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693B1 -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호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호 전환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693B1
KR0154693B1 KR1019900020900A KR900020900A KR0154693B1 KR 0154693 B1 KR0154693 B1 KR 0154693B1 KR 1019900020900 A KR1019900020900 A KR 1019900020900A KR 900020900 A KR900020900 A KR 900020900A KR 0154693 B1 KR0154693 B1 KR 015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ignal
state
code
func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967A (ko
Inventor
강병렬
Original Assignee
정용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용문
Priority to KR1019900020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693B1/ko
Publication of KR92001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Abstract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호 전환방식에 있어서, 통화상태인가를 체킹하여, 통화상태일 때 기능키 입력을 누름으로 세팅하고 기능키 입력이 아니고 숫자키 입력일 시 상기 기능키 세팅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과정에서 기능키 누름일 시 이를 클리어하고 호 전송장치를 에디트 및 송출한 후 통화종료에 이어 대기상태로 하며, 상기 대기상태일 때 수신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기준신호와의 비교에 의해 채널을 증가시켜 기준 신호의 세기를 맞춘다. 상기 과정에서 기준신호의 크기로 도달했을 시 수신데이타를 저장하여 그룹 부분 ID 코드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ID 코드와 일치될 시 호 전송신호이면 인식신호인지를 확인하여 후크 오프상태를 풀어 통화를 이룬다. 상기 과정에서 호 전송신호일 시 개별 ID 코드와 제2필드가 일치되는지를 검색하여 일치되지 않을 시 경보음을 발생하고 타이머를 소정 설정하여 소정시간동안 TALK 스위치의 조작상태를 확인한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호전환방법
제1도는 종래의 시스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도.
제3도는 제2도의 휴대장치의 구체회로도.
제4도는 제2도의 고정장치의 구체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구조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전환 및 실패순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도의 휴대장치의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도의 고정장치의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호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고정장치를 통하여 휴대장치간의 호를 전환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호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제1도와 같이 한대의 고정장치(10)와 그와 부합되는 한대의 휴대장치(12)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장치(12)는 제3도와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처리장치(310)에서 출력회로로 표시기(311), 오디오 회로(318), 부저회로(314)가 연결되고, 다이얼링 및 소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키패드(312)가 연결되며, RF 모듈(319)로부터 통화신호를 변복조하는 모뎀(316)과, 상기 모뎀(316)으로부터 통하는 음성 및 데이타를 검출하는 데이타/음성신호 검출회로(317)와, 밧데리 충전기 및 유선 통신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단자 검출 및 유선통신회로(313)가 상기 중앙처리장치(310)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장치(10)는 대부분 제4도와 같이 상기 휴대장치(1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표시기(311), 키패드(312) 부분이 제외되는 대신 국선전화라인과 접속하여 다이얼링 및 벨신호를 검출하는 전화선 접속회로(321)로 구성되며, 이의 동작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개의 고정장치(10)에 같은 고유번호(ID,Code)를 갖는 한대의 휴대장치(12)로 운용되는 시스템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국선교환상으로부터 호가 호출될 경우 또는, 휴대장치(12)의 키동작에 의해 고정장치(10)와 연결하여 호를 형성하는 두가지 경우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310)는 각 회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휴대장치(12) 또는 고정장치(10)로부터 호출을 시작하면, 이에 부합되는 고정장치(10) 또는 휴대장치(12)는 제3,4도에서 RF 모듈(319,329), 모뎀(316,326)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같은 번호를 가지면 이에 대해 응답신호를 모뎀(316,326), RF 모듈(319,329) 순으로 송출한다.
