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005B1 - 테이프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테이프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005B1
KR960013005B1 KR1019900016516A KR900016516A KR960013005B1 KR 960013005 B1 KR960013005 B1 KR 960013005B1 KR 1019900016516 A KR1019900016516 A KR 1019900016516A KR 900016516 A KR900016516 A KR 900016516A KR 960013005 B1 KR960013005 B1 KR 960013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ape
switching
state
re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683A (ko
Inventor
다마끼 오하시
이끼 오시마
Original Assignee
쥬나 가부시끼가이샤
다마끼 오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나 가부시끼가이샤, 다마끼 오하시 filed Critical 쥬나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8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2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recorded information signal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테이프 플레이어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역방향의 플레이상태에 있어서의 헤드 플레이트와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기구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릴의 구동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비플레이상태에 있어서의 헤드 플레이트와 핀치롤러를 구비한 브래키트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플레이상태에 있어서의 헤드 플레이트와 핀치롤러를 구비한 브래키트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대응하는 전진방향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6도(A)~제6도(C)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기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빨리보내기 레버의 평면도.
제8도는 되감기 레버의 평면도.
제9도, 제10도 및 제12도, 제13도는 빨리보내기 레버, 되감기 레버, 유지기구 및 헤드채널 전환기구의 동작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11도는 제1도에 도시한 플레이상태에서 되감기 조작을 한 경우의 평면도.
제14도는 헤드채널 전환기구의 분해사시도.
제15도, 제16도는 헤드채널 전환기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17도~제19도는 각각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에 조작부재와 연결되는 암부재를 마련해서 이루어지는 경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0도는 제19도에 있어서의 암부재와 조작부재의 걸림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21도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 및 암부재와 조작부재의 관계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기틀2 : 빨리보내기 레버
3 : 되감기 레버4 : 헤드 플레이트
12f,12r : 핀치롤러14f,14r : 캡스턴 축
20 :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1f,21r : 회전운동판
40 :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기구80 : 헤드채널 전환기구
85 : 조작부재87 : 저지레버
93 : 탄성부재96 : 당접부
101,104,107 : 암부재105 : 탄성부재
106 : 돌출부
본 발명은 회전구간 검출수단을 구비한 테이프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구간(曲間) 검출수단을 구비한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테이프의 되감기 방향에서 회전구간 검지를 실행하는 경우, 되감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함과 동시에 헤드 플레이트를 후퇴이동시키고 그 후퇴상태를 록하고 또한 그 후퇴이동에 의해 헤드채널 전환스위치의 전환동작을 구속하고, 다음에 회전구간 검지가 이루어졌을 때 그 검지신호에 의해 헤드 플레이트의 후퇴록상태를 해제해서 그 전진이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헤드채널 전환스위치의 구속을 해제하고 또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다시 전환해서 원래의 플레이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한 발명이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소화60-7637호에 있어서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지의 테이프 플레이어에 의하면, 감기레버의 조작에 의해 테이프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헤드 플레이트의 후퇴동작 및 헤드채널 전환스위치의 구속동작을 거의 동시에 실행하는 구성이므로, 그들 상호의 기계적 동작타이밍의 차에 의해 예를들면 헤드 플레이트의 후퇴이동 동작보다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동작이 빠를 때에는 헤드채널 전환스위치가 구속받지 않고 전환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그 예를 들면 헤드 플레이트의 후퇴이동 동작보다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동작이 느릴 때에는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전환되기 전에 테이프가 빨리보내져 테이프의 헛돌기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되감기 레버의 왕복동작마다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를 전환하는 전환수단, 상기 전환수단에 탄성연결수단을 거쳐서 연결되고 전환수단의 전환동작에 따라서 전환되는 헤드채널 전환스위치, 되감기 레버의 전진동작상태를 유지하고 이 유지상태가 회전구간 검지신호에 의해 해제되는 유지기구 및 되감기 레버의 전진동작시에 상기 헤드채널 전환스위치의 전환동작을 저지하는 저지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에 있어서 탄성연결수단은 헤드채널 전환스위치를 전환조작하는 것으로서, 저지수단에 의해서 그 전환동작이 저지되는 조작부재, 중간을 지점으로 해서 회전운동하고 한쪽끝이 상기 조작부재 또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중의 어느 한쪽에 연결된 회전동작가능한 부재, 이 부재의 다른쪽끝과 조작부재 또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중의 다른 한쪽 사이에 마련되어 그들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헤드채널 전환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저지수단에 의해 그 전환동작이 저지되는 조작부재, 조작부재 또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중의 어느 한쪽의 한쪽끝에 마련된 암부재, 이 암부재의 선단과 조작부재 또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중의 다른 한쪽 사이에 마련되어 그들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또 빨리보내기 레버와 되감기 레버를 동시에 조작했을 때의 오동작을 해소하기 위해서 유지기구에 의해 전진동작상태가 유지되는 빨리보내기 레버를 구비하며, 또한 되감기 레버와 빨리보내기 레버를 동시에 전진동작시켰을 때 빨리보내기 레버의 전진동작을 저지시키는 당접부를 빨리보내기 레버와 저지수단 사이에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테이프의 역방향의 회전구간 검지를 실행하도록 되감기 레버를 전진동작 조작하면,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레버가 작동해서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전환됨과 동시에 헤드 플레이트가 후퇴해서 테이프는 역방향으로 빨리보내지고 또한 되감기 레버의 전진동작상태는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된다.
