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934B1 - 화상압축 부복호화기 및 부복호화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압축 부복호화기 및 부복호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934B1
KR960012934B1 KR1019930018943A KR930018943A KR960012934B1 KR 960012934 B1 KR960012934 B1 KR 960012934B1 KR 1019930018943 A KR1019930018943 A KR 1019930018943A KR 930018943 A KR930018943 A KR 930018943A KR 960012934 B1 KR960012934 B1 KR 960012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ock
value
coding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636A (ko
Inventor
박동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934B1/ko
Publication of KR950010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934B1/ko

Links

Landscapes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상압축 부복호화기 및 부복호화방법
제1도는 종래의 화상압축장치의 화상압축 부복호화방법에 따라 4×4크기의 화소블럭을 비트맵으로 구성한 일례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압축 부호기를 화상압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구성중 RGB-YIQ 변환기(30)의 구체 회로도.
제4도는 제2도의 구성중 평균분산제어부(50)의 상세회로도.
제5도는 제2도의 구성중 MBTC부(60)의 상세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압축 복호기의 구성블럭도.
제7도는 제6도의 구성중 역MBTC부(607)의 상세 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루틴의 수행흐름도.
제9도는 제8도에서 Y데이타 처리루틴의 수행흐름도.
제10도는 제8도에서 I데이타 처리루틴의 수행흐름도.
제11도는 제8도에서 Q데이타 처리루틴의 수행흐름도.
제12도는 제8도에서 803 및 805단계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제13도는 처리블럭의 분할 상태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호화기의 수행 흐름도.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에서 화상압축 부복호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블럭절단 코딩을 이용한 화상압축 부복호화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상압축장치는 먼저 압축하고자하는 화상을 4×4 또는 8×8 크기의 윈도우(Window)로서 화상을 블럭화한다. 그리고 블럭내 화소들의 밝기값을 합하여 구한 평균(Mean) 값을, 표준편차를, 평균값() 보다 큰 밝기값을 갖는 화소들의 수를라고 하고 평균값()보다 작은 밝기값을 가지는 화소들의 수를 β라고 하면 2개의 복원값(Reconstruction value) Y0, Y1은 하시 1,2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후 상기 평균값()보다 큰 밝기값을 갖는 화소들은 1(혹은 0)로, 상기 평균값()보다 작은 밝기값을 갖는 화소들은 0 (혹은 1)으로 나타내는 비트맵(bit map)을 생성하였다.
제1도는 종래의 화상압축장치의 화상압축 부복호화방법에 따라 4×4크기의 화소블럭을 비트맵으로 구성한 일례도로서, 먼저 4×4 크기의 화소블럭내의 평균값(=123)을 계산하여 복원값(Y0,Y1)을 구하였다. 이후 상기 평균값(=123)보다 큰 밝기값을 가지는 화소들은 1로, 상기 평균값(=123)보다 작은 밝기값을 가지는 화소들을 0으로 하여 비트맵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화상재현에서 상기 복원값(Y0,Y1)을 각각 1,0에 대응시켜 화상을 재현하였다.
여기서 입력 화상이 N-비트로 표현될 경우(즉 2N개의 레벨을 가질때)에는 복원값(Y0,Y1)도 N-비트가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화상압축장치 및 방법으로서 칼라화상을 압축하였을 때에는 RGB가 성분에서 BTC를 하면 통계적인 리던던시(Redundancy)를 가지고 압축을 하는 결과가 되므로 압축률이 저하된다.
또한 고정된 블럭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엣지(Edge)가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 똑같은 비트 배치(bit allocation)를 하기 때문에 엣지(Edge)가 열화될 수 있다.
