닝수단과 상기 크리닝수단에 의해 털여진 산기 분필가루를 일정방향으로 모으기 위한 이송수단과, 이송수단에 의해 모여진 상기 분필가루를 집진통(3)에 수거하기 위한 집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수단이 상기 펠트(6)의 상측방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되되, 양측단이 상기 몸통(1)의 양측벽(1a)(1b)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고, 각각의 일측단부에 제1 및 제2브러시 풀리(18a)(19a)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브러시 풀리(18a)(19a)의 대칭 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평기어(18b)(19b) 및 원주면에 고정되되, 상기 펠트(6)의 표면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브러시 롤러(18)(19) ; 및 상기 제1 및 제2평기어(18b)(19b)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몸통(1)의 일측 외벽(1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아이들링 기어(20) ; 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 분배 샤프트(15)의 구동풀리(15c)와 상기 제1브러시 풀리(18a)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시 롤러(21) 및 제2브러시 롤러(24)가 회전되어질 때, 그 일부분이 상기 몸통(1)의 양측벽(1a)(1b)을 가로질러 설치된 강선(23)에 접촉되어 상기 제1 및 제2브러시 롤러(18)(19)에 부착된 분필가루를 털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필가루 이송수단은 상기 몸통(1)의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단에 제2브러시 롤러(24)의 제2브러시 풀리(19a)와 연동되는 블레이드 풀리(25a)가 구비되고, 원주면에 복수개의 블레이드(25b)를 일체로 포함하는 블레이드 드럼(2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필가루 집진수단은 칠판 지우개의 상기 몸통(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재치대(3d)의 양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단에 블레이드 풀리(25a)와 접속되는 러버 디스크(26a) 및 원주에 형성된 스크류(26b)를 포함하는 스크류 샤프트(26) ; 및 상기 스크류 샤프트(26)의 일측에 집진구멍(3e)이 형성된 집진통(3) ;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러시 롤러(19)의 회전반경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2브러시 롤러(19)의 회전시 연동되도록 상기 몸통(1)의 양측벽(1a)(1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원주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된 요홈(24a)을 갖는 보빈(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6)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피동 및 종동롤러(10)(11)의 원주면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장력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수단은 몸통(1)의 양측벽(1a)(1b)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드 장공(1h)과, 상기 슬라이드 장공(1h)상에 유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롤러(11) ; 및 일측단은 상기 몸통(1)의 양측 외벽(1a)(1b)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일단이 상기 종동롤러(11)의 각각의 센터축에 고정되고, 상기 장공(1h)의 하측에 형성된 돌기(1i)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진 와이어(1j)의 끝단과 연결되어진 스프링(1k) ;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1)내에 회전되는 상기 상측 펠트(6)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몸통(1)에 트레이(1e)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롤러(11)를 상기 슬라이드 장공(1h)을 따라 이송시켜 상기 펠트(6)를 인출하고 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분배 샤프트(15)의 구동풀리(15c)와 상기 제1브러시 풀리(18a)가 고무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모터(12)를 온·오프시키기 위해 축전지 박스(4)에 내장된 축전지(4a)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몸통(1)의 양측 외벽(1a)(1b)에 각각 결합된 스위치의 접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한쌍의 스위치 버튼(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KR1019940010149A 1994-05-09 1994-05-09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KR96001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149A KR960013413B1 (ko) 1994-05-09 1994-05-09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149A KR960013413B1 (ko) 1994-05-09 1994-05-09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542A KR950031542A (ko) 1995-12-18
KR960013413B1 true KR960013413B1 (ko) 1996-10-05

Family

ID=1938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149A KR960013413B1 (ko) 1994-05-09 1994-05-09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4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542A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1618B2 (ja) 清掃器具
CN108437667B (zh) 一种多功能黑板擦除尘装置
JPH049977Y2 (ko)
JP2927421B1 (ja) 集粉式イレーサ
US4742594A (en) Blackboard eraser
JP3051306B2 (ja) 白板等の消字装置
CN103963518B (zh) 一种湿、干同步擦净的除尘黑板擦
US4462134A (en) Blackboard eraser
KR960013413B1 (ko) 자동화된 칠판 지우개
CN211892659U (zh) 一种黑板擦
US3900911A (en) Hand cleaner of rotary brush type
KR101396694B1 (ko) 전동식 칠판 지우개
CN210277082U (zh) 一种清洁装置
GB2066998A (en) Self-propelled record cleaner
KR101247541B1 (ko) 칠판지우개 장치
KR20000060259A (ko)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방법 및 그 장치
CN2434149Y (zh) 带轮式黑板擦
CN203920166U (zh) 一种湿、干同步擦净的除尘黑板擦
CN215204238U (zh) 无电自动循环除灰积灰环保黑板擦
JPH10129196A (ja) 粉払い付き黒板消し
JP7356656B1 (ja) 清掃ローラおよび掃除機
JPH1058893A (ja) 清掃器具
JP2532916Y2 (ja) 黒板及び黒板拭きの白墨粉自動除去装置
KR19980072806A (ko) 자동 집진 칠판 지우개 및 그에 따른 충전대
KR890004034Y1 (ko) 바닥 소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