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686B1 -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686B1
KR960011686B1 KR1019930026809A KR930026809A KR960011686B1 KR 960011686 B1 KR960011686 B1 KR 960011686B1 KR 1019930026809 A KR1019930026809 A KR 1019930026809A KR 930026809 A KR930026809 A KR 930026809A KR 960011686 B1 KR960011686 B1 KR 960011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outlet
inlet
cap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884A (ko
Inventor
정광용
Original Assignee
정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용 filed Critical 정광용
Priority to KR101993002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686B1/ko
Publication of KR950021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안전 콘센트
제1도는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의 사시도.
제2도, 제3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상부 안전캡과 하부 인입구의 조립 개념도.
제6도는 상부 안전캡의 부착, 조립후의 동작 개념도.
제7도는 상부 안전캡 조립전의 상부 안전캡과 평판 스프링 안전핀의 부착개념도.
제8도는 후면 부착용 평판 안전핀과 그 지지부의 부품 설명도.
제9도는 요철 안전핀이 상부에 부착된 경우의 후면도.
제10도는 요철 안전핀이 하부에 부착된 경우의 후면도.
제11도는 상부 안전캡 부착시의 부분단면도.
제12도는 상부 안전캡과 상부 요철 안전핀 부착시의 부분단면도.
제13도는 상부 안전캡과 하부 요철 안전핀 부착시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전 콘센트 조립체 2 : 상부 안전캡(안전판)
3 : 콘센트 상자 4 : 스프링 걸이
5 : 스프링 걸이 구멍 6 : 안전판의 플러그 인입구
7 : 콘센트의 플러그 인입구(꽂음구)
8 : 상부 안전핀 9 : 상부 안전핀 홈
10 : 하부 안전핀 11 : 안전핀 구멍
12 : 안전핀 스프링 13 : 하부 안전핀 지지대
14 : 하부 안전핀 지지대 지지볼트
15 : 콘센트의 원형 플러그 접속부
16 : 안전캡의 중심 지지대 17 : 안전캡의 중심 지지구
18 : 하부 평판 스프링 안전핀 19 : 하부 평판 스프링 안전핀 지지볼트
20 : 안전캡 지지 스프링 21 : 안전캡 지지 스프링 걸이
22 : 하부 안전핀 지지대 고정대 23 : 분리식 안전핀
24 : 안전핀 고리
본 발명은 평판, 요철판 또는 스프링 등을 이용한 안전핀과 안전판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의 콘센트 플러그 꽂음구(인입구)의 상부에 별도의 반 회전 동작시 원형 안전판과 원형의 콘센트 플러그 꽂음구의 상부 또는 하부에 별도의 안전핀(또는 안전판)을 부착하여 그것이 플러그가 아닌 다른 물체가 콘센트의 플러그 꽂음구에 삽입될 때, 그 삽입된 물체의 삽입방향으로의 진행과 동작을 저지, 방행하여 감전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나 그것이 매입형이든 노출형이든, 또는 별도의 멀티 캡의 형태를 가지든, 보편적으로 원형의 플러그 꽂음대를 받아들이는 원형의 인입구를 장치하여 전원의 접속을 이루고 있는 바, 이때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장난으로 젖가락과 같은 물체를 그 플러그 인입구에 삽입할 경우, 무방비하게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개념에서 탈피해 별도의 인입구를 장치한 안전판을 콘센트의 상부에 콘센트의 인입구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1차로 그 안전판이 회전하여 안전판의 인입구와 콘센트의 인입구가 일치하지 않는 한, 플러그 또는 다른 물체의 전원접속을 차단하고, 또한 상부의 안전판(캡) 이외에도, 2차로 별도의 안전핀을 사용하여 그 안전핀을 안전판의 하부 또는 콘센트의 인입구가 위치한 면의 후면에 별도의 안전핀을 부착하여 2구(단상의 경우)의 플러그가 동시에 삽입되지 않는 한, 상부 안전판의 동작까지 불가능하게 하여 정상적인 2구(단상) 콘센트의 꽂음대로 전원에 삽입하여 작동하지 않는 한, 전원이 차단되어 감전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면은 노출형 콘센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매입형도 같은 원리에 준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 사시도(1)이다.
