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459B1 -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459B1
KR960011459B1 KR1019960019253A KR19960019253A KR960011459B1 KR 960011459 B1 KR960011459 B1 KR 960011459B1 KR 1019960019253 A KR1019960019253 A KR 1019960019253A KR 19960019253 A KR19960019253 A KR 19960019253A KR 960011459 B1 KR960011459 B1 KR 960011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thawing
temperature
gea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1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thaw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8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humidity or vapor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에서 자동 해동 방법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a)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에서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의 분리 사시도, (b)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에서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 자동 해동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 자동 해동을 위한 장치의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 자동 해동 방법의 타이밍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 자동 해동 방법의 타이밍과 고주파 출력 관계를 나타낸 타이밍도.
제7도는 (a)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 자동 해동을 위한 온도 감지 그래프, (b)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 자동 해동을 위한 수분 감지 그래프.
제8도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에 있어,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에 있어, 상하 이동 기어와 턴테이블 기어의 결합 관계를 타나낸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가열실 21 : 턴테이블
22 : 히터 23 : 마그네트론
24 : 온도 감지수단 25 : 수분 감지수단
26 : 제어수단 27 : 시뮬레이터
100 :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 200 : 센서입력부
300 : 구동부하 101 : 턴테이블 승강기어
102 : 턴테이블 회전 기어 103 : 모터
104 : 모터 축 기어 105 : 중간 기어
106 : 턴테이블 회전용 구동기어 107 : 턴테이블 승강 구동기어
108 : 기어축
본 발명은 히터를 이용한 그릴 요리나, 마으키로 웨이브를 이용한 고주파 요리, 또는 이들의 병합 요리를 전자동으로 실행하는 전자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도 변화와 수분 변화를 이용해서 해동 시간과 해동 고주파 출력을 결정하여 턴테이블을 상하로 승강 이동시켜 가면서 해동을 실행시키므로서, 최적의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히터를 이용한 그릴 요리나,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고주파 요리, 또는 그릴과 고주파 요리를 병합하는 콤비 요리를 진행하는 전자레인지에서는, 중량 센서를 이용해서 음식물의 중량을 감지하여 해동시간과 고주파 출력을 결정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해동을 제어하게 되면, 또한 요리 및 해동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캠곡선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 턴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켜 주는 장치를 이용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도면 제1도는 종래의 자동 해동 방법의 블록구성도로서,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 자동 해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턴테이블 하측에 음식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센서를 구비하고, 이 중량 센서로 감지된 중량을 망컴에 입력하여 자동 해동 시간과 고주파 출력을 결정하는 기술로서, 사용자가 해동 요리의 종류를 선택하고, 해동을 지시하면 마이컴은 중량 센서로부터 음식물의 중량을 감지하며, 감지된 중량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중량 : 해동시간 및 중량 : 고주파 출력 모드와 비교 검색하여 적절한 해동 시간과 모드를 결정한 후, 이 결정된 시간과 레벨로 마그네트론을 구동시켜 고주파를 출력하여 해동 요리를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통닭의 해동을 선택하였을 때, 감지된 중량이 800g이면 해동 시간은 미리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60분, 해동 모드는 고주파 출력 레벨 70%로 20분, 20%로 10분, 30%로 10분, 10%로 20분의 순서로 실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동 방법은, 기 정해진 한정된 해동 모드만으로 해동을 진행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해동을 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해동 요리 시간의 할당에 따라 해동 요리 상태가 크게 달라지게 되어 불충분한 해동이나 과도한 해동이 실행될 우려가 높은 단점과, 요리 종류별로 미리 중량값에 대한 총 해동시간을 기 결정하여 저장하고 있어야 되는 문제점, 그리고 음식물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중량 센서를 갖고 있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면 제2도의 (a) 및 (b)는 종래 자동 해동장치에 있어서,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및 단연도로서, 종래 자동 해동방법을 실행하게 될 때, 상기의 제2도의 (a) 및 (b)에서와 같은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해동 대상물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는 바, 그 구성 및 작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가열실(1)의 바닥면에 캠곡선(2)을 갖는 받침물(3)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물(3)의 위에는 +자형 회전대(4)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대(4)의 사방 다리에는 캠곡선(2)위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바퀴(5)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대(4)위에 턴테이블(6)을 장착한 구성으로서, 턴테이블 모터(7)의 구동력이 회전대(4)로 전달되어 회전대(4)가 회전 구동되면, 이 회전대(4)의 사방 다리에 구비된 바퀴(5)가 받침물(3) 상면의 캠곡선(2)을 따라 구름 운동함으로써, 회전대(6)위에 장착된 턴테이블(6)이 캠곡석(2)의 굴곡 정도에 대응하는 상하 운동을 하게 되는 기술이다.
