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345B1 - 피아노선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피아노선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345B1
KR960012345B1 KR1019940007008A KR19940007008A KR960012345B1 KR 960012345 B1 KR960012345 B1 KR 960012345B1 KR 1019940007008 A KR1019940007008 A KR 1019940007008A KR 19940007008 A KR19940007008 A KR 19940007008A KR 960012345 B1 KR960012345 B1 KR 960012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d
wire rod
piano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843A (ko
Inventor
양세일
Original Assignee
양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세일 filed Critical 양세일
Priority to KR1019940007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345B1/ko
Publication of KR950028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7/00Twisting wire; Twisting wire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피아노선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제1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의 조립사시도.
제2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의 조립평면도.
제3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에 있어 선 고리 가공부의 사시도.
제4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에 있어 선 고리 가공부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에 있어 장력장치의 사용상태도.
제8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의 선재 이송 공정도.
제9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의 선 고리 가공 공정도.
제10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에서 피아노선을 가공하기 위한 선재.
제11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에서 가공이 완료된 피아노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재 2 : 커팅부
3, 4 : 선재 고정부 5 : 선고리 가공부
6 : 프레스부 7 : 푸싱부
8 : 동력 전달부 9 : 장력부
10 : 기판부
본 발명은 강선을 사용하여 피아노선을 가공하는 피아노선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강선을 사용하여 피아노선을 가공하기 위하여는 제조 공장내에 롤링가공 라인에서 드럼에 롤 형태로 감긴 상태로 공급되어 오는 원자재(선재)를 롤링기로 직선 가공작업을 한 다음 하나의 피아노선을 만들 수 있는 길이로 절단하고, 이렇게 절단된 선재를 작업원 이송으로 운반하여 고리를 꼬는 가공라인으로 보내주면 고리 가공 작업을 하는 작업원이 간단한 손잡이 공구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고리를 꼬는 작업을 하며, 고리 꼬리 작업이 완료된 선재는 프레스 작업 라인으로 옮겨 수동으로 프레스 작업을 하였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수동으로 불규칙적인 작업을 함으로써 가공시 선고리 꼬임 부분이 엉성하고 제품의 불량률이 많아 피아노선의 음(音)이 고르지 못할뿐 아니라 수 작업에 따른 생산 능률과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선재 공급부에서 일정길이 만큼 전달하여 공급되는 선재를 선재 이송부나 선재 가공부로 이송하여 준 다음 이렇게 이송된 선재를 하나의 피아노선 가공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가공 단위 길이의 선재를 고정부에서 고정한 상태로 고리 가공부의 선재 지그부에서 선재를 눌러 지지하고 선재 절곡부에서 꼬임 기초 작업을 한다음 선재 꼬임 장치부에서 선고리를 꼬는 작업을 자동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하도록 함으로써 생산 능률을 극대화하고, 생산 단가를 낮추도록 하고자 하는 것으로 첨부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의 조립사시도 및 조립평면도로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재(W)를 사용하여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아노선(P)을 가공하는 피아노선 가공장치를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는 선재 공급부(도시하지않음)에서 공급되어 오는 선재(線材)를 하나의 피아노선을 만들기 위한 가공부의 위치에까지 이송하는 선재이송부(1)와, 선재이송부(1)에서 다시 가공부에까지 이송되어 온 선재(W)를 하나의 피아노선(P)을 가공할 수 있는 길이(이하 : 가공 단위길이라함)만큼 잘라주는 커팅부(2)와, 가공 단위 길이로 절단된 선재(W)로 피아노선 가공부에서 피아노선(P)을 가공할때에 선재(W)의 어느 한곳 이상의 지점을 지지고정하는 선재 고정부(3, 4)와, 선재 고정부(3, 4)에서 선재(W)를 지지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피아노선 고리부(P3)를 가공하는 선고리 가공부(5)와, 선재(W)에 피아노선 압착부(P7)를 가공하는 프레스부(6)와, 가공이 완료된 피아노선(P)을 선고리 가공부(5)에서 뽑아 내는 푸싱부(7)와, 모든 가공부에 회전운동 또는 캠 운동을 가하는 동력전달부(8)와, 길이가 긴 선재를 이송하거나 가공 도중에 선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력부(9)와, 위의 모든 부품들을 연결하거나 고정 지지하는 기판부(10)를 포함한다.
