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147B1 - 가변리미트스위치 - Google Patents

가변리미트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147B1
KR101674147B1 KR1020140149529A KR20140149529A KR101674147B1 KR 101674147 B1 KR101674147 B1 KR 101674147B1 KR 1020140149529 A KR1020140149529 A KR 1020140149529A KR 20140149529 A KR20140149529 A KR 20140149529A KR 101674147 B1 KR101674147 B1 KR 101674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imit
limit gear
switch modul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092A (ko
Inventor
이종묵
김정철
Original Assignee
이종묵
김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묵, 김정철 filed Critical 이종묵
Priority to KR1020140149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1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8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30Operating parts, e.g. handle not biased to return to a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34Operating parts, e.g. handle not biased to return to a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제어대상의 동작범위, 또는 동작의 제한범위, 동작의 전환시점 등을 변경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가변리미트스위치가 제공된다. 가변리미트스위치는, 몸체,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동축, 외주면에 제1기어치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동축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리미트기어, 구동축과 평행하고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제1기어치와 치합되어 제1리미트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회전제어돌기가 형성된 제1조정바, 제1리미트기어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1리미트기어의 접촉여부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스위치모듈을 포함하여, 구동축이 회전하면 제1리미트기어가 구동축을 따라 이동하여 제1스위치모듈을 동작시킨다.

Description

가변리미트스위치{Variable limit switch}
본 발명은 제어대상의 동작을 변경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대상의 동작범위, 또는 동작의 제한범위, 동작의 전환시점 등을 변경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가변리미트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다양한 장치나 시설물 등에 자동화된 제어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제어단계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복잡한 제어방식으로부터 반복적 주기적으로 제어대상의 동작을 변화시키는 비교적 단순화된 제어방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어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화된 제어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제어소자가 활용된다.
제어소자에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분석하고 처리하는 프로세서뿐만 아니라, 제어대상의 기계적 동작을 직접 감지하도록 구성된 감지소자들도 있다. 특히, 기계장치의 구동부나 주행부, 회전부 등의 운동상태는 이와 같은 기계적 감지소자들을 이용하여 감지하고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적 접점이 일 측에 형성된 스위치모듈을 기계장치의 주행부와 접촉시켜, 주행부의 주행을 제한하거나 주행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통상 리미트스위치(Limit switch)로 불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위치모듈이 조합된 장치를 이러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리미트스위치는 반복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이 고작이었다. 즉, 주행부의 주행방향을 반복적으로 변화시키는 등의 단순제어는 가능하나, 리미트스위치로 주행부가 주행하는 주행간격에 변화를 준다거나, 주행방향이 변화되는 시점 등을 바꾸는 등의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제어를 수행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98227호, (2005.07.0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어대상의 동작범위, 또는 동작의 제한범위, 동작의 전환시점 등을 변경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가변리미트스위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리미트스위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동축; 외주면에 제1기어치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리미트기어;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고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제1리미트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회전제어돌기가 형성된 제1조정바; 상기 제1리미트기어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리미트기어의 접촉여부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스위치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면 상기 제1리미트기어가 상기 구동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스위치모듈을 동작시킨다.
