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402B1 - 어학학습용 기록매체와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어학학습용 기록매체와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402B1
KR960012402B1 KR1019930022122A KR930022122A KR960012402B1 KR 960012402 B1 KR960012402 B1 KR 960012402B1 KR 1019930022122 A KR1019930022122 A KR 1019930022122A KR 930022122 A KR930022122 A KR 930022122A KR 960012402 B1 KR960012402 B1 KR 960012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se
still
output
language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910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filed Critical 김영선
Publication of KR940009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36Time code signal
    • G11B27/3054Vertical Interval Time code [VIT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0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a pilot signal inside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main information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1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a pilot signal outside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main information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어학학습용 기록매체와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어학학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어학학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어학학습장치의 상세 블럭도.
제4a도 내지 제4e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기록되어지는 포우즈/스틸신호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a 및 6b도는 제3도에 도시된 어학학습장치의 상세회로도.
제7a도 내지 제7f도는 제6a, b도에 도시된 어학학습장치에 대한 동작타이밍도.
제8도는 제6a도에 도시된 콘트롤러에서 수행되는 어학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9a도 내지 9d도는 제6도에 도시된 콘트롤러에서 수행되는 다른 어학학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9도는 제3도에 도시된 어학학습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세회로도.
제10도는 제2도에 도시된 어학학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회로도.
제11도는 제2도에 도시된 어학학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회로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마이콤에서 수행되는 문장반복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상세 블럭도.
제1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어학학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회로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마이콤에서 수행되는 수직귀선기간에 기록된 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
제15도는 제2도에 도시된 어학학습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회로도.
제16도는 제6a도와 제11도에 각각 도시된 대화식학습제어기에 대체되는 무신호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회로도.
제17도는 가청주파수 이상의 포우즈/스틸신호를 혼합하여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블럭도.
제18도는 콘트롤신호에 혼합하여 포우즈/스틸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블럭도.
제19a 및 19b도는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포우즈/스틸신호의 경우에 어학학습방법을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재생시스템 110, 121 : 재생장치
111 : 기록매체 113 : 오디오신호처리기
114 : 타이머 마이컴 115 : 마이크로프로세서
116 : 서보유닛 117 : 재생메카니즘유닛
118 : 버퍼 120, 200 : 어학학습장치
122 : 제1포우즈/스틸신호발생기 123 :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생기
124, 530 : 마이크로폰 125 : 제1오디오신호 출력제어기
125' : 제2오디오신호 출력제어기 126, 233, 532 : 잡음제어기
127, 234, 533 : 증폭기 128, 540 : 포우즈/스틸해제신호발생기
210 : 키입력유닛 220 : 포우즈/스틸신호검출기
221, 511 : 제1밴드패스필터 222, 512 : 제2밴드패스필터
230 : 대화학습제어기
231, 521 : 제1포우즈/스틸신호발생기
232, 522 :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생기
235 : 포우즈/스틸해제신호발생기 236 : 제1로우패스필터
237 : 제2로우패스필터 238 : 제어기
239, 531 : 제1오디오신호출력제어기
239', 531' : 제2오디오신호출력제어기
240 : 마이크 241-243, 550 : 버퍼
250 : 스크린선택 및 캡션발생기
251 : 동기분리기 252 : 캡션유닛
253 : 스위칭유닛 260 : 유무선 송신기
261 : 릴레이 262 : 리모콘
270 : RF 변환기 300 : 디스플레이
310 : 디스플레이유닛 320 : 좌측 스피커
320' : 우측 스피커 500 : 재생메카니즘유닛
501 : 비디오신호 처리기 502 : 오디오신호 처리기
503 : 키입력유닛 504 : 타이머 마이컴
505 : 마이컴 506 : 서보유닛
510 : 포우즈/스틸신호검출기 560-561 : 카운터
600 : 재생장치 605 : 키입력유닛
630 : 디스플레이 유닛 640 : 마이컴
653 : 잡음제어기 654 : 증폭기
660 : 포우즈/스틸해제신호발생기
652 : 제1오디오신호 출력제어기
652' : 제2오디오신호 출력제어기
670 : 유무선 송신기 672 : 리모콘회로
691-693 : 버퍼 710, 810 : 키입력유닛
720, 820 : 타이머 마이컴 730, 830 : 마이컴
740, 840 : 서보유닛 750, 850 : 비디오신호 처리기
760, 860 : 오디오신호 처리기
71, 871 : 제1포우즈/스틸신호발진기
772, 872 : 제2포우즈/스틸신호처리기
781 : 제1믹서 782 : 제2믹서
790, 890 : 기록메카니즘유닛
880 : 믹서 883 : 선택기
본 발명은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어학학습용 기록매체와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화식 언어학습에 적합한 어학합습용 기록매체와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사람들은 어린시절에 모국어를 습득하지만 대부분은 후에 제2의 언어(상용 혹은 개인적 이유에서건간에)에 대한 필요성을 알게 된다.
이때, 모국어나 외국어의 형태로 존재하는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기 위해서는 대화연습(speech drilling)이 필요하며, 이러한 대화연습에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은 현지인과 접촉하여 언어를 구사해보는 것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언어를 배우기 위하여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카세트 테이프, 비디오 테이프, 콤팩트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연습을 하고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된 언어를 음성 및/또는 영상으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기기의 각종 기능 즉, 예를 들면 반복학습기능, 문장선택기능, 속도조절기능 등의 유무에 따라서 연습의 성과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어학학습분야에서 개시된 종래의 재생기기에 따르면,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단순한 재생이나, 반복, 재생에 대한 속도조절, 대화기능 중에서 학습자가 말을 해야만 다음 단계가 진행되는 대화식기능이 오디오기기에만 한정되어 학습자의 어학학습능률을 극대화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즉, 종래의 어학용 시스템은 듣기위주의 학습방법이었으므로 학습자의 대화능력을 직접적으로 고양시킬 수 없었고, 학습자가 말을 해야만 다음단계가 진행하는 대화식기능은 대화문장이 짧을 경우에는 학습자가 암기해서 따라 하지만 대화문장이 길경우에는 학습자가 암기해서 따라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영상화면을 보고할 수 없기 때문에 능률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어학학습능률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화식언어학습에 적합한 어학학습용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와 대화식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별도의 어댑터로써 연결하여 호환할 수 있는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디오 또는 영상기기에 내장되어 대화식 어학학습을 할 수 있는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화식 학습모드시 학습자의 대화구간에서 단색화면 또는 영상화면을 선택하여 어학학습을 할 수 있는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학학습을 학습자의 숙련도에 따라 학습자 응답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화식 학습모드시 학습자의 숙련도에 따라 학습자의 대화구간의 자막을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는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대화식 어학학습 기록매체는 대화학습을 위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에 있어서, 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시키고자 하는 매 대화구간내의 소정의 영역에 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되어 있거나 매 대화구간내의 소정영역의 무신호영역을 포우즈/스틸신호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어학학습장치는 매 대화구간내의 소정의 영역에 복수의 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되어 있어 외부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동작시키거나 대화구간내의 소정의 영역의 무신호영역을 포우즈/스틸신호로 이용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를 이용한 어학학습장치에 있어서, 어학학습용 기록매체로부터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외부재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재생신호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단자;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입력단자로 유입되는 재생신호 중 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입력수단; 음성입력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음성신호와 입력단자에 유입되는 재생신호를 외부신호출력장치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출력단자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 및 검출수단의 포우즈/스틸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외부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 제어함과 동시에 출력수단이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선택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음성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외부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 해제 제어함과 동시에 출력수단이 재생신호를 출력하거나 선택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음성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외부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 해제 제어함과 동시에 출력수단이 재생신호를 출력하거나 선택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대화식으로 어학학습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 대화구간내 소정영역에 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되어 있거나 매 대화구간의 소정의 영역의 무신호영역을 포우즈/스틸신호로 이용하고 어학학습용 기록매체로부터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단; 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음성정보를 전기적으로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입력수단; 음성입력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신호와 재생수단에서 재생되는 재생신호를 외부신호출력장치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출력단자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수단; 및 검출수단의 포우즈/스틸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외부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수단이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선택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음성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 해제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수단이 재생신호를 출력하거나 선택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대화식으로 어학학습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어학학습방법은 상기 검출수단의 포우즈/스틸신호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반복 대화구간의 개수와 일치하면 상기 외부재생장치에서 되감기서치 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상기 포우즈/스틸신호의 검출회수를 역카운트하여 처음 설정한 위치에서 반복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반복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어학학습장치의 블럭도이다.
제1도에 의하면, 재생계(100)는 비디오 테이프, 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로 재생할 수 있는 영상 또는 오디오기기이다. 대표적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이하 VCR이라고 함), 캠코더,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이하 LDP라고 함),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이하 CDP라고 함)를 들 수 있다.
어학학습장치(200)는 재생계(100)로부터 재생된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비디오 라인 및 오디오 라인(Video Line, Audio Line)으로 입력하고, 이 입력된 신호로부터 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여 재생계(100)에서 재생을 일시정지하라는 포우즈/스틸신호를 재생계(100)에 유선(제어라인)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고, 학습자의 대화구간에서 학습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포우즈/스틸해제신호를 재생계(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한다.
표시장치(300)는 재생계(100)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신호 및/또는 음성신호를 어학학습장치(200)를 통해 입력한다.
이 표시장치(300)는 통상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이하 TV라고 함)의 수상기가 될 수 있으며, 이 TV가 라인입력단자가 없는 경우에는 오디오 및 비디오 라인(Audio Line, Video Line)대신에 RF(Radio Frequency) 케이블을 사용하여 재생계(100)와 어학학습장치(200), 어학학습장치(200)와 표시장치(300)가 RF 케이블로 연결되어 영상 및/또는 음성신호를 전송하고 있다.