또한 최적화되지 못한 역치를 평균값으로 정함으로써 Mean Square Error(이하 MSE라함)가 최소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의 블럭을 블럭내의 상태에 따라 적응적인 블럭절단과 블럭내의 최적화된 역치값으로 블럭절단 코딩을 수행하여 화상데이타를 부복호화하는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압축부복호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의 블럭을 블럭내의 상태에 따라 적응적인 블럭절단과 절단된 블럭내의 최적화된 역치값으로 블럭절단 코딩을 수행하여 화상데이타를 부복호화하는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압축부복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압축 부호기를 포함하는 화상압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로서, 화상압축부호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 프로세서(Host processor : 5)와, 입력되는 하나의 전체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페이지 메모리(Page memory : 10)와, 상기 페이지 메모리(10)으로부터 8×8윈도우 블럭단위로 데이타를 리드(Read)하여 저장하는 8×8메모리(20)와, 상기 8×8메모리(20)로부터 입력화상데이타를 리드하여 YIQ(휘도, 색차)화상 데이타로 출력하는 RGB-YQI변화기(30)와, 상기 RGB-YIQ변환기(30)로부터 IQ신호를 입력받아 수평방향으로 2 : 1 서브샘플링하는 서브샘플러(Subsampler : 40)와, 주어진 블럭(본 일례에서는 8×8블럭)내의 상기 서브샘플링된 IQ데이타를 포함하는 YIQ화소 데이타들에 대한 평균값(),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 분산값(varivace : μ)을 계산하는 평균분산계산부(50)와, 상기 평균분산계산부(50)로부터 계산된 평균값(), 표준편차(), 분산값(μ)으로 주어진 블럭내의 MSE(Mean Square Error)를 최소로 하는 최적화된 역치값을 구하여 블럭절단코딩을 수행하는 MBTC부(60)와, 상기 MBTC부(60)로부터 코딩된 데이타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호스트 프로세서(5)의 제어를 받아 송신부(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하는 부호데이타메모리(70)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2도의 구성중 RGB-YIQ변환기(30)의 구체 회로도로서, 하기 3식에 따라 9개의 곱셈기와 3개의 덧셈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에서 일례로, a11=0.299, a12=0.587, a13=0.114, a21=0.596, a22=-0.274, a23=0.322, a31=0.211, a32=-0.523, a33=0.312이다.
일반적으로 휘도와 색차성분을 가지는 신호체계로는 YIQ(혹은 NTSC) 방식과 YCbCr(혹은 PAL)방식이 있으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서는 YIQ체계를 이용해 전개한다. 상기 YIQ 및 YCbCr방식은 적용대상에 따라 조금씩 다른 효과를 보이지만 근본적인 차이는 거의 없다.
제4도는 제2도의 구성중 평균분산제어부(50)의 상세회로도로서, 서브샘플러(40)로부터 입력되는 Y데이타(Y0-Y77)를 누적가산하는 덧셈기(401)와, 상기 덧셈기의 출력데이타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고, 또한 상기 덧셈기(401)로 피드백출력하는 SUM메모리(403)와, 상기 SUM메모리(403)의 출력을 입력받고, 64분주하여 평균값()을 출력하는 제1분주기(405)와, 상기 Y데이타(Y0-Y77) 및 상기 평균값()을 입력받아 각각의 Y데이타(Y0-Y77)로부터 평균값()을 감산하여 각각의 차를 출력하는 뺄셈기(407)와, 상기 뺄셈기(407)의 출력을 각각 제곱하여(Y데이타(Y0-Y77)-평균값()의 전체 합을 출력하는 제곱기(Squaring circuit : 409)와, 상기 제곱기(409)의 출력을 64분주하여 (Y데이타(Y0-Y77)-평균값())의 분산값(μ)을 출력하는 제2분주기(411)와, 상기 분산값(μ)을 제곱근하여 표준편차()를 출력하는 제곱근기(Square root circuit : 4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구성은 공지의 평균값(), 표준편차(), 분산값(μ)을 구하는 공식에 따라 여러가지 실시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제5도는 제2도의 구성중 MBTC부(60)의 상세회로도로서, 임의의 기준값(X(β))과 Y데이타(Y0-Y77) 를 입력받아 비교하며, 기준값보다 작은 밝기값을 출력하는 제1비교기(501)와,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출력을 가산하고 가산된 데이타를 피드백하여 누산하여 그합을 출력하는 가산기(Adder : 503)와, 상기 가산기(503)의 출력을 상기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출력값갯수로 분주하여 평균을 구하는 분주기(507)와, 상기 평균를 력받아 MSE(Mean Square Error)값을 출력하는 MSE 수행로직(509)과, 상기 MES값을 일시 저장하는 임시메모리(509)와, 상기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MSE값을 각각 비교하여 가장 작은 MSE값을 구하는 제2비교기(513)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임의의 기준값(X(β))보다 작은 값들의 평균값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압축 복호기의 구성블럭도로서, 화상압축 복호기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호스트 프로세서(601)와, 코딩된 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페이지 메모리(603)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를 입력받아 플래그특성(flag identifier)를 검색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601)로 출력하는 데이타판단부(605)와, 상기 데이타판단부(605)로부터 입력되는 코딩된 화상데이타를 입력받아 비트맵과 복원값을 이용하여 각 픽셀에 대하여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는 역 MBTC부(607)와, 상기 역 MBTC된 디코딩된 데이타중 I, Q데이타를 보간하여 출력하는 보간기(609)와. 상기 보간기의 출력을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611)로 구성된다.
