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6358A - 접촉 캐리어 - Google Patents

접촉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6358A
KR20010076358A KR1020010003040A KR20010003040A KR20010076358A KR 20010076358 A KR20010076358 A KR 20010076358A KR 1020010003040 A KR1020010003040 A KR 1020010003040A KR 20010003040 A KR20010003040 A KR 20010003040A KR 20010076358 A KR20010076358 A KR 20010076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rrier
slider
socket
spigo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허쉬만
Original Assignee
암페놀-투켈 엘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투켈 엘렉트로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암페놀-투켈 엘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7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3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속 소켓과 플러그인 연결을 형성하고 동시에 접촉 캐리어 및 소켓의 상응 접촉 부품을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 캐리어(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촉 캐리어{Contact Carrier}
본 발명은, 부속 소켓(socket)(리셉터클(receptacle), 발전기)과 플러그인(plug-in) 연결을 형성하고 동시에 접촉 캐리어(carrier) 및 소켓의 상응 접촉 부품을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 캐리어(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접촉 캐리어는 DE 195 34 205 C2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자동차의 구속 시스템(안전 벨트, 에어백)에 사용된다. 상기 경우에, 용이한 조립 및 높은 기능 신뢰성이 요구된다.
상기는 특히 접촉 캐리어 및 소켓의 래칭(latching)에 적용되고, 하나의 요구사항은, 조립(연결) 상태에서 한 부품의 접촉 부품(접촉 스프링)이 다른 한 부품의 조립 부품(접촉핀)과 신뢰성 있게 접촉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다른 요구사항은, 접촉 캐리어 및 소켓이 서로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은, 제 1 단계에서 접촉 캐리어 및 소켓을 접촉 및 연결함으로써 전술된 공지 기술에서 해소되고, 제 2 단계는 래치가 우발적으로 구속해제되지 못하도록 접촉 캐리어의 래칭 아암(arm) 후방의 소위 제 2 구속 수단으로서 연동 부품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캐리어 및 부속 소켓(또는 각 접촉 부품)이 단일 단계로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동시에 접촉 부품이 접촉되도록 하며, 완전한 조립이 이루어진 후에만 접촉 캐리어 및 소켓이 구속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안전 기구를 접촉 캐리어에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안전 기구는 접촉 캐리어의 래칭(구속) 수단이 소켓의 부속 래칭(구속) 수단과 연결된다면 작동될 수 있으며, 이후 제 2 구속 수단이 작동되고, 불완전한 조립의 경우 접촉 캐리어가 다시 소켓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방법으로, 조립자는 접촉 캐리어 및 소켓의 불완전한 결합을 신뢰성 있게 탐지하고, 새로운 플러그인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는 부정확한 결합 및안전성에 대한 위험을 방지한다.
가장 일반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부속 소켓과 플러그인(plug-in) 연결을 형성하고 동시에 접촉 캐리어 및 소켓의 상응 접촉 부품을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 캐리어에 관한 것이고, 다음의 특징을 가진다.
- 슬라이더(slider)는 접촉 캐리어에 구성된다.
- 슬라이더는 접촉 캐리어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고, 접촉 캐리어의 이동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스프링에 의한 하중을 받는다.
- 접촉 캐리어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 캐리어의 래칭 아암이 소켓의 상응 래칭 요홈에 연결되었고 접촉 캐리어가 소켓에 대한 최종 플러그인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에만, 스프링에 의한 하중을 받는 슬라이더를 구속해제하는 요소에 의해 슬라이더가 유지되어 구성된다.
즉, 접촉 캐리어 및 소켓을 조립(결합)하기 위해, 접촉 캐리어(예를 들어 접촉 스프링과 같은 접촉 부품과 함께)는 부속 소켓에 구성되고, 상기 접촉 캐리어의 탄성 래칭 아암이 소켓의 상응 래칭 요홈으로 연결될 때까지, 상기 소켓에 대해 전방으로 가압된다.
상기 위치까지,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요소에 의해 원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요소는 현재까지 슬라이더를 유지한다.
접촉 캐리어의 래칭 아암이 소켓의 래칭 요홈에 연결될 때에만, 상기 요소는 상기 슬라이더를 구속해제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다음에 상기 스프링에 의해 접촉 캐리어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된다. 한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더는접촉 캐리어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돌출된 연동 아암을 가진다. 슬라이더가 구속해제된 후, 슬라이더의 연동 아암은 접촉 캐리어의 래칭 아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래칭 아암이 우발적으로 구속해제되지 못하도록 하며, 접촉 캐리어 래칭 아암의 제 2 연동을 개시한다.