상기 과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휴대장치(12)는 고정장치(10)로 후크 오프신호를 송출하여 고정장치(10)의 전화선 접속제어회로(321)의 후크 릴레이를 접속하여 국선전화망의 상대방과 통화를 이룬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통화상태에 다른 휴대장치(12)로 호전환을 할 수 있고 오로지 한대의 고정장치(10)에 한대의 휴대장치(12)간에 통화가 형성된 후 종료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는 호를 형성한 상태(통화상태)에서 다른 사람에게 통화를 바꾸어 주고자 할 때 휴대장치(12)를 들고 바꾸고자 하는 사람에게 휴대장치(12)를 직접 전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통화를 바꾸어 주어야하는 사람이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통화전환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대의 고정장치와 멀티 휴대장치가 운용되는 무선전화 시스템에서 멀티 휴대장치를 어느 한대가 먼저 호를 형성하여 통화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휴대장치를 가진자가 사용자에게 통화를 전환하고자 할 때 사람이 이동하지 않고 휴대장치 키동작에 의해 통화를 자동으로 바꿀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도로서, 한대의 고정장치(20)에 여러대의 휴대장치(22)로 구성되며, 각 휴대장치(22)는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내부 롬을 가진 싱글 중앙처리장치(310,320) 및 그 주변회로들(311-329)로 구성되고, 그림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장치(10)는 휴대장치와 대부분이 동일하고, 표시기(311), 키패드(312) 부분을 제외하는 대신 국선 전화 라인과 접속하여 다이얼링 및 벨신호를 검출하는 전화선 접속회로(321)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선구간의 신호구조 및 종류, 이 신호들의 신호 처리순서도 및 중앙처리장치 내부 롬에 저장된 본 발명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 구성된다.
먼저, 시스템 구성면을 보면 종래의 기술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하나의 고정장치(10)에는 반드시 한대의 휴대장치(12)가 한쌍이 되어 전화를 걸거나 받거나 하였다.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대의 고정장치(20)에 여러대의 휴대장치(221-22N)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운용된다. 각각의 휴대장치(222-22N)는 고정장치(20)와 무선구간으로 신호 송/수신에 의해 통화를 형성할 수 있다. 단, 여러대의 휴대장치(221-22N)중 임의의 휴대장치가 고정장치(20)와 통화중이면 다른 휴대장치는 고정장치(20)와 통화를 형성할 수 없고, 고정장치(20)와 연결된 휴대장치가 통화를 종료하면 다른 휴대장치가 통화를 형성할 수 있다.
각 휴대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처리과정을 저장한 내부 롬, 처리과정중 각종 데이타를 읽고 내부 램 및 각종 레지스터를 가진 중앙처리장치(310,320), 전화번호 및 운용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311), 사용자 키동작을 검출하는 키패드(312,322), 음성을 인식하고 수신된 음성을 사용자에게 들려주는 오디오 회로(318,328), 중앙처리장치(310,320)로 부터의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RF 모듈로부터 수신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모뎀(316,326), 대응되는 장치와(고정장치→휴대장치 또는 휴대장치→고정장치) 데이타 및 음성신호를 무선공간으로 송출/수신 기능을 처리하는 RF 모듈부(319,329), 각 장치의 고유번호(ID 코드)/전화번호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E2PROM(315,325), 벨신호와 같은 각종 경로신호를 발생하는 부저회로(314,324)와, 고정장치(20)에 올려 놓았을 때 충전상태를 인지하고 고정장치(20) 및 테스트장치와 연결시 사용하는 충전단자 검출 및 유선 통신회로(323)로 구성되며, 고정장치(20)는 그림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기(311), 키패드(312) 부분을 제외하는 대신 국선전화 라인과 접속하여 다이얼링 및 벨신호를 검출하는 전화선 접속제어회로(321)가 첨가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제5a도 신호의 종류와 구조에 대한 상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무선구간을 통하여 고정장치(20)와 휴대장치(331-22N)간에 송수신 즉,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또는 통화종료 및 각종 기능에 따라 사용한다. 상기 신호들은 각 장치(20,221-22N)의 중앙처리장치(310,320)으로부터 디지탈 RF 모듈(319,329)에서는 수신된 아나로그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RF 모듈(319,329)의 동작에 의해 무선구간으로 송출한다.