제7도는 제6도의 구성중 역 MBTC부(607)의 상세 회로도이다.
입력데이타를 소정값(1 or 0)으로 비교하여 각각의 복원값에 대응시키기 위한 비교기(701)와, 소정 복원값을 입력받아 상기 비교기(701)의 데이타 입력에 대응하여 각각의 복원값을 출력하는 제1메모리(703) 및 제2메모리(705)와, 상기 비교기(7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운터(707)로 구성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기의 수행흐름도이다.
제9도는 제8도에서 Y데이타 처리루틴의 수행흐름도이다.
제10도는 제8도에서 I데이타 처리루틴의 수행흐름도이다.
제11도는 제8도에서 Q데이타 처리루틴의 수행흐름도이다.
제12도는 제8도에서 803 및 805단계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제13도는 처리블럭의 분할 상태도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호화기의 수행 흐름도.
이하 상술한 도면의 구성 및 수행흐름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하기 및 부호화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호스트 프로세서(5)는 801단계에서 스캐너 등을 통해 스캐닝된 RGB 화상데이타를 페이지 메모리(101)에 입력시키고, 소정 윈도우블럭내의 포함되는 데이타를 한 블럭씩 8×8메모리(20)에 저장된다.
이후 803단계에서 상술한 제3도의 구성을 갖는 RGB-YIQ변환기(30)가 상기 8×8메모리(20)에 저장된 RGB 화상데이타를 YIQ데이타로 변환한다.
이후 805단계에서 서브샘플러(Subsampler : 40)는 상기 RGB-YIQ변환기(30)로부터 IQ신호를 입력받아 수평방향으로 2 : 1 서브샘플링한다. 이때 상기 과정은 제12도의 처리 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및 Q데이타가 서브샘플링되어 절반크기의 데이타 사이즈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807단계에서 호스트 프로세서는 부호기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Y,I,Q처리루틴을 수행한다.
이하 제9,10,11도를 참조하여 MBTC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9도를 참조하여 Y데이타의 MBTC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9a단계에서 평균분산계산부(50)는 Y데이타(Y0-Y77)를 입력받아 8×8화서블럭내의 평균값(Mean :), 표준편차(), 분산값(μ)를 구한다. 호스트 프로세서(5)는 9b단계에서 상기 표준편차()가 소정 기준식을 만족하는 가를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식을 하기 4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4식에서 제1역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프리셋된 초기값이며, 상기 4식의 만족여부는 현재 처리블럭이 엣지(Edge)블럭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이 된다.
상기 9b단계에서 상기 4식을 만족하면, 9c단계에서 MBTC부(60)는 블럭내의 최적 역치값을 구한다.
이하 제5도에 도시된 상기 MBTC부(60)의 구성을 참조하여 최적 역치값을 계산하는 9c단계와 상기 9c단계에서 계산된 최적 역치값을 이용한 9d단계(BTC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최적 역치값 계산과정
먼저 호스트 프로세서(5)는 하기 5식을 최소화하는 기준값 X(β)를 찾는다.
상기 5식에서는 제1역치값보다 작은 값들의 평균값이다.
즉 N개의 소정 기준값(X(β))로부터 N개의 MSE를 구해서 가장 작은 MSE를 만족하는 기준값(X(β))를 구한다. 상기 기준값(X(β))이 현재 블럭내에서의 최적 역치값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 기준값(X(β))들은 사용자에 의해 초기 설정될 수 있다.