여기서, 재생계(100)는 재생부, 어학학습장치(200)는 제어부, 표시장치(300)는 표시부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어학학습장치의 블럭도이다.
재생계(100)는 제1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VCR(Digital-VCR), HD-VCR(High Density), VCR, LDP, CDP, CDV, CD-I(interactive), CD-G(Graphic), CD-ROM, CD-FMV, 캠코더가 될 수 있고, 이 재생계(100)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장치(110)와 재생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신호로부터 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고, 학습자의 대화구간에서 학습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포우즈/스틸해제신호를 출력하는 어학학습장치(120)를 내장하고 있다.
표시장치(300)에서는 어학학습장치(1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입력라인이 있는 TV인 경우에는 비디오 라인 및 오디오 라인(Video Line, Audio Line)으로 입력하거나 입력라인이 없는 TV인 경우에는 RF 케이블로 유입하여 표시한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어학학습장치의 상세블럭도이다.
제3도에 의하면, 재생계(100)는 어학학습을 위한 음성 및/또는 영상이 저장된 비디오 테이프, 레이저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캠코더 테이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기록매체(111)와, 대화용으로 기록된 기록매체(111)로부터 영상 및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장치(121)로 구성된다.
어학학습장치(200)는 대화모드키, 화면선택키, 캡션선택키 등의 키를 장착한 키입력부(210)와, 키입력부(210)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자의 명령 데이터에 응답하여 재생장치(121)로부터 재생되는 신호중 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는 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220)와, 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220)로부터 검출된 포우즈신호를 인식하여 재생장치(121)가 일시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학습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재생장치(121)가 포우즈/스틸해제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대화학습 제어부(230)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학습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음파신호로 출력하는 음성입력부(240)와, 학습자의 화면선택 및 자막선택에 의해 재생장치(121)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신호(문자신호가 중첩되어 기록된 복합영상신호) 또는 단색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자막을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250)와, 여기서, 일부 VCR이나 캠코더의 경우 재생장치(121)가 일시정지시에 디스플레이부(310)에 노이즈가 발생하여 화면의 문자를 알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필요한 구성이며 일시정지시에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재생장치(121)는 구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재생장치(121)의 출력이 곧바로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만 구성되는 블럭이다.
입력라인이 없는 표시장치(300)에 대응하여 RF 케이블로 전송하기 위하여 재생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고주파신호(RF : 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하는 고주파변환부(260)로 구성된다.
표시장치(300)는 고주파변환부(260)를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10)와, 어학학습장치(200)와 오디오 라인으로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부(310)에 연결되어 재생장치(121)로부터 재생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20)로 구성된다. 이때 스피커(320)는 표시장치(300)가 될 수도 있고, 헤드폰 스피커도 될 수 있으며, 음성입력부(240)와 일체형인 헤드폰도 될 수 있다.
여기서, 어학학습장치(20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계(100)에 내장될 수 있다.
제3도의 동작을 제4a도 내지 제9d도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기록매체(111)에는 현지인의 음성 및/또는 영상정보가 아날로그신호 또는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기록되어 있으며, 포우즈/스틸신호가 미리 정해진 구간마다 기록되어 있거나 무신호 영역으로 되어 있다.
제4a도에 도시된 기록매체는 일반형 VCR의 노말(Normal) 테이프인 경우로서, 오디오 트랙(t1), 비디오 트랙(t2), 콘트롤 트랙(t3)으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재생장치(121)에서 출력된 대화를 반복해서 따라하는 경우로서 오디오 트랙(t1)에 70KHz로 AM 변조되어 기록된 음성신호(S)에서 일정한 주파수 7.5KHz 신호를 70KHz로 AM 변조하여 매 대화구간의 소정영역에 기록한 경우와 매 대화구간의 소정영역에 무신호영역으로 대체되는 포우즈/스틸신호(P)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포우즈/스틸신호는 음성신호의 고역성분에 속하는 대역 7KHz으로 기록되어 있다. 왜냐하면 가청주파수대역은 20Hz∼20KHz이지만 일반적인 VCR인 경우 재생시 8-10KHz이내의 신호만이 재생되기 때문이다.
포우즈/스틸신호의 기록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오디오 더빙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제4b도에 도시된 기록매체는 리니어 스테레오형 테이프로서, 좌(L) 및 우(R) 채널 오디오 트랙(t1, t1'), 비디오 트랙(t2), 콘트롤 트랙(t3), 제1대화구간의 음성 및 영상신호가 기록된 구간(T1), 제2대화구간의 음성 및 영상신호가 기록된 구간(T2)으로 되어 있다.
이 L채널 오디오 트랙(t1)에는 70KHz로 AM 변조되어 기록된 L 채널음성신호(S1) 그리고 19KHz 신호가 70KHz로 AM 변조되어 매 대화구간의 소정영역에 기록되어 있거나 매 대화구간의 소정영역에 무신호영역으로 둔 제1포우즈/스틸신호(P1)가 실려져 있고, R 채널 오디오 트랙(t1')에는 70KHz로 AM 변조되어 기록된 R채널 음성신호(S2)와 19.5KHz 신호가 70KHz 신호로 AM 변조되어 매 대화구간의 소정영역에 기록되어 있거나 매 대화구간의 소정영역에 무신호영역으로 둔 제2포우즈/스틸신호(P2)가 실려져 있다.
제4c도에 도시된 기록매체는 하이파이(Hi-Fi)형 캠코더용 테이프로서, 하이파이 오디오 트랙(t1), 좌채널의 음성신호가 1.3MHz로 FM 변조되어 기록된 L채널 오디오 트랙(t2), 오디오 신호가 기록되지 않은 L채널 트랙(t2'), 우채널의 음성신호가 1.7MHz로 FV 변조되어 기록된 R채널 오디오 트랙(t3), 오디오신호가 기록되지 않은 R채널 트랙(t3'), 제1대화구간의 음성 및 영상신호가 기록된 구간(T1), 그리고 제2대화구간의 음성 및 영상신호가 기록된 구간(T2)을 갖는다.
제1포우즈/스틸신호(P1)는 소정수의 주파수(여기서는 19KHz)신호를 1.7MHz로 FM 변조하여 매 대화구간의 소정영역에 기록되어 있거나 매 대화구간의 소정영역을 무신호영역으로 둔 소정수의 주파수(여기서는 19.5KHz)신호를 1.7MHz로 FM 변조하여 매 대화구간의 소정영역에 기록되어 있거나 매 대화구간의 소정영역에 무신호영역으로 둔 제2포우즈/스틸신호(P2)가 T1 및 T2에 각각 실려있다.
제4d도에 도시된 기록매체는 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와 같은 광디스크로서, 제1대화구간의 음성 및/또는 영상신호가 기록된 구간(S1)과 제2대화구간의 음성 및/또는 영상신호가 기록된 구간(S2)에서 19KHz를 아날로그신호 및 디지털신호로서 기록되어 있거나 매 대화구간의 소정영역을 무신호영역으로 둔 제1포우즈/스틸신호(P1) 및 19.5KHz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써 기록되어 있거나 무신호영역인 제2포우즈/스틸신호(P2)를 도시하고 있다.
레이저 디스크는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혼합한 후 FM 변조하여 기록한다. 즉, 좌채널의 음성신호가 2.3MHz로 변조하고, 우채널의 음성신호는 2.8MHz 변조하여 비디오신호와 혼합하
여 기록된다. 이때, 포우즈/스틸신호를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를 혼합한 후 매 대화구간내 소정영역에 기록한다.
제4e도에 도시된 기록매체는 하이파이형 VCR의 테이프로서 제4c도에 도시된 하이파이형 캠코더형 테이프와 비교할 때 오디오 트랙(t1), 콘트롤 트랙(t3)이 존재하여 음성 및 영상이 실려진 트랙(t2) 뿐만아니라 오디오 트랙(t1), 콘트롤 트랙(t3)상에 포우즈/스틸신호를 실고 있는 점이 다르다.
한편, 상기 기록매체에 가청주파수 이상의 (20KHz 이상)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로서 제4a도의 t1과 제4b도의 t1과 t1'와 제4e의 t1 영역에는 23KHz 또는 25KHz의 가청주파수 이상의 포우즈/스틸신호를 오디오 더빙장치를 이용하여 기록할 수 있고, 제4c도의 t1과 제4d도와 제4e도의 t2영역에는 기록매체상에 두사람의 현지인의 대화가 문답의 형태로 기록되어져 있다고 할 경우 기록매체의 제작회사 또는 편집인의 한사람의 대화구간에 해당하는 음성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제17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tack w/s, s/w2를 스위칭시켜 제1, 2포우즈/스틸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록메카니즘은 기록모드로 전환된다. 상세한 설명은 제17도에서 하겠다.
한편, 콘트롤 트랙이 있는 기록매체는 제4a도에 도시된 노말 VCR용 테이프, 제4b도에 도시된 리니어 스테레오 VCR용 테이프, 제4e도에 도시된 하이파이 VCR용 테이프로서,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 트랙상에 기록된 30Hz의 콘트롤 신호와 제1 또는 제2포우즈/스틸신호가 선택스위치(773)를 통해 1개의 신호만이 출력되고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부도 2개가 아니고 한개로 하여 혼합하여 대화응답이 끝나는 시점에 30Hz 이상의 포우즈/스틸신호(여기서 1KHz의 제1포우즈/스틸신호(P', P1), 2KHz의 제2포우즈/스틸신호(P', P2')를 기록하게 된다.