이러한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는 음식물 요리시에 턴테이블(6)을 일정한 높이 이내에서 승강 운동시켜 주기 때문에 음식물이 마이크로 웨이브를 골고루 받아 균일 가열을 보장하여 요리 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해준다.
그러나, 턴테이블(6)의 상하 이동은 캠곡선(2)을 따르기 때문에 턴테이블(6)이 요동하게 되어 액체성 음식물 특히, 해동시에는 발생되는 액체가 상하 요동으로 인한 넘침 현상이 발생하여,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에 내부 구성이 받침물(3)과 회전대(4)의 설치로 인해 복잡해지고, 상하 요동으로 인해 균일 가열 성능은 향상되지만, 음식물의 밑면까지는 마이크로 웨이브가 도달하지 못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든 부분의 균일한 해동효과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량 센서의 사용을 배제하고, 음식물의 요리 진행에 따라 변화되는 온도와 수분의 배출량을 감지하여 이 온도 및 수분 감지 정보를 이용해서 총 해동시간과 그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해동 장치 및 그 방법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자동 해동에 고도의 신뢰성과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턴테이블을 그 축에 결합된 나사형 기어를 이용해서 승강 운동시켜 줌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에 있어,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 턴테이블 상하 이동이 자연스럽고 매끄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턴테이블 요동 현상을 최소화하여 해동시 발생되는 액체가 넘치는 불안감을 해소하며, 음식물의 밑면까지 골고루 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확보해 줄 수 있도록 한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에 의해서 턴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해동을 실행하여 음식물이 골고루 충분하게 해동 완료될 수 있도록 한 자동 해동 장치와 방법을 구비한 전자레인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 중량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 해동을 실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며, 제4도는 자동 해동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열실(20)의 하측으로는 턴테이블(21)이 위치하고, 이 턴테이블(21)은 상기한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100)에 의해 승강 및 회전 구동되며, 턴테이블(21)위에 놓인 음식물의 그릴 요리를 위한 히터(22)가 가열실(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편, 가열실(20)의 일측에는 고주파 요리를 위한 마그네트론(23)이 설치되며, 상기 가열실(20)의 일측 상부에는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20A)가 형성되고, 이 흡기구(20A)와 대향하는 가열실(20)의 타측벽에는 배기구(20B)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실 배기구(20B) 주변에는 온도 감지수단(24)이 설치되고, 가열실(20)의 상부에는 수분 감지수단(25)이 설치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자동 해동 장치에서는 해동할 음식물을 턴테이블(21)위에 놓고 해동을 지시하면 마이컴 제어신호에 의해 턴테이블 상하 이동장치(100)로 턴테이블(21)을 상하로 승강시킴과 함께 회전 구동시키고, 초기의 일정한 시간동안에 배기구(20B) 주변의 온도 변화를 온도 감지수단(24)으로 감지하는 한편, 수분 감지수단(25)으로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수분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이 감지된 결과를 갖고 총 해동시간과 각 시간 구간별 모드에서의 고주파 출력 레벨을 결정하여 결정된 타이밍과 출력 레벨로 히터(22)와 마그네트론(23)을 구동시켜 해동을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해동을 위한 제어회로 구성을 살펴보면,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온도 감지수단(24)과 수분 감지수단(25)에서 감지된 온도 및 수분의 변화량을 기초로하여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100) 및 마그네트론(23) 제어를 통해 해동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26)과, 상기 제어수단(26)으로부터 초기의 감지 시간동안 감지되는 온도 및 수분 변화량을 입력받아 적절한 해동을 위한 카오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수단(26)에 공급하는 카오스 시뮬레이터(27)로 구성된다.