접촉 캐리어 및 소켓의 플러그인 과정이 완전하게 수행되지 않았다면, 즉 접촉 캐리어의 래칭 아암이 소켓의 래칭 요홈에 연결되지 않았다면, 조립자가 접촉 캐리어를 구속해제하자마자, 소켓에 대해 구성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다시 접촉 캐리어가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도록 한다.
따라서, 슬라이더 및 접촉 캐리어 사이의 스프링 구성에 기초한 상호작용이 형성된다. 한편으로, 접촉 캐리어 및 소켓의 적합한 결합의 경우에, 스프링은 슬라이더가 조절되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불완전한 플러그인 연결(또한 소켓으로부터 접촉 캐리어의 분리)의 경우에, 스프링은 접촉 캐리어가 복귀되도록 한다.
한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의 한 단부는 슬라이더에 대해 지지되고, 스프링의 다른 한 단부는 접촉 캐리어에 대해 지지된다. 접촉 캐리어의 설계에 따라, 스프링은 판스프링(리프 스프링(leaf spring)) 또는 나선형 스프링일 수 있다. 특히 실린더형 접촉 캐리어에 대해 나선형 스프링이 선호되고, DE 195 34 205 C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접촉 캐리어가 이탈되어 구성된다면 판스프링이 선택될 수 있다.
요소는 슬라이더에 구성된 스피것(spigot)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접촉 캐리어와 연결된 핀은 접촉 캐리어의 이동에 평행하게 펙(peg)에서 안내된다. 접촉 캐리어 및 핀은 한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핀은 접촉 캐리어(접촉 캐리어케이싱(casing))이 어느 위치로 이동되든지 상기 접촉 캐리어를 따른다.
한 실시예에서, 스피것은 축방향 그루브(groove)를 가지고, 상기 그루브는 접촉 캐리어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구성되며, 상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그루브를 따라 핀이 이동된다.
펙의 상단 단부는 두께강화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접촉 캐리어가 플러그인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두께강화 영역은 슬라이더의 상응 요홈에 구성되며, 스프링 하중을 받는 슬라이더를 피봇(pivot)에 대해 적소에 유지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 캐리어가 소켓에 대한 최종 플러그인 위치에 구성될 때, 스피것이 스프링의 영향하에 슬라이더와의 연결로부터 구속해제되는 스피것에 대한 위치에 핀이 재구성되고, 슬라이더가 스프링의 힘에 기초하여 접촉 캐리어에 대해 조절되도록, 슬라이더, 스피것 및 핀이 설계되고 구성된다.
즉, 소켓에 대한 접촉 캐리어의 불안전한 플러그인 조건이 주어지면, 슬라이더에 대한 연결에서 핀이 스피것을 유지시키는 위치에 스피것 축방향 그루브의 핀이 재구성된다. 래칭 아암이 소켓의 래칭 요홈에 연결되는 위치에서 접촉 캐리어가 소켓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만, 스피것이 스프링의 힘에 의해 슬라이더와의 연결로부터 스피것이 구속해제되는 스피것내의 위치에 핀이 도달되어, 예를 들어 접촉 캐리어의 래칭 아암에 대한 제 2 연동장치의 원하는 위치를 동시에 구성하도록, 슬라이더가 소켓을 향한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단으로 개방된 축방향 그루브와 함께 스피것의 기술된 실시예에서, 상기는 핀이 축방향 그루브의 하단(플로어(floor))에 도달되었을 때 이루어지고, 스피것의두 상부 두께강화 영역은 서로에 대해 변형될 수 있으며(축방향 그루브로), 조립이 해제된다. 다른 구성은 특히 슬라이더에 대한 스피것의 연동 부품을 탄성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는 스프링 하중에 노출 중 변형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스프링 하중은 핀이 상기 영역으로부터 제거된 후 슬라이더에 대한 조립으로부터 스피것을 구속해제한다.
전술된 접촉 캐리어는 부속 제 2 결합을 포함하여 제 2 부속 소켓과의 결합이 단일 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유는 접촉 캐리어가 소켓에 대한 정확한 구속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슬라이더가 스프링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이다.
