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949B1 - 멀티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응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응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949B1
KR960012949B1 KR1019900021682A KR900021682A KR960012949B1 KR 960012949 B1 KR960012949 B1 KR 960012949B1 KR 1019900021682 A KR1019900021682 A KR 1019900021682A KR 900021682 A KR900021682 A KR 900021682A KR 960012949 B1 KR960012949 B1 KR 960012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ing
call
portable devic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961A (ko
Inventor
강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2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949B1/ko
Publication of KR92001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응답하는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기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스템도.
제3도는 제2도의 휴대장치의 구체회로도.
제4도는 제2도의 고정장치의 구체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구조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타이밍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에서의 처리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에서의 처리흐름도.
본 발명은 한대의 고정장치와 여러대의 (멀티)휴대장치로 구성된 MCA 방식의 무선전화기 시스템에서 국선으로부터 전화가 호출되었을 때 고정장치가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하되 멀티휴대장치중 움직이는 어느 한대의 휴대장치를 통해 가장 먼저 통화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제1도와 같이 한대의 고정장치(10)와 그와 부합되는 한대의 휴대장치(12)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장치(12)는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처리장치(810)에서 출력회로로 부저회로(81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RF 모듈(819)로부터 통화신호를 변복조하는 모뎀(816)이 상기 중앙처리장치(810)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장치(10)의 내부는 제4도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제3도의 휴대장치(1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국선전화라인과 접속하여 다이얼링 및 벨신호를 검출하는 전화선 접속회로(821)로 구성되며, 이의 동작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개의 고정장치(10)에 같은 고유번호(ID, Code)를 갖는 한대의 휴대장치(12)로 운용되는 시스템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국선교환상으로부터 호가 호출될 경우 또는, 휴대장치(12)의 키동작에 의해 고정장치(10)와 연결하여 호를 형성하는 두가지 경우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810)는 각 회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휴대장치(12) 또는 고정장치(10)로부터 호출을 시작하면, 이에 부합되는 고정장치(10) 또는 휴대장치(12)는 제3, 4도에서 RF 모듈(819, 329), 모뎀(816, 326)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같은 번호를 가지면 이에 대해 응답신호를 모뎀(816, 326), RF 모듈(819, 329) 순으로 송출한다.
상기 과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휴대장치(12)는 고정장치(10)로 후크 오프신호를 송출하여 고정장치(10)의 전화선 접속제어회로(821)의 후크 릴레이를 오프하여 국선전화망의 상대방과 통화를 이룬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통화상태에서는 다른 휴대장치(12)로 호전환을 할 수 없고 오로지 한대의 고정장치(10)에 한대의 휴대장치(12)간에 통화가 형성된 후 종료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스템도로서, 한대의 고정장치(10)에 여러대의 휴대장치(22)로 구성되며, 각 휴대장치(22)는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내부 롬을 가진 싱글 중앙처리장치(810, 320) 및 그 주변회로들(34~37), 모뎀(816), RF 모듈(819)로 구성되고, 그림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장치(10)는 휴대장치와 대부분이 동일하고, 국선 전화 라인과 접속하여 다이얼링 및 벨신호를 검출하는 전화선 접속회로(321)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면을 보면 종래의 기술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고정장치(10)에는 반드시 한대의 휴대장치(12)가 한쌍이 되어 전화를 걸거나 받거나 하였다.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대의 고정장치(10)에 여러대의 휴대장치(221-22N)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운용된다. 각각의 휴대장치(222-22N)는 고정장치(20)와 무선구간으로 신호 송/수신에 의해 통화를 형성할 수 있다. 단, 여러대의 휴대장치(221-22N)중 임의의 휴대장치가 고정장치(20)와 통화중이면 다른 휴대장치는 고정장치(20)와 통화를 형성할 수 없고, 고정장치(20)와 연결된 휴대장치가 통화를 종료하면 다른 휴대장치가 통화를 형성할 수 있다.