한편, 되감기 레버의 전진동작에 따라서 저지수단이 헤드채널 전환스위치를 전환하는 예를 들면 조작부재의 전환동작을 저지하고 또한 예를들면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레버의 전환동작에 따라서 회전동작하는 회전동작부재는 그 다른쪽끝과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재를 그의 탄성에 대항해서 누르면서 그 회전동작이 허용된다.
즉, 되감기 레버의 전진동작에 의해 테이프 주행방향의 전환수단의 전환동작은 허용되지만, 저지수단의 작동에 의해 헤드채널 전환스위치의 전환동작은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테이프의 역방향의 전환이 가능하고 회전구간 검지가 실행되며, 그 검지신호에 의해 유지기구가 작동해서 되감기 레버의 진진동작 유지상태는 해제되며, 되감기 레버는 전진동작하고 그 과정에서 다시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레버가 작동해서 테이프는 원래의 전진방향으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탄성연결수단은 헤드채널 전환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저지수단에 의해 그의 전환동작이 저지되는 조작부재, 조작부재 또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중의 어느 한쪽의 한쪽끝에 마련된 암부재, 이 암부재의 선단과 조작부재 또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중의 다른 한쪽 사이에 마련되어 그들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레버의 전환동작에 따라서 암부재 또는 조작부재가 탄성부재를 그의 탄성에 대항해서 누르면서 그의 전환동작을 허용한다.
또, 유지기구에 의해 전진동작상태가 유지되는 빨리보내기 레버를 구비하고, 또한 되감기 레버와 빨리보내기 레버를 동시에 전진동작시켰을 때 빨리보내기 레버의 전진동작을 저지하는 당접부를 빨리보내기 레버와 저지수단 사이에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경우, 빨리보내기 레버와 되감기 레버를 동시에 조작했을 때 저지수단에 마련된 저지부에 의해 빨리보내기 레버의 전진동작이 저지되어 양 레버가 동시에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되는 일은 없다.
이하, 도면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면, 제1도는 주로 플레이상태에 있어서의 헤드 플레이트와 테이프의 주행방향 전환기구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ⅰ)은 기기틀로 도면에 있어서 우측부에 빨리보내기 레버(2)와 되감기 레버(3)이 평행하게 전후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그 각 레버(2),(3)은 각각 도시하지 않지만 복원용 스프리에 의해 항상 앞쪽방향의 부작동 위치에 탄력적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제2도는 주로 릴의 구동기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헤드 플레이트(4)는 제3도, 제4도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빨리보내기 레버(2) 및 되감기 레버(3)의 하면에 위치해서 전후방향으로 길고 그의 중앙위치에 자기헤드(5)를 마련한 기저부(4a), 이 중앙위치에서 이젝트레버(6)을 구비한 기기틀(1)의 좌측벽(1a)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의 선단에 회전자(7)을 갖는 다리부(4b), 상기 기저부(4a)의 전단부에서 상기 다리부(4b)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지지부재(4c), 상기 다리부(4b)와 기저부(4a)의 뒤쪽부분 사이를 폐쇄하도록 돌출하고 일부에 창구멍(4d)를 개구한 돌출부(4e)를 갖고 이루어지며, 이 헤드 플레이트(4)는 기기틀(1)에 대해서 핀(8)과 긴구멍(9)의 걸어맞춤을 거쳐서 좌우방향으로 가로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4c)에는 헤드 플레이트(4)를 항상 좌측벽(1a) 방향 즉 플레이 위치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10)이 부착되어 있다.
제3도, 제4도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플레이트(4)의 기저부(4a)의 전후 끝부 위치에는 각각 한쪽끝이 기기틀(1)에 피보트축(11f),(11r)에 의해 원추형 접합되고, 여유단에 핀치롤러(12f),(12r)을 갖는 브래키트(13f),(13r), 중앙이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헤드 플레이트(4)에 지지되고 또한 양끝이 직선형상으로 연장해서 상기 브래키트(13f),(13r)을 캡스턴 축(14f),(14r)과 눌려 접하는 방향에 탄력적으로 힘을 가하는 전후방향으로 긴 스프링(15), 이 스프링(15)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브래키트(13f),(13r)에 마련된 걸림부재(13'f),(13'r)과 각각 걸어고정하는 걸림구멍(16f),(16r)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은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양쪽끝에 경사진 형상의 굴곡부를 각각 갖는 정상부(20a)와 그 중앙위치에서 기기틀(1)의 좌측벽(1a) 방향으로 직각형상으로 연장하는 다리부재(20b)를 갖는 T자형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정상부(20A)의 양쪽끝 굴곡부에 상기 캡스턴축(14f),(14r)에 중간부가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원추형 접합된 회전운동판(21f),(21r)의 한쪽끝이 긴구멍(22f),(22r)과 축(23f),(23r)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이 회전운동판(21f),(21r)에 걸림부재(13'f),(13'r)과 작용해서 그 회전운동 상태를 제어하는 캠부(24f),(24r)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 양쪽의 회전운동판(21f),(21r) 사이에는 스프링(25)가 부하상태로 팽팽하게 걸려 있다.
그리고, 헤드 플레이트(4)가 비플레이 위치로 후퇴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키트(13f),(13r)에 마련한 돌출부재(13'f),(13'r)이 걸림구멍(16f),(16r)의 안쪽 가장자리에 각각 눌려 접해 있는 것에 의해 핀치롤러(12f),(12r)은 대응하는 캡스턴 축(14f),(14r)에서 이반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는 공지된 수단에 의해 카세트를 장착하면 헤드 플레이트(4)가 카세트 방향으로 전진하므로, 이것에 마련한 브래키트(13f),(13r)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 위치의 브래키트(13f)는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경사져서 회전운동판(21f)의 캠부(24f)에 맞닿으므로 앞쪽의 핀치롤러(12f)는 대응하는 캡스턴 축(14f)에 눌려 접하지 않지만, 뒤쪽 위치에 있는 브래키트(13r)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서 회전운동판(21r)의 캠부(24r)에 맞닿지 않으므로 뒤쪽 위치의 핀치롤러(12r)은 대응하는 캡스턴 축(14r)에 눌려 접한다.