더 후방 위치에서 소켓으로부터 접촉 캐리어를 구속해제할 필요가 있다면, 슬라이더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접촉 캐리어의 홀(hole)로 연장구성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를 구속하고 상기 돌출부를 소켓으로부터 이격이동시키기 위해 공구가 홀을 통해 삽입될 수 있어, 제 2 구속 수단이 구속해제될 수 있으며, 다음에 접촉 캐리어가 다시 소켓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접촉 캐리어의 홀을 통해 외부로 연장구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슬라이더에 구성됨으로써 수정될 수 있고, 정반대방향에 구성된 2개의 돌출부가 선호되며, 상기 방법으로 슬라이더를 소켓으로부터 이동시키고 제 2 연동장치를 구속해제하도록, 상기 돌출부는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접촉 캐리어의 래칭 아암이 변형됨에 따라, 접촉 캐리어는 소켓의 래칭 요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슬라이더의 상기 돌출부는 예를 들어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구성된다. 상기는 슬라이더의 수동 복귀를 용이하게 한다.
접촉 캐리어가 단일 단계로 소켓에 결합될 수 있지만, 2단계 결합 과정이 이루어지고, 즉 초기에 접촉 캐리어의 래칭 아암이 소켓의 래칭 요홈에 연결되며, 이후 슬라이더의 연동 아암을 통해 제 2 결합이 이루어진다.
접촉 캐리어의 래칭 아암에 대한 슬라이더 구속 아암의 안전 위치에 도달되기 전에, 소켓 접촉 부품(접촉핀) 사이의 부속 단락 회로 스프링을 구속 아암이 구속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기술은 슬라이더의 구속 아암을 구성하고 설계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
상기는 단락 회로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단락 회로 브리지가, 제 2 연동 시스템이 작동된다면, 즉 접촉 캐리어 및 소켓 결합과 접촉 부품이 정확하게 구속되었을 때, 구속해제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 캐리어는 분해 슬라이더를 가지고, 상기 분해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에 적어도 측면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스프링에 중첩되어 구성되며, 아래로부터 슬라이더의 상응 돌출부까지 소켓을 마주하는 단부에 고정시킨다.
상기는 조립자가 접촉 캐리어를 측면방향으로 구속한다면 조립 중 슬라이더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해 슬라이더는 접촉 캐리어 후방에 구성된 접촉 캐리어의 상기 부품을 차단시킨다. 분해 슬라이더의 설계는 슬라이더가 분해 슬라이더에 의해 결합 위치로부터 끌어당겨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와 같지 않으면 슬라이더는 분해 슬라이더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동시에, 슬라이더의 우발적인 접촉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 특징은 종속항의 특징 및 명세서에 기술된다.
본 발명은 두 실시예를 기초로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동일한 부품 또는 유사하게 작동되는 부품은 동일 인용부호로 표기된다.
도 1a, 1b 및 1c와 도 2a, 2b 및 2c는 각각 3개의 상이한 조립 위치에서 플러그인 과정 중 소켓에 접촉 캐리어를 구성하는 두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d 는 도 2a 내지 도 2c 의 실시예에 상응하는 접촉 캐리어의 사시도.
*부호 설명
10...접촉 캐리어 12...케이싱
14...래칭 아암 16...래칭 돌출부
18...슬라이더 20...연동 아암
22...스피것 24...그루브
50...소켓 54...래칭 요홈
접촉 캐리어(carrier)는 인용부호 (10)으로 표기되고, 소켓(socket)은 인용부호 (50)으로 표기된다.
접촉 캐리어(10)(상기 접촉 캐리어(10)의 접촉 스프링은 도시되지 않음)는 케이싱(casing)(12)을 둘러싸며 구성되고, 외측으로 연장구성된 래칭(latching) 돌출부(16)를 가진 두 래칭 아암(arm)(14)이 상기 케이싱(12)으로부터 소켓(50)을 향해 연장구성된다.
케이싱(12)의 내부에 슬라이더(slider)(18)가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18)는 접촉 캐리어(10)의 중앙 종축(M)에 동심으로 구성되며, 두 부품 베이스(base) 영역으로 구성되고, 베이스 영역(18)의 두 세그먼트(segment)(18a,18b)는 상단 단부에서 외부를 향해 180°만큼 분기되어 구성되며, 두 연동 아암(20)이 후방에 구성되고, 상기 연동 아암(20)의 각 자유 단부는 소켓(50)을 향해 연장구성되며, 접촉 캐리어(10)의 중앙 종축(M)에 평행하다.