선재 이송부(1)는 선재 공급부에서 공급되어 오는 선재(W)를 받아둔 다음 이 선재(W) 선고리 가공부(5)의 위치에까지 이송(가공 단위 길이 이송)하여 주는 것으로, 선재(W)를 물어 고정하거나 또는 풀어주는 집게(11)를 힌지핀(11B)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가위형으로 연결 형성하고, 이 집게(11) 몸체의 한쪽을 상·하강 실린더(12)의 로드(12B)에 연결하여, 상·하강 실린더(12)로 상·하 작동을 하여 집게(11)를 상·하강 운동시키면서 집게(11)의 끝단부로 선재(W)를 물어잡거나 또는 놓아주도록 하는 동시에 상·하강 실린더(12)와 집게(11)는 다같이 수평이동 실린더(13)에 장작하여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13)의 작동에 의해 집게(11)와 상·하강 실린더(12)는 함께 전·후진 방향(선재(W)를 기준으로 하여)으로 수평 운동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평이동 실린더(13)는 횡방향 이송블럭(14)에 장착하며, 상기 횡방향 이송블럭(14)은 이송벨트(15)에 조립하고, 상기 이송벨트(15)는 2개의 기어(16, 17)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치합하며 상기 2개의 기어(16, 17)중 어느 한쪽의 원동기어(16)는 모터(18)축에 연결하여, 모터(18)가 정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이송벨트(15)가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벨트(15)에 고정하고 있는 횡방향 이송블럭(14)은 가이드로드(19)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 이동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18)는 서보모터(Servo motor)를 사용함으로써 모터의 회전방향, 회전속도, 운전시간 등을 피아노선의 종류, 규격에 따라 이에 알맞게 설계된 설계상의 값으로 설정(셋팅)함으로써 이송벨트(15) 즉, 이송블럭(14)의 좌·우 이송방향, 이송속도, 이송거리 등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커팅부(2)는 선재 이송부(1)가 선재 가공부 위치에까지 이송하여 온 선재(W)를 가공 단위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주는 것으로, 기판부(10)에 고정하고 있는 고정블럭(21)에 하부 칼날(22A)을 고정하며, 상부 칼날(22B)은 힌지핀(23)으로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고, 이 상부 칼날(22B)에 연결 고정하고 있는 칼날 작동 레버(24)는 실린더(25)의 로드(25B)에 장착하여 실린더(25)를 상·하강 작동하면서 상부 칼날(22B)을 상·하강 작동시킴으로서 상·하강 칼날(22A, 22B)의 사이에 끼워진 선재(W)를 절단하도록 한다.
선재 가공부에서 선재를 가공하는 동안에 선재(W)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선재 고정부(3, 4)는 가공 단위 길이로 절단된 선재(W)를 한곳이나 또는 2곳 이상의 위치를 물어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제1도 및 제2도에서는 선재의 끝단 가까운 곳을 고정하는 선재 고정부(3)와 선재의 중간 위치를 고정하는 선재 고정부(4)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선재(W)의 끝단 위치 가까이를 고정하는 끝단 고정부(3)는, 힌지핀(31B)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도록 된 가위형 집게(31)의 한쪽 끝단은 상·하강 실린더(33)에 고정하며, 상기 상·하강 실린더(33)와 집게(31)는 다같이 수평이동 실린더(34)에 고정하고,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34)는 가이드 블럭(35)의 안내를 받으면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조립한다. 그리하여 상기 상·하강 실린더(33)의 작동을 집게(31)는 선재(W)의 끝단 부위를 지지 고정하며, 이 상태에서 수평이동 실린더(34)의 작동으로 집게(31)가 수평이동하면서 선재(W)를 수평이동하도록 한다.
선재(W)의 중간 부분을 고정하는 중간고정부(4)는 고정블럭(41)에 실린더(42)를 장착하고, 실린더 로드(42B)에 지지판(43)을 고정하여, 상기 실린더(41)의 상·하강 작동으로 지지판(43)은 상·하강 하면서 선재(W)의 중간부위를 고정 지지하도록 한다.