상기한 캡스턴 축(14f),(14r)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고 있는 플라이 휠(26f),(26r)과 구동기어(27f),(27r)이 각각 축 장착되어 있고, 그 구동기어(27f),(27r)과 릴축(28f),(28r)에 각각 축장착된 릴기어(29f),(29r) 사이에는 상기 축(23f),(23r)에 축장착되어 플라이휠(26f),(26r)의 회전을 릴기어(29f),(29r)로 각각 전달하는 전달기어(30f),(30r)이 배치되어 있고, 뒷쪽 위치의 전달기어(30r)에는 각각 대응하는 구동기어(27r)과 릴기어(29r)에 맞물러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테이프는 뒷쪽 위치의 릴축(28r)에 감겨진다. 제5도는 제1도 및 제4도의 경우와 반대로 테이프를 앞쪽 위치의 릴축(28f)측에 감겨 있는 경우의 제1도에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것은 다음에 기술하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기구(40)에 의해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이 제1도에서 뒷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즉,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이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기구(40)에 의해 도면에서 뒷쪽으로 이동하면 뒷쪽 위치의 회전운동판(21r)은 긴구멍(22r)에 의해서 축(23r)이 눌려지는 것에 의해 스프링(25)에 저항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이것에 의해 캠부(24r)이 브래키트(13r)의 걸림부재(13'r)을 누르고, 이 브래키트(13r)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해서 핀치롤러(12r)이 대응하는 캡스턴 축(14r)에서 이반함과 동시에 축(23r)의 이동에 의해 전달기어(30r)이 뒷쪽 위치의 릴기어(29r)에서 이반한다.
한편, 앞쪽 위치의 회전운동판(21f)는 스프링(25)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에 의해 캠부(24f)는 브래키트(13f)의 걸림부재(13'f)에서 이반되므로 브래키트(13f)는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그 핀치롤러(12f)가 대응하는 캡스턴 축(14f)에 눌려 접함과 동시에 축(23f)의 이동에 의해 전달기어(30f)가 대응하는 앞쪽 위치의 릴기어(29f)에 맞물린다. 따라서, 테이프는 앞쪽 위치의 릴축(28f)에 감겨진다.
즉,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이 앞쪽 및 뒷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의 주행방향은 전환된다.
또한, (31f),(31r)은 전달기어(30f),(30r)과 릴기어(29f),(29r)의 맞물림 깊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회전운동판(21f),(21r)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규제핀이다.
다음에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기구(4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이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기구(40)은 제1도, 제2도 및 제6도(A)~제6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의 다리부재(20b)에 연장해서 마련되고, 또한 면부에 중앙부가 약간 협소하게 형성된 북모양의 캠구멍(41)을 가짐과 동시에 선단에 기기틀(1)상에 세워 마련된 지지부재(42)와 걸어맞춰 전후 이동방향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혀부재(43)을 갖는 판형상의 작동부(44), 직경방향의 2개소에 잘라냄부(45a),(45b)를 갖는 잘라냄기어(45), 직경방향의 2개소에 발톱부재를 갖고 상기 잘라냄기어(45)의 중심부에 일체로 마련된 구속부재(46), 상기 잘라냄기어(45)의 중심부에 또 일체로 마련된 -자형상의 끼움부재(47), 상기 캠구멍(41)을 향하고 상기 잘라냄기어(45)에 편심해서 일체로 마련된 작용핀(48), 상기 끼움부재(47)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접해서 기어(45)에 초기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9), 기기틀(1)의 좌우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한쪽끝에 걸어맞춤핀(50)을 아래쪽으로 돌출해서 마련한 긴 제1바(51), 기저부가 피보트축(52)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원추형 접합되고 여유단이 두갈래로 분할됨과 동시에 그 한쪽 부재(53a)의 선단을 상기 제1바(51)의 다른쪽 끝에 직교하는 형상으로 연결하고 그 다른쪽 부재(53b)에 산형상의 돌출부(54)를 마련한 회전운동부재(53), L자형으로 구부러지고, 그 굴곡부를 피보트축(56)에 의해 원추형 접합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짧은 부재(57a)의 선단에 상기 걸어맞춤핀(50)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58)을 형성하며, 또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부재(57b)의 중간 위치에 상기 구속부재(46)의 발톱부재와 걸어고정하는 걸림핀(59)를 갖는 제2바(57), 이 제2바(57)과 상기 제1바(51) 사이에 부하상태로 팽팽하게 걸려 있는 스프링(60) 및 상기 잘라냄기어(45)와 맞물리는 작동기어(61)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잘라냄기어(45)가 반회전해서 정지하고 또한 뒷쪽 위치의 릴축(28r)에 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제1도, 제4도에 도시한 제1전환위치에서 되감기 레버(3)만을 그 복원용 스프링에 대항해서 앞쪽으로 누르고, 이것에 의해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부재(53)이 피보트축(56)을 중심으로 제6도(A)에서 반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제1바(51)은 제6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견인되고,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핀(50)과 걸어맞춤 오목부(58)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제2바(57)은 피보트축(56)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므로 걸어맞춤핀(59)는 구속부재(46)의 한쪽의 발톱부재에서 해제되어 상기 잘라냄기어(45)의 회전을 허용한다. 따라서, 끼움부재(47)에 눌려 접해 있는 스프링(49)의 탄력에 의해 잘라냄기어(45)는 회전을 개시한 후 작동기어(61)과 맞물린다. 작동기어(61)는 항상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한쪽의 플라이휠(26f)의 구동기어(27f)에 의해서 중간기어(62)를 거쳐 구동되고 있으므로 잘라냄기어(45)는 이후 회전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잘라냄기어(45)가 거의 반회전하고 한쪽의 잘라냄부(45a)의 위치에서 작동기어(61)과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걸림핀(59)가 구속부재(46)의 다른쪽의 발톱부재와 걸어고정되고 잘라냄기어(45)의 회전은 정지하여 제2전환위치로 된다. 따라서, 이 잘라냄기어(45)가 반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1도와 제5도의 상태가 교대로 반복되어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전환된다.