도 1a 에 도시된 조립체에서(플러그인(plug-in) 과정 전), 슬라이더(18)는 케이싱(12)의 세그먼트(12a)에 접촉되어 구성된다.
베이스 영역의 두 세그먼트(18a,18b) 사이에 스피것(spigot)(22)이 구성되고, 상기 스피것(22)은 상단으로 개방된 슬릿(slit)(24)을 가지며, 중앙 종축(M)에 동심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피것(22)의 상부 단부는 핀(12s)에 접촉되어 구성되며, 상기 핀(12s)은 케이싱(12)의 잔여 부품에 일체구조로 형성된다.
스피것(22)의 하부 단부는 웹(web)(53)에 지지되어 구성되고, 상기 웹(53)은 소켓(50)의 하단(50b)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며, 중앙 종축(M)에 동심으로 구성된다.
두 스프링(30)의 하부 단부는 슬라이더(18)의 상단면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스프링(30)의 상단 단부는 케이싱(12)의 상부 세그먼트(120)에 접촉되어 구성된다.
소켓(50) 및 접촉 캐리어(10) 사이에 단열링(40)이 구성되고, 상기 단열링(40)은 포트(pot)와 같은 소켓으로 연장구성되며, 상기 단열링(40)의 하단 세그먼트(40u)는 소켓(50)의 플로어(floor)(50b)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소켓(50)에 두 접촉핀(52)이 구성되고, 상기 접촉핀(52)은 중앙 종축(M)에 평행하게 접촉 캐리어(10)를 향해 구성되며, 플러그인 과정이 계속됨에 따라 접촉 캐리어(10)의 접촉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접촉핀(52)에 구성되고 상기 접촉핀(52)에서 미끄러지며 상기 접촉핀(52)을 접촉하도록, 상기 접촉핀(52)이 배열된다.
도 1a 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서, 슬라이더(18)의 연동 아암(20) 외부는 래칭 아암(14)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접촉 캐리어(10) 및 소켓(50)을 결합시키기 위해, 조립자는 케이싱(12)을 잡고 상기 접촉 캐리어(10)를 소켓(50)을 향해 가압시킨다(도 1b). 상기 경우에, 접촉 캐리어(10)의 래칭 아암(14)은 초기에 단열링(40) 및 상기 단열링(40)의 후방에 구성된 소켓(50)의 돌출부(50v)에 구성되고(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칭 아암(14)은 각각 내측으로 굽혀져 구성된다), 이후 소켓(50)의 상응 래칭 요홈(54)에 구성된다.
현재까지, 스피것(22)의 구속 효과로 인해 슬라이더(18)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고, 상부 단부에서 상기 스피것(22)의 두께강화 영역(22v)은 슬라이더(18)의 상응 요홈(26) 내부에 구성된다.
래칭 요홈(54)으로 래칭 아암(14)의 스프링식 장착 중 또는 직전에, 스프링(30)은 도 1b 에 따라 인장되고, 래칭 아암(14)이 래칭 요홈(54)으로 안내될 때 슬라이더(18)가 소켓(50)을 향해 이동되어, 슬라이더(18)의 연동 아암(20)은 (다시)접촉 캐리어(10)의 연동 아암(14) 후방에 구성된다(도 1c).
핀(12s)이 슬릿(그루브(groove))내의 가장 깊은 위치에 도달됨으로 인해, 슬라이더(18)는 이동될 수 있고, 스피것(22)의 두께강화 세그먼트(22v)는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요홈(26)으로부터 구속해제된다(도 1b).
스프링(30)은 동시에 다시 팽창된다(도 1c).
따라서, 도 1c 에 접촉 캐리어(10) 및 소켓(50)의 완전한 플러그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접촉 캐리어(10)의 접촉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은 소켓(50)의 접촉핀(52)에서 미끄러지며, 소켓(50)의 접촉핀(52)과 접촉된다.
또한, 소켓(50)을 향해 이동 중, 슬라이더(18)의 연동 아암(20)은, 소켓(50)으로의 슬라이더(18)의 최대 삽입 위치에 도달되기 전에 접촉핀(52) 사이에 형성된 단락 회로 브리지(bridge)(도시되지 않음)가 구속해제 되도록 한다.