상기 가변리미트스위치는, 외주면에 제2기어치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리미트기어와 이격되는 중공형의 제2리미트기어;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고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2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제2리미트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회전제어돌기가 형성된 제2조정바; 상기 제2리미트기어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2리미트기어의 접촉여부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스위치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면 상기 제1리미트기어와 상기 제2리미트기어가 상기 구동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스위치모듈 또는 상기 제2스위치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치와 상기 제2기어치는 평기어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회전제어돌기와 상기 제2회전제어돌기는 상기 제1기어치와 상기 제2기어치에 각각 치합되고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평기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리미트기어는 상기 제1회전제어돌기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리미트기어는 상기 제2회전제어돌기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리미트기어가 이동하는 구간과 상기 제2리미트기어가 이동하는 구간은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변리미트스위치는, 상기 몸체와 상기 제1조정바 사이와, 상기 몸체와 상기 제2조정바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제1조정바와 상기 제2조정바의 회전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제1조정바와 상기 제2조정바는 각각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회전조절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조절레버에 형성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몸체에 압착되어 상기 제1조정바 또는 상기 제2조정바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에 나사 결합되어 끝단부가 상기 제1조정바, 또는 상기 제2조정바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모듈과 상기 제2스위치모듈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리미트기어 또는 상기 제2리미트기어의 이동경로 상에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모듈과 상기 제2스위치모듈은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알 수 있는 LED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미트스위치는, 제어대상의 동작범위, 또는 동작의 제한범위, 동작의 전환시점 등을 변경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며, 특히, 장치의 주행범위나 주행시점 등이 수시로 바뀌거나 필요에 따라 변경되는 설비 등에 매우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미트스위치는 전술한 동작범위나 동작의 제한범위, 동작의 전환시점 등을 간편한 조작만으로 설정 변경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리미트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커버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구동축과 제2조정바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고정레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구동축의 회전에 의한 제1리미트기어 및 제2리미트기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1조정바 및 제2 조정바의 회전에 의한 제1리미트기어 및 제2리미트기어의 위치 조절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구동축의 회전에 의한 제1리미트기어 및 제2리미트기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리미트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회전조절레버의 일부와 그 주변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리미트스위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리미트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커버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리미트스위치(1)는, 구동축(100)에 나사 결합된 제1리미트기어(도 2의 110참조) 및 제2리미트기어(도 2의 120참조)가 구동축(100)의 회전에 따라서 제1스위치모듈(도 2의 400참조) 또는 제2스위치모듈(도 2의 500참조)과 접촉하여, 제1스위치모듈(400) 또는 제2스위치모듈(500)을 동작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서로 다른 스위치 모듈을 일정 시간 동안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유지하거나, 온 오프 상태를 상호 전환시킬 수 있다. 구동축(100)이 제어 대상의 운동상태를 반영하도록 가변리미트스위치(1)를 제어 대상에 연결하면, 온 또는 오프 상태가 일정 간격으로 유지 및 전환되어 제어 대상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리미트기어(110)는 제1회전제어돌기(도 4의 210참조)가 형성된 제1조정바(200)에 치합되고, 제2리미트기어(120)는 제2회전제어돌기(도 4의 310참조)가 형성된 제2조정바(300)에 치합된다. 따라서, 구동축(100)을 정지한 후,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구동축(100)에 나사 결합된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1스위치모듈(400) 사이의 간격, 또는 제2리미트기어(120)와 제2스위치모듈(5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를 회전시키는 간편한 방식으로,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를 조정하고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1스위치모듈(400) 사이의 간격, 또는 제2리미트기어(120)와 제2스위치모듈(5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1스위치모듈(400)이 온 또는 오프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이나, 제2스위치모듈(500)이 온 또는 오프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및 제1스위치모듈(400)과 제2스위치모듈(500)의 온 오프 상태가 상호 전환되는 시간 간격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대상의 동작범위, 또는 동작의 제한범위, 동작의 전환시점 등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가변리미트스위치(1)는, 몸체(10)와, 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도 2의 101참조)이 형성된 구동축(100), 외주면에 제1기어치(도 2의 111참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동축(10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리미트기어(110), 구동축(100)과 평행하고 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제1기어치(111)와 치합되어 제1리미트기어(1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회전제어돌기(210)가 형성된 제1조정바(200), 