각 휴대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처리과정을 저장한 내부 롬, 처리과정중 각종 데이타를 읽고 내부 램 및 각종 레지스터를 가진 중앙처리장치(810, 320), 음성을 인식하고 수신된 음성을 사용자에게 들려주는 오디오 회로(328), 중앙처리장치(810, 320)로부터의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RF 모듈로부터 수신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모뎀(816, 326), 대응되는 장치로(고정장치→휴대장치 또는 휴대장치→고정장치) 데이타 및 음성신호를 무선공간으로 송출/수신 기능을 처리하는 RF 모듈부(819, 329), 벨신호와 같은 각종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부저 회로(814, 324)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한대의 고정장치와 같은 고유번호를 갖는 오직 한대의 휴대장치간에 통화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하나의 국선 전화선을 오직 한 사람만이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전화선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여러 사람이 움직이면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선전화기를 사용하려면 사람숫자 만큼의 번호에 대응하는 무선전화기(고정장치 및 휴대장치)가 필요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대의 고정장치와 여러대(멀티) 휴대장치로 구성된 MCA 방식의 무선전화기 시스템에서 국선으로부터 전화기가 호출되었을 때 고정장치가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하고 멀티 휴대장치중 어느 한대가 가장 먼저 동작하였을 때 또는 멀티 휴대장치가 동시에 응답했을 때 무선구간의 통신에서 충돌없이 한대의 휴대장치만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국선에 여러명이 이동하면서 전화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시스템 구성면을 보인 종래의 기술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장치(10)에는 반드시 한대의 휴대장치(12)가 한쌍이 되어 전화를 걸거나 받거나 하였다.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면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대의 고정장치(20)에 여러대의 휴대장치(221-22N)는 고정장치(20)와 무선구간으로 신호 송/수신에 의해 통화 형성할 수 있다. 단, 여러대의 휴대장치(221-22N)중 임의의 휴대장치가 고정장치(20)와 통화중이면 다른 휴대장치는 고정장치(20)와 통화를 형성할 수 없고 고정장치(20)와 연결된 휴대장치가 통화를 종료하면 다른 휴대장치가 통화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휴대장치 회로를 설명하면,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8도의 흐름도를 디코딩하여 저장한 내부롬, 데이타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내부램 및 각종 레지스터를 가진 중앙처리장치(싱글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내부롬에 있는 흐름도에 따라 각 I/O 포트(P. 10-.22)를 제어하여 주변회로[모뎀(816), RF 모듈(819)]를 제어한다. 주변회로중에 모뎀(816)을 먼저 설명하면 X-TAL 발진에 의해 발생된 클럭이 모뎀(316)으로 입력되면 모뎀은 동작하고 300, 301 라인에 일정한 주기의 클럭(CLOCK)이 발생하여 중앙처리장치(810)의 포트(P.11/P.12)로 입력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810)에서 모뎀(816)으로 데이타를 송출하고자 할때는 먼저 303라인과 305라인을 1, 1로 하고 301라인의 클럭 주기에 맞추어 304라인을 변환(I/O)시켜 디지탈 신호를 모뎀(816)으로 송출한다. 그러면 모뎀(816)에서는 이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MSK)로 변환하여 315라인을 통해 RF 모듈(819)로 보내진다. 위와 반대로 수신인 경우에는 RF 모듈(819)를 통해 314라인으로 아나로그 신호(MSK)가 모뎀(816)으로 입력되면 모뎀(816)에서는 이 신호를 디지탈 신호 변환하여 300라인의 클럭 동기에 맞게 302라인을 통해 중앙처리장치(810)에 입력시키면 중앙처리장치(810)에서는 이 신호를 300라인 클럭 주기에 맞추어, 통신데이타(RD)라인을 통해 디지탈 신호를 읽어서 분석한다. 모뎀(816)은 또한 내부에 마이크(34)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기능이 있다. 다음으로 RF 모듈(819)를 설명하면, 모뎀(819)으로부터 MSK 신호를 무선구간으로 송출하고 무선구간으로부터 MSK 신호를 수신역할을 한다. 307라인은 주파수 합성기 및 RF 모듈(819)내 주변회로의 전원을 스위치하는 라인이고, 308라인은 MSK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구간으로 송출하기 위한 회로의 전원을 스위치하는 라인이다. 309~311라인은 원하는 주파수로 록킹시킬때 사용되고, 312, 313라인은 무선구간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라인이다. 상기 중앙처리장치(810) 주변에 있는 스위치를 설명하면 전화가 왔을때 또는 각종 경보음을 울릴때 중앙처리장치(810)에서 321라인에 일정한 주기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면서 320라인을 제어하여 스위치-A(37)의 ON, OFF함으로써 각종 경보음을 만들고, 스위치-B(38)는 대기상태에서 또는 데이타 송출시 잡음이 스피커(35)로 울리는 것을 막고, 통화상태에서 무선구간을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가 나오도록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통화스위치(36)은 사용자가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또는 통화상태에서 통화를 종료하고자 할때 사용된다. 스위치(36)의 온/오프 상태를 중앙처리장치(810)에서 319라인을 통하여 인지하여 그에 처리를 수행한다.