한편, 기록매체의 무신호 영역을 감지하여 포우즈/스틸신호(P1, P2)로 사용하여 경우에는 대화응답이 끝나는 시점에서 일정시간 지연후 대화응답을 하면 무신호 영역을 만들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언급한 포우즈/스틸신호의 주파수는 단지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또한 제4a도는 하나의 포우즈/스틸신호, 제4b도 내지 제4e도는 2개의 포우즈/스틸신호를 기록한 예를 들고 있지만 역으로 제4a도에 도시된 일반형 테이프에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를 기록할 수 있으며, 제4b도 내지 제4e도에 도시된 기록매체에 하나의 포우즈/스틸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의 포우즈/스틸신호는 음성신호에 기록했지만 대화응답이 끝나는 시점인 영상신호의 수직블랭킹기간이 수평동기신호 10번째-21번째 동기사이에 문자신호와는 구별되게 기록할 수 있다.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character 1, character 2구간의 데이터가 모두 0일때는 제1포우즈/스틸신호이고 모두 1일때는 제2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된다. 여기서, 제3도에 도시된 대화학습 제어부(230)는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상태를 온/오프동작만 수행하며, 재생장치(121)가 FF/REW, SLOW, SEARCH와 같은 다기능시에는 재생장치(121)의 음성신호가 뮤트되기 때문에 포우즈신호가 검출되지 않아 재생장치(121)는 포우즈/스틸의 온/오프동작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콘트롤 트랙의 포우즈/스틸신호와 캡션신호에 기록된 포우즈신호는 FF/REW 등 다기능시에는 뮤트시킨다. 이때, 마이크입력신호도 뮤트된다.
한편, 어학학습장치(200)의 각 블럭에 대한 상세회로도는 제6a 및 6b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a 및 6b도에 의하면, 어학학습장치(200)는 키입력부(210)와, 기록매체(111)에 미리 기록된 제1포우즈/스틸신호(P1)의 대역만을 추출하기 위한 제1대역통화필터(221), 제2포우즈/스틸신호(P2)의 대역만을 추출하기 위한 제2대역통과필터(222)로 구성되는 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220)와, 제1대역통과필터(221)에서 검출된 제1포우즈/스틸신호(P1)를 구형파신호로 출력하는 제1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231)와, 제2대역통과필터(222)에서 검출된 제2포우즈/스틸신호(P2)를 구형파신호로 출력하는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232)와, 마이크로폰(24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실린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제거부(233)와, 잡음제거부(233)를 통해 마이크로폰(24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34)와, 증폭부(234)로부터 출력되는 외부음성신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포우즈/스틸해제신호를 발생하는 포우즈/스틸해제신호발생부(235)와, 제1포우즈/스틸신호(P1)를 제거하기 위한 제1저역통과필터(236)와, 제2포우즈/스틸신호(P2)를 제거하기 위한 제2저역통과필터(237)와, 포우즈/스틸신호가 검출되면 화면선택 및 자막을 온/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250)에 출력하고 재생장치(121)를 제어하여 유선이나 무선으로 포우즈/스틸시키고, 포우즈/스틸해제신호가 검출되면 유선이나 무선으로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을 해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238)와, 제1 및 제2선택접점(a1, a2)은 제1 및 제2저역통과필터(236, 237)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1 및 제2고정접점은 좌우스피커(320, 320') 및 버퍼(242, 243)를 거쳐 혼합되어 고주파 변환부(270)에 접속되어 제어용 스위치로 구성되는 제1음성신호 출력제어부(239)와, 선택접점(93)은 마이크로폰(240)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고정접점은 잡음제거부(233)의 입력단에 접속되는 제2음성신호 출력제어부(239')로 되어 있는 대화학습제어부(230)와 (여기서, 버퍼(241)의 입력단은 증폭부(234)의 출력단자 및 제2고정접점에 접속되고, 출력단은 버퍼(243)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마이크로폰(240)과, 재생장치(121)에서 재생되는 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251), 재생되는 영상신호의 수직 블랭킹기간에 실린 자막신호를 램(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여 콘트롤러(23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막정보를 온/오프하거나, 정상적인 영상화면 또는 단색화면으로 출력하는 캡션부(252), 제1선택접점(b1)은 비디오 라인으로 연결된 재생장치(121)의 비디오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2선택접점(b2)은 캡션부(252)의 제1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제1제어용 스위치(SW1), 제1선택접점(c1)은 제1제어용 스위치(SW1)의 고정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제2선택접점(c2)은 캡션부(252)의 제2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제2제어용 스위치(SW2)로 되어 있는 스위칭부(253)로 구성된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250)와, 콘트롤러(238)의 출력에 응답하여 유선이나 무선으로 재생장치(121)을 포우즈/스틸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유·무선송신부(260)와, 영상신호 입력단자(Video)는 제2제어용 스위치(SW2)의 고정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접지단(GND)은 접지되고, 전원단자(B+)는 공급전원단(Vcc)에 접속되며, VCR/TV 모드 입력단자는 콘트롤러(238)의 제어신호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음성신호 입력단자(Audio)는 음성신호 출력제어부(239)에 접속된 버퍼(b1, b2)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RF 입력단자는 RF 케이블로 연결된 재생계(100)의 RF 출력단에 접속되며, RF 출력단자(RF OUT)는 디스플레이부(310)에 접속되는 고주파변환부(2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231)의 베이스는 제1대역통과필터(22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의 타단에 접속되고, 콜렉터는 전원공급단(Vcc)에 연결된 저항(R2)이 접속되며, 에미터는 접지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의 출력은 콘트롤러(238)의 제1제어신호 입력단자(P1)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232)는 제1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23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의 출력은 콘트롤러(238)의 제2제어신호 입력단자(P2)에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제6a, b도의 동작을 좌, 우채널 오디오 라인(L2, L2')을 통해 재생장치(121)로부터 재생되는 신호중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우즈/스틸신호가 두가지 종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4a도에 도시된 포우즈/스틸신호가 한가지 종류일 경우라 하더라도 제1 및 제2대역통과필터(221, 222) 중 어느 하나의 출력만을 대화학습제어부(230)가 체크하면 된다.
제1 및 제2대역통과필터(221, 222)의 통과대역은 기록매체(111)에 기록된 포우즈/스틸신호의 가청주파수이내의 주파수대역과 일치한다. 즉, 제4a도에 도시된 VCR의 모노 테이프인 경우에는 제1포우즈/스틸신호(P1)가 7KHz, 제2포우즈/스틸신호(P2)가 7.5KHz이며, 제4b도, 제4c도 및 제4e도에 도시된 리니어 스테레오 테이프, 하이파이 스테레오 테이프인 경우와 제4d도에 도시된 광디스크인 경우는 제1신호(P1)가 19KHz이며, 제2포우즈/스틸신호(P2)가 19.65KHz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P1, P2)를 검출하는 제1 또는 제2대역통과필터(221, 222)의 출력신호의 파형은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 또는 제2대역통과필터(221, 222)의 출력은 제1 또는 제2트랜지스터(Q1, Q2)를 통해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가 콘트롤러(238)에 입력된다.
콘트롤러(238)의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 및 해제신호 출력(L1)은 재생장치(121)에 포우즈/스틸신호를 꼽을 수 있는 잭이 있는 경우에는 유선으로 송신하고, 잭이 없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4)가 도통됨에 따라 다이오드(D1)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유도자장에 스위치되는 릴레이(261)의 출력이 리모콘회로(262)에 입력되면 사람이 리모콘을 누르는 동작을 자동으로 대신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5)를 도통시켜 적외선 다이오드(D2, D3)에 의해 재생장치(121)에 포우즈/스틸실행 및 해제 명령 신호를 보내게 된다.
리모콘회로(262)는 각 회사마다 다르며, 포우즈/스틸키를 누르면 재생장치(121)가 포우즈/스틸 상태가 되고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 상태를 해제시키는데 있어서는 재생(플레이)키를 눌러야 재생장치(121)가 포우즈/스틸 해제되는 것도 있다. 리모콘회로(262)는 자체내의 롬(도시되지 않음)에 복수의 제품에 대한 신호포맷들 및 선택된 키(여기서는 포우즈키, 포우즈 해제키)에 해당하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한다.
마이크로폰(240)으로부터 입력되는 제7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학습자의 전기적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잡음제거부(233)의 저항(R0)과 콘덴서(C0)를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사용자가 제1가변저항(VR1)의 볼륨을 이용하여 레벨을 조정하고 증폭부(234)에서 이를 증폭한다.
증폭된 음성신호는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입력되고, 제7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랜지스터(Q3)의 출력은 제1M/M(1)에 입력된다. 제1M/M(1)의 출력을 학습자가 제2가변저항(VR2)으로 볼륨을 조정함으로써 제7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T)을 지연시킬 수 있다.
제1M/M(1)의 출력은 다시 제2M/M(2)에 입력되고, 제7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M/M(2)의 출력은 제1M/M(1)의 출력이 하이로 변화하는 시점에서 콘덴서(C2)와 저항(R8)값에 의해 일정시간동안의 구형파신호로 콘트롤러(238)에 제3제어신호 입력단자(R)에 입력된다. 제3제어신호 입력단자(R)에 제6M/M(6)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재생장치(121)가 포우즈/스틸된 상태에서 해제되는 경우로서, 학습자가 재생계를 따라하는 반복기능, 질문 또는 대답을 하는 대화구간에서 자막을 보고 끝까지 대답하지 못하고 중간에 쉬었을 경우에도 대화학습제어부(230)에서는 학습자의 말이 완료된 줄 알고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가변저항(VR2)의 볼륨을 학습자가 능력에 따라 조절하게 되는데 즉, 0, 1초에 5초까지 제1M/M(1)의 출력을 지연시켜서 조절할 수 있어 학습자가 자막에 나타난 문자를 말하다 도중에 쉬어도 학습자가 조정하는 시간만큼 지연되기 때문에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계속해서 말을 끝낼 수가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학습자의 대화기간을 효율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제2가변저항(VR2)이 없는 특정한 값으로 고정하여 응답시간을 한가지로 일정하게 할 경우에는 제2가변저항(VR2)은 없어도 된다.