즉,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용핀(48)은 그 제1전환위치에 있어서 캠구멍(41)의 한쪽의 안쪽 가장자리와 접해서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을 앞쪽 위치로 이동하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용핀(48)은 그 제2전환위치에 있어서 캠구멍(41)의 다른쪽의 안쪽 가장자리와 접해서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을 뒷쪽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빨리보내기 레버(2) 및 되감기 레버(3)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옆 가장자리를 따라서 뒤쪽으로 연장하는 좁은 폭의 조작부(2a),(3a)와 조작레버(2),(3)을 중첩시켰을 때에 서로 다른쪽의 조작부(2a),(3a)에 중첩되는 좁은 폭의 중첩부재(2b),(3b)를 병설하고, 앞쪽에는 전단부 바깥쪽 가장자리에 만곡형상의 제1오목부(2b),(3b)를 갖는 좁은 폭의 작용부(2c),(3c)가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또 그 선단부의 안쪽 가장자리에 걸림돌출부(2e),(3e)를, 바깥쪽 가장자리에 만곡형상의 제2오목부(2g),(3g)를 각각 갖는 지지부(2h),(3h)를 마련함과 동시에 긴쪽방향의 안쪽 가장자리에 윗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린 리브(2i),(3i)를 마련한 대략 서로 비슷한 형상의 긴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빨리 보내기 레버(2) 및 되감기 레버(3)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첩상태에서 그 후단부가 상기 기기틀(1)의 우측부에 마련한 보조기판(1c)의 뒷쪽 가장자리에 세워 마련된 굴곡부재(63)에 의해서, 또 전단부는 핀(64)와 긴 구멍(65)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상기 보조기판(1c)상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이들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원용 스프링에 의해 항상 앞쪽방향 즉 뒤쪽으로 탄력적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 상기 빨리보내기 레버(2) 및 되감기 레버(3)은 그 중간부에 창구멍(662),(663)이 뚫어 마련되어 있으며, 그 뒤쪽 가장자리에는 뒷쪽이 내려간 경사 가장자리(672),(673)과 오목부(682),(68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 빨리보내기 레버(2)의 지지부재(2h)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돌출부(2j)가, 또 되감기 레버(3)에는 창구멍(663)의 안쪽 가장자리의 중간부에 위치해서 상기 회전운동부재(53)의 돌출부(54)와 작용하는 작용부(69) 및 지지부재(3h)의 선단부에 위치해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돌출핀(7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기틀(1)의 뒤쪽부분 위치에는 제1도, 제5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빨리보내기 레버(2) 또는 되감기 레버(3)을 그것에 가해지는 힘에 대항해서 개별적으로 왕복운동시켰을 때에 회전운동해서 진퇴이동이 가능한 헤드 플레이트(4)를 후퇴시키는 요동레버(7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요동레버(71)은 전단에 상기 경사 가장자리(672),(673)과 작용해서 요동레버(71)에 회전운동력을 부여하는 돌출부재(72)가, 또 후단에 헤드 플레이트(4)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마련한 상승리브(73)에 맞닿는 발톱부재(74)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이것이 상기 뒤쪽의 브래키트(13r)의 피보트축(11r)에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그러나,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플레이트(4)가 플레이 위치로 전진하고 또한 빨리보내기 레버(2) 및 되감기 레버(3)이 눌려 있지 않는 상태에서 되감기 레버(3)을 도시하지는 않지만 그의 복원용 스프링에 대항해서 누르면 제6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감기 레버(3)에 마련한 작용부(69)가 회전운동부재(53)에 마련한 산형상의 돌출부재(54)와 작용해서 회전운동부재(5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회전운동부재(53)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채널 전환동작이 실행됨과 동시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감기 레버(3)에 마련한 경사 가장자리(673)이 요동레버(71)의 돌출부재(72)에 맞닿아서 요동레버(71)은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이것에 마련한 발톱부재(74)가 헤드 플레이트(4)의 상승리브(73)을 눌러 이것을 비플레이 방향으로 후퇴시킨다.