BTC과정
먼저 최적 역치값을 블럭내의 각 화소데이타값과 비교하여 부호화된 비트맵(화소데이타최적 역치값 : 0, 화소데이타최적 역치값 : 1)을 구성하여 부호 데이타메모리(70)에 저장한다. 이후 하기 (6),(7)식을 만족하는 복원값(Y0,Y1)을 각각 상기 부호 데이타메모리(70)에 저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원값 데이타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송신과정을 거친다. 먼저 복원값(Y0,Y1)이 결정되면 최초 블럭의 BTC 과정에서는 상기 복원값을 그대로 출력한다. 그러나 두번째 블럭의 BTC 과정에서는 복원값(Y0,Y1)이 구해지면 상기 최초블럭의 복원값(Y0,Y1)으로부터 각각의 차(Y0-Y01,Y1-Y11)를 구하여 7비트 양자화된 데이타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복원값데이타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상술한 복원값데이타의 크기를 줄이는 과정을 제13도 및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1
그러나 제9도의 9b단계에서 상기 표준편차()가 상기 4식을 만족하지 않으면, 9e단계에서 8×8 화상블럭을 제13도의 일례와 같이 4개의 4×4 화상블럭으로 분할한다. 제13도에서 8×8블럭 B0는 제4식을 만족하는 블럭이며, B1,B2,B3,B4블럭은 제4식을 만족하지 못한 블럭의 4등분된 블럭이다.
이후 9f단계에서 평균분산계산부(50)는 Y데이타(Y0-Y33)를 입력받아 4×4화상블럭내의 평균값(Mean :), 표준편차(), 반산값(μ)을 구한다. 호스트 프로세서(5)는 9f단계에서 상기 표준편차()가 하기 8식을 만족하는가를 검색한다.
상기 8식에서 제2역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프리셋된 초기값이며, 상기 8식의 만족여부는 현재 처리블럭이 엣지(Edge)블럭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이 된다. 이때 상기 9f과정에서 상기 8식을 만족하지 못하면 9g단계에서 호스트 프로세서(5)는 현재 처리 블럭내의 데이타값들을 코당없이 전송한다.
또한 상기 9f단계에서 상기 8식이 만족되면 9i단계에서 상술한 최적 역치값계산과정이 수행되고, 9j단계에서 상술한 BTC과정이 수행된다.
이후 9k단계에서 상술한 과정(9a~9j단계)에서 처리된 데이타(8×8블럭으로 처리된 코딩데이타, 4×4블럭으로 처리된 코딩데이타, 코딩되지 않은 4×4블럭의 데이타)에 따라 각각 과정에서 각각 8×8블럭으로 처리된 코딩데이타는 00, 코당되지 않은 4×4블럭의 데이타)에 따라 각각 과정에서 각각 8×8블럭으로 처리된 코딩데이타는 00, 코딩되지 않은 4×4 블럭의 데이타는 01,4×4블럭으로 처리된 코딩데이타는 11이라는 프리픽스(Prefix)를 결정하여 상술한 각 데이타(처리데이타, 복원값데이타)들과 함께 전송된다.
이하 제10도를 참조하여 I데이타의 MBTC과정을 설명한다.
I데이타의 MBTC처리과정은 상술한 Y데이타의 처리과정과 유사하며 단지 제9도의 9b,9f단계에서 검색되는 제4식 및 제8식이 각각 하기 제9식 및 제10식으로 대치된다.
제4식 및 제8식이 각각 하기 제9식 및 제 10식으로 대치된다.
│Max-Min│ < 제3역치………(9)
상기 9식에서 Max : 현재 처리블럭내의 I데이타의 최대값
Min : 현재 처리블럭내의 I 데이타의 최소값
제3역치 : 사용자에 의해 프리셋된 초기값이다.
│Max-Min│ < 제4역치………(10)
상기 10식에서 제4역치는 사용자에 의해 프리셋된 초기값이다.
이때 I데이타의 BTC과정에서는 복원값(Y0,Y1)의 차(Y0-Y1)을 6비트로 양자화(1비트의 부호비트)하여 저장 및 전송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6비트로 저장 및 전송의 이유는 Y신호에 비하여 I, Q신호는 그 복원값(Y0,Y1)들이 ±64를 넘지 않으며, 상기 복원값들의 차이 또한 ±32를 넘지 않고 또한 화상 복원에 있어서 그 중요도가 휘도신호 Y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또한 제11도를 참조하여 Q데이타의 MBTC과정을 설명한다.