콘트롤러(238)는 학습자가 키입력부(210)를 통해 설정된 선택모드에 응답 하여 정상재생을 할 수도 있고 대화식으로도 할 수 있는데 상술한 동작설명은 대화식 학습모드인 경우이다.
그리고, 정상 재생시에는 콘트롤러(238)에 의하여 제2음성신호출력제어부(239')의 선택접점(a3)을 오프시켜 마이크로폰(240)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뮤트시키고, 제1음성신호출력제어부(239)의 선택접점(a1, a2)을 단락시켜 재생장치(121)에서 출력된 음성신호가 좌, 우 스피커(320, 3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가 가청주파수 대역의 고역신호인 경우 정상재생시나 대화식 학습모드시에 이 포우즈/스틸신호에 의해 삐-삐- 소리가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및 제2저역통과필터(236, 237)를 거쳐 스피커(320)에 출력한다.
이때, 제1 및 제2저역통과필터(236, 237)의 차단주파수는 모노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는 6.4KHz이며, 하이파이 스테레오 테이프, 리니어 스테레오 테이프, 광디스크와 같은 경우에는 18.5KHz를 사용한다. 이 저역통과필터의 차단주파수는 포우즈/스틸신호가 실려진 대역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재생장치(121) 내부에 있는 음성처리부(도시되지 않음)내의 가청주파수(20KHz) 이내로 제한하는 필터가 있기 때문에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음성처리부 뒷단에 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220)가 있어야 한다. 또한, 기록매체에도 가청주파수 이내의 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되어야 한다.
한편, 대화식의 영상 및 음성신호가 실린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121)에서 비디오 라인(L3)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수평동기신호의 21번째 수평동기에 문자가 실린 복합동기신호인 경우에는 캡션부(252)를 제어함으로서 어학학습능률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문자를 중첩한 영상신호는 현재 대부분의 방송국에서 사용하는 재생장치, VCR, LDP, TV 등에 이미 적용되어 있는 보편화된 기술로서 이 문자는 수직블랭킹기간은 수평동기신호의 10번째에서 21번째구간에 싣고 있으며 캡션기능은 수직동기신호의 21번째 동기신호에 문자신호를 중첩하여 싣는 기술이다.
종래에 VCR, LDP, 캠코더에서 단색화면 표시기능이나 캡션문자사용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온/오프 동작만 가능하였으며, 재생장치(121)의 입력신호가 설정된 기준레벨보다 낮게 입력될때(무신호가 입력될때)에는 입력되는 신호를 뮤트하고 단색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이 있었다.
그러나, 대화내용을 바꾸어가며 하는 대화식 학습모드에서는 재생장치(121)가 포우즈/스틸되었을때 일부 비디오, 캠코더의 포우즈/스틸화면은 테이프에 따라 트래킹이 맞지 않아 화면에 잡음이 나타나 화면을 정상적으로 볼 수 없고, 잡음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포우즈/스틸화면은 영상이 퍼지는 현상으로 영상화면의 해상도가 떨여져 학습자가 대화내용의 자막을 보는데 있어서 시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재생장치(121)의 대화구간이 끝나는 영상화면은 재생장치(121)가 포우즈/스틸될 때까지 학습자가 해야할 대화구간동안에 재생되는, 음성신호는 뮤트된 채로 영상화면에서 대화자의 입만이 중얼거리는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대화구간 중 재생장치(121)에서 재생되는 대화구간이 끝나고 나면 포우즈/스틸신호에 응답하여 콘트롤러(238)에서 학습자가 말 해야할 대화구간에 문자 자막을 단색화면위에 쓰여주도록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250)를 제어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포우즈/스틸신호에 응답하여 문자 자막이나 단색화면을 자동으로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250)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를 설명한다.
캡션부(252)에서는 동기분리부(251)로부터 분리된 동기신호에서 수직블랭킹기간에 해당하는 수평동기신호에 실린 문자신호를 램(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한다.
또한, 캡션부(252)에서는 키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화면선택키 및 자막 온/오프키를 인식한 콘트롤러(238)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선택 및 자막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단색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신호를 제1제어용 스위치(SW1)의 제2선택접점(b2)에 출력하고 캡션부(252)의 내부에 내장된 램으로부터 독출된 문자신호를 제2제어용 스위치(SW2)의 제2선택접점(c2)에 출력한다.
제1제어용 스위치(SW1)에서는 정상적인 영상화면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제1선택접점(b1)에 단락시키고, 단색화면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제2선택접점(b2)에 단락시킨다.
제2제어용 스위치(SW2)에서는 제1제어용 스위치(SW1)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자막을 삽입하고 싶으면 자막이 삽입되는 화면영역이 되면 제2선택접점(c2)에 단락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선택접점(c1)에 단락시켜 제1제어용 스위치(SW1)의 출력을 출력시킨다.
한편, 제2제어용 스위치(SW2)의 출력은 RF 신호로 변조하지 않고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라인으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310)에 출력(L4)할 수 있으며, 음성신호도 RF 신호로 변조하지 않고 좌, 우 스피커(320, 320')로 출력할 수 있다.
좌, 우 스피커(320, 320')로의 출력은 디스플레이부(310)의 스피커가 될 수도 있고, 헤드폰 스피커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입/출력라인이 없는 표시장치(300)인 경우에는 고주파 변환부(270)에서 비디오신호가 제1 또는 제2음성신호 출력제어부(239, 239')의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RF 신호로 출력한다.
RF 신호는 비디오신호와 음성신호가 변조되어 하나의 신호로 디스플레이부(310)에 출력된다.
비디오 라인(L3)의 영상신호는 제4b도의 제1대화구간(T1)과 제2대화구간(T2)의 음성신호 내용이 문자로 영상신호에 기록된 비디오 신호이거나, T1, T2구간의 음성신호 내용의 문자신호가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의 10-21번째 동기신호에 기록된 비디오신호이다.
여기서, 문자신호가 영상신호와 함께 기록된 영상화면은 포우즈/스틸신호에 응답해서 대화내용의 자막은 제어되지 않고 단색화면만 제어된다.
이때, 사용자가 어학학습장치(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재생장치(100)는 VCR이고, 표시장치(300)는 TV인 경우 키입력부(210)의 VCR/TV 선택모드키를 TV 모드로 세팅하면 재생장치(121)의 출력은 고주파 변환부(260)의 RF 입력단자에 입력되어 RF 출력단자를 통해 RF 케이블을 연결된 표시장치(300)에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전원 온시에 VCR/TV 선택은 TV 모드상태에서 VCR 모드상태로 전환해야 한다.
또한, 상기 라인(L3)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는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250)를 통하지 않고 직접 디스플레이부(310)에 출력하거나 고주파 변환부(260)에 입력되어 RF 신호로 변조되어 디스플레이부(310)에 출력할 수 있다.
제8도는 제6도에 도시된 콘트롤러(238)에서 수행되며, 기록매체상에 하나의 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의 어학학습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8도에 의하면, 상기 라인(L3)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는 화면선택 및 자막 발생부(250)를 통하지 않은 경우로서 시스템의 전원을 인가하고, 초기화작업에는 프로그램의 시작에 필요한 메모리의 초기화도 포함되며, 학습자는 어학학습을 하기 위하여 재생장치(121)에 기록매체(111)를 삽입하여야 한다.(S1 단계)대화학습 제어부(230)의 콘트롤러(238)는 키입력부(21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 중 재생키(play key)가 입력되는가를 체크한다.(S2 단계)
여기서, 키입력부(210)는 텐키, 기능키, 문자키 및 특수키 등을 구비한 사용자 선택모드 입력수단을 의미하며, 어학학습장치(200)의 세트에 장착되거나 적외선 타입의 리모콘이 될 수 있다.
재생키가 인가되면 재생장치(121)는 재생상태가 되고, 다시 대화식 학습모드키(이하 대화모드키로 약칭함)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 단계) 대화식 학습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는 단계이다.
대화모드키가 입력되면 기록매체(111)상에 기록된 음성신호, 영상신호, 포우즈/스틸신호를 재생한다.
이때, 대화학습 제어부(230)는 대화를 위한 선택모드키가 재생키의 입력이후에 입력되지 않으면 일반적인 재생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종료한다. 이 경우 포우즈/스틸신호는 제1 및 제2저역통과필터(236, 237)에 의해 학습자 귀에 들리지 않는다.(S4-S5 단계)
그러므로, 학습자는 기록매체(111)의 대화내용을 적어도 1회이상은 듣고 난 후에 S5 단계이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재생중에 기록매체(111)상에 기록된 포우즈/스틸신호(P)가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 단계)포우즈/스틸신호(P)가 검출되었으aus 재생장치(121)를 포우즈/스틸시키고, 동시에 제1 및 제2선택접점(a1, a2)은 차단상태로 있고 제3선택접점(a3)은 단락된다.(S7, 38 단계) 재생장치(121)는 포우즈/스틸되면 자동으로 음성신호는 뮤트된다.