제4도의 고정장치의 회로를 살펴보면, 제3도의 휴대장치와 대부분이 동일하면 휴대장치의 마이크/스피커부분 대신 전화선 접속 제어 회로(321)부분이 첨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대기상태에서 420라인이 0이면 국선으로부터 들어오는 전화라인(426)은 릴레이(47)을 통해 419라인으로 입력된다. 전화가 오면 일정 주기의 벨신호가 419라인을 변환시키고 이를 중앙처리장치(320)에서 포트(P.20)을 통하여 벨신호를 검출하여 전화가 왔음을 인지하고 그에 대한 처리를 한다. 이때 휴대장치의 통화 스위치(36)가 접속되면 중앙처리장치(320)에서 420라인을 변환시키면, 릴레이(47)가 구동되어 전화선 426라인의 -48V라인이 424라인으로 접속된다. 이때부터 국선 전하라인의 상대방과 424라인, 425라인 및 오디오회로(328)를 통해 음성신호를 주로 받음으로써 통화가 형성된다.
제5~6도 신호의 종류와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 신호는 무선구간을 통하여 고정장치(20)와 휴대장치(221-22N)간에 송수신하는 것으로 전화를 걸거나 받을때 또는 통화종료 및 각종 기능에 따라 사용한다. 신호들은 각 장치(20, 221-22N)의 중앙처리장치(810, 320)으로부터 디지탈 신호가 발생되어 모뎀(816, 326)을 통하면서 아나로그(MSK)신호로 변환하여 RF 모듈(819, 329)의 동작에 의해 무선구간으로 송출된다. 무선구간으로 송출된 아나로그 신호는 RF 모듈(819, 329)에 의해 수신되어 모뎀(816, 326)으로 입력된다. 상기 모뎀(816, 326)에서는 수신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810, 320)의 입력으로 내보낸다. 중앙처리장치(810, 320)에서 이 신호를 분석하여 그에 대한 처리과정에 따라 수행된다.
신호의 구조를 그림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BIT SYNC 32 BIT. FRAME SYNC 16 BIT. ID CODE(고유번호) 24 BIT, HEADER 4 BIT, 4개의 FIELD 4*4=16 BIT. CHECKSUM 4 BIT 등으로 총 92 BIT로 구성되며, 각 FIELD별로 그 용도와 역활을 설명하면, BIT SYNC는 그 값이 101010-101010 : 33 BIT이고, 모뎀의 PLL LOCKING할 때 사용하여 수신 데이타의 동기를 맞추는데 사용된다. FRAME SYNC는 그 값이 ECAL(HEX)/ECAO(HEX) : 16 BIT이고, 그 용도는 신호의 초기점을 인식하여 신호의 종류를 분석하기 위한 신호식별용이다. ID CODE(고유번호)는 24 BIT로 구성된 고정/휴대장치의 고유번호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대응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고유번호는 그룹번호 부분(23-4 BIT)과 개별번호 부분(3-0 BIT)으로 나누어진다. 헤드(HEADER)는 4 BIT로 구성되며 신호의 대 분류를 하기 위한 코드이다. 체크섬(CHECKSUM)은 4 BIT로 구성되며 수신된 신호의 오류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며, 헤더와 FIELD1~FIELD4의 XOR의 결과 값을 나타낸다.
그림 제6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된 신호들의 헤더 및 필드의 구성 값을 표시한 것이다. 이 신호들의 사용 용도 및 시점은 제7도 , 제8도 및 제9도에서 설명된다.
그림 제7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있어, 무선 구간을 통하여 주고 받는 신호 및 송신 파워 전원의 ON OFF 시점에 관한 타이밍도이다. 타이밍도는 크게 휴대장치(221-22N)와 고정장치(20)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서로 대응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먼저 전화라인으로 벨 신호가 중앙처리장치(320)의 419라인으로 입력되는 모양이 61에 표시되어 있고, 고정장치의 수신전원은 항상 ON 상태로 유지되고(62), 송신 전원은 링 온을 인지한 시점에서 프리 채널을 찾은 다음부터 송신 전원을 '온한다(63). 64 부분은 고정장치(20)에서 링 ON, OFF 주기에 맞추어 휴대장치로 송출하는 링 ON/OFF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멀티 휴대장치는 이 링 ON/OFF 신호의 ON/OFF 동기에 맞추어 같은 시점에서 벨이 울리게 된다.