만약 접촉 캐리어(10)가 소켓(50)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고(도 1b) 상기 위치에서 플러그인 과정이 차단된다면, 인장된 스프링(30)(도 1b)은 접촉 캐리어(10)가 도 1a 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되도록 하고, 따라서 불완전한 플러그인 위치가 방지된다.
접촉 캐리어(10) 및 소켓(50)이 완전히 함께 결합된 후, 다시 소켓(50)으로부터 접촉 캐리어(10)를 분리시킬 필요가 있고, 상기는 중앙 종축(M)에 수직으로 연장구성된 슬라이더(18)의 아암(19)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아암(19)은 케이싱(12)의 상응 홀(hole)에 구성되고, 아암(19)은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슬라이더(18)가 소켓(50)으로부터 수동으로 분리되자마자, 접촉 캐리어(10)의 래칭 아암(14)에 대한 제 2 구속 위치는 더 이상 필요없게 되어, 접촉 캐리어는 다시 소켓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 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본 셋업(setup)에 있어서 도 1a 내지 도 1c 와 상응하고, 단지 강화/수정된 구조적 특징이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슬라이더(18)의 단지 상부 아암(19)만이 캐리어(12)에 구성된다((12b)에서).
상기 케이싱 부품(12b) 및 아암(19)에 인접되어 분해 슬라이더(60)가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60)는 두 측면(60a,60b) 및 상부 커버(60c)를 가지며, 상기 커버(60c)는 요홈(62)을 가지고, 상기 요홈(62)에 상부 케이싱 세그먼트(120)가 도 2a 에 따라 구성된다. 측면(60a,60b)의 하부 단부는(소켓(50)을 향해) 내측으로구성된 후크(hook)(60h)를 가지고, 상기 후크(60h)에 슬라이더(18)의 아암(19)이 도 2a 에 따라 구성된다.
조립은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분해 슬라이더(60)는 구속되고, 소켓(50)을 향해 하향으로 이동된다. 래칭 아암(14)이 요홈(54)으로 이동될 때까지, 케이싱(12)은 과정을 따른다. 산택적으로, 케이싱 부품(120)에 가압시킴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분해 슬라이더(60)가 이동된다. 슬라이더(18)는 스피것(22)으로부터 구속해제되고, 스프링(30)의 힘으로 하향이동되며, 래칭 아암(14)을 고정시킨다. 동시에 스프링(30)이 팽창된다(도 2b).
분해는 분해 슬라이더(60)로 발생되고, 상기 분해 슬라이더(60)는 상향이동되며((50)으로부터), 후크(60h)로 슬라이더(18)를 이동시킨다(도 1c, 도 1d).
본 발명에 따라, 접촉 캐리어 및 부속 소켓(또는 각 접촉 부품)이 단일 단계로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고, 동시에 접촉 부품이 접촉되며, 완전한 조립이 이루어진 후에만 접촉 캐리어 및 소켓이 구속된다.

Claims (14)

  1. 부속 소켓(50)과 플러그인 연결을 형성하고 동시에 접촉 캐리어(10) 및 소켓(50)의 상응 접촉 부품(52)을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 캐리어(10)에 있어서,
    - 슬라이더(18)는 접촉 캐리어(10)에 구성되고,
    - 슬라이더(18)는 접촉 캐리어(1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접촉 캐리어(10)의 이동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스프링(30)에 의한 하중을 받고,
    - 접촉 캐리어(10)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 캐리어(10)의 래칭 아암(14)이 소켓(50)의 상응 래칭 요홈(54)에 연결되었고 접촉 캐리어(10)가 소켓(50)에 대한 최종 플러그인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에만,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30)에 의한 하중을 받는 슬라이더를 구속해제하는 요소(22)에 의해 슬라이더(18)가 유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더(18)에 하중을 가하는 스프링(30)은 한 단부에서 슬라이더(18)에 지지되고, 다른 한 단부에서 접촉 캐리어(10,12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요소(22)는 슬라이더(18)에 구성된 스피것으로 구성되고, 접촉 캐리어(10)와 연결된 핀(12s)은 접촉 캐리어(10)의 이동에 평행하게 상기 슬라이더(18)를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스피것(22)은 축방향 그루브(24)를 가지고, 상기 그루브(24)는 접촉 캐리어(1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구성되며, 상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그루브(24)를 따라 핀(12s)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스피것(22)의 상부 단부에 두께강화부가 구성되고, 접촉 캐리어(10)가 플러그인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두께강화부(22v)는 슬라이더(18)의 상응 요홈(26)에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스프링(30)에 의해 하중을 받는 슬라이더(18)를 스피것(22)에 대해 적소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6. 제 3 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10)가 소켓(50)에 대한 최종 플러그인 위치에 구성될 때, 하나 이상의 스프링(30)에 노출 중 스피것(22)이 슬라이더(18)와의 연결로부터 구속해제되는 스피것(22)에 대한 위치에 핀(12s)이 재구성되고, 슬라이더(18)가 하나 이상의 스프링(30)의 힘에 기초하여 접촉 캐리어(10)에 대해 조절되도록, 슬라이더(18), 스피것(22) 및 핀(12s)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7. 제 3 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10)의 플러그인 과정 중 소켓(50)의 부속 베어링(53)에 지지되도록, 스피것(2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더(18)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9)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19)는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접촉 캐리어(10)의 홀에서 연장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슬라이더(18)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9)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19)는 접촉 캐리어(10)의 홀을 통해 외부로 연장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10. 