제3도에서는 제5도까지에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피아노선 가공장치에 있어 피아노선의 고리를 가공하는 선고리 가공부(5)를 도시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선고리 가공부(5)는 선재의 끝단부에 고리를 가공하고자 하여, 선재(W)의 꼬임 위치부(W5) 가까이를 눌러주고 이렇게 누른 상태에서 협동하여 선재의 꼬는 작업을 하도록 된 선재 지그부(51 線材 jig)와,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를 절곡시켜주는 선재 절곡부(52)와, 선재 절곡부(52)에서 절곡한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를 걸고 회전시키면서 고리를 꼬아 가공하는 선재 꼬는 장치부(53)를 구비한다.
선재 지그부(51)는 선재 이송부(1)에서 공급되어 오는 선재(W)를 받아 선재(W)의 꼬임 위치부(W5, W5) 가까이를 가볍게 눌러 잡아주면서 선재 꼬는 장치부(53)와 함께 선을 꼬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선재(W)를 직접 눌러 잡는 부재로서 지그(511)를 상·하형(511A, 511B)으로 하여 형성하고, 이 상·하형 지그(511)를, 힌지핀(513)에 조립되어 상·하강 운동을 하는 가위형 집게(512)의 상·하판에 각각 고정한다.
그리고 가위형 집게(512)의 한쪽 끝단부는 실린더(515)의 실린더 로드(515B)에 연결하여 실린더 로드(515B)가 상·하강 운동함에 따라 집게(512)는 오므렸다 벌어졌다 하면서 지그(511)로 하여금 선재(W)를 누르도록 하며, 또한 상기 실린더(515)는 집게(512)의 몸체에 고정하여 상기 실린더(515)는 집게(512)와 함께 이 집게 몸체(512)는 가이드 블럭(516)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후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집게(512)의 한쪽단부는 롤러(R1)를 개재하여 동력전달부(8)의 캠(C1)에 접속시킴으로서 캠(C1)의 전진운동(집게(512)를 미는 방향운동)에 따라 집게(512)는 전진운동을 하며, 캠(C1)의 후진운동에 따라 집게(512)는 스프링(517)의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선재 절곡부(52)는 꼬고자 하는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를 대략 180° 절곡(Bending)시켜 절곡부를 형성 가공하는 것으로, 절곡가공 로드(521)를 형성하고 이 절곡가공 로드(521)를 상하강 운동수단(522)으로 상하강 운동을 시킴과 동시에 회전 운동 수단(523)으로 회전 운동시키면서 선재를 절곡 가공하는 것이다.
절곡가공 로드(521)는 본체(521A)의 하단 중앙부에는 선재 꼬는 장치부(53)의 걸고리(531)를 끼우도록 걸고리 끼움홈(521B)을 가공하며, 로드 본체(521A) 하단 측면에는 걸고리 끼움홈(521B)에서 약간 떨어진 거리에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를 걸도록 선재 걸고리(521C)를 돌기형으로 형성 부착한다.
절곡가공 로드(521)를 상·하강 운동시키기 위한 상·하강 운동수단(522)으로는, 로드본체(522A) 상단부를 연결블럭(522C)의 한쪽에 체결구(522E)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연결블럭(522C)의 다른 한쪽에는 베어링(522D)을 개재하여 실린더(522A)의 로드(522B)에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실린더 로드(522B)의 상·하강 운동에 따라 절곡가공 로드(521)는 가이드 부쉬(524)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강 운동을 하도록 한다.