무선구간으로 송출된 아나로그 신호는 RF 모듈(319,329)에 의해 수신되어 모뎀(316,326)으로 입력된다. 상기 모뎀(319,329)에서는 수신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중앙처리장치(310,320)로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이를 분석하여 그에 대한 처리과정에 따라 수행한다.
신호의 구조를 그림 제5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트 싱크 32비트, 프레임 싱크 16비트, ID 코드(고유번호) 24비트, 헤더 4비트, 4개의 필드 4×4=16비트, 체크섬 4비트 등으로 총92비트로 구성되며, 각 필드 별로 그 용도와 역활을 설명하면, 비트 싱크 그 값은 101010-101010:33비트이고, 모뎀의 PLL 필드일 때 수신 데이타의 동기를 맞추는데 사용된다.
프레임 싱크 그 값은 ECA1(HEX)/ECA0(HEX):16비트이고, 그 용도는 신호의 초기점을 인식하여 신호의 종류를 분석하기 위한 신호식별용이다.
ID 코드(고유번호)는 24비트로 구성된 고정/휴대장치(20,221-22N)의 고유번호로 고정장치(20)와 휴대장치의(221-22N)의 대응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고유번호는 그룹번호 부분(23-4비트)과 개별번호 부분(3-0비트)으로 나누어진다.
헤더는 4비트로 구성되며 신호의 대분류를 하기 위한 코드이다.
제1필드-제4필드는 각 신호종류에 따라 부합되는 것을 사용되는 코드이다.
체크섬은 4비트로 구성되며 수신된 신호의 오류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며, 헤더와 제1-제4의 XOR의 결과값을 나타낸다.
제4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된 신호들의 헤더 및 필드의 구성값을 표시한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있어, 무선구간을 통하여 고정장치(20)와 휴대장치(221-22N)간에 주고 받는 신호의 흐름을 정리 도시한 순서도로써, 제6a도는 임의 휴대장치(221-22N)가 통화상태에서 다른 휴대장치로 호(통화)를 전환했을 때 성공적으로 전환된 경우의 신호순서도를 도시한 것이고, 제6b도는 호 전환이 되어야 할 휴대장치(221-22N)가 전원이 꺼져 있거나, 통화 가능 지역을 벗어나 있을 경우에 발생되는 실패사항의 신호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신호의 처리하는 과정은 제7도와 제8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제7도에 따라 휴대장치(221-22N)에서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중앙처리장치(310)의 내부 롬으로부터 제7도 및 제8도 흐름도를 읽어서 그 순서에 따라 처리한다.
먼저 휴대장치가 통화상태인지 대기상태에 있는지를 검사하여(601과정), 통화상태이면 사용자가 키패드(312)의 키를 누른지를 중앙처리장치(310)에서 데이타 라인을 이용하여 검출한다(602과정).
이 과정에서 키입력이 없으면 다시 (601)과정으로 되돌아가고 602과정에서 키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키값이 기능키인지를 검출한다(603과정).
기능키이면 중앙처리장치(310)의 내부 램중 기능키 누름이라고 부르는 번지에 1값을 저장하고(604과정) 601,602과정을 통하여 다시 키입력을 검사한다.
603과정에서 기능키가 아니면 숫자(0-9) 키인지를 검사한다(605과정).
숫자키가 입력되었으면 숫자키가 눌러지기 전에 기능키가 눌러졌는지를 체킹하고 기능키누름 번지의 값이 1인지를 검사하여(606과정) 아니면 일반 숫자키 처리를 하고, 1이면 기능키 누름 번지의 값을 0으로 리셋트한다(607과정).
다음으로는 CALL TRANSFER신호를 그림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타라인을 이용하여 모뎀(316)으로 디지탈 신호를 보내면 모뎀(316)에서는 RF 모듈(319)을 통하여 무선구간으로 아나로그 신호를 송출한다(608과정).