마이크로폰(240)으로부터 학습자의 음성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학습자 음성이 입력되면 스피커로 출력한다.(S9, S10 단계) 가변저항(VR2)에 의해 설정된 시간(T)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 후 설정시간(T)이 경과되면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상태를 해제하고 동시에 제1음성신호 출력제어부(239)의 제1 및 제2선택접점(a1, a2)은 단락상태로 있고 제2음성신호출력제어부(239')외 제3선택접점(a3)은 차단시켜 마이크신호 출력을 오프시킨다.(S11-S13 단계) 가변저항(VR2)가 특정값으로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연되지 않고 외부음성의 입력이 완료되면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 상태가 해제됨으로 S11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제9a도 내지 재9d도는 제6b도에 도시된 콘트롤러(238)에서 수행되며, 기록매체상에 제1 및 제2포우즈/신호가 실려있을 경우의 어학학습을 위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9a도-9d도에 의하면, 시스템의 전원을 인가하고, 메모리를 초기화하며, 학습자는 어학학습을 하기 위하여 재생장치(121)의 기록매체(111)를 삽입하여야 한다.(S101 단계)대화모드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2 단계)
대화모드 선택키가 없는 경우는 S102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대화모드키가 입력되면 재1선택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자막표시 온/오프인지도 판단한다.(S103, S104 단계)
여기서, 제1선택모드는 제4b도 내지 제4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대화구간(T2)을 학습자가 선택하여 말하는 모드인 경우를 말한다.
제1선택모드이고 자막표시 온모드로 선택되면, 대화학습제어부(230)는 키입력부(21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중 재생키가 입력되었는가를 체크한다.(S105 단계)
재생키가 인가되면 재생장치는 재생상태가 된다. 이때, 대화학습제어부(230)는 제1대화구간(T1)이 진행될 때는 제1대화자의 대화내용이 영상화면에 자막으로 출력되고, 동시에 음성신호는 좌, 우 스피커(320, 320')로 출력된다. 이때, 제2음성신호출력제어부(230')의 제3선택접점은 차단된다.
제1대화구간(T1)이 끝나고, 제1포우즈/스틸신호(P1)가 검출되면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250)를 제어하여 단색화면은 온, 자막표시는 온, 제1 및 제2음성신호출력제어부(239, 239')의 제1 내지 제3선택접점(a1, a2, a3)을 차단시켜 음성신호는 뮤트, 마이크신호 입력은 오프시키며 제2대화구간(T2)이 재생된다.(S106-S109 단계)
제2대화구간(T2)이 끝나고 제2포우즈/스틸신호(P2)가 검출되면 제3선택접점(a3)을 단락시켜 마이크신호 입력은 온이 되고, 재생장치(121)를 포우즈/스틸 상태로 실행한다.(S116, S112 단계)학습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스피커(320)에 출력하고, 설정시간(T)이 경과되면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 해제(재생 실행)가 되도록 제어하며,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250)를 제어하여 단색화면은 오프, 자막표시는 온시키고, 제1음성신호출력제어부(239)의 제1 및 제2선택접점(a1, a2)은 단락, 제2음성신호출력제어부(239')의 제3선택접점(a3)은 차단시켜 음성신호는 뮤트 해제, 마이크 신호 입력은 오프동작을 수행한다.(S113-S117 단계)
제1 또는 제2포우즈/스틸신호(P1, P2)가 검출되지 않으면 정상재생을 한후 정지한다.(S118 단계)
제1선택모드에서 제2대화구간(T2)의 대화를 학습자가 자막없이 학습하고자 할 경우에는 즉, 자막표시는 오프모드로 설정할 경우에는 재생중에 제1포우즈/스틸신호(P1)가 검출되면 단색화면은 온, 자막표시는 오프, 음성신호는 뮤트, 마이크신호 입력은 오프시켜서 제2대화구간(T2)를 재생한다.(S119, S121 단계)
제2포우즈/스틸신호(P2)가 검출되면 마이크신호 입력은 온,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을 실행한후, 외부음성신호가 입력되어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을 해제한 후 단색화면은 오프, 음성신호는 뮤트, 마이크신호 입력은 오프, 자막표시는 온시키고, 제1 또는 제2포우즈/스틸신호(P1, P2)가 검출되지 않으면 정상재생을 한후 정지한다.(S122-S129 단계)
한편, 상기 S103단계에서 제1선택모드가 아니고 제2선택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자막표시가 온/오프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2선택모드는 제4b도 내지 제4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대화구간(T1)을 학습자가 말하는 구간으로 선택한 모드인 경우를 말한다.
제2선택모드이고, 자막표시 온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재생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재생키가 입력되면 재생한다.(S130-S133 단계)
기록매체(111)상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재생하다가 제1포우즈/스틸신호(P1)가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34 단계)
제1포우즈/스틸신호(P1)가 검출되면,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을 실행하고, 마이크신호의 입력을 온시킨다.(S135, S136 단계)
이후 외부음성이 입력되었으면 스피커로 출력하고, 설정시간(T)이 경과되면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을 해제하고, 단색화면은 오프, 음성신호의 뮤트 해제, 마이크신호 입력은 오프, 자막표시는 온시킨다.(S137-S141 단계)
제2포우즈/스틸신호(P2)가 검출되었으면 단색화면은 온, 또는 자막표시는 온, 음성신호는 뮤트, 마이크신호 입력은 오프시키고, 제1대화구간(T1)이 재생되며, (S142, S143 단계) 제1 또는 제2포우즈/스틸신호(P1, P2)가 검출되지 않으면 정상 재생한다.(S117 단계)
한편, 제2선택모드시 자막표시 오프모드로 설정될 경우에는, 재생하다가 제1포우즈/스틸신호(P1)가 검출되면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을 실행하고, 마이크신호 입력은 온한다.(S145, S146 단계)
이후 외부음성이 입력되면 스피커로 출력하고, 설정시간(T)이 경과되면, 재생장치(121)의 포우즈/스틸을 해제, 단색화면은 오프, 음성신호의 뮤트 해제, 마이크신호 입력은 오프, 자막표시는 온시킨다.(S147-S151 단계)
제2포우즈/스틸신호(P2)가 검출되면 단색화면은 온, 자막표시는 오프, 음성신호는 뮤트, 마이크신호 입력을 오프시키고 제1대화구간(T1)을 재생시키며, (S152-S154 단계)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P1, P2)가 검출되지 않으면 정상재생한다.(S117 단계)
여기서, S104 단계에서 제1 및 제2선택모드의 지정에 따라 대화구간(T1, T2)을 서로 바꿀 수도 있으며, 재생장치(121)가 제1대화구간(T1)을 하고, 학습자가 상기 제2대화구간(T2)을 말하는 제1선택모드에서는 제2대화구간의 영상화면은 제2대화구간(T2)에서 소리는 뮤트된 채로 중얼거리는 문제점을 제2대화구간(T2)에는 단색화면으로 변환시키고, 대화 내용이 자막을 표시하는 화면선택 및 자막 온/오프의 선택으로 극복하고 있다. 만약, 대화구간을 바꾸어 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록매체 자체에 기록시 제1대화구간은 영상화면에 자막이 표시되고 학습자가해야 할 모드는 단색화면에 자막을 표시되게 기록되어 있으면 화면선택 기능이 없이도 극복할 수 있다.
즉, 재생장치(121)이 포우즈/스틸 실행시 일부 VCR, 캠코더는 재생장치(121) 포우즈/스틸시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되어 자막을 알아볼 수 없거나 시력을 버릴 수 있기 때문에 단색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 포우즈/스틸하게 된다.
자막의 표시도 S106 단계에서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자가 대답할 내용을 자막을 보지 않고서도 할 수 있다면 자막 표시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10도는 제2도에 도시된 대화식 어학학습장치에 있어서 특히 콘트롤 트랙상에 포우즈/스틸신호를 실어 어학학습을 하기 위한 상세회로도이다.
제10도에 의하면, 재생장치(121)는 재생메카니즘부(117)의 비디오 헤드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처리부(111)와, 재생메카니즘부(117)의 컨트롤 헤드에서 재생되는 30Hz의 콘트롤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112)와, 재생메카니즘부(117)의 오디오 헤드로부터 재생되는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처리부(113)와, 키입력부(14)와, 키입력부(14)를 통해 키데이터를 입력하는 타이머 마이콤(114)(여기서, 마이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컴퓨터의 약자이다.), 영상신호처리부(111)와, 음성신호처리부(113)와, 서보부(116)와, 타이머 마이콤(114) 등의 시스템 전체를 총괄제어하는 마이콤(115)과, 캡스턴 제어부와 드럼 제어부로 구성되는 재생메카니즘부(117)와, 재생메카니즘부(117)를 제어하는 서보부(116)와, 재생메카니즘부(117)의 콘트롤 헤드에 의해 콘트롤 트랙상에 기록된 1KHz의 제1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는 제1대역통과필터, 2KHz의 제2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는 제2대역통과필터로 구성된 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121)와, 제1대역통과필터에서 검출된 제1포우즈/스틸신호(P1)을 구형파신호로 출력하는 제1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122)와, 제2대역통과필터에서 검출된 제2포우즈/스틸신호(P2)를 구형파신호로 출력하는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123)와, 마이크로폰(124)과, 마이크로폰(124)으로부터 입력을 제어하는 스위치(125)와, 마이크로폰(124)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실린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제거부(126)와, 잡음제거부(126)를 통해 마이크로폰(124)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27)와, 증폭부(127)로부터 출력되는 외부음성신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포우즈/스틸해제신호를 발생하는 포우즈/스틸해제신호발생부(128)와, 대화학습모드시에만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122, 123)의 출력신호를 마이콤(115)에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제1 및 제2제어용 스위치(SW21, SW22)와, 제1 및 제2선택접점(a1, a2)은 음성신호처리부(113)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1고정접점은 버퍼(118)을 거쳐 증폭부(127)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2고정접점은 버퍼(118)을 거치지 않고 접속되는 제어용 스위치로 구성되는 제1음성신호출력제어부(125)와, 제3선택접점(a3)은 마이크로폰(124)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3고정접점은 증폭부(126)의 입력단에 접속되는 제어용 스위치로 구성되는 제2음성신호출력제어부(125')로 구성된다.