그러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구멍(16f),(16r)의 안쪽 가장자리가 각각 브래키트(13f),(13r)의 걸림부재(13'f),(13'r)과 걸어고정되고, 이 브래키트(13f),(13r)은 헤드 플레이트(4)의 후퇴에 의해서 핀치롤러(12f),(12r)과 캡스턴 축(14f),(14r)이 각각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해서 테이프에 작용하는 부하가 소실되므로 이 테이프는 주행방향이 전환된 방향으로 빨리 보내지며, 이러한 상태는 제11도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것은 되감기 레버(3)을 누름 조작해서 테이프의 주행방향 전환조작을 실행하며, 또한 헤드 플레이트(4)를 비플레이 방향으로 후퇴시켜서 테이프를 역방향으로 빨리 보내는 경우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했지만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변경하는 일없이 제9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전진 방향으로 빨리 보내는 경우에는 빨리보내기 레버(2)를 도시하지는 않지만 그의 스프링에 대항해서 누른다. 빨리보내기 레버(2)는 되감기 레버(3)의 경우와는 달리 테이프의 주행방향 전환조작을 실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채널기구(40)의 회전운동부재(53)의 돌출부재(54)와 작용하는 작용부(69)가 생략되어 있고, 따라서 빨리보내기 레버(2)를 그의 복원 스프링에 대항해서 누르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감기 레버(3)을 눌렀을 때와 마찬가지로 경사 가장자리(67a)가 돌출부재(72)와 맞닿으므로 요동레버(7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헤드 플레이트(4)는 비플레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테이프는 빨리 보내진다.
상기에 있어서, 빨리보내기 레버(2) 또는 되감기 레버(3)의 누름 상태는 제10도, 제1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2),(3)의 앞쪽 위치에 피보트축(75)를 거쳐서 수평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걸림부재(76)에 의해 유지된다. 즉, 이 걸림부재(76)은 제1도,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부재(76a),(76b)와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76c)를 갖고 있으며,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판형상의 부재(76c)에 마련된 걸림구멍(77)에 상기 레버(2),(3)의 전단부에 마련한 V자형의 걸림돌출부(2e),(3e)가 걸려 고정되는 것에 의해 레버(2),(3)은 그의 전진동작상태가 유지된다.
또, 빨리보내기 레버(2) 또는 되감기 레버(3)의 전진동작유지상태는 서로 비작동 위치에 있는 한쪽의 레버(2) 또는 (3)을 전진동작시키고, 그것에 마련한 걸림돌출부(2e) 또는 (3e)가 한쪽 부재(76c)에 작용하고 이것을 그 복원스프링(78)에 대항해서 경사지게 동작시켰을 때 해제된다.
다음에 헤드채널 전환기구(80)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이 기구(80)은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빨리보내기 레버(2) 및 되감기 레버(3)을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부착한 보조기판(1c)의 하면에 전단이 핀(81)과 긴 구멍(82)의 걸어맞춤에 의해, 후단이 잘라세운부재(83)과 긴구멍(84)의 걸어맞춤에 의해 전후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긴 조작부재(85)와 상기 보조기판(1c)의 앞쪽부분 상면에 축(86)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저지레버(8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재(85)에는 그의 긴쪽방향의 중간 위치에 윗쪽으로 연장해서 위쪽 가장자리에 자기 헤드의 채널 전환회로용의 스위치 S1의 조작부재(88)을 걸어맞춘 잘라세운 부재(89),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구부리고, 일부에 아래쪽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그의 앞면의 상하 위치에 블록형상의 걸림부(90)을 마련한 소매부재(91), 전단 위치에 윗쪽으로 돌출한 ㅁ자형의 걸림부재(9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좌우 위치의 걸림부재(90)에 ゴ자형으로 굴곡된 탄성부재(93)의 다리부재(93a),(93b)가 걸려 삽입되어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상기 지지레버(87)은 전단부에 상기 걸림부(92)와 걸어맞춰 고정되는 발톱부재(94)를 중간부 배면에, 상기 되감기 레버(3)에 마련한 돌출핀(70)과 걸어맞추는 오목형상 단부(95)를 후단부에 위쪽을 향하는 당접부(96)을 각각 갖고 있으며, 그것이 스프링(97)에 의해 항상 발톱부재(94)가 걸어맞춤부재(92)와 걸어맞춰 고정되는 방향에 탄력적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한편, 상기한 상부 위치의 회전운동판(21f)에는 기기틀(1)의 우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동부재(98)이 마련되어 있고, 이 연동부재(98)이 통상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93)의 양쪽 다리부재(93a),(93b)의 하단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한, 도면에서 S2는 빨리보내기 레버(2) 및 되감기 레버(3)을 전진동작 조작했을 때 이것에 마련한 제1오목부(2g) 및 (3g)에 의해 조작되는 뮤팅 스프링, S3은 빨리보내기 레버(2) 및 되감기 레버(3)을 전진동작 조작했을때 이것에 마련한 제2오목부(2d),(3d)에 의해 조작되는 모터의 배속용(倍速用) 스위치로서, 모두 레버(2),(3)이 전진동작 0상태에 있을 때 온상태를 유지한다. (99)는 상기 스위치 S1, S2및 S3등을 장착하기 위해 기기틀(1)의 측면에 부착한 부착판, (100)은 저지레버(87)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저지부재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테이프가 역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제1도, 제9도에 도시한 플레이상태에서 되감기 레버(3)을 그의 복원 스프링에 대항해서 앞쪽으로 왕복운동시키면 그의 전진동작에 따라서 되감기 레버(3)의 선단에 마련된 돌출핀(70)이 저지레버(87)의 오목단부(95)에서 분리되어 저지레버(87)은 스프링(97)에 의해서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톱부재(94)가 저지부재(92)의 앞쪽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져 조작부재(85)의 앞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또 되감기 레버(3)의 전진동작을 계속하는 것에 의해 그의 전진동작상태는 걸림부재(76)에 의해 유지된다.
또, 상기 되감기 레버(3)의 전진동작 조작에 의해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헤드 플레이트(4)가 후퇴해서 테이프의 빨리보내기 동작이 실행됨과 동시에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이 도면에 있어서 뒷쪽으로 이동하여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기구(40)에 의해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전환된다.