제 8 항에 있어서, 돌출부(19)는 슬라이더(18)의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더(18)는 접촉 캐리어(10)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돌출된 래칭 아암(20)을 가지고, 슬라이더(18)가 구속해제된 후, 상기 래칭 아암(20)은 접촉 캐리어(10)의 래칭 아암(14)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래칭 아암(14)이 우발적으로 구속해제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10)의 래칭 아암(14)에 대한 슬라이더(18) 래칭 아암(20)의 최종 위치에 도달되기 전에, 소켓(50) 접촉 부품(52) 사이의 부속단락 회로 스프링을 상기 래칭 아암(20)이 구속해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18)의 래칭 아암(2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13.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는 분해 슬라이더(60)를 가지고, 상기 분해 슬라이더(60)는 슬라이더(18) 및 슬라이더(18)에 적어도 측면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30)에 중첩되어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30)은 슬라이더(18)의 상응 돌출부(19)를 소켓(50)을 마주하는 상기 스프링(30)의 단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분해 슬라이더(60)는 전 높이를 가지고, 상기 분해 슬라이더(60)는 단부에서 스프링(30)과 접하는 부품(18,19,120) 및 하나 이상의 스프링(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캐리어.
KR1020010003040A 2000-01-25 2001-01-19 접촉 캐리어 KR200100763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2936 2000-01-25
DE20017840 2000-07-22
DE20017840.7 2000-07-22
DE10002936.1 2000-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358A true KR20010076358A (ko) 2001-08-11

Family

ID=2600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040A KR20010076358A (ko) 2000-01-25 2001-01-19 접촉 캐리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19042B2 (ko)
EP (1) EP1137115A3 (ko)
JP (1) JP2001210428A (ko)
KR (1) KR200100763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928A (ko) * 2000-11-10 2002-08-2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접속장치
DE10147967A1 (de) * 2001-09-26 2003-04-30 Amphenol Tuchel Elect Isolierkörper
JP2004319374A (ja) * 2003-04-18 2004-11-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4343197B2 (ja) * 2006-07-28 2009-10-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ロック機構を備えた接続装置
US7396250B1 (en) * 2007-07-13 2008-07-08 Kui-Hsien Huang Plugging device for network cable
US8123545B1 (en) * 2011-03-23 2012-02-28 Phoenix Contact, Inc. Latch and extractor for electronic module
DE102011050773B4 (de) * 2011-05-31 2016-05-25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owie System aus einem Steckverbinder und einer Dose mit einem korrespondierenden Rastabschnitt
US9252539B2 (en) 2012-11-02 2016-02-02 Hubbell Incorporated Internally switched female receptacle or connector with plug-latching safety interlock
JP6279846B2 (ja) *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WO2015036611A1 (en) * 2013-09-16 2015-03-19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lectrical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FR3013912B1 (fr) * 2013-11-25 2017-05-2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lectrique pour systeme de retenue de securite
CN105531886B (zh) * 2013-09-16 2018-07-03 泰科电子法国公司 一种用于安全约束系统的电连接器
ES2645139T3 (es) * 2013-11-25 2017-12-04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ector eléctrico para sistema retenedor de seguridad
US9071015B1 (en) * 2013-12-10 2015-06-30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9356394B2 (en) * 2013-12-11 2016-05-31 JAE Oregon, Inc. Self-rejecting connector
US20170247242A1 (en) * 2014-08-28 2017-08-31 Fuel Transfer Technologies Inc. Fluid dispensing systems
CN104466526B (zh) * 2014-11-26 2017-02-08 陈建宏 一种插座
CN104600484B (zh) * 2014-12-26 2017-01-1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五研究所 一种新型水下电连接器插拔导引结构
US9887489B1 (en) 2016-10-19 2018-02-06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latching assembly