제1리미트기어(11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1리미트기어(110)의 접촉여부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스위치모듈(400)을 포함하여, 구동축(100)이 회전하면 제1리미트기어(110)가 구동축(100)을 따라 이동하여 제1스위치모듈(400)을 동작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변리미트스위치(1)는 외주면에 제2기어치(121)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동축(10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제1리미트기어(110)와 이격되는 중공형의 제2리미트기어(120), 구동축(100)과 평행하고 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제2기어치(121)와 치합되어 제2리미트기어(1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회전제어돌기(310)가 형성된 제2조정바(300), 제2리미트기어(12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2리미트기어(120)의 접촉여부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스위치모듈(500)을 더 포함하여, 구동축(100)이 회전하면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가 구동축(100)을 따라 이동하여 제1스위치모듈(400) 또는 제2스위치모듈(500)을 동작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가변리미트스위치(1)는 리미트기어와 이와 치합되는 조정바의 세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명세서 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리미트기어(110), 제2리미트기어(120),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가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을 진행하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1조정바(200)의 세트만을 포함하는 가변리미트스위치(1)를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리미트스위치(1)의 각 구성부와 특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0)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수용공간을 관통하여 구동축(100), 제1조정바(200), 제2조정바(300) 등이 결합될 수 있다. 구동축(100), 제1조정바(200), 제2조정바(300)는 그 일부가 몸체(10) 외부로 노출되도록 몸체(1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10)의 형상이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몸체(10)는 구동축(100), 제1조정바(200), 제2조정바(300) 등의 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재 구조나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몸체(1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가 결합되어 내부를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커버(20) 역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몸체(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부를 은폐하거나 밀폐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의 일 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LED램프(420, 520)가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알려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LED램프(420, 520)는 각각 제1스위치모듈(도 2의400참조) 및 제2스위치모듈(도 2의 500참조)에 포함된 것으로, 제1스위치모듈(400) 및 제2스위치모듈(500)에 결선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스위치모듈(400)이 온 또는 오프되는 경우 이와 결선된 LED램프(420)의 상태가 변화하고, 제2스위치모듈(500)이 온 또는 오프되는 경우 이와 결선된 LED램프(520)의 상태가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몸체(10)와 제1조정바(200)의 사이, 및 몸체(10)와 제2조정바(300)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610)가 체결되어 제1조정바(200)와 제2조정바(3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610)는 제1조정바(200) 측 및 제2조정바(300)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가 각각 회전을 멈추고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610)는 예를 들어, 몸체(10)에 나사 결합되어 끝단부가 제1조정바(200) 또는 제2조정바(300)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는 구동축(100)이 정지하였을 때만 회전하여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를 조정하고, 구동축(100)이 회전하는 동안에는 고정되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610)를 몸체(10)와 제1조정바(200)사이, 및 몸체(10)와 제2조정바(300)의 사이에 체결하여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610)는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몸체(10)와 제1조정바(200)의 사이, 및 몸체(10)와 제2조정바(300)의 사이에 체결되어 고정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는 회전조절레버(600)를 파지하여 몸체(10) 외측에서도 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20) 등을 분해하지 않고도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를 회전시켜 매우 간편하게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조정이 끝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610)를 조절하여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가 회전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구동축(100)은 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축(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적어도 일부 몸체(10)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어대상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축(100)의 노출된 단부에 회전체를 결합하고 이를 제어대상과 벨트, 체인 등의 기계요소를 이용해 연결함으로써 제어대상의 운동상태와 연동하여 구동축(100)이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동축(1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10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가 구동축(100)에 나사 결합되어 구동축(100)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구동축(100)의 회전방향이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변화하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는 구동축(100)에 형성된 나사산(101)의 진행방향 또는 나사산(101)이 진행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구동축(100)에 나사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내주면에는 구동축(100)의 나사산(101)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동축(100)과 용이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며,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의 회전에 따라 이격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제1리미트기어(110)의 외주면에는 제1기어치(111)가 형성되고, 제2리미트기어(120)의 외주면에는 제2기어치(121)가 형성된다. 