제10도의 동작에 대해 제6a도 및 제6b도와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0도에 도시된 어학학습장치는 콘트롤 트랙이 없는 캠코더 또는 LDP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콘트롤 트랙이 있는 노말 VCR, 리니어 스테레오 VCR, 하이파이 VCR에 적용되어 이 어학학습장치(120)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계(100)와 별도로 구성될 수 없으므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기록매체상의 콘트롤 트랙에 실리는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는 30Hz 이상의 신호(1KHz, 2KHz)로서 대화자의 응답이 끝나는 시점의 영역에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한다.
이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여 제6a도 및 6b도에서 상술한 대화식 어학학습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제1 및 제2제어용 스위치(SW21, SW22)는 FF, REW, SEARCH 모드와 같은 다기능시에는 마이콤(115)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용 스위치(SW21, SW22)를 차단시켜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를 뮤트시킨다.
마이콤(115)에 제8도 내지 제9d도에 도시된 어학학습 방법에 대한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동작된다. 또한, 영상신호처리부(111)의 출력단에 제6도에 도시된 화면 선택 및 자막발생부(250)를 추가하여 마이콤(115)로 제어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1도는 제2도에 도시된 대화식 어학학습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 제4a도 내지 제4e도의 음성신호 기록영역에 가창주파수(20KHz) 이상의 포우즈/스틸신호를 기록하여 어학학습을 하기 위한 어학학습장치의 상세회로도이다.
제11도에 의하면, 대화식 어학학습장치는 캡스턴 제어부 및 드럼제어부 또는 광픽업수단으로 구성되는 재생메카니즘부(500)와, 재생메카니즘부(500)의 비디오 헤드 및/또는 광픽업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처리부(501)와, 오디오 헤드 및/또는 광픽업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처리부(502)와, 키입력부(503)와, 키입력부(503)를 통해 키데이터를 입력하는 타이머 마이콤(504)과, 영상신호처리부(501)와, 음성신호처리부(502)와, 서보부(526)와, 타이머 마이콤(504) 등의 시스템 전체를 총괄제어하는 마이콤(505)과, 재생메카니즘부(500)를 제어 및 구동시키는 서보부(506)와, 음성신호에 기록된 22KHz의 제1포우즈/스틸신호(P1)를 검출하는 제1대역통과필터(511), 25KHz의 제2포우즈/스틸신호(P2)를 검출하는 제2대역통과필터(512)로 구성되는 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510)와, 제1대역통과필터(511)에서 검출된 제1포우즈/스틸신호(P1)를 구형파신호로 출력하는 제1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521)와, 제2대역통과필터(512)에서 검출된 제2포우즈/스틸신호(P2)를 구형파신호로 출력하는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522)와, 마이크로폰(53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실린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제거부(532)와, 잡음제거부(532)를 통해 마이크로폰(53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533)와, 증폭부(533)로부터 출력되는 외부음성신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포우즈/스틸해제신호를 발생하는 포우즈/스틸해제신호발생부(540)와, 제1 및 제2선택접점(a1, a2)은 음성신호처리부(502)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1고정접점은 버퍼(550)를 거치지 않고 접속되고 제2고정접점은 버퍼(550)을 거쳐 증폭부(533)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제어용 스위치로 구성되는 제1음성신호출력제어부(531)와, 제3선택접점(a3)은 마이크로폰(530)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3고정접점은 증폭부(533)의 입력단에 접속되는 제어용 스위치로 구성되는 제2음성신호출력제어부(531')와, 여기서, 제1음성신호출력제어부(531)과 제2음성신호출력제어부(531')는 별도로 구성되지 않고 일체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521, 522)의 출력단 각각에 병렬로 접속되어 그 출력을 마이콤(505)에 입력하는 카운터(560, 561)로 구성된다.
이어서, 제11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에 대해 제6a, b도, 제10도와 동일한 부분의 동작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1도에 도시된 어학학습장치는 영상기기 D-VCR, HD-VCR, 캠코더, 리니어 스테레오 VCR, 하이파이 VCR, LDP, CD-V(Compact Disk Video), CD-I(interactive), CD-G(graphic) 등에 적용되며, CD-D(division), CD-FMV(Full Motion Video) 어학학습장치(120)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계(100)와 별도로 구성될 수 없으므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음성신호처리부(502)의 내부에 처리된 신호를 가청주파수(20KHz) 이내로 제한하여 출력시키도록 제한필터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510)는 음성신호처리부(502)의 앞단에 설치되어야 한다.
정상 VCR의 경우는 음성신호처리부 내부에 8-10KHz 이하의 음성신호만 출력시킬 수 있도록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포우즈/스틸신호가 8-10KHz 이상일 때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학학습장치는 재생계에 내장되어야 하며, 이때는 음성신호처리부(502)의 앞단에 설치되어야 한다.
포우즈/스틸신호가 음성신호처리부내의 제한주파수 이내일 경우에는 제6도와 같이 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가 음성신호처리부의 뒷단에 설치할 수 있으며, 포우즈/스틸신호가 가청주파수(20KHz) 이상일 때는 음성신호처리부내의 제한필터를 가청주파수 이상의 제한필터로 확장시키면 음성신호처리부 뒷단에 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기록매체상에 가청주파수 이상의 포우즈/스틸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대화자의 응답이 끝나는 시점의 영역에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카운터(560, 561)는 학습자가 대화모드에서 키입력부(503)를 통해 반복횟수를 입력하면 설정된 포우즈/스틸신호가 카운트되면 다시 되감기하여 재생되는 반복학습 기능이다.
이는 제6도 및 제10도에서도 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의 출력단에 병렬로 카운트를 접속하여 마이콤에 포우즈/스틸신호(505)를 출력하여 같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이 반복기능에 대한 상세한 동작설명은 제12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시스템을 초기화한다.(S201 단계)
키입력부(503)로부터 재생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여 재생키가 인가되면 재생장치(110)는 재생상태가 된다.(S202, S203 단계)
학습자는 학습모드에 따라서 제1대화구간(T1)을 반복학습하고자 하는 경우 제1대화구간(T1)이 끝나는 시점에 기록된 제1포우즈/스틸신호(P1)의 반복검출횟수를 설정하고 이를 판단한다. (S204 단계)
제1포우즈/스틸신호(P1)의 반복검출횟수가 설정되면 현재 시점에서 제1포우즈/스틸신호(P1)를 검출하여 카운터(560)에서 카운트한다.(S205 단계)
제1포우즈/스틸신호(P1)가 설정된 수와 일치하면 되감기 탐색(Rewind Search) 동작을 수행한다.(S206, S207 단계)
되감기 탐색을 수행하면서 제1포우즈/스틸신호를 역카운터하여 0이 되면 되감기를 정지하고 반복 재생한다.(S208-S210 단계)
제2대화구간(T2)을 반복학습하고자 하는 경우 제2대화구간(T2)이 끝나는 시점에 기록된 제2포우즈/스틸신호(P2)의 반복검출횟수를 설정하여 이를 판단한다.(S211 단계)
제2포우즈/스틸신호(P2)의 반복검출횟수가 설정되면 현재 시점에서 제2포우즈/스틸신호(P2)를 검출하여 카운터(561)에서 카운트한다.(S212 단계)
제2포우즈/스틸신호(P2)가 설정된 수와 일치하면 되감기 탐색동작을 수행한다.(S213, S214 단계).
되감기 탐색을 수행하면서 제2포우즈/스틸신호를 역카운터(560)하여 0이 되면 되감기를 정지하고 반복 재생한다.(S215-S217 단계)
제1 또는 제2포우즈/스틸신호의 반복검출횟수를 설정하지 않으면 정상재생을 한후 정지한다.(S218 단계)
한편, FF, REW, SEARCH 모드와 같은 다기능시에는 마이콤(505)의 내부에서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를 뮤트시킨다.
마이콤(505)에서는 영상처리부(501)의 출력단에 제6도에 도시된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250)를 추가하면 제8도 내지 제9d도에 어학학습 방법에 대한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동작된다.
제1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장치가 세트내부에 적용될 수 있으며,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는 없으며, 포우즈/스틸신호가 수직귀선기간의 수평동기신호의 13-21번째에 기록되어 있는 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여 동작하는 어학학습장치의 상세회로도이다.
제13도에 도시된 구성은 제6a도 및 6b도와 비교하면,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된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P1, P2)의 대역만을 추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대역통과필터(221, 222)와, 제1 및 제2대역통과필터(221, 222)의 출력을 구형파신호로 출력하는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231, 232)와,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P1, P2)를 제거하기 위한 제1 및 제2저역통과필터(236, 237)를 삭제한 구성으로서,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250) 대신에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귀선기간인 수평동기신호의 13-21번째에 기록되어 있는 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여 동작하는 캡션처리부(610)가 부가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하다.
이 포우즈/스틸신호를 마이콤(640)에서 검출하는 흐름도는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4도에 의하면, 시스템을 초기화한다.(S301 단계)
캡션처리부(610)로부터 출력되는 캡션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S302 단계)
캡션신호 16비트가 0인가를 판단하여 캡션신호가 0이면 제1포우즈/스틸신호로서 출력하고, 캡션신호의 16비트가 1인가를 판단하여 캡션신호가 1이면 제2포우즈/스틸신호로서 출력한다.(S303, S304 단계)
또한, 마이콤의 동작은 제8도 및 제9d도에 도시된 어학학습 방법에 대한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동작된다.