Q데이타의 MBTC처리과정은 상술한 I데이타의 처리과정과 유사하며 단지 상기 제9식 및 제10식에서 제3역치 및 제4역치가 사용자에 의해 프리셋되는 제5역치 및 제6역치로 대치된다.
이하 제6도 및 제7도의 구성과 제14도의 수행흐름도를 참조하여 복호화기 및 복호화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14a단계에서 페이지 메모리(603)는 데이타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14B단계에서 DATA판단부(605)는 페이지 메모리(603)의 데이타중에서 프리픽스데이타를 검색한다. 이후 14c단계에서 검색결과 데이타 코딩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이 검색되면 14D단계에서 상기 데이타중 플래그 데이타를 제거하고 호스트프로세서(601)는 상기 데이타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데이타판단부(605)는 14c단계에서 데이타 코딩이 이루어졌음이 검색되면 14e단계에서 코딩된 블럭크기(8×8, 4×4)에 대응하는 데이타만큼을 페이지메모리(603)로부터 데이타를 로드하여 역MBTC부(607)로 출력한다. 제7도의 구성을 갖는 역 MBTC(607)는 코딩데이타의 비트맵(bit map)에 대응하여 각각 복원값을 출력시킨다. 이때 보간기(609)는 I, Q디코딩데이타를 7포인트 절단 싱크함수로 보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호화될 화상의 절단 블럭을 화상의 상태에 따라 가변하여 절단 및 부호화하여 화질의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된 블럭내의 최적 역치값을 구하여 화상데이타를 코딩하므로 블럭의 엣지(Edge) 부분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의 상태에 따라 블럭 사이즈를 적용적으로 가변하여 화상의 압축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스캐닝된 화상데이타를 입력받아 소정 블럭단위로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억세스하여 휘도 및 색차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RGB-YIQ변환기와, 상기 RGB-YIQ 변환기로부터 색차신호를 입력받아 수평방향으로 서브샘플링하는 서브샘플러와, 상기 블럭내의 상기 휘도데이타와 서브샘플링된 색차데이타들의 평균값, 표준편차, 분산값을 계산하여 평균분산계산부와, 상기 평균분산계산부로부터 계산된 평균값, 표준편차, 분산값으로 주어진 블럭내의 MSE를 최소로 하는 최적화된 역치값을 구하여 블럭절단코딩을 수행하는 MBTC부와 상기 MBTC부로부터 코딩된 데이타를 입력받아 각각의 코딩상태에 대응하는 플래그 데이타를 출력하여 상기 코딩된 데이타와 함께 저장하는 부호데이타메모리와, 상기 부호데이타메모리로부터 출력된 부호데이타를 전송받아 부호데이타의 플래그특성(flag identifier)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상태에 대응하여 부호데이타를 로드하여 출력하는 데이타판단부와, 상기 데이타판단부로부터 입력되는 부호데이타를 입력받아 디코딩하는 역 MBTC부와, 상기 역 MBTC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된 데이타중 I,Q데이타를 보간하는 보간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압축 부복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BTC부가 소정 기준값과 블럭내의 휘도데이타를 입력받아 비교하며, 기준값보다 작은 밝기값을 출력하는 제1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출력을 가산하고 가산된 데이타를 피드백하여 누산하여 그합을 출력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의 출력을 상기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출력값갯수로 분주하여 평균을 구하는 분주기와, 상기 평균을 입력받아 MSE값을 출력하는 MSE수행로직과, 상기 MSE값을 일시 저장하는 임시 메모리와, 상기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MSE값을 각각 비교하여 가장 작은 MSE값을 출력하는 최적 역치값으로 출력하는 상기 소정기준는 제2비교기로 구성되며, 상기 역 MBTC부가 입력데이타에 대응하여 각각의 복원값에 대응시키기 위한 비교기와, 부호데이타의 복원값들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비교기의 데이타 입력에 대응하여 각각의 복원값을 출력하는 제1메모리 및 제2메모리와, 상기 비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운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압축 부복호화기.