상기 온도 감지수단(24)과 수분 감지수단(25)은 센서 입력부(200)를 구성하고, 상기 턴테이블 상하 이동장치(100)와 마그네트론(23)은 구동 부하(300)가 되며, 상기 제어수다(26)은 마이컴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해동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동을 실행한다.
해동 모드 변환의 갯수를 설정한 후, 소정의 감지시간(Ts)을 갖고 이 감지시간(Ts)동안에 온도 감지수단(24)과 수분 감지수단(25)으로 온도 및 수분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해서 총 해동시간(Td) 및 카오스 데이터 초기값(PO)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카오스 데이터 초기값을 이용해서 각 모드별 카오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출력된 카오스 데이터에 따라 각 모드별로 고주파 출력 레벨 및 시간을 결정하고, 이 결정된 시간과 출력으로 마그네트론(36)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실행하여 해동 제어를 한다.
먼저, 요리 초기에 일정한 시간동안 온도 감지수단(24)으로 음식물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고, 또한 이때 수분 감지수단(25)으로는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수분(증기)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제어수단인 마이컴(26)에 입력시킨다.
마이컴(26)은 입력된 온도 및 수변 변화량을 기초로 카오스(CHAOS) 데이터의 초기값을 결정하여 카오스 시뮬레이터(27)에 공급하며, 카오스 시뮬레이터(27)는 입력된 초기값을 근거로 적절한 해동을 위한 카오스 데이터를 출력하여 마이컴(26)에 공급한다.
마이컴(26)은 카오스 시뮬레이터(27)에서 제공된 카오스 데이터에 따라 해동 시간과 출력을 결정하여 구동부하(300)를 제어함으로써 자동 해동을 실행한다.
이때 턴테이블(21)도 상하로 승강되기 때문에 음식물의 모든 부분에 골고루 마그네트론(23)의 고주파가 전달되어 최적의 해동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마이컴)(26)에 의한 해동과정을 도면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일정한 소정 시간(Ts) 동안 온도 감지수단(24) 및 수분 감지수단(25)의 감지신호 변화량을 감지하는데, 최초에 취할 모드 변환의 개수(N)(N=12)를 정하고, 제7도의 (a)와 같이 온도가 변화되는 경우 온도 변화량은 30도, 제7도의 (b)와 같이 수분이 변화되는 경우 수분 변화량은 20% 감소로 판정될 것이다.
이와 같이 감지된 초기 감지시간(Ts) 동안의 온도 및 수분 변화량을 갖고 마이컴(26)이 카오스 시뮬레이터(27)의 초기값(PO)(예를 들면 PO=1. 2)을 결정하여 주고, 동시에 해동시간(Td)(예를 들면 Td=4×12=48분)을 결정한다.
카오스 시뮬레이터(27)는 입력된 초기값(PO=1. 2)에 기초하여 카오스 데이터를 만들어 마이컴(26)으로 출력해주는데, 예를 들면 카오스 데이타=1.2→3.6→6.5→2.4→3.3→7.8→9.5→8.8→2.5→8.5→6.6→4.5→3.1→2.6→,......의 경우가 된다.
이중에서 모드 변환의 갯수(N)(N=12)만큼의 카오스 데이터만 취하고 나머지는 사용하지 않는다.
카오스 시뮬레이터(27)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카오스 데이터를 마이컴(6)에서 입력받아, 기 결정된 총 해동시간(Td)을 모드의 갯수(N=12)로 나누어서 각각의 모드 시간(Tm)을 결정한다.