제15도는 세트내부에 장착되는 제13도의 어학학습장치와는 달리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로서 적용될 수 있는 어학학습장치의 상세회로도이다.
제15도에 도시된 구성을 제10도와 비교해 보면, 제10도에 도시된 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121),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122, 123), 제1 및 제2제어용 스위치(SW21, SW22)가 삭제되고, 영상신호처리부(111)의 출력단에 캡션처리부(154)가 부가된 점만이 상이하다.
여기서, 제10도, 제11도, 제13도, 제15도의 어학학습장치는 화면선택 및 자막발생부가 없는 구성으로서, 마이콤(또는 콘트롤러)에서 제8도 내지 제9d도에 도시된 어학학습 방법을 수행하지만 제9a도와 제9c도에서 자막표시 온/오프단계(S104, S131 단계)가 없으며, S108, S117 단계, S141 단계, S143 단계에서 단색화면 온/오프 자막표시 온/오프 동작은 삭제되며, 제9b도와 제9d도도 삭제된다.
제16도는 제6a도에 도시된 대화학습제어부(230) 대신에 멀티바이브레이터 등으로 구성하여 기록매체 제4a도 내지 제4e도에서 대화응답이 끝나는 구간에 무신호영역을 두어 이 무신호영역을 포우즈/스틸신호로 사용하는 경우에 무신호영역을 검출하여 어학학습을 하기 위한 어학학습장치의 일부 회로도이다.
제16도에 도시된 구성을 살펴보면, 제1무신호검출(227)는 제6a도의 재생장치(12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51)의 타단에 접속되고, 콜렉터는 전원공급단(Vcc)에 연결된 저항(R53)이 접속되며, 에미터는 접지되는 트랜지스터(Q4)와, 입력단자(A)는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접속되고, 지연제어단자(T1, T2)는 저항(VR3)과 콘덴서(C51)에 접속되어 있는 제1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233)와, 입력단자(A)는 제1M/M(223)의 반전출력단자(/Q)에 접속되고 지연제어단자(T1, T2)는 저항(R55)과 콘덴서(C52)에 접속되며 출력단자는 마이콤의 제1포우즈/스틸신호(P1)에 접속된다.
제2무신호검출부(228)는 제1무신호검출부(227)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M/M(226)의 출력단자는 콘트롤러의 제2제어신호 입력단자(P2)에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제16도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7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제1 또는 제2트랜지스터(Q4, Q5)가 도통되어 M/M(223, 225)에서는 제7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형파신호를 반전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이 출력신호의 파형은 저항(VR3, VR4)의 값과 콘덴서(C51, C53)의 용량값에 의해 지연시켜 제7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레벨의 구형파신호로 출력한다.
M/M(224, 226)에서는 M/M(223, 225)의 출력파형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처리되는 시점에서 제7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신호로 출력단자(Q)를 통해 콘트롤러(238)에 입력된다.
M/M(224, 226)의 출력이 하이레벨 지속기간은 저항(R55, R56)값과 콘덴서(C52, C54)의 용량값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제11도에 도시된 포우즈/스틸신호검출부(510),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생부(521, 522) 대신에 제16도의 무신호검출부를 대체하면 무신호영역을 포우즈/스틸신호로서 검출한다.
대화를 진행하다가 중간에 쉴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변저항(VR)을 조정하여 대화가 끝난 지점과 중간에 쉴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우즈/스틸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된 경우는 포우즈/스틸신호가 검출만 되면 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시키는데 비해서 무신호영역을 포우즈/스틸신호로 한 경우 대화중간에 쉴 경우의 시간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대화응답의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다.
제17도는 기록매체 제4a도 내지 제4e도의 경우 음성신호에 가청주파수 이상 또는 음성신호 대역제한 신호 이상의 포우즈/스틸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의 블럭도이다.
제17도에 의하면, 키입력부(710)와, 키입력부(710)를 통해 키데이터를 입력하는 타이머 마이콤(420)과, 유입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750)와, 유입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760)와, 영상신호처리부(750)와, 음성신호처리부(760)와, 서보부(740)와, 타이머 마이콤(720) 등의 시스템 전체를 총괄제어하는 마이콤(730)과, 제1포우즈/스틸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발진하는 제1포우즈/스틸신호발진부(771)와, 제2포우즈/스틸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발진하는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진부(772)와, 제1포우즈/스틸신호발진부(771)의 출력을 온/오프하는 제1선택스위치와,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진부(772)의 출력을 온/오프하는 제2선택스위치와, 음성신호처리부(760)로부터 출력되는 좌, 우채널의 어느 한 채널의 신호와 제1포우즈/스틸신호발진부(771)의 출력을 혼합하는 제1혼합부(781)와, 음성신호처리부(760)로부터 출력되는 좌, 우채널의 어느 한 채널의 신호와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진부(772)의 출력을 혼합하는 제2혼합부(782)와, 혼합부(780)의 출력을 기록매체에 기록제어하는 기록메카니즘부(790)로 구성된다.
기록매체상에 두사람의 현지인 대화가 문답의 형태로 기록되어져 있다고 할 경우 기록매체의 제작회사 또는 편집인은 한사람의 대화구간에 해당하는 음성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제1, 2선택스위치를 온, 오프시키면서 제1 및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진부(771, 772)의 출력 즉, 가청주파수 이내 또는 가청주파수 이상의 포우즈/스틸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록메카니즘부(790)는 기록모드로 전환된다.
제18도는 기록매체 제4a도, 제4b도, 제4e도의 경우로 콘트롤신호에 혼합하여 포우즈/스틸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의 블럭도이다.
제17도와 비교해보면, 제1 또는 제2포우즈/스틸신호발진부(871, 872)의 출력을 선택하는 선택부(873)와, 선택부(873)의 출력과 마이콤(860)으로부터 출력되는 콘트롤신호와 혼합하는 1개의 혼합부(880)로 구성되는 점이 상이하다.
제19a도 및 제19b도는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된 콘트롤러(238)와 제10도, 제11도, 제13도, 제15도에 도시된 마이콤에서 수행되며, 기록매체상에 하나의 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의 어학학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19a도 및 제19b도에 의하면, 시스템의 전원을 인가하고, 초기화 작업에는 프로그램의 시작에 필요한 메모리의 초기화도 포함되며, 학습자는 어학학습을 하기 위하여 재생장치에 기록매체를 삽입하여야 한다.(S20 단계)
대화학습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마이콤은 키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중 재생키(play key)가 입력되는가를 체크한다.(S21 단계)
여기서, 키입력부는 텐키, 기능키, 문자키, 특수키 등을 구비한 사용자 선택모드 입력수단을 의미하며, 적외선 타입의 리모콘이 될 수 있다.
재생키가 인가되면 재생장치는 재생상태가 되고, 다시 대화식 학습모드키(이하 대화모드키로 약칭함)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2 단계) 대화식 학습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는 단계이다. 이때, 대화식 학습모드키가 선택되지 않으면 즉 재생키의 입력이후 대화모드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일반적인 재생모드를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종료한다.