제1기어치(111) 및 제2기어치(121)는 평기어 형태를 이루며,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에 형성되고 역시 평기어 형태를 이루는 제1회전제어돌기(210) 및 제2회전제어돌기(310)에 각각 치합된다. 따라서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회전이 제1회전제어돌기(210)와 제2회전제어돌기(310)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이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구동축(100)이 회전하면, 나사산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제1리미트기어(110)는 제1회전제어돌기(210)를 따라 이동하고, 제2리미트기어(120)는 제2회전제어돌기(310)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는 구동축(100)과 평행하고 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역시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몸체(1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의 노출된 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조절레버(600)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여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 중 적어도 하나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1조정바(200)의 외주면에는 제1리미트기어(110)의 제1기어치(111)와 치합되는 제1회전제어돌기(210)가 형성되고, 제2조정바(300)의 외주면에는 제2리미트기어(120)의 제2기어치(121)와 치합되는 제2회전제어돌기(310)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기어치(111) 및 제2기어치(121)가 평기어 형태를 이루고, 제1회전제어돌기(210)와 제2회전제어돌기(310)가 구동축(100)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평기어 형태를 이루어, 제1기어치(111)와 제1회전제어돌기(210)가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고, 제2기어치(121)와 제2회전제어돌기(310)가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회전제어돌기(210) 및 제2회전제어돌기(310)는 고정된 상태 또는 회전하는 상태에서 제1기어치(111) 및 제2기어치(121)와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가 고정되고 구동축(10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제1회전제어돌기(210) 및 제2회전제어돌기(310)에 치합되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가 회전이 저지되고,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나사산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구동축(1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1기어치(111)와 제1회전제어돌기(210), 제2기어치(121)와 제2회전제어돌기(310)가 각각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반면, 구동축(100)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제1회전제어돌기(210) 및 제2회전제어돌기(310)의 반대방향으로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1기어치(111)와 제1회전제어돌기(210), 또는 제2기어치(121)와 제2회전제어돌기(3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회전제어돌기(210) 및 제2회전제어돌기(310)는 제1기어치(111) 및 제2기어치(121)에 각각 치합되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회전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제1기어치(111) 및 제2기어치(121)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가 이동하는 가이드의 역할도 하게 된다. 제1리미트기어(110)는 제1회전제어돌기(210)가 연장된 방향으로 제1회전제어돌기(210)를 따라 이동하고, 제2리미트기어(120)는 제2회전제어돌기(310)가 연장된 방향으로 제2회전제어돌기(310)를 따라서 이동하되, 제1리미트기어(110)가 이동하는 구간과 제2리미트기어(120)가 이동하는 구간은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회전제어돌기(210) 및 제2회전제어돌기(310)는 제1기어치(111) 및 제2기어치(121)에 각각 치합되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회전을 제한하되, 회전이 불가하도록 단순 고정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기어치에 직접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회전제어돌기(210)와 제2회전제어돌기(310)를 회전시켜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를 구동축(100) 상에서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스위치모듈(400)은 제1리미트기어(11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고, 제2스위치모듈(500)은 제2리미트기어(12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리미트기어(110)와 접촉하여 제1스위치모듈(400)이 동작하거나, 제2리미트기어(120)와 접촉하여 제2스위치모듈(500)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리미트기어를 서로 다른 스위치모듈과 각각 접촉시킴으로써 리미트기어가 스위치모듈의 사이를 이동하면서 가변리미트스위치(1)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유지 및 전환시킬 수 있다. 제1스위치모듈(400) 및 제2스위치모듈(500)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제1리미트기어(110) 또는 제2리미트기어(120)의 이동경로 상의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모듈(400) 및 제2스위치모듈(500)이 각각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스위치모듈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보완하여 파손이나 오작동 시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스위치모듈(400)의 동작 변화에 대응하여 제2스위치모듈(500)의 동작이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스위치모듈(400)의 사이, 제2스위치모듈(500)의 사이, 및 제1스위치모듈(400)과 제2스위치모듈(500) 사이를 적절히 결선하여 회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스위치모듈(400) 및 제2스위치모듈(500)과 외부로 노출된 LED램프(420, 520)를 연결하여 가변리미트스위치(1)의 작동여부가 용이하게 파악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제1스위치모듈(400)은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제1리미트기어(110)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제2스위치모듈(500) 역시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제2리미트기어(120)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가 제1스위치모듈(400) 및 제2스위치모듈(500)을 통해 상호 