특히, 이 부분은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각 링 온/오프 신호내에 제6도의 신호구조 및 종류에서 표시된 FIELD2의 값이 운용되는 멀티 휴대장치(220-22N)의 대수에 관련되어 일정한 주기값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제6도에 도시된 그림처럼 4대의 멀티 휴대장치(220-22N)가 같이 운용된다고 가정하면, 링 ON/OFF의 FIELD2 값이 1에서 4가지의 주기로 변환된다. 변환하는 FIELD2의 의미는 멀티 휴대장치(220-22N)의 송신 전원의 ON OFF시점(데이타 송출시점)을 지정하여, 멀티 휴대장치(220-22N)의 사용자가 휴대장치의 통화 스위치(36)를 접속하였을 때 휴대장치(220-22N)의 데이타 송출시점을 지정함으로서 데이타 충돌현상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제 동작 상태를 신호 종류와 함께 살펴보면, 링 ON/OFF의 FIELD 값의 동기에 따라 멀티 휴대장치(휴대장치-1-휴대장치-4)의 송신전원이 ON/OFF된다. 이는 다른 고정장치(20)에서 이 채널이 사용중임을 알림과 동시에 데이타 송출시점을 알리는 정보이다.
만약, 681시점에서 멀티 휴대장치 사용자가 통화 스위치(36)를 동시 접속시켰다고 가정하자. 이때 링 오프 신호의 마지막 비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필드값이 1이면 휴대장치-1만이 신호를 완전히 수신한 시점(6A1)에서 훅크 오프신호(6A2)을 송출하고, 다른 휴대장치는 링 온/오프 신호를 받지 않았으므로 송신 전원을 오프하였으므로 휴대장치-1의 데이타 송출에 전혀 영향이 없다. 이때 고정장치는 수신된 훅크 오프신호(651)에 대한 응답신호인 인식신호(641)를 제5도를 참조하여 송출한다. 4대의 멀티 휴대장치(220-22N)에서는 이 인식 신호를 모두 수신하지만 각 휴대장치는 먼저 후크 오프 신호를 송출하였는지 아닌지를 기억하고 있으므로, 신호를 송출한 휴대장치-1만이 등화상태로 들어가고 다른 휴대장치는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결국은 한대의 휴대장치만이 데이타 충돌을 피하여 통화가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중앙처리장치(320, 810)의 내부롬에 데코드되어 저장된 처리과정에 대하여 그림 제8도 및 제9도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고자 한다.
먼저 그림 제8도 고정장치(20)에서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중앙처리장치(320)의 내부롬으로부터 디코딩된 제7도의 흐름도를 읽어서 그 순서에 따라 처리한다. 419라인의 상태를 검사하여 국선전화 라인으로부터 전화가 왔는지를 검사한다. 링 오프 상태이면(전화가 호출되지 않은 상태이면) 계속해서 419라인의 상태를 검사하여 링 온이 될때까지 기다린다(701과정). 링 온이면 타이머-A 램 번지에 5초를 저장하고(702과정), 무선구간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412, 413 라인의 상태를 검출하여 기준세기와 비교한다(703과정). 수신세기가 기준세기보다 크면(이 채널은 사용중인 채널임을 나타냄 : 통화중 채널) 타이머-A램 번지값이 중앙처리장치 내부에 있는 타이머 인터럽트에 의해 0가 되었는가를 검사하여 0이면 701과정으로, 0이 아니면 715과 정의 채널값을 1만큼 증가시켜 703과정으로 돌아간다. 703과정에서 수신신호 세기가 기준신호보다 적으면(프리채널) 704과정의 타이머-A이 0가 되었는지(국선으로부터의 호출이 중지되었는지)를 검사하여 0이면 701과정으로 돌아가고, 0이 아니면 제5도의 신호구조 및 종류에 도시된 휴대장치 번호 필드의 값(FIELD2)을 1만큼 증가시킨다(705과정). 다음 과정으로는 지금 현재의 419라인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RING ON인지 RING OFF인지)를 검사하여(706과정) 링 오프이면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 오프신호를 에디트하고 401, 403, 404, 405 라인을 이용하여 디지탈 신호를 모뎀(326)으로 송출하면 모뎀에서는 RF 모듈(329)를 통하여 무선 구간으로 링 오프 MSK 신호를 송출한다. 706과정에서 링 온이면 계속적으로 벨이 오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기 위해 타이머-A로 램 번지에 10초 값을 저장하고(707과정)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 오프신호를 에디트하고 401, 403, 404, 405라인을 이용하여 디지탈 신호를 모뎀(326)으로 송출하면 모뎀(326)에서는 RF 모듈(329)를 통하여 무선구간으로 링 오프 MSK 신호를 송출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706과정에서 708과정은 제6도의 설명에서 서술한 송신 전원 및 데이타 송출시점을 지정하여 주기 위한 처리과정이다.