절곡가공 로드(52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운동 수단(523)으로는 로드 본체(521B)에 피니온(523A)을 조립하고 피니온(523A)에는 랙(523B)을 치합하며 랙(523B)의 끝단에는 연결봉(523C)을 연결하고, 이 연결봉(523C)은 고정브라켓(523D)에 조립하고 있는 힌지핀(523E)에서 회동운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있는 종절판(523F)의 한쪽 끝단에 결합하고, 종절판(523F)의 다른 한쪽 끝단은 롤링핀(523G)을 개재하여 동력전달부(8)의 캠(C2)에 접속되도록 조립함으로써 캠(C2)이 전진 운동 할때에는 연결봉(523C)과 랙(523B)이 후진 운동하면서 피니온(523A)을 회전시켜 절곡가공 로드(521)를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예를 들면 180) 회전시키면서, 캠(C2)이 후진 운동 할때에는 이번에는 위와 반대로 연결봉(523C)과 랙(523B)은 스프링(523H)의 복원력에 위해 잡아당기는 전진 운동을 하면서 피니온(523A)을 위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미설명부호 526은 선재 절곡부(5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임)
선재 꼬임 장치부(53)는 선재 절곡부(52)의 절곡가공 로드(521)에서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를 절곡하여 절곡부를 형성하여 주면 이 절곡 위치부(W4)를 건다음 선재(W)를 꼬임 가공하는 것으로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를 걸고 꼬는 작업을 하는 꼬임 가공 로드(531)를 형성하고 이 꼬임 가공 로드(531)를 회동 수단(532)으로 회전 운동시킴과 동시에 전·후진 운동수단(533)으로 전·후진 운동시키면서 선재(W)를 꼬임 가공하는 것이다.
꼬임 가공 로드(531) 본체(531A) 한쪽 단부 가까이에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를 올려 놓기 위하여 선재 시트홈(531B, 線材seat)을 가공하며 선재 시트홈(531B)의 중앙부에는 상기 선재 절곡부(52)의 절곡가공 로드(521)에 형성하고 있는 걸고리 끼움홈(521B)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걸고리(531C)를 형성한다
꼬임 가공 로드(531)의 본체(531A)는 고정 브라켓(535)에 회전이 가능하게 베어링(B1)을 개재하여 조립하며 로드 본체(531A)에 구동기어(532B)를 고정하고, 이 구동기어(532B)와 모터(532E)에 고정하고 있는 원동기어(532D)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532C)를 감아 걸므로서, 모터(532E)의 회전력은 타이밍(532C)를 통하여 구동기어(532B)를 회전시킴으로써 꼬임 가공 로드(531)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522E)는 모터의 회전방향, 회전속도, 운전시간 등을 설계상의 값으로 설정(셋팅)할 수있는 서보 머터(servo motor)를 사용함으로써 피아노선의 종류와 규격에 따라 고리 꼬임부의 감김수, 감김 속도, 감는 시간 등을 변경 조정하도록 한다.
꼬임 가공 로드(531)를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운동수단(533)으로는, 꼬임 가공 로드 본체(531A)의 한쪽 끝단부에 가이드홈(533A)이 가공된 가이드 부싱(533B)을 베어링(B2)을 개재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하고, 이 가이드부싱(533B)의 가이드홈(533A)에는 포크(533C)의 요크부(533D)를 베어링(533E)과 조립구(533F)를 사용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포크(533C)는 힌지핀(533G)에 조립하며 포크(533C)의 한쪽에는 종절로드(533H 從節Rod)의 한쪽 단부를 롤러(R3)를 개재하여 접속되도록 하고, 종절로드(533H)의 다른 한쪽 단부는 롤러(R4)를 개재하여 동력전달부(8)의 캠(C3)에 접속되도록 하며, 이와 같이 조립된 전·후진 운동수단(533)은 캠(C3)의 운동에 따라 종절로드(533H)는 가이드블럭(533L)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진 운동을 하여 포크(533C)와 함께 가이드부싱(533B)을 왼쪽(제4도를 기준으로 보아)으로 밀어내면서 꼬임 가공 로드(531)를 왼쪽으로 이송시키며, 종절로드(533H)가 후진 운동을 할때에는 포크(533C)는 스프링(533K)의 복귀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꼬임 가공 로드(531)를 오른쪽 제자리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프로세스(6)는 선재(W)에 2개의 피아노선 압착부(P7, P7)를 가공하는 것으로 프레스 칼럼(61)을 기판부(10)에 고정하고, 프레스 칼럼(61)에는 프레스 수단(62)을 장착한다.