한편,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이 뒷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앞쪽부분 위치의 회전운동판(20f)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므로 이것에 마련한 우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연동부재(98)이 앞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15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동부재(98)을 탄성적으로 끼워서 유지하고 있는 탄성부재(93)의 양 다리부재(93a),(93b)중 앞쪽부분 위치의 다리부재(93b)는 상기 조작부재(85)가 발톱부재(94)와 걸림부재(92)의 걸림에 의해 앞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있는 것에 의해 그의 탄력을 축적해서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운동하여 제15도의 점선의 상태로 된다. 즉, 되감기 레버(3)을 전진동작 조작했을 때 저지부재(97)에 의해 조작부재(85)의 앞쪽으로의 이동은 서지되기 때문에 회전운동판(21f)의 회전운동만이 허용되어 채널 전환회로용 스위치 S1은 전환되는 일없이 테이프의 주행방향만이 전환된다. 따라서 헤드 플레이트(4)가 후퇴한 상태에서 테이프가 자기헤드(5)에 약간 접촉하고 자기헤드(5)의 트랙은 변경되는 일없이 되감기방향에서의 회전구간 검출이 실행된다. 그리고 회전구간 검출이 실행되면 그의 검출신호에 의해서 플랜저 R이 작동해서 걸림부재(76)을 그의 복원용 스프링(78)에 대항해서 제10도, 제11도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전진동작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되감기 레버(3)은 자동적으로 복원된다.
그러면, 되감기 레버(3)의 복원에 의해 그의 전단에 마련된 돌출핀(70)이 저지레버(87)의 오목형상 단부(95)에 맞닿고 저지레버(87)은 그의 스프링(97)에 대항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원되므로, 조작부재(85)는 저지레버(87)에서 해방되어 앞쪽으로의 슬라이드가 허용되고, 따라서 조작부재(85)는 회전운동판(21f)의 연동부재(98)에 한쪽의 다리부재(93b)가 눌려 접해 있는 제15도의 점선의 상태에서 그의 복원력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6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되고, 채널 전환회로용 스위치 S1이 이때 전환된다. 그러나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되감기 레버(3)의 후퇴동작시에도 테이프의 주행방향 전환이 실행되므로, 테이프 주행 전환기구(40)의 작동에 의해 회전운동판(21f)가 제5도의 상태에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해서 복원하므로 재차 제15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부재(93)의 양 다리부재(93a),(93b)가 상기 회전운동판(21f)의 연동부재(98)을 끼워둔 상태에서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작부재(85)와 스위치 S1은 제15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원래의 채널상태로 복원한다.
그리고, 상기 제15도의 점선 상태에서 제16도의 실선 상태로 이동하는 동작과 제16도의 실선 상태에서 제15도의 실선 상태로 이동하는 동작은 거의 동시에 실행되므로 결과적으로 채널 전환회로용 스위치 S1은 비동작상태로 된다.
다음에, 예를들면 테이프가 전진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제5도에 도시한 플레이트상태에 있어서, 되감기 레버(3)을 그의 복원용 스프링에 대항해서 앞쪽으로 전진동작시키면 그의 전진동작에 따라서 되감기 레버(3)의 선단에 마련된 돌출핀(70)이 저지레버(87)의 오목형상 단부(95)에서 분리되어 저지레버(87)이 0스프링(97)에 의해 제9도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은 앞서 기술한 바와 마찬가지이지만, 제5도의 상태에 있어서는 회전운동판(21f)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있는 것에 의해 연동부재(98)과 함께 조작부재(85)가 앞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저지레버(87)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번에는 제16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발톱부재(94)가 걸림부재(92)의 안쪽구멍(92a)내로 향해서 조작부재(85)의 뒤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한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되감기 레버(3)의 전진동작상태는 걸림레버(76)에 의해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헤드 플레이트(4)가 후퇴해서 테이프의 빨리보내기 동작이 실행되고, 또한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전환되어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은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서 앞쪽부분 위치의 회전운동판(21f)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므로 이것에 마련한 연동부재(98)이 뒤쪽으로 이동하고, 이 연동부재(98)을 탄성적으로 끼워두고 있는 1쌍의 다리부재(93a),(93b)중 이번에는 다른쪽의 다리부재(93a)가 상기 조작부재(85)의 뒤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있는 것에 의해 그의 탄성력을 축적해서 제16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경사져서 동작한다. 즉, 되감기 레버(3)을 전진동작 조작했을 때 저지레버(87)에 의해 조작부재(85)의 뒤쪽으로의 이동은 저지되므로 회전운동판(21f)의 회전운동만이 허용되고 채널 전환회로용의 스위치 S1은 전환되는 일없이 테이프의 주행방향만이 전환되며 또한 이 상태에서 회전구간검출이 실행된다.
그리고, 회전구간 검출이 실행되면, 그의 검출신호에 의해 플랜저 R이 작동해서 걸림부재(76)을 그의 복원용 스프링(78)에 대항해서 회전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전진동작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되감기 레버(3)은 작동적으로 복원된다는 것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그러면 되감기 레버(3)의 복원에 의해 그의 전단에 마련된 돌출핀(70)이 저지레버(87)의 오목형상 단부(95)에 맞닿고 저지레버(87)은 그의 스프링(97)에 대항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원하므로 조작부재(85)는 저지레버(87)에서 해방되어 뒤쪽으로의 슬라이드가 허용되고, 따라서 조작부재(85)는 회전운동판(21f)의 연동부재(98)에 다른쪽의 다리부재(93a)가 눌려 접한 상태에서 그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16도에 있어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5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되고 채널 전환회로용 스위치 S1이 전환된다. 그러나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되감기 레버(3)의 후퇴동작시에도 테이프의 주행방향 전환이 실행되므로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기구(40)의 작동에 의해 회전운동판(21f)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해서 1쌍의 다리부재(93a),(93b)가 상기 회전운동판(21f)의 연동부재(98)을 끼워둔 상태에서 도면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작부재(85) 및 스위치 S1은 제16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원래의 채널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6도의 점선 상태에서 제15도의 실선 상태로 이동하는 동작과 제15도의 실선 상태에서 제16도의 실선 상태로 이동하는 동작은 거의 동시에 실행되므로 결과적으로 채널 전환회로용 스위치 S1은 비동작상태로 된다.