  3.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압축 부복호화방법에 있어서, 화상 스캐닝데이타를 소정 윈도우를 씌워 블럭단위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블럭절단단계와, RGB-YIQ변환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를 억세스하여 휘도 및 색차 데이타로 변환하는 데이타변환단계와, 서브샘플러가 RGB-YIQ변환기로부터 색차데이타를 입력받아 소정 비율로 서브샘플링하는 서브샘플링단계와, 평균분산계산부는 휘도데이타 및 서브샘플링된 색차데이타를 입력받아 블럭내의 평균값, 표준편차, 분산값등의 통계데이타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계산단계와, 상기 통계데이타와 소정기준치를 비교하여 블럭내의 엣지부분이 있는가를 검색하는 엣지검색단계와, 상기 검색결과에 따라 엣지블럭이면 현재의 처리블럭을 다시 소정비로 절단하여 통계데이타를 계산한 후 절단된 블럭이 엣지블럭인가를 검색하고, 절단된 블럭이 엣지블럭이면 코딩없이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며, 엣지블럭이 아니면 MSE 처리루틴으로 최적역치값을 구하여 블럭절단코딩하여 코딩데이타 및 복원값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엣지블럭절단코딩단계와, 상기 엣지검색단계에서 엣지블럭이 아님이 검색되면 MSE처리루틴으로 최적역치값을 구하여 블럭절단코딩하여 코딩데이타 및 복원값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블럭절단코딩단계와, 상기 엣지블럭절단코딩단계 및 블럭절단코딩단계에서 코딩된 데이타에 대응하는 플래그 데이타를 출력하는 플래그데이타 출력단계와, 부호 데이타메모리가 상기 화상데이타, 코딩데이타. 복원값, 플래그데이타를 입력받아 처리블럭의 부호데이타로 저장하는 보호데이타저장단계와, 상기 부호데이타메모리에 저장된 부호데이타를 전송받아 부호데이타내의 플래그 데이타를 검색하는 데이타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의 검색결과에 대응하여 부호 데이타를 억세스하여 상기 부호데이타중 복원값에 따라 코딩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역 MBTC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압축 부복호화방법.
KR1019930018943A 1993-09-18 1993-09-18 화상압축 부복호화기 및 부복호화방법 KR960012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943A KR960012934B1 (ko) 1993-09-18 1993-09-18 화상압축 부복호화기 및 부복호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943A KR960012934B1 (ko) 1993-09-18 1993-09-18 화상압축 부복호화기 및 부복호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636A KR950010636A (ko) 1995-04-28
KR960012934B1 true KR960012934B1 (ko) 1996-09-25

Family

ID=1936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943A KR960012934B1 (ko) 1993-09-18 1993-09-18 화상압축 부복호화기 및 부복호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654B1 (ko) 2012-05-10 2014-02-12 주식회사 만도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쇽업소버용 서스펜션 스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636A (ko) 199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1747B2 (ja) 画像処理装置
US5629780A (en) Image data compression having minimum perceptual error
JP3106749B2 (ja) 適応型ダイナミックレンジ符号化装置
US5038389A (en) Encoding of a picture signal in consideration of contrast in each picture and decoding corresponding to the encoding
US5253075A (en) Image signal coding/decoding system using adaptive quantization
JP3025610B2 (ja) 符号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1101933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of video encoding or decoding with adaptive quantization of video data
JP2720926B2 (ja) 画像符号化装置
US11647195B2 (e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and the programs thereof
US8559734B2 (en) Image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and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JP2000050268A (ja) 画像符号化装置
EP1213928B1 (en) Image coding/decoding method, image coding apparatus and image decoding apparatus
JP3117091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3067628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H05219385A (ja) 画像圧縮・伸張方法および装置
WO202005735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of quantization scaling of transform coefficients in video coding system
KR960012934B1 (ko) 화상압축 부복호화기 및 부복호화방법
JP3870428B2 (ja) 画像情報変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係数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方法
JP4415651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JP2862022B2 (ja) 画像符号化方式
JP3049070B2 (ja) 画像高能率符号化方法
JP3199786B2 (ja) 画像処理装置
JP3831955B2 (ja) クラス分類適応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114900693A (zh) 一种基于方块截短编码的图像压缩方法、解压缩方法及装置
JP3200073B2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