중앙처리장치(310)에서는 CALL TRANSFER 신호 송출이 완료되면 모뎀(316) 및 RF 모듈(319)로 연결된 데이타 라인을 이용하여 통화상태를 종료시키고(609과정), 대기상태로 들어간다(60A과정).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은 통화중인 임의의 휴대장치(221-22N)가 호 전환을 하고자 할 때 사용자 키동작에 의해 호 전환신호를 송출하고 통화를 종료시키는 과정을 상세 설명하였다.
601과정에서 통화상태가 아니고 대기상태이면 중앙처리장치(310)는 RF 모듈과 연결된 데이타 라인을 통하여 수신신호의 세기(레벨)를 측정하여(610과정) 기준 신호세기와 수신 신호세기를 비교한다(611과정).
수신 신호세기가 기준신호보다 적으면 채널값을 증가시켜 다음 채널에 대해서도 610과정, 611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611과정에서 수신 신호세기가 기준신호보다 크면 수신데이타를 모뎀(316)을 통하여 수신하여 내부 램에 저장하고(613과정), 수신데이타(신호)의 ID 코드 부분의 그룹부분과 휴대장치의 E2PROM(315)에 기억된 그룹 ID 코드와 비교하여(614과정) 일치하지 않으면 613과정으로 되돌아가고 일치하면, 제5도의 신호구조 및 종류와 비교하여 신호종류를 판명한다(615,61F과정).
615과정에서 CALL TRANSFER 신호이면 수신신호의 필드2와 휴대장치 E2PROM(315)에 기억된 개별 ID 코드를 비교하여(616과정) 일치하면 휴대장치는 부저회로(314)를 통하여 경고음을 울리고, 표시기(311)로 경고음을 알리고(617과정) 내부 타이머에 30SEC를 기억시킨다(618과정).
그리고, ACKNOWLEDGE 신호를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구조로 만들고(EDIT) 중앙처리장치(310)에서는 모뎀(316)과 연결된 데이타 라인을 이용하여 모뎀(316)으로 디지탈 신호를 보내면 모뎀(316)에서는 RF 모듈(319)을 통하여 무선구간으로 아나로그 신호를 송출한다(619과정).
중앙처리장치(310)에서는 ACR-NOWLEDGE 신호송출이 완료되면(619과정) 30SEC내 통화스위치(TALK SWITCH)를 STAND-BY에서 통화(TALK)로 스위치 오프 하는지를 검사한다(61A,61C과정).
30초 이내에 통화 스위치가 오프되지 않으면 경고음과 표시기의 INDICATOR를 지우고(61B과정) 601과정으로 되돌아간다.
61C과정에서 통화스위치(TALK)를 오프하였으면 HOOK OFF 신호를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구조로 만들고(EDIT) 중앙처리장치(310)에서는 모뎀(316)과 연결된 데이타 라인을 이용하여 모뎀(316)으로 디지탈 신호를 보내면 모뎀에서는 RF 모듈(319)을 통하여 무선구간으로 아나로그 신호를 송출하고(61D과정) HOOK OFF 송출번지의 내부 램 값을 1로 기억시키고 다시 데이타 기다린다. 다시 613과정→61F과정을 통하여 ACKNOWLEDGE 수신되면 HOOK OFF 송출번지의 내부 램 값이 1인지를 비교하여 1이 아니면 613과정으로 되돌아가고 1이면 HOOK OFF 송출번지의 내부 램을 리세트시키고(621과정) 고정장치를 통하여 국선의 상대방과 통화를 이룬다(622과정).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호 전환요구에 응답하여 통화를 이루는 과정이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장치(20)의 처리과정을 그림 제7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7도 고정장치(20)에서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중앙처리장치(320)의 내부 롬으로부터 디코딩된 제7도의 흐름을 읽어서 그 순서에 따라 처리한다.