이 예에서는 Tm=48분/12개=4분이 된다.
이후에 마이컴(26)은 각각의 모드 시간(Tm)에 맞게 카오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마그네트론(23)의 추력을 제어하여 알맞게 해동이 되도록 한다.
즉, 4분 간격으로 마이크로 웨이브 출력을, 12%→36%→65%→24%→33%→78%→95%→88%→25%→85%→66%→45%로 출력하여 총 48분을 해동 요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자연스러운 해동을 하기 때문에 자연상태에 가장 가까운 해동을 할 수 있으며, 중량 센서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인 전자레인지 구성과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은 해동이 실행되어짐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100)에 의하여 턴테이블이 상하로 이동되어짐으로 인하여 더욱 더 효과적인 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때, 상기에서와 같은 해동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게 되는 상기의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100)의 실예를 살펴보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21)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형의 기어 이빨이 형성되어 턴테이블(21)을 승강시키는 턴테이블 승강 기어(101)와, 상기 승강 기어(101)와 동일축상에 결합되며 승강 기어(101)를 포함하는 턴테이블(21)을 함께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회전 기어(102)와, 상기 턴테이블(21)의 승강 및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03)와, 상기 모터(103)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모터축에 결합된 모터 축기어(104)와, 상기 모터 축기어(104)와 결합되는 중간기어(105)와, 상기 중간 기어(105)와 동일축에서 구동되며 상기 턴테이블 회전기어(102)와 결합된 턴테이블 회전용 구동 기어(106)와, 상기 중간 기어(105)와 동일축에서 구동되며 상기 턴테이블 승강 기어(101)와 결합된 턴테이블 승강 구동 기어(101)와, 상기 중간 기어(105), 턴테이블 회전 구동기어(106), 턴테이블 승강 구동기어(107)의 동일 기어축(108)과, 상기 모터(103)의 정역회전 구동 제어를 실행하는 마이컴(26)으로 구성된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턴테이블(21)의 승강 이동시에 상항 위치와 하한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수단이 구비된다.
위치 감지수단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 승강 기어(101)에 형성되며, 이 승강 기어(101)의 중앙 기어부(101A)는 승강 구동 기어(107)와 결합되고, 승강 기어(101)의 상부 이빨의 일부를 턴테이블 승강 구동 기어(107)와의 동력이 단절되는 하한 아이들 기어(101B)로 구성하고, 승강 기어(101)의 하부 이빨의 일부를 턴테이블 승강 구동 기어(107)와의 동력이 단절되는 상한 아이들 기어(101C)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 승강 기어(101)와 턴테이블 회전기어(102)는 도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기어(101)의 하부 기어축(101D)은 원형으로 되어 있고 회전 기어(102) 내부에 지지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하부 기어축(101D)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 또는 동일한 간격으로 지지홈(101E)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홈(101E)과 대향하는 회전 기어(102) 내면에는 홈(102A)을 형성하고, 상기 홈(102A) 속에 스프링(102B)으로 탄성 지지되는 지지돌기(102C)의 선단이 상기 지지홈(101E) 속에 결합됨으로써, 승강 기어(101)는 회전 기어(102)와 동시에 회전됨과 함께 회전 기어(102)에 결합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100)에 의한 턴테이블(21)의 상하 이동 동작은 마이컴(26)의 제어를 받아 모터(103)가 구동되며, 모터(103)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됨에 따라 모터 축기어(104)와 결합되어 있는 중간 기어(105)도 함께 회전된다.
중간 기어(105)의 회전은 중간 기어(105)와 기어축(108)으로 동일 축 선상에 결합되어 있는 턴테이블 회전 구동 기어(106)와 턴테이블 승강 구동 기어(107)를 함께 회전시킨다.