상기 실시예는 헤드채널 전환기구(80)에서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의 한쪽의 끝부분에 접속된 회전 운동판(20f)에 연동부재(98)을 일체로 마련하고, 이 연동부재(98)을 탄성조각(93)을 거쳐서 조작부재(85)에 연결한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제17도는 중간을 기기틀(1)에 직접 또는 중간기어(62)의 원추형 지지된 암부재(101)의 한쪽끝을 긴 구멍(102)와 핀(103)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의 정상부(20a)의 중간위치에 연결함과 동시에 다른쪽을 끝을 조작부재(85)에 부착한 탄성부재(93)의 다리부재(93a) 사이에 개재하는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의 작동에 따른 회전운동은 회전운동판(20f)와 동일하므로 이 회전운동에 따른 헤드채널 전환기구(80)과의 작용도 또 회전운동판(20f)를 연동부재(98)을 일체로 마련한 경우와 다른 점은 없다.
제18도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의 정상부(20a)의 중간위치에 일체로 다리부재(20b)와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암부재(104)를 마련해서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술한 회전운동판(21f)에 연동부재(98)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의 동작에 따른 연동부재(101)의 움직임이 정반대로 되고, 예를 들면 제1도의 뒷쪽 플레이상태에서 제5도의 앞쪽 플레이상태로 전환동작을 한 경우에 연동부재(98)은 앞쪽으로 이동(제15도의 실선 상태에서 점선상태)하는데 반해 이 실시예에서는 뒤쪽으로의 이동(제16도의 실선 상태에서 점선 상태)하게 되며, 그 이외의 작용은 다르지 않다.
또, 제19도, 제20도, 제21도는 중간을 기기틀(1)에 직접 또는 중간기어(62)의 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원추형 지지한 암부재(101)의 한쪽 끝에 U자형으로 굴곡된 탄성부재(105)의 기저부를 고착함과 동시에 그 양 다리부재(105a) 사이에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의 정상부(20a)의 중간위치에 마련한 돌출부(106)을 개재하고 또한 암부재(101)의 다른쪽 끝을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85)에 마련한 소매부재(91)의 아래쪽 가장자리부에 걸어 고정시키고, 제15도, 제16도에 도시한 연동부재(98)과 탄성부재(93) 사이에서 실행되는 작용과 동일한 작용 및 돌출부재(106)과 탄성부재(105) 사이에서 실행되도록 구성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또 제21도 조작부재(85)의 소매부재(91)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L자형으로 굴곡되어 안쪽으로 연장하는 암부재(107)을 일체로 마련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에 U자형으로 굴곡된 탄성부재(105)의 기저부를 고착하고 또한 이 탄성부재(105)의 양 다리부재(105a) 사이에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의 정상부(20a)의 중간위치에 마련한 돌출부재(106)을 개재해서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돌출부재(106)과 탄성부재(105) 사이에서 제15도, 제16도에 도시한 연동부재(98)과 탄성부재(93) 사이에서 실행되는 작용과 동일한 작용을 실행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테이프의 전진방향에서 회전구간 검출을 실행하는 경우는 빨리보내기 레버(2)를 그의 복원용 스프링에 대항해서 전진동작 조작시킨다.
이 경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헤드 플레이트(4)를 후퇴시키는 동작이 실행되는 것만으로 테이프의 주행 방향의 전환동작 및 채널 전환회로용 스위치 S1의 전환동작은 실행되지 않는다.
또, 플레이상태에서 테이프 주행방향만을 전환할때는 도시하지는 않지만, 예를들면 작동레버에 의해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기구(40)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채널 전환스위치 S1은 조작부재(85)의 이동이 저지되는 일없이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20)에 마련된 연동부재(101)의 변위에 따라서 전환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재(85)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 조작부재(85)를 생략해서 연동부재(98)과 채널 전환스위치 S1의 조작부재(88)을 탄성부재(93)을 거쳐서 연동하도록 마련하고, 지지레버(87)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88) 또는 탄성부재(93)의 이동을 저지하여 채널 전환스위치 S1이 전환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상기에 있어서, 빨리보내기 레버(2)와 되감기 레버(3)을 동시에 전진동작시킨 경우, 양 레버(2),(3)은 전진동작 스트로크가 제한되는 일없이 그들을 개별적으로 전진동작시킨 경우와 마찬가지로 깊게 전진 동작하여 그의 전진동작상태가 걸림부재(76)에 의해 유지되고, 감기레버(3) 또는 빨리보내기 레버(2) 중 한쪽의 레버의 전진동작 유지상태를 다른쪽의 레버에 의해서 해제한다는 기능이 불가능하게 되는 오동작상태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지레버(87)에 당접부(96)을 마련해서 상기한 염려를 해소하고 있다.