보완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리미트기어(110)와 보다 가까운 제1스위치모듈(400)이 제1리미트기어(110)와 접촉되거나, 제2리미트기어(120)와 보다 가까운 제2스위치모듈(500)이 제2리미트기어(120)와 접촉될 때 해당 LED램프(420, 520)에 녹색 불이 점등되고, 제1리미트기어(110)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제1스위치모듈(400)이 제1리미트기어(110)와 접촉되거나, 제2리미트기어(120)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제2스위치모듈(500)이 제2리미트기어(120)와 접촉될 때 해당 LED램프(420, 520)에 적색 불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LED램프(420, 520)의 점등 상태로부터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스위치모듈(400) 중 어느 하나가 소손되거나, 제2스위치모듈(500) 중 어느 하나가 소손되는 경우에도 각각 나머지 하나가 보완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손 여부는 LED램프(420, 520)의 점등 여부나, 점등된 색상 등을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1스위치모듈(400) 및 제2스위치모듈(500)은 예를 들어, 접점부(412, 512) 일 측에 탄성을 가지는 접촉부(410, 510)가 형성되고, 접촉부(410, 510)의 단부에 롤러(411, 511)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단부가 롤러(411, 511)와 구름 접촉하여 접촉부(410, 510)를 용이하게 변형시키고, 접점부(412, 512)가 정확하게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스위치모듈(400) 및 제2스위치모듈(500)은 이로써 한정되지 않고, 각각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와 접촉하여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리미트기어의 이동 및 조정구조와, 고정부재의 고정구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구동축과 제2조정바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리미트기어의 이동 및 조정구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제어돌기(210)와 제2회전제어돌기(310)가 고정된 상태로 구동축(100)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 상호간의 위치 조정이 끝나고 제어대상과 가변리미트스위치(도 1 내지 도 4의 1참조)를 서로 연결한 상태일 수 있다. 제어대상의 움직임에 따라 구동축(100)이 회전하면, 제1회전제어돌기(210)에 치합된 제1리미트기어(110) 와 제2회전제어돌기(310)에 치합된 제2리미트기어(120)가 각각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움직인다. 이 때,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는 구동축(100)의 나사산(101)과 각 리미트기어 내주면의 나사산(미도시)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 서로 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일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축(1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를 구동축(100)의 일 측 및 타 측으로 용이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축(100)을 고정하고 제1조정바(도 2 내지 도 4의 200참조) 및 제2조정바(30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0)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2조정바(300)를 회전시키면, 제2회전제어돌기(310)에 치합된 제2기어치(121)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2리미트기어(120)가 회전한다. 따라서, 구동축(100)에 형성된 나사산(101)을 따라서,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기어치(121)와 제2회전제어돌기(31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리미트기어(12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제2조정바(300)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1조정바(20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구동축(100)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1조정바(200)를 회전시켜 제1리미트기어(110)를 회전시키고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를 모두 회전시켜 동일한 방식으로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를 모두 바꿀 수 있다. 이와같이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고,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면 구동축(100)이 회전할 때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가 이동하는 이동범위가 변경되어, 스위치모듈이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이나 온 오프 상태가 상호 전환되는 시간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고정레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전술한 고정부재(610)는 구체적으로 적어도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6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일 면을 관통하여 몸체(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조정바(300) 등이 결합된 결합부위로 관통되어 끝단부가 제2조정바(300)를 직접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몸체(10) 외측으로 노출된 고정부재(610)의 머리부분을 파지하여 고정부재(610) 전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볼트 형상의 고정부재(610)를 회전시켜 고정부재(610)의 끝단부를 제2조정바(300)에 접촉시킴으로써 제2조정바(300)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부재(610)와 접촉하는 제2조정바(300)의 외주면에는 홈 등을 형성하여 고정부재(610)의 끝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조정바(300)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고정방식은 제1조정바(도 1 및 도 2의 200참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몸체(10)와 제2조정바(300)의 사이, 또는 몸체(10)와 제1조정바(도 1의 200참조) 사이에 고정부재(610)를 체결하여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가변리미트스위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구동축의 회전에 의한 제1리미트기어 및 제2리미트기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제1조정바 및 제2 조정바의 회전에 의한 제1리미트기어 및 제2리미트기어의 위치 조절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구동축의 회전에 의한 제1리미트기어 및 제2리미트기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0)이 회전함으로써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0)의 회전방향이 바뀌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이동방향도 연동하여 전환된다. 즉, 구동축(10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리미트기어(110)가 제1스위치모듈(400)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구동축(100)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리미트기어(120)가 제2스위치모듈(500)을 작동시키는 때에 제어대상의 움직임이 정지되거나, 움직임이 시작되거나, 움직이는 방향 또는 구동부의 회전방향 등이 전환되어 운동상태가 바뀔 수 있다. 