대화학습모드키가 입력되고, 재생장치의 포우즈/스틸 상태에서 학습자가 영상화면에 표시된 자막을 보면, 응답하는 회수에 따라 재생장치의 포우즈/스틸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응답회수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3 단계)
응답회수가 설정되면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음성신호, 영상신호, 포우즈/스틸신호를 재생한다.(S24 단계)
재생중에 예를 들어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포우즈/스틸신호가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5 단계)
포우즈/스틸신호가 검출되면 재생장치는 포우즈/스틸 기능을 수행하고, 동시에 외부음성신호 입력은 온상태로 수행한다.(S26, S27 단계) 외부음성신호가 입력되도록 온상태가 되면, 외부음성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8 단계)
이때, 외부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S29 단계) 가변저항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재생장치의 포우즈/스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신호가 출력되고, 동시에 포우즈/스틸 상태를 해제신호를 카운트한다.(S31 단계)
포우즈/스틸해제신호를 카운트하고, 설정된 응답회수와 포우즈/스틸해제신호를 카운트한 수와 일치하였는가를 판단한다.(S32 단계)
설정된 응답회수와 카운트된 포우즈/스틸신호의 수가 일치될 때 재생장치에서 포우즈/스틸을 해제하고, 동시에 외부음성신호의 입력을 오프상태로 되도록 한다.(S32, S33, S34 단계)이와 같이, 학습자가 응답회수를 설정하여 재생장치가 포우즈/스틸 상태에서 학습자 영상화면에 표시된 자막을 보면서 1회만 응답하면 재생장치가 포우즈/스틸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다음 단계가 진행되어, 학습자가 포우즈/스틸 상태에 같은 응답을 반복해서 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어학학습 효과를 높이는 목적으로 같은 응답을 학습자가 설정한 만큼 반복해서 응답하여 설정된 응답회수와 포우즈/스틸해제신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포우즈/스틸 상태를 해제하며 다음 단계를 진행하는 효과적인 기능이 있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어학학습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은 대화식 기능이 오디오기기에만 한정되지 않고 영상기기와 호환할 수 있으며 음향 또는 영상기기에 내장되어 어학학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에 본 발명의 대화식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별도의 어댑터로서 텔레비전과 함께 연결되어 호환할 수 있으며,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에 대화식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내장하여 어학학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대화식 학습에 적합한 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의 특정위치, 즉 대화구간이 끝나는 시점에 포우즈/스틸신호를 기록하거나 무신호영역을 두어 포우즈/스틸신호로 사용하여 대화내용을 바꾸어가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고, 대화내용을 직접 영상으로 보면서 할 수 있으므로 어학학습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화면의 대화내용의 자막과 단색화면을 선택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학습능력에 따라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학학습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우즈/스틸신호를 카운트하여 일정구간을 반복재생함으로써 어학학습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Claims (27)

  1. 대화학습을 위한 음성신호, 영상신호 및 콘트롤신호가 기록재생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에 있어서; 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시키고자 하는 매 대화구간내의 피학습자가 말해야 하는 소정영역에 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
  2. 대화학습을 위한 음성신호, 영상신호 및 콘트롤신호가 기록재생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에 있어서; 매 대화구간내의 피학습자가 말해야 하는 소정영역에 무신호부분을 두어 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시키는 포우즈/스틸신호 영역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우즈/스틸신호는 상기 기록매체에 오디오신호 기록영역에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우즈/스틸신호는 상기 기록매체의 콘트롤신호 기록영역에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우즈/스틸신호는 상기 기록매체의 영상신호 기록영역에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우즈/스틸신호는 상기 음성신호, 상기 비디오신호 및 상기 콘트롤 신호를 혼합하여 변조한 후 그 변조신호와 함께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우즈/스틸신호는 상기 음성신호, 상기 비디오신호 및 상기 콘트롤 신호를 혼합하기 전에, 상기 음성신호와 함께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우즈/스틸신호는 상기 음성신호, 상기 비디오신호 및 상기 콘트롤 신호를 혼합하기 전에, 상기 비디오신호와 함께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우즈/스틸신호는 상기 음성신호, 상기 비디오신호 및 상기 콘트롤 신호를 혼합하기 전에, 상기 콘트롤신호와 함께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
  10. 외부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시키고자 매 대화구간에 피학습자가 말해야 하는 소정의 영역에 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되어 있거나 매 대화구간에 피학습자가 말해야 하는 소정의 영역의 무신호부분의 영역을 포우즈/스틸신호 영역으로 이용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를 이용하는 어학학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외부재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재생신호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입력단자로 유입되는 재생신호중 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음성신호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입력수단; 상기 음성입력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기 음성신호와 입력단자에 유입되는 재생신호를 외부신호출력장치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의 포우즈/스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수단이 상기 전기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선택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 음성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을 해제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수단이 재생신호를 출력하거나 선택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대화식으로 어학학습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재생장치의 제어신호단자를 통해서 유선으로 출력되거나, 상기 제어신호를 적외선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으로 출력되어 상기 외부재생장치를 포우즈/스틸 및 해제를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이상의 입출력단자들은 각각 영상입력단자 및 영상출력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출력수단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입력단자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단색화면신호를 상기 영상출력단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영상신호 또는 단색화면신호에 대화내용에 해당하는 자막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자막표시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학습자의 숙련도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수단의 출력을 지연하여 상기 외부재생장치의 포우즈/스틸 및 해제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의 포우즈/스틸신호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반복 대화구간의 개수와 일치하면 상기 외부재생장치에서 되감기서치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상기 포우즈/스틸신호의 검출회수를 역카운트하여 처음 설정한 위치에서 반복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반복제어수단을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자막신호가 실린 재생영상신호 또는 자막신호가 실린 단색화면신호, 재생영상신호 또는 단색화면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고주파 변환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7. 포우즈/스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매 대화구간에 피학습자가 말해야 하는 소정의 영역에 포우즈/스틸신호가 기록되어 있거나 매 대화구간에 피학습자가 말해야 하는 무신호부분의 영역을 포우즈/스틸신호 영역으로 이용하는 어학학습용 기록매체로부터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단; 상기 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포우즈/스틸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음성을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입력수단; 상기 음성입력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재생수단에서 재생되는 재생신호를 외부신호출력장치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출력단자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의 포우즈/스틸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재생수단을 포우즈/스틸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수단이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선택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 음성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재생수단을 포우즈/스틸 해제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수단이 재생신호를 출력하거나 선택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대화식으로 어학학습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는 영상출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재생수단을 통해서 입력되는 재생영상신호 또는 단색화면신호를 상기 영상출력단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영상신호 또는 단색화면신호에 대화내용에 해당하는 자막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자막표시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학습자의 숙련도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수단의 출력을 지연하여 상기 재생수단의 포우즈/스틸 및 해제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의 포우즈/스틸신호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반복 대화구간의 갯수와 일치하면 상기 재생수단에서 되감기서치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상기 포우즈/스틸신호의 검출회수를 역카운트하여 처음 설정한 위치에서 반복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반복제어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22. 재생모드와 대화식 학습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단계; 대화식 학습모드가 설정되면 대화구간의 전후에 동일한 주파수의 포우즈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단계; 상기 재생단계에서 포우즈신호가 검출되면 재생용 포우즈시키는 포우즈단계; 상기 재생이 포우즈되면 학습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음성입력단계; 상기 학습자의 음성신호가 입력이 된 후 소정의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재생하도록 포우즈 해제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23. 재생모드와 대화식 학습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단계; 대화식 학습모드가 설정되면 학습자가 반복, 질문 또는 대답하는 대화구간을 선택하는 대화구간 선택단계; 대화구간 전후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포우즈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단계; 상기 대화구간 선택단계에서 학습자가 선택한 대화구간전에 실린 포우즈신호가 검출되면 음성신호를 뮤트하는 단계;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신호로부터 학습자가 선택한 대화구간 후에 실린 포우즈신호가 검출되면 재생을 포우즈하는 재생 포우즈단계; 재생이 포우즈되면 외부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음성신호 입력단계; 학습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후 소정의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재생하도록 포우즈 해제하고 원래의 화면으로 복귀하고 음성신호 뮤트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어학학습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에서 대화구간이 선택된 후 학습자의 대화구간에 자막을 발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어학학습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선택시 학습자가 말하는 대화구간의 자막을 오프하도록 선택하면 상기 뮤팅단계에서는 자막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제어하고 뮤팅해제 단계에서는 다시 자막을 발생시킴으로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어학학습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선택시 학습자가 말하는 대화구간이 자막을 온하도록 선택하면 상기 뮤팅 및 뮤팅해제 단계에서 자막을 발생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식 어학학습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응답회수를 설정하여 설정된 응답회수와 포우즈/스틸해제신호는 카운트하여 일치하면 재생수단의 포우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방법.
KR1019930022122A 1992-10-23 1993-10-23 어학학습용 기록매체와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 KR960012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9548 1992-10-23
KR92-19548 1992-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910A KR940009910A (ko) 1994-05-24
KR960012402B1 true KR960012402B1 (ko) 1996-09-20

Family

ID=1934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122A KR960012402B1 (ko) 1992-10-23 1993-10-23 어학학습용 기록매체와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960012402B1 (ko)
CN (1) CN1086339A (ko)
AU (1) AU5377494A (ko)
WO (1) WO19940106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601B1 (ko) * 2000-04-25 2006-01-12 고윤용 외국어 훈련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3190A1 (en) * 1994-07-24 1996-02-08 Austel Licensing Gmbh Interactive system with programmable toys
US5930450A (en) * 1995-02-28 1999-07-27 Kabushiki Kaisha Toshiba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data on the same, and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GB2335532B (en) * 1998-03-17 2002-05-22 Stephen Charles Bradley Disc player
KR100365818B1 (ko) * 2000-06-13 2002-12-26 장우창 비닐 가공기의 칼날 구동장치
KR100478231B1 (ko) * 2003-06-19 2005-03-23 한정호 위생용 비닐장갑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72433A1 (de) * 1968-05-15 1971-03-04 Bell Karl Walter Magnettongeraet fuer das Erlernen von Sprachen und das Einueben von Musikstuecken fuer Gesang oder Instrumente
US3906954A (en) * 1973-09-14 1975-09-23 Nasa Ophthalmic liquifaction pump
US4310838A (en) * 1978-10-04 1982-01-12 Sharp Kabushiki Kaisha Instruction controlled audio visua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601B1 (ko) * 2000-04-25 2006-01-12 고윤용 외국어 훈련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4010664A1 (en) 1994-05-11
KR940009910A (ko) 1994-05-24
AU5377494A (en) 1994-05-24
CN1086339A (zh) 1994-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402B1 (ko) 어학학습용 기록매체와 어학학습장치 및 그 방법
JPH099199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US20070055399A1 (en) Audio switching system with interactive puppet
US6519444B1 (en) Audio-visual education system using movable toys
US20060245741A1 (en) Digital enterainment recorder
KR910006358B1 (ko) 비데오 테이프 재생중 외부신호 선택회로 및 방법
JP2702040B2 (ja) 8mmVCRのオーディオ編集装置
KR0124403B1 (ko) 컴팩트디스크(compact disk)플레이어와 비디오카세트레코더(vcr)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더빙장치
KR100282079B1 (ko) 오디오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2953214B2 (ja) リモコン装置
JP3318831B2 (ja) 双方向情報伝送システム、情報記録媒体、リモコン、及び双方向情報伝送方法
JPH01105283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を用いた語学学習システム
KR0144333B1 (ko) 음성 다중 신호 녹화 및 재생 방법
JPS6235186Y2 (ko)
KR100600287B1 (ko) 콤보 시스템의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방법
KR100205821B1 (ko) 하이파이 브이씨알에서의 음성 시간정보 출력장치 및 방법
JPS5928436Y2 (ja) 学習装置
JPH0319107Y2 (ko)
KR930008693Y1 (ko) 녹음재생기의 잡음저감회로
JPH0429885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10002025B1 (ko) 음성자동반복기
KR0174885B1 (ko) 비디오 테이프의 음성신호 검출방법
KR940002835Y1 (ko) 음성다중신호의 자동재생회로
KR100223173B1 (ko) 8mm 비데오카세트레코더(VCR)의구간자동반복 재생장치
KR100516511B1 (ko) 주파수 여유대역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