턴테이블 회전 구동 기어(106)가 회전 구동되면 이와 결합되어 있는 턴테이블 회전 기어(102)도 회전되고, 턴테이블 회전기어(102)가 회전되면 턴테이블 회전 기어(102)에 하부축(101D)이 결합되어 있는 턴테이블 승강 기어(101)도 함께 회전된다.
턴테이블 승강 기어(101)의 회전은 승강 기어 상단에 결합도어 있는 턴테이블(21)을 회전 시킨다.
또한 이와 동시에 턴테이블 회전 구동 기어(107)와 결합되어 있는 턴테이블 승강 기어(101)에도 동력이 전달되는데, 턴테이블 승강 기어(101)의 이빨은 나사형이므로 이 중앙 기어부(101A)를 타고 승강 기어(101)가 승강하게 되며, 승강 기어(101)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턴테이블(21)도 승강 및 하강을 하게 된다.
즉, 턴테이블(21)은 승강 및 하강과 동시에 회전 구동 되는 것이며, 이러한 회전과 승강의 동시 작동은 상기도면 제9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 기어(101)의 하부측(101D)이 스프링(102B)에 탄지된 지지돌기(102C)에 의해 턴테이블 회전 기어(102)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하부측(101C)이 회전 기어(102) 속에서 진출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하여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턴테이블(21)이 승강될때 그 상승 최고 높이와 하강 최저 높이가 규제된다.
즉, 턴테이블 승강 기어(101)가 최고 높이로 상승되면 상한 아이들 기어(101C)가 턴테이블 승강 구동 기어(107)와 대응되며, 이때에 승강 구동 기어(107)의 동력은 아이들 기어(101C)와의 결합이 단절되기 때문에 승강 기어(101)의 더 이상의 상승은 제한되고, 이 위치에서 마이컴(26)의 모터(103) 회전 방향 제어를 역방향으로 전환시켜 주면 턴테이블 승강 기어(101)가 하강하며, 최저 높이로 하강되면 하한 아이들 기어(101B)가 턴테이블 승강 구동 기어(107)와 대응되는데, 이때 승강 구동 기어(107)의 동력은 아이들 기어(101B)와의 결합이 단절되기 때문에 승강 기어(101)의 더 이상의 하강은 제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음식물을 담은 턴테이블(21)을 승강시키면서 턴테이블(21)이 요동없이 수직방향으로 상하 운동하게 되므로, 해동시 발생되는 액체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최고 높이로 상승되기 때문에 음식물의 밑면까지도 고주파에 의한 직접 가열 효과를 확보해 줄 수 있어 음식물의 해동 효과는 더욱 더 향상되어진다.

Claims (3)

  1. 음식물이 가열되는 가열실(20)과, 상기 가열실(20)의 하측에 위치하며 음식물이 탑재되는 턴테이블(21)과, 상기 턴테이블(21)을 승강 및 회전 구동시키는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100)와, 상기 가열실(20)의 음식물 고주파 요리를 위한 마그네트론(23)과, 가열실(20) 내의 음식물 증기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구(20B)와, 상기 가열실 배기구(20B) 주변에서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수단(24)과, 상기 가열실(20)의 상부에서 요리중 발생하는 음식물 수증기량을 감지하는 수분 감지수단(25)과, 상기 온도 감지수단(24)과 수분 감지수단(25)에서 감지된 온도 및 수분의 변화량을 기초로하여 마그네트론(23)을 제어하여 해동을 실행하는 제어수단(26)과, 상기 제어수단(26)으로부터 초기의 감지 시간동안 감지되는 온도 및 수분 변화량을 입력받아 적절한 해동을 위한 카오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수단(26)에 공급하는 카오스 시뮬레이터(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상하 이동 장치(100)는 다수의 기어를 조합하여 동력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턴테이블(21)의 축에 전달하여 턴테이블(21)을 승강시키며, 위치 감지수단을 형성시켜 턴테이블(21)의 상한 및 하한을 규제하여 제어수단(26)의 제어를 받아 자동으로 수직으로 상하 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3. 해동 모드 변환의 갯수를 설정한 후, 소정의 감지시간(Ts)을 갖고 이 감지시간(Ts) 동안에 온도 감지수단(24)과 수분 감지수단(25)으로 온도 및 수분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해서 총 해동시간(Td) 및 카오스 데이터 초기값(PO)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카오스 데이터 초기값을 이용해서 각 모드별 카오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출력된 카오스 데이터에 따라 각 모드별로 고주파 출력 레벨 및 시간을 결정하고, 이 결정된 시간과 출력으로 마그네트론(23)을 구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KR1019960019253A 1994-02-28 1996-05-31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KR960011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253A KR960011459B1 (ko) 1994-02-28 1996-05-31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4003782A KR960009636B1 (en) 1994-02-28 1994-02-28 Turn table operating apparatus in microwave oven