제1도에는 실린더 작동 방법에 의해 프레스 작업을 하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는바, 프레스수단(62)은 칼럼(61)에 실린더(621)를 고정하고 실린더(621)의 작동으로 상·하강 운동하는 실린더 로드(623)에 형틀(624, die)을 고정하여 실린더 로드(623)가 상·하강 운동하면서 상·하 형태로(624) 사이에 끼워지는 선재(W)에 피아노선 압착부(P7, P7)를 프레스 가공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린더에 의한 프레스 수단 이외에도 크랭크축에 의해 상·하강 운동하는 램에 금형을 고정하여 선재(W)에 피아노선 압착부(P7, P7)를 가공하는 방법과 같은 공지공용의 방법이 사용 가능할 것이다.
푸싱부(7)는 가공이 완료된 피아노선(P)을 선재 가공부에서 뽑아내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기판부(10)나 또는 다른 가공부에 실린더(71)를 고정하고 실린더 (로드(72)에 푸셔(73, pusher)를 고정하여 실린더(71)가 작동하면 실린더 로드(72)와 함께 푸셔(73)가 전진하여 가공이 완료된 선재(W)를 선재 가공부에서 뽑아내도록 한다.
동력전달부(8)는 회전축(81)을 베어링(B4)을 개재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하고 회전축(81)에는 캠(C1, C2, C3)을 고정하여 동력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축(81)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면 캠(C1, C2, C3)도 일정한 속도 주기로 회전하면서 선재 가공부의 가가 부분들을 주기적으로 운동시키도록 한다.
장력부(9)는 길이가 긴 선재(W) 이송할때에나 또는 선재(W)의 양쪽 끝단을 고정하고 여러가지 가공을 할때에 선재가 늘어지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재(W)에 장력을 가하여 항상 선재(W)를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장력장치로서, 선재(W)를 관통시키는 관통블럭(91)을 형성하고 이 관통블럭(91)에는 선재(W)가 통과하는 크기로 선재 통과 구명(92)을 가공하며, 관통블럭(11)의 양쪽에는 로드블럭 장착부(93, 93)를 형성하고 이 로드블럭 장착부에는, 스피링(95) 및 체결구(96)를 개재하여 협착로드(94)를 수납 장착하고 있는 로드블럭(97)을 조합하여 이렇게 구성되는 장력부(9)의 양쪽 협착로드(94, 94) 사이에 선재(W)를 끼운 상태로 선재(W)의 한쪽을 물고 뽑아내면 선재(W)는 항상 양쪽 협착로드(94, 94)에 협착되어 장력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출되도록 한다.(미설명부호 20은 선재 공급부에서 공급되어 오는 선재(W)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쉬임)
기판부(10)에는 위에서 기재하고 있는 선재 이송부(1), 커팅부(2), 선재 고정부(3, 4), 선재 꼬는 장치부(5), 프레스부(6), 푸싱부(7), 동력전달부(8)를 직접 또는 다른 중간부재를 개재하여 연결하거나 고정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기판부(10)에는 상기 각 부품들 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압실린더에 공기압을 공급하는 펌프와 공기압 공급 연결호스, 콘트롤부, 동력원(모터 등) 등 주변기기를 연결 고정 또는 조립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피아노선 가공장치의 사용상태를 제8도 및 제9도와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선재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에서 공급되는 선재(W)는 가이드 부쉬(20)를 통하여 인출되여 그 끝단이 커팅부(2)에 와닿는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제8도의 (a)), 선재 이송부(1)의 상·하강 실린더(12)가 작동하여 집게(11)를 벌린 상태로 하며 이 상태에서 수평 이동 실린더(13)가 작동하여 집게(11)와 함께 상·하강 실린더(12)를 선재(W)쪽으로 전진 이동신킨 다음(제8도의 (b)), 다시 상·하강 실린더(12)를 작동하여 집게(11)가 선재(W)를 집어 물게 한다. 이렇게 집게(11)가 선재(W)를 집어 물면 수평이동 실린더(13)가 작동하여 선재(W)를 집어 물고 있는 집게(11)를 후진 이동시킨 다음(제8도의 (c)), 곧바로 모터(18)가 작동하여 상단 이송벨트(15)는 오른쪽(제8도에서 보아)으로 이동하면서 함께 이송블럭(14)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이송블럭(14)과 집게(11)는 선재(W)를 가공 단위 길이만큼 이송하여 정지하게 된다.(제8도의 (d))