먼저 고정장치(20)가 통화상태인지 대기상태에 있는지를 검사하여(701과정) 통화상태이면 CALL TRANSFER 송출번지 램을 검사하여 1이 아니면 수신 데이타를 모뎀(326)을 통하여 수신하여 내부 램에 저장하고(704), 수신데이타(신호)의 ID 코드 부분의 그룹 부분과 고정장치(20)의 E2PROM(325)에 기억된 그룹 ID 코드와 비교하여(705과정) 일치하지 않으면 704과정으로 되돌아가고 일치하면, 제5도의 신호구조 및 종류와 비교하여 신호종류를 판명한다(706,714,717과정).
706과정에서 CALL TRANSFER 신호를 수신하였으면, ACKNOWLEDGE 신호를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구조로 만들고(EDIT) 중앙처리장치(320)에서는 모뎀(326)과 연결된 데이타 라인을 이용하여 모뎀(326)으로 디지탈 신호를 보내면 모뎀(326)에서는 RF 모듈(329)을 통하여 무선구간으로 아나로그 신호를 송출한다(707과정).
중앙처리장치(320)에서는 ACKNOWLEDGE 신호송출이 완료되면(707과정), 표시기(322)의 LED를 블랭킹(708과정)하고 내부 타이머에 30SEC를 기억시킨다(710과정).
그리고, 홀드 릴레이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천이시키고(710과정) 국선라인으로 중앙처리장치(320)에서 전화선 접속회로를 데이타 라인을 통하여 제어함으로써 멜로디를 들려주어 지루감을 없도록 한다. 그리고, 수신신호의 필드1를 송신신호의 필드1에, 수신신호의 필드2를 송신신호의 필드2에 기억시킨(712과정) 것을 기준으로 CALL TRANSFER 신호를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구조로 만들고(EDIT) 중앙처리장치(320)에서는 모뎀(326)과 연결된 데이타 라인을 이용하여 모뎀(326)으로 디지탈 신호를 보내면 모뎀에서는 RF 모듈(329)을 통하여 무선구간으로 아나로그 신호를 송출하고(713과정), CALL TRANSFER 송출번지 램에 1를 기억시킨다(714과정).
중앙처리장치에서는 CALL TRANSFER송출 번지 램이 1이면 709과정에서 기억시킨 내부 타이머 값 30초가 타임 아우트되었는지를 검사하여(703과정) 타임 아우트이면(호 전환이 호출된 휴대장치의 응답이 없으면) CALL TRANSFER 신호의 수신 필드1를 송신신호의 필드1와 필드2에 기억시킨(712과정) 것을 기준으로 CALL TRANSFER 신호를 712,713,714과정에 의해 호전환을 요구한 휴대장치를 다시 호출하여 다시 원상 복귀하여 통화를 이룬다.
703과정에서 타임 아우트가 아니면 704,705과정을 통하여 수신신호를 분석한다.
715과정에서 수신신호를 비교한(715과정) 결과 ACKNOWLEGE 신호이면 CALL TRANSFER 송출 번지 램값이 1인지를 검사하여(716과정) 1이면 CALL TRANSFER 송출 번지 램의 값을 리셋트시킨다(717과정).
718과정에서 HOOK OFF 신호를 수신하였으면 INDICATOR 모듈(322)의 LED를 정지된 태로 켜고(719과정) HOLD RELAY를 ON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천이시키고(720)과정 전화선 접속회로를 통하여 호 전환이 호출된 휴대장치와 통화를 새롭게 시작한다.