CN108092049A (zh) * 2017-08-02 2018-05-29 成都旭日众鑫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通断电安全的电源插接座组件
CN108092044A (zh) * 2017-08-02 2018-05-29 成都旭日众鑫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通断电安全的电源插接座组件
CN108092048A (zh) * 2017-08-02 2018-05-29 成都旭日众鑫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触电功能的电源插接座组件
CN108232575A (zh) * 2017-09-14 2018-06-29 韦锦强 一种改进型除尘器设备
CN108232749A (zh) * 2017-09-14 2018-06-29 韦锦强 一种新型除尘器设备
CN108232750A (zh) * 2017-09-14 2018-06-29 韦锦强 一种新颖型除尘器设备
CN108232716A (zh) * 2017-11-15 2018-06-29 广州凯柔进出口贸易有限公司 一种高效的热水器
CN108232527A (zh) * 2017-11-15 2018-06-29 广州凯柔进出口贸易有限公司 一种改进型热水器
CN109637075B (zh) * 2018-11-08 2021-03-19 广州特贝科技信息有限公司 用于施工机械接近高压电线路报警器的气囊隔离保护装置
CN110953503B (zh) * 2019-11-11 2021-07-16 朱辰 一种广场灯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141Y2 (ko) * 1984-09-26 1990-07-17
US5538437A (en) * 1995-03-03 1996-07-23 Itt Industries, Inc. Connector assembly for IC card
DE69627923T2 (de) * 1995-03-20 2004-03-11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sicherter Endposition
DE19534205C2 (de) 1995-09-15 1997-09-04 Amphenol Tuchel Elec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3705452B2 (ja) 1995-12-28 2005-10-12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GB9603645D0 (en) 1996-02-21 1996-04-17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connector with push button locking mechanism
JP2002513501A (ja) * 1996-08-12 2002-05-08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推進の乗物用エアーバッグ・アセンブリーのための無方向導火爆管コネクターアッセンブリー
DE19714459C2 (de) * 1997-04-08 2001-11-29 Framatome Connectors Int Steckverbinder mit einer Gehäuseverriegelung
BR7802885Y1 (pt) * 1997-09-09 2010-08-10 disposição introduzida em conector elétrico com trava.
DE19818677C2 (de) * 1998-04-27 2000-07-06 Amphenol Tuchel Elect Zweiteilig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EP0975066B1 (en) 1998-07-22 2011-08-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itting detecting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19042B2 (en) 2001-11-20
US20010009818A1 (en) 2001-07-26
JP2001210428A (ja) 2001-08-03
EP1137115A2 (de) 2001-09-26
EP1137115A3 (de) 2002-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6358A (ko) 접촉 캐리어
KR100278818B1 (ko) 안전 연동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속 시스템
KR970004223B1 (ko) 전기 콘넥터
KR100282328B1 (ko) 연동장치를가진전기접속시스템
RU2231185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штекерный разъем со стопор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US7131854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irbag apparatus having an electrical connector
EP125368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locking part
US7229305B2 (en) Electrical pin-and-socket connector for vehicle retention systems
US5653606A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having retention and shorting features
JP3165909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US7232324B2 (en) Electrical connector bridge arrangement with release means
JP3047159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US66199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ble connection retention
KR101125483B1 (ko) 잠금기구를 갖춘 전기 커넥터
US20060110957A1 (en) Connector arrangement
KR101233498B1 (ko) 연결 시스템과 이에 따르는 스퀴브 커넥터
JPH08273759A (ja) 電気コネクタの位置決め保証装置
US1026336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ry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EP3166185A1 (en) Spring-lock connector
US7513800B2 (en) Electrical connecting and switching arrangement
JP2000058199A (ja) コネクタモジュ―ル
KR20030007037A (ko) 전기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JPH10223311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US6843676B2 (en) Male connector with retaining element
JP4757914B2 (ja) 自動車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