구성을 크게 살펴보면, 우선 외관상(3)으로는 일반 콘센트와 크게 다르지 않아 유아나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하지 않고, 상부의 안전캡의 플러그 인입구(6)가 약 45도의 각도로 비스듬히 위치한 것(콘센트의 인입구가 수평일 경우)이 특징으로 여기에 플러그의 다리(꽂음대) 2개가 동시에 삽입되어 회전되어야만 전기가 접속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동도를 살펴보면, 콘센트의 원형 플러그 접속구(15)의 상부에 원형 안전판(2)이 안전캡의 중심 지지구(17)를 통하여 각기의 플러그 다리의 인입구가 어긋나게 안착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제3도는 안전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중 안전핀이 콘센트의 상부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2도의 사시도에 안전핀(8)이 콘센트의 상부(15)와 안전판(2)의 사이에 추가 안장되어 있는데, 그 안전핀(8)이 자체 평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부 안전핀 홈(9)에서 스프링 구실을 하면 플러그의 꽂음대가 빠져 있는 경우에는 수평으로 펴져서 안전판을 잡고 있고, 플러그의 꽂음대를 꽂으면 휘어져서 안전판을 자유롭게 운동시켜 전원을 접속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만약, 안전판의 플러그 인입구의 한쪽에만 어떤 물체가 삽입되면 안전핀(8)의 한쪽만 휘어지고 다른 한쪽을 그대로 수평을 유지, 안전판(2)를 붙잡고 있기 때문에 전원의 접속은 이루어질 수 없다.
제4도는 안전 콘센트의 사시도중, 안전핀(10)이 콘센트의 원형 플러그 접속구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스프링(12)과 별도의 하부 안전핀 지지대(13)를 사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별도의 평판 스프링 안전핀(18)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5도는 상기 안전캡(2)과 콘센트의 원형 플러그 접속부(15)의 플러그 인입구의 조립 개념도이다.
이대, 상부 안전캡(2)의 플러그 인입구(6)와 콘센트의 원형 플러그 접속부(15)상의 플러그 인입구(7)의 조립위치가 서로 어긋나 실지 플러그의 접속시 두개의 인입구가 일치하도록 회전하지 않는한, 플러그의 접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제6도는 상부 안전캡의 조립후의 동작 개념도이다.
동도에서 각각 다른 두개의 인입구(6)(7)가 회전하여 하나의 인입구로 일치하게 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제7도는 상부 안전캡 조립전의 상부 안전캡의 평판 스프링 안전핀의 부착시의 정면도이다.
동도에서는 평판 스프링 안전핀(8)을 그 안전핀의 홈(9)에 안착시켜 상부 안전판(2)을 조립하는 것을 보여준다.
제8도는 후면 부착용 평판 안전핀과 그 지지부의 부품 설명도이다.
제9도는 요철 안전핀이 상부에 부착된 경우의 후면도이다.
동도에서 안전판(2)이 콘센트의 원형 플러그 접속부(15)에 장착되고 요철 안전핀(8)이 원형 플러그 접속부(15)에 장착된 경우, 동 안전판(2)은 안전캡에 부착된 스프링 걸이(4)와 안전캡 지지 스프링 걸이(21)와의 사이에 설치된 안전캡 지지 스프링(20)에 의해서 그 동작이 제어되는데 이때 플러그의 꽂음대가 꽂혀 있다 빠지면 안전캡 지지 스프링(20)의 힘에 의해서 상부의 안전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제10도는 요철 안전핀이 하부에 부착된 경우의 후면도이며 그 설명은 제4도와 같다.
제11도는 상부 안전캡 부착시의 부분단면도이며 그 설명은 제2도와 같다.
제12도는 상부 안전캡과 상부 요철 안전핀 부착시의 부분 단면도이며 그 설명은 제3도와 같다.