704과정에서 709과정의 루우프를 돌면서 무선구간, RF 모듈(329), 모뎀(326)을 통해 수신되는 MSK 신호를 400, 402라인을 통하여 디지탈 신호로 검사하여(709과정) 후크 오프 신호이면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식 신호를 만들어 모뎀 모듈(329)를 통하여 무선구간으로 송출하여 휴대장치로 보낸다(710과정). 그리고, 후크 릴레이 스위치(47)를 구동시켜 전화라인(428)을 424라인으로 접속하고(711과정) 또한 스위치-B(46)를 접속시켜(712과정) 휴대장치와 통화를 이룬다.
다음 제9도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장치의 흐름도를 설명하기로 하자.
지금 현재의 상태가 통화인지 대기인지를 검사하여 통화상태이면 대기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린다(801과정). 대기상태이면 현 록킹된 채널의 수신신호 세기와 기준신호 세기를 비교하여(802과정), 프리상태(기준신호수신신호)이면 채널값을 1만큼 증가시켜 (802)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통화중 상태이면 무선구간, RF 모듈(819), 모뎀(816)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300), (302)라인을 통하여 들어오는 수신 데이타를 저장하고(803과정)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신신호의 그룹 ID 코드와 중앙처리장치(810)에 기억된 그룹 ID 코드를 비교하여(804과정), 일치하지 않으면 802과정으로 돌아가고 일치하면 수신신호를 분석하여 어떤 종류의 신호인지를 검사한다(806, 817, 819과정). 먼저 806과정에서 'RING ON'신호로 판별될 경우에는 'RING ON 수신'번지 램에 1를 기억시키고(807과정) 320, 321라인을 이용하여 BUZZER를 구동하여 벨을 울리고 'TIMER-A'번지 램에 10초 값을 넘어 현재 'RING ON'상태임을 인지하고(808과정) 중앙처리장치내에 저장된 개별 ID CODE의 수신신호의 개별 ID 코드를 비교하여(809과정) 일치하지 않으면, 송신 전원을 OFF하고(811과정), 일치하면 타이머-A번지 램 값을 비교하여(813과정) 0인지를 검사한다. 0이면 전화호출이 정지된 것으로 인식하고 (826)과정 및 (827)과정으로 돌아간다. (813)과정에서 타이밍-A가 0이 아니면 (805)과정으로 돌아가서 계속 수신신호를 분석 비교한다. (809)과정에서 ID 코드가 일치하면 송신 전원을 오프하고(810과정) 통화 스위치(36)가 접속되는지를 검사하여(813과정) 접속되면, (814)과정의 송신 전원 온과정을 거쳐 호크 오프 송출번지 램을 1로 한 다음, 링 온신호를 제6도를 참조하여 만들고, (301), (303), (304), (305)라인을 제어하여 모뎀(816), RF 모듈(819)를 거쳐 무선구간으로 송출한다. (817)과정에서 링 오프신호로 판별되면, (320)라인을 오프시켜 부져(814) 구동을 정지하고, 벨을 정지하고(818과정) (805)과정으로 돌아가서 수신신호를 분석 비교한다. (820)과정에서 훅크 오프 송출번지 램 값이 1이 아니면 링 온 수신 번지 램값이 1인지를 검사하여(828과정) 1이면 벨을 정지하고(829과정), (826), (827)과정을 거쳐 후크 오프 송출 번지 램과 링 온 수신 번지 램을 0으로 삭제하고 (802)과정에서 다시 시작한다. (819), (820), (828), (829), (826), (827)과정은 제7도에서 설명한 것처럼 임의 휴대장치에서 후크 오프 신호를 송출하였을때 후크 오프 신호를 송출하지 않은 휴대장치에서 인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기상태로 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820)과정에서 후크 오프 송출번지 램이 1이면, 이 번지의 램을 0으로 삭제하고 (303)라인, (305)라인을 1, 0으로 하여 모뎀을 마이크(34)의 음성신호가 (315)라인으로 송출되도록 한다(822과정). 또한 스위치-B를 접속하여(823과정) 스피커(35)와 연결시켜 통화를 형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무실 및 가정에서 하나의 국선라인(고정장치)을 통하여 여러명의 전화를 이용할 필요성이 있는 장소에서, 한대의 고정장치와 여러대(멀티) 휴대장치로 구성한 MCA 방식의 무선전화기 시스템을 설치하여 국선으로부터 전화가 호출되었을 때 고정장치가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하여 움직이는 멀티 휴대장치중 어느 한대의 휴대장치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국선에 여러명이 이동하면서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고정장치(10)와 복수의 휴대장치(220-22N)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휴대장치 호출 방법에 있어서, 링온상태에서 소정시간 채널을 증가시키면서 수신신호를 기다리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수신신호 수신시 상기 휴대장치 번호 필드를 1필드씩 증가시켜 링온인가를 체킹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링오프일때 링오프신호 에디트한 후 송출하고 링온일 때 소정 타임을 세팅한 후 링온 신호를 에디트한 후 송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신신호가 훅크오프일 때 인식신호를 에디트한 후 송출하고 후크 릴레이 스위칠르 오프하고 스위치를 접속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응답하는 방법.