이는 제1스위치모듈(400), 또는 제2스위치모듈(500)이 작동하여 온 또는 오프신호가 제어대상에 전달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1스위치모듈(400) 사이의 간격, 및 제2리미트기어(120)와 제2스위치모듈(500) 사이의 간격은 제1리미트기어(110)가 제1스위치모듈(400)에 접촉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및 제2리미트기어(120)가 제2스위치모듈(500)에 접촉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스위치모듈(400) 또는 제2스위치모듈(500)을 작동시켜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대상의 움직임을 변화시키는 시간 간격은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1스위치모듈(400) 사이의 간격이나, 제2리미트기어(120)와 제2스위치모듈(50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변리미트스위치(1)는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초기위치,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 사이의 간격 등을 조절하여 이러한 시간 간격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0)이 정지한 상태에서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정바(200)를 회전시켜 제1리미트기어(110)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조정바(300)를 회전시켜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의 회전방향을 바꾸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가 이동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이러한 조정과정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가 적절히 조절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상호 간격이 상대적으로 짧게(a참조) 또는 상대적으로 길게(b참조) 변경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초기위치도 설정된다. 따라서, 제1리미트기어(110)가 제1스위치모듈(400)과 접촉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간격이나, 제2리미트기어(120)가 제2스위치모듈(500)가 접촉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12에는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1스위치모듈(400) 사이 및 제2리미트기어(120)와 제2스위치모듈(500) 사이의 간격이 서로 대칭적으로 조절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될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1스위치모듈(400) 사이 간격, 제2리미트기어(120)와 제2스위치모듈(500)의 사이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경우, 제1리미트기어(110)가 제1스위치모듈(400)과 접촉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 또는 제2리미트기어(120)가 제2스위치모듈(500)과 접촉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리미트기어(120)가 제2스위치모듈(500)과 접촉한 이후, 다시 제1리미트기어(110)가 제1스위치모듈(400)과 접촉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 간격이 증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대상의 운동상태를 변화시키는 주기나, 제어대상이 움직임을 멈추거나 시작하는 물리적 간격 등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제1리미트기어(110)가 제1스위치모듈(400)과 접촉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 또는 제2리미트기어(120)가 제2스위치모듈(500)과 접촉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가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리미트기어(120)가 제2스위치모듈(500)과 접촉한 이후, 다시 제1리미트기어(110)가 제1스위치모듈(400)과 접촉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 간격 역시 감소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대상의 운동상태를 변화시키는 주기나, 제어대상이 움직임을 멈추거나 시작하는 물리적 간격 등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제 적용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대 등에 설치된 커튼(C)을 여닫기 위해 모터 등의 구동부(A)와 이와 연결된 체인부(B)를 이용하게 된다. 이 때, 구동부(A) 일 측에 가변리미트스위치(1)를 연결하여 이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가변리미트스위치(1)는 전술한 구동축(도 4의 100참조)의 단부에 벨트 등의 기계요소를 체결하여 구동부(A)의 운동상태와 연동되도록 연결할 수 있으며, 제1스위치모듈(도 4의 400참조) 및 제2스위치모듈(도 4의 500참조)의 신호가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동부(A)의 제어스위치나 제어시스템과 전기적으로 결선하여 연결할 수 있다.
구동부(A)가 작동하여 회전하면 체인부(B)에 연결된 커튼(C)이 열리거나 또는 닫히게 된다. 가변리미트스위치(1)의 구동축(100)은 구동부(A)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고 제1리미트기어(도 4의 110참조) 및 제2리미트기어(도 4의 120참조)가 움직여 제1스위치모듈(400) 또는 제2스위치모듈(500)과 접촉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구동부(A)의 구동을 멈추게 하거나, 시작하게 하거나, 또는 구동부(A)의 구동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구동부(A)가 정지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조정바(도 4의 200참조) 및 제2조정바(도 4의 300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리미트기어(110)와 제2리미트기어(120) 사이의 간격, 각각의 초기위치 등을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 사이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짧게 조정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A)의 회전상태를 변화시키는 주기나, 체인부(B)가 움직임을 멈추거나 시작하는 물리적 간격 등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대 전체를 통해 커튼(C)이 상대적으로 긴 간격(도 15의 l1참조)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1리미트기어(110) 및 제2리미트기어(120) 사이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길게 변화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A)의 회전상태를 변화시키는 주기나, 체인부(B)가 움직임을 멈추거나 시작하는 물리적 간격 등을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대 전체를 통해 커튼(C)이 상대적으로 짧은 간격(도 15의 l2참조)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변리미트스위치(1)가 무대장치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어 가능한 다양한 대상에 본 발명의 가변리미트스위치(1)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리미트스위치(1)를 제어대상에 적용하여 제어대상의 동작범위, 또는 동작의 제한범위, 동작의 전환시점 등을 간편하게 