KR1019960019253A KR960011459B1 (ko) 1994-02-28 1996-05-31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4003782A Division KR960009636B1 (en) 1994-02-28 1994-02-28 Turn table operating apparatus in microwave ov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59B1 true KR960011459B1 (ko) 1996-08-22

Family

ID=193780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4003782A KR960009636B1 (en) 1994-02-28 1994-02-28 Turn table operating apparatus in microwave oven
KR1019960019253A KR960011459B1 (ko) 1994-02-28 1996-05-31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4003782A KR960009636B1 (en) 1994-02-28 1994-02-28 Turn table operating apparatus in microwave ove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721814B2 (ko)
KR (2) KR960009636B1 (ko)
CA (1) CA21395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134A (ko) * 2013-12-19 2015-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근적외선을 이용한 돈까스 냉동육 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022B1 (ko) * 1999-06-18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의 회전접시 구동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렌지
KR101674147B1 (ko) * 2014-10-30 2016-11-10 이종묵 가변리미트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2433U (ko) * 1976-04-05 1977-10-07
JPS6423025A (en) * 1987-07-20 1989-01-25 Sanyo Electric Co Method to control cooker
JP3205873B2 (ja) * 1987-12-03 2001-09-04 一幸 合原 カオス回路網
JPH078961Y2 (ja) * 1991-07-22 1995-03-06 船井電機株式会社 電子レン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134A (ko) * 2013-12-19 2015-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근적외선을 이용한 돈까스 냉동육 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636B1 (en) 1996-07-23
CA2139598A1 (en) 1995-08-29
KR950025352A (ko) 1995-09-15
JP2721814B2 (ja) 1998-03-04
JPH07269882A (ja) 199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1176B1 (en) Automatic broiler for variable batch cooking
EP1372358B1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with steam generation function
KR100200780B1 (ko) 전자렌지의 히터구동 제어장치
JPS6364870B2 (ko)
US20050051541A1 (en) Vacuum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method using the same
KR0177884B1 (ko) 전자 렌지
EP0234956B1 (en) Microwave oven
KR960011459B1 (ko) 전자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KR0182714B1 (ko) 전자렌지의 구동제어방법
KR100213947B1 (ko) 균일한 가열이 가능한 오븐 기능을 갖는 토스터
KR100275888B1 (ko) 전자레인지의 컵데우기 조리방법
KR100218961B1 (ko) 소량 조리물의 과다조리를 방지하는 전자렌지의 제어방법
JP2001046242A (ja) 家庭用オーブン、調理方法および調理装置
KR100213126B1 (ko) 전자렌지의 히터높낮이 조절장치 및 방법
GB2255205A (en) Method of cooking rice using a microwave oven.
JP2503851B2 (ja) 電気オ―ブン
JP2586258B2 (ja) トースターレンジ
JPH0533942A (ja) 調理器
JP2009041818A (ja) 蒸気調理器
KR100189148B1 (ko) 전자렌지의 구동제어방법
JP2586268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H0777331A (ja) 電子レンジ調理器
JPS6380125A (ja) 高周波加熱装置
JP3655125B2 (ja) 加熱調理器
CN1144899A (zh) 加热烹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