한편 이렇게 선재(W)가 가공 단위 길이만큼 이송되는 돌출이나 또는 이송되어 정지 상태에 있을때에도 장력부(9)의 협착로드(94, 94)가 항상 선재(W)를 적당한 압착력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선재(W)는 항상 장력을 받아 전체 길이를 통하여 늘어지거나 처짐이 없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집게(11)와 이송블럭(14)이 가공 단위, 길이의 선재를 이송하여 정지하게 되면 수평이동 실린더(13)가 작동하여 집게(11)를 전진이동시켜 선재(W)를 커팅부(2)와, 고정부(3, 4), 선고리 가공부(5)들의 가공위치에까지 전진 이동하며 이때 선재(W)의 절곡위치부(W4)는 선고리 가공부(5)에 있는 꼬임 가공 장치부(52)의 선재 시트홈(531B)의 바로 상부 위치에 오게 되는 것이다.(제8도의 (e))
이와 같이 선재 이송부(1)가 선재(W)를 선재 가공부에까지 이송하여 주면 선재 고정부(3, 4)에서 선재(W)를 가볍게 눌러주면서 커팅부(2)에서 선재(W)를 가공 단위 길이만큼 절단을 한다.
선재(W)가 가공 위치에서 가공 단위 길이만큼 절단되고 나면, 곧바로 선고리 가공부(5)에서 선고리 가공작업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의 선고리 가공 작업을 제7도와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선재 이송부(1)에서 피아노선을 가공하고자 하는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가 꼬임 가공 장치부(3)에 있는 꼬임 가공 로드(531)의 선재 시트홈(531B)에 위치하게 되면(제9도의 (a)), 이 상태로 선재 절곡부(52)의 상·하강 운동수단(522)의 실린더(522A)가 작동하여 절곡가공 로드(521)를 하강시켜(화살표 방향 A방향), 절곡가공 로드(521)의 하단부가 선재 꼬임 장치부(53)의 선재 시트홈(531B)에 꼭 끼워지는 형합상태가 되면서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는 절곡 걸고리(521C)와 꼬임 걸고리(531C)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제9도의 (b))
이 상태에서 선재 절곡부(52)의 회전운동 운동수단(523)을 작동하여 (캠(C2)작동에 의해) 절곡가공 로드(521)를 대략 180° 정도로 반시계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선재 절곡 걸고리(521C)가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를 꼬임 걸고리(531C)를 중심으로 하여 이를 감싸는 형태로 화살표 C방향으로 감아짐으로 선재(W)에는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때에 선재(W)의 끝단부(W2)는 180° 정도 회전하여 선재(W)의 꼬임 위치부(W5, W5)가 선재 지그부(51)의 상하 지그(511A, 511B)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제9도의 (c))
이와 같이 선재(W)의 절곡 위치부(W4)가 절곡 가공되면 절곡가공 로드(521)는 (화살표 D방향)으로 상승하면서 거의 동시에 상지그(511A)는 화살표 E방향으로 하강하여 상·하강 지그(511A, 511B)는 선재(W)의 꼬임위치부(W5, W5) 끝단 가까이를 가볍게 누르도록 하고(제9도의 (d)), 이 상태에서 선재 꼬는 장치부(53)의 회동수단(532)을 작동하여 꼬임 가공 로드(531)를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시키면(제9도의 (e)) 두 가닥의 선재(W) 꼬임 위치부(W5, W5)는 대락 α각 정도로 벌어진 상태에서 꼬여지게 된다.
이와같이 피아노선(P)의 고리부(P3)의 가공이 완료되면 피아노선(P)의 압착부(P7, P7)를 프레스부(6)의 압착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프레스 수단(62)을 작동하여 상·하강 형틀(624)을 압착함으로써 피아노선(P)의 압착부(P7, P7)를 가공한다.