제13도는 상부 안전캡과 하부 요철 안전핀 부착시의 부분단면도이며 그 설명은 제4도와 같으나 특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부품이나 구조로는 먼저 하부 안전핀 지지대(13)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하부 안전핀 지지대 고정대(22)를 마련하여 동 지지대(13)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등이 있으며, 일체형 하부 안전핀(10)을 별개의 하부 안전핀(23)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부(15) 상부에 별도의 반 회전식 안전캡(2)을 플러그 접속부(15)의 인입구(7)와 안전캡(2)의 인입구(6)의 위치를 다르게 장착하고, 콘센트 접속부(15)의 상부나 하부에 안전캡(2)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안전핀(8,10,18 또는 23)을 장착하여 안전캡(2)상의 2개의 인입구(6)에 동시에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어야만 안전핀과 안전캡이 작동할 수 있게 하여, 플러그 단자의 접속시 안전판(2)이 반 회전하여 안전판(2)의 인입구(6)와 콘센트상의 인입구(7)가 일치하였을 때만 단자와 전원이 접속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콘센트(1)는, 안전판(2)의 하부에 스프링 걸이(4)와 스프링 걸이 구멍(5)을 장치하고 안전판(2)을 콘센트(1)의 플러그 접속부(15)에 조립후 스프링(20)을 이용하여 안전캡 지지 스프링 걸이(2)에 접속하여 꽂음 플러그 단자가 빠지는 즉시 자동으로 안전판(2)을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하여 콘센트의 플러그 인입 구멍(7)을 막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콘센트는, 안전캡(2)의 하부와 콘센트 플러그 접속부(15)의 사이에 탄력이 있는 평판 스프링 안전핀(8)을 준비하여 콘센트 플러그 접속부(15)에 동 안전핀(8)을 삽입할 수 있는 홈(9)을 마련하여 동 안전핀(8)을 삽입하여 안전캡(2)의 인입구(6)에 아무것도 삽입되지 않을때나 한쪽의 인입구(6)에만 어떤 물체가 삽입되면 동 안전캡(2)이 안전핀(8)에 걸려 작동하지 않고, 양쪽의 인입구(6)에 동시에 플러그단자가 삽입될때만 동 안전핀(8)이 눌리어져서 아래로 향하여 잠금장치(8)를 풀어주어 안전캡(2)이 작동하게 하여 상하 각각의 인입구(6,7)가 일치하게 하여 플러그 단자와 전원을 연결시켜줄 수 있게 하는 안전핀(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콘센트는, 콘센트 플러그 접속부(15)의 하부에 안전핀(10,18,23등)을 설치하고 안전핀 구멍(11)을 뚫어 안전핀의 고리(24)를 통과하게 하여 그 고리(24)가 안전캡(2)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KR1019930026809A 1993-12-08 1993-12-08 안전 콘센트 KR960011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809A KR960011686B1 (ko) 1993-12-08 1993-12-08 안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809A KR960011686B1 (ko) 1993-12-08 1993-12-08 안전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84A KR950021884A (ko) 1995-07-26
KR960011686B1 true KR960011686B1 (ko) 1996-08-29

Family

ID=1937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809A KR960011686B1 (ko) 1993-12-08 1993-12-08 안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857A (ko) * 2000-01-10 2001-07-23 이권호 안전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84A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510B2 (en) Rotary-plug wall lamp
US20070099458A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having a rotatable socket
KR920003136A (ko) 컴퓨터 구조
KR900001066A (ko) 전기 콘넥터 어셈블리의 유동 장착 수단
KR20010076358A (ko) 접촉 캐리어
US5683254A (en) Swivel plug structure with a bulb socket
US2903669A (en) Clamp device for electrical extension cords
US4508933A (en) Electric outlet cover
PL175821B1 (pl) Łącznik elektryczny
KR960011686B1 (ko) 안전 콘센트
US5160809A (en) Structure of wire conduit terminal assembly
KR100267236B1 (ko) 컨넥터
JP2715535B2 (ja) 照明器具
FI109830B (fi) Lampun pistorasiaan liittyvä laite
CN219226811U (zh) 一种流体组合板锁紧机构
KR102342856B1 (ko) 커넥터
JPH0638343A (ja) 吊下用レールのジョイント
CN219047097U (zh) 一种抄网装置及其抄网用的快速拆装结构
WO2015192736A1 (zh) 易拆装的座便器
KR19980020473U (ko) 세탁기용 안전 콘센트
JPH0728649Y2 (ja) 照明器具
KR200412583Y1 (ko) 안전콘센트
JPS6262781U (ko)
US2863040A (en) Lamp fixture and shade support
JPH0955258A (ja) ケーブルロック機構付き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