제7도에서 설명한 내용을 요약하면, 고정장치(20)가 휴대장치(221-22N)로부터 호전환 신호를 받아서 다른 휴대장치로 호전환이 성공적으로 되었을 경우의 처리과정과 실패하여 다시 호출한 휴대장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무실 및 가정에서 하나의 국선라인(고정장치)를 통하여 여러명이 전화를 이용하는 장소에서, 어떤 사람이 호출된 전화를 먼저 받아서 통화를 형성하였을 때 그 전화가 다른 사람의 전화인 경우, 이 통화상태를 다른 사람에게 전환시키기 위하여 사람이 이동하여 휴대장치를 전해주지 않고 키동작에 의해 무선으로 통화를 전환하여 많은 무선전화기 사용자에게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호 전환방식에 있어서, 통화상태인가를 체킹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통화상태일 때 기능키 입력을 누름으로 세팅하고 기능키 입력이 아니고 숫자키 입력일 시 상기 기능키 세팅여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기능키 누름일 시 이를 클리어하고 호 전송장치를 에디트 및 송출한 후 통화종료에 이어 대기상태로 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대기상태일 때 수신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기준신호와의 비교에 의해 채널을 증가시켜 기준 신호의 세기로 맞추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기준신호의 크기로 도달했을 시 수신데이타를 저장하여 그룹 부분 ID 코드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ID 코드와 일치될 시 호 전송신호이면 인식신호인지를 확인하여 후크 오프상태를 풀어 통화를 이루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호 전송신호일 시 개별 ID 코드와 제2필드가 일치되는지를 검색하여 일치되지 않을 시 경보음을 발생하고 타이머를 소정 설정하여 소정시간동안 TALK 스위치의 조작상태를 확인하는 제6과정으로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호 전환방법에 있어서, 통화상태에서 호 전환 송출상태가 아니면 수신데이타를 저장하여 그룹부분 ID 코드의 일치여부에 따라 호전환, 인식, 후크 오프 상태인지를 체킹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호 전환송출이 세팅되었을 시 소정시간을 체킹하여 수신 제1필드를 송신 제1,2필드로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호 전환신호일 시 인식 신호를 에디트 및 송출하고 LED를 블랭킹하며 소정시간을 정하여 홀드 릴레이를 온한 후 멜로디를 구선라인으로 송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멜로디 송출 후 제1,2수신필드를 제1,2송신필드로 하고 호 전환신호를 에디트 및 송출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인식신호일 시 호 전환 송출상태를 클리어하고 후크 오프일 시 LED를 온하며 홀드 릴레이를 오프하여 멜로디 송출을 중단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00020900A 1990-12-18 1990-12-18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호 전환방법 KR015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900A KR0154693B1 (ko) 1990-12-18 1990-12-18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호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900A KR0154693B1 (ko) 1990-12-18 1990-12-18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호 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967A KR920013967A (ko) 1992-07-30
KR0154693B1 true KR0154693B1 (ko) 1998-11-16

Family

ID=1930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900A KR0154693B1 (ko) 1990-12-18 1990-12-18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호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6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967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64721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における接続形成、接続監視方法
US4897864A (en) Control method and appartus for a radio telephone system
JPH0738955A (ja) コードレス電話方式
US5140628A (en) Radio telephone system control method
US55925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initiation of connection in cordless telephones
JP2000299891A (ja) 携帯端末機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US6519476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insertion of an attachable external storage medium causes the mobile to interact with the system
JP2638562B2 (ja) デジタル携帯電話機データ通信用データ変換装置
KR0154693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호 전환방법
KR19980083312A (ko) 이동단말기에서 특정전화번호 통화거부 방법 및 그 장치
EP0882348B1 (e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a channel selection protocol, and a radio station
JP2710721B2 (ja) 子機間通話が可能なコードレス電話機
JP2727521B2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の一斉着信方法
JPS5974759A (ja) 短縮ダイヤル記憶変更装置
JPH08102775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3538323B2 (ja) 通信装置
JPH03295327A (ja) コードレス電話の移動局増設方法
JP3365017B2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JP3067701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の情報転送方法
EP0930591A1 (en) Automatically locating individuals utilizing a combination of wireless media
JPH11215559A (ja)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アラーム設定方法
KR930002771B1 (ko) 무선전화기의 다이얼링방법
KR0122588B1 (ko)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다이얼링 방법
JP3188136B2 (ja) 無線呼び出しシステム
JP3730863B2 (ja) 低電力自動データ収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