  2. 고정장치(10)와 복수의 휴대장치(220-22N)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응답방법에 있어서, 통화 대기상태에서 채널을 증가시키면서 고정장치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 그룹의 ID 코드와 비교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ID 코드와 일치될시 수신 데이타를 분석하여 링 신호일 때 링온 신호를 수신램에 세팅하고 소정 타임으로 벨을 울리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게에서 링온 정보가 아닐때 링오프 정보이면 벨을 정지하고 링오프 정보도 아니면 인식정보인가를 체킹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인식신호일때 훅크오프 송출모드가 세팅되어 있으면 클리어하는 모뎀은 음성 모드를 세팅하고 스피커 스위치를 온상태로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벨을 울린 후 개별 ID 코드가 수신휴대장치의 필드와 같은가를 체킹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같을 때 RF TX 전원 스위치를 온하고 통화스위치가 통화상태로 전환되었는가를 체킹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통화상태일 때 RF TX 전원 스위치를 온상태로 하고 훅크오프 송출모드를 세팅한 후 링온 신호중 에디트 및 송출하여 상기 개별 ID 코드와 무선 휴대장치 필드와 같지 않을 시 RF TX 전원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하는 타이머를 체킹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응답하는 방법.
KR1019900021682A 1990-12-24 1990-12-24 멀티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응답하는 방법 KR960012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1682A KR960012949B1 (ko) 1990-12-24 1990-12-24 멀티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응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1682A KR960012949B1 (ko) 1990-12-24 1990-12-24 멀티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응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961A KR920013961A (ko) 1992-07-30
KR960012949B1 true KR960012949B1 (ko) 1996-09-25

Family

ID=1930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682A KR960012949B1 (ko) 1990-12-24 1990-12-24 멀티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응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9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961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80129B2 (ja) 送受信装置
KR940000706B1 (ko) 셀루러 전화기 특징 선택 및 다이얼 디지트 처리방법
JPH0327632A (ja) 電気通信システム
JPH08130775A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US4897864A (en) Control method and appartus for a radio telephone system
JPH10327263A (ja) 固定電話加入者ユニット装置
KR940000849B1 (ko) 무선 전화기
KR960012949B1 (ko) 멀티 휴대장치를 동시에 호출/응답하는 방법
EP0363492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6314298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 communications apparatus accommodating communication line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wirelessly connected to said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id system
JP2943818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6580922B1 (en) Method of transmitting telephone number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JP3404950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920009152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940008110B1 (ko) 무선 전화기의 호 형성방법
KR930006415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가전기기 원격 제어방법
JP2510034B2 (ja) コ―ドレス電話機の接続制御方法
JPH01288028A (ja) 通信装置
JP2601245B2 (ja) 送受信装置
JP3013434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920000137B1 (ko) 무선전화기의 rf 링크 성립시 채널 변환방법
KR100617535B1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전화번호 송출방법
JPS5915225B2 (ja) 遠隔通信装置
KR0154693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호 전환방법
JP2569985B2 (ja) 一斉通報・通話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