즉, 빨리보내기 레버(2)와 되감기 레버(3)을 동시에 전진동작시켰을 때에는 빨리보내기 레버(2)가 선행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전진동작 당초에 되감기 레버(3)의 전단에 마련된 돌출핀(70)이 저지레버(87)의 오목형상 단부(95)에서 분리되고 저지레버(87)은 스프링(97)에 의해 순간적으로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므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빨리보내기 레버(2)에 마련된 팽창부(2j)가 저지레버(87)의 당접부(96)에 맞닿아서 그의 전진동작이 저지되고 되감기 레버(3)만이 전진동작이 허용되어 이것이 걸림부재(76)에 의해 그 전진동작상태가 유지되게 되므로, 되감기 레버(3)의 전진동작 유지상태를 빨리보내기 레버(2)의 전진동작에 의해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양 레버(2),(3)이 동시에 전진동작상태로 유지된다는 오동작이 발생할 염려는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되감기 레버의 전진동작시에 헤드채널 전환스위치의 전환동작을 저지하는 구성이므로, 헤드채널 전환후에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동작과 헤드 플레이트 후퇴동작이 실행되어 종래와 같이 동작 타이밍의 차에 의해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동작후에 헤드 플레이트 후퇴동작과 헤드채널 전환동작이 실행되거나 또는 헤드 플레이트의 후퇴후에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전환될 염려가 없어 동작이 안정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고,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구성에 의하면 빨리보내기 레버와 되감기 레버를 동시에 조작했을 때의 오동작은 없어지고 또한 그 구성은 헤드채널 전환스위치의 전환동작을 저지하는 저지수단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된다는 등의 이점을 갖는다.

Claims (4)

  1. 되감기 레버의 전진동작마다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를 전환하는 전환수단, 상기 전환수단에 탄성연결수단을 거쳐서 연결되어 전환수단의 전환동작에 따라서 전환되는 헤드채널 전환스위치, 되감기 레버의 전진동작상태를 유지하고, 이 유지상태가 회전구간 검지신호에 의해 해제되는 유지기구 및 되감기 레버의 전진동작시에 상기 헤드채널 전환스위치의 전환동작을 저지하는 저지수단으로 구성된 회전구간 검지수단을 구비한 테이프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수단은 헤드채널 전환스위치를 전환조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저지수단에 의해서 그 전환동작이 저지되는 조작부재, 중간을 지점으로 해서 회전운동하고 한쪽 끝이 상기 조작부재 또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중 어느 한쪽에 연결된 회전운동이 가능한 부재 및 상기 부재의 다른쪽 끝과 조작부재 또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중 다른 한쪽 사이에 마련되어 그들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플레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수단은 헤드채널 전환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저지수단에 의해 그 전환동작이 저지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 또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중 어느 한쪽의 한쪽끝에 마련된 암부재 및 상기 암부재의 선단과 조작부재 또는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부재중 다른 한쪽 사이에 마련되어 그들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플레이어.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구에 의해 전진동작상태가 유지되는 빨리보내기 레버를 구비하고 또한 되감기 레버와 빨리보내기 레버를 동시에 전진동작시켰을 때 빨리보내기 레버의 전진동작을 지지하는 당접부를 빨리보내기 레버와 저지수단 사이에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테이프 플레이어.
KR1019900016516A 1989-10-25 1990-10-17 테이프 플레이어 KR960013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6137 1989-10-25
JP1276137A JPH06103552B2 (ja) 1989-10-25 1989-10-25 テーププレー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683A KR910008683A (ko) 1991-05-31
KR960013005B1 true KR960013005B1 (ko) 1996-09-25

Family

ID=1756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516A KR960013005B1 (ko) 1989-10-25 1990-10-17 테이프 플레이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103552B2 (ko)
KR (1) KR960013005B1 (ko)
DE (1) DE403298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2524A1 (de) * 1995-09-02 1997-03-06 Philips Patentverwaltung Magnetbandkassettengerät mit einem Laufwerk für Magnetbandkassett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43320B (en) * 1978-11-15 1983-01-26 Sharp Kk Nonprogramme section detection mechanism in a cassette tape player
US4511939A (en) * 1981-07-17 1985-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ssette tape recorder
KR900001009B1 (ko) * 1983-11-23 1990-02-24 다나싱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테이프 레코더
JPS61230641A (ja) * 1985-04-05 1986-10-14 Clarion Co Ltd ヘッドプレ−トと早送り巻戻しレバ−のロッ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032986A1 (de) 1991-05-02
JPH03141062A (ja) 1991-06-17
DE4032986C2 (de) 1997-04-24
KR910008683A (ko) 1991-05-31
JPH06103552B2 (ja) 199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005B1 (ko) 테이프 플레이어
US4563711A (en) Tape player
US5276567A (en) Tape player
JPH0725870Y2 (ja) テ−プレコ−ダ
KR940006388B1 (ko) 오토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
KR860000916B1 (ko) 테이프 종단검출장지
JPH0743791Y2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KR960008033B1 (ko) 테이프 플레이어
JPH0834016B2 (ja) オートリバース方式のテーププレーヤ
JPH0610514Y2 (ja) テ−プレコ−ダ
JP2595699B2 (ja) カセットテープデッキ
KR920000435Y1 (ko) 테이프 레코더
JPH0319117Y2 (ko)
JPH0373944B2 (ko)
JP2571718B2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モード切換装置
JP2952927B2 (ja) テーププレーヤのオートリバース機構
KR920008563Y1 (ko) 테이프 레코더 장치
JP2995631B2 (ja) テーププレーヤ
KR920008564Y1 (ko) 테이프 레코더장치
JP2587123Y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における動メスのガタ防止装置
US6212039B1 (en) Device for shifting direction modes of tape player
KR940001113Y1 (ko) 테이프 레코더
JPH0740386B2 (ja) カセットテーププレーヤ
JP2909834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S5843064Y2 (ja) テ−ププレ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