이같이 선재(W)의 꼬는 작업과 프레스 작업이 완료되면 선재 푸싱부(7)의 실린더(71)가 작동하여 돌출로드(72)를 화살표 K방항으로 돌출시키면(제9도의 (f) 참조), 가공이 완료된 피아노선(P)은 꼬임 가공로드(531)의 꼬임 가공(531C)로부터 빠져 나옴으로써 가공 완료된 피아노선(P)이 빠져 나온 피아노선 가공장치에는 선재 공급부에서 다른 하나의 선재를 다시 공급하여 주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선재 꼬는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선재 공급부에서 공급되어 오는 선재를 하나의 피아노선을 만들기 위한 가공부에까지 이송하는 선재 이송부와, 선재 공급부에서 공급되어 선재 이송부에서 다시 가공부에까지 이송되어 온 선재를 하나의 피아노선을 가공할 수 있는 피아노선 가공 단위 길이로 잘라주는 커팅부와, 가공 단위 길이로 절단된 선재로 피아노선 가공부에서 피아노선을 가공할때에 선재를 지지하는 선재 고정부와, 선재 고정부에서 지지하고 있는 선재로 피아노선 고리부를 가공하는 선고리 가공부와, 상기 모든 가공부에 회전 운동 또는 캠운동을 가하는 동력 전달부와, 위의 모든 부품들을 연결하거나 고정 지지하는 기판부와를 포함하는 피아노선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재에 피아노선 압착부를 가공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하는 피아노선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공이 완료된 피아노선을 가공부에서 뽑아내는 푸싱부를 포함하는 피아노선 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선재에 장력을 가하는 장력부를 포함하는 피아노선 가공장치.
  5. 선재 이송부에서 선재 가공부에까지 이송되어 온 선재를 커팅부에서 피아노선 가공 단위 길이로 절단하고 가공 단위 길이로 절단된 선재를 선재 고정부에서 지지하면서 선재에 고리부와 압착부를 가공하도록 되는 피아노선 가공방법.
KR1019940007008A 1994-04-02 1994-04-02 피아노선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960012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008A KR960012345B1 (ko) 1994-04-02 1994-04-02 피아노선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008A KR960012345B1 (ko) 1994-04-02 1994-04-02 피아노선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843A KR950028843A (ko) 1995-11-22
KR960012345B1 true KR960012345B1 (ko) 1996-09-18

Family

ID=1938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008A KR960012345B1 (ko) 1994-04-02 1994-04-02 피아노선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800A (ko) * 2002-06-18 2002-07-05 정일조 귀고리핀 자동 가공장치
KR101250773B1 (ko) * 2010-07-20 2013-04-04 (주)에버닉스 정밀한 곡선 성형이 가능한 멀티 포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843A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9486B1 (en) Production unit for twisted cable
US42917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wire truss and sinuous strut therefor
CN106563748B (zh) 钢丝压铸、切边、收集于一体的自动化设备
JPH0484989A (ja) 筒状物製造装置
KR960012345B1 (ko) 피아노선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US41732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wire to noncircular cross sections
US6044682A (en) Wire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US4459733A (en) Method and devices for assembly of helixes into face structures
JPH0241643A (ja) 電動モータ固定子への絶縁材料挿入方法と装置
KR100781237B1 (ko) 냉매관 절단장치
KR100244080B1 (ko) 형틀부착 입체용접철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0112871B (zh) 电机定子的自动化生产线
KR200268684Y1 (ko) 트윈스프링 제본기
CN216828432U (zh) 一种金属丝卷绕捆扎机
JPH0824979A (ja) 線材の寸断及び両端部曲折連続加工機
CN210224561U (zh) 电话线加工生产线
CA1322930C (en) Spring forming machine with conveying device
US4964200A (en) Lead making machine having improved crimping presses and actuating mechanism
CN109500172B (zh) 一种卷簧机
US5172736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ring unit
JP3606084B2 (ja) 電線切換装置
KR0173335B1 (ko) 선고리 가공장치
CN219134632U (zh) 棒棒糖送料机构
US3112957A (en) Brush-making machine
JP3146987B2 (ja) 網戸の網張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