변경하고 필요에 따라 적합한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리미트스위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을 진행하며,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사항으로 대신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리미트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가변리미트스위치의 회전조절레버의 일부와 그 주변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리미트스위치(1-1)는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가 각각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회전조절레버(600)를 포함하고, 고정부재(610)가 상기 회전조절레버(600)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610)는 외력이 가해지면 몸체(10)에 압착되어 제1조정바(200) 또는 제2조정바(30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즉, 고정부재(6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10)에 결합되는 대신, 제1조정바(200) 및 제2조정바(300)의 일 측에 결합되어 반대로 몸체(10)에 압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부재(610)를 몸체(10)와 제1조정바(200)의 사이, 몸체(10)와 제2조정바(300)의 사이에 체결하여 효과적인 고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재(610)와 대응하는 몸체(10) 일 측에는 홈부(620)를 마련하여 고정부재(610)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홈부(620)의 반대편에는 회전조절레버(6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파지부(611)를 마련하여 고정부재(61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고정부재(610)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절레버(6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회전조절레버(600)와 고정부재(610) 중 어느 하나에 탄성부(602)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탄성부(602)를 수용하는 만입부(612)를 형성하여 고정부재(6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610)가 삽입되는 삽입공(601) 내측에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고정하여 탄성부(602)를 형성하고, 고정부재(610) 일 측에 만입부(612)를 형성할 수 있다. 파지부(611) 등을 통해 고정부재(610)에 외력을 가하면, 탄성부(602)가 만입부(612)에 탄성적으로 수용됨으로써 고정부재(610)가 몸체(10)에 압착하여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부재(610)가 몸체(10)에 압착될 때, 고정부재(610)의 단부가 홈부(620)에 수용되어 보다 견고한 고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홈부(6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부재(610)의 단부가 삽입되어 매우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가변리미트스위치 10: 몸체
20: 커버 100: 구동축
101: 나사산 110: 제1리미트기어
111: 제1기어치 120: 제2리미트기어
121: 제2기어치 200: 제1조정바
210: 제1회전제어돌기 300: 제2조정바
310: 제2회전제어돌기 400: 제1스위치모듈
410, 510: 접촉부 411, 511: 롤러
412, 512: 접점부 420, 520: LED램프
500: 제2스위치모듈 600: 회전조절레버
601: 삽입공 602: 탄성부
610: 고정부재 611: 파지부
612: 만입부 620: 홈부
A: 구동부 B: 체인부
C: 커튼

Claims (9)

  1. 몸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동축;
    외주면에 제1기어치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리미트기어;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고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제1리미트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회전제어돌기가 형성된 제1조정바;
    상기 제1리미트기어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리미트기어의 접촉여부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스위치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면 상기 제1리미트기어가 상기 구동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스위치모듈을 동작시키고,
    외주면에 제2기어치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리미트기어와 이격되는 중공형의 제2리미트기어;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고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2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제2리미트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회전제어돌기가 형성된 제2조정바;
    상기 제2리미트기어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2리미트기어의 접촉여부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스위치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면 상기 제1리미트기어와 상기 제2리미트기어가 상기 구동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스위치모듈 또는 상기 제2스위치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1기어치와 상기 제2기어치는 평기어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회전제어돌기와 상기 제2회전제어돌기는 상기 제1기어치와 상기 제2기어치에 각각 치합되고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평기어 형태를 이루는 가변리미트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미트기어는 상기 제1회전제어돌기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리미트기어는 상기 제2회전제어돌기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리미트기어가 이동하는 구간과 상기 제2리미트기어가 이동하는 구간은 서로 중첩하지 않는 가변리미트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제1조정바의 사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제2조정바의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제1조정바와 상기 제2조정바의 회전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변리미트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정바와 상기 제2조정바는 각각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회전조절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조절레버에 형성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몸체에 압착되어 상기 제1조정바 또는 상기 제2조정바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변리미트스위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에 나사 결합되어 끝단부가 상기 제1조정바, 또는 상기 제2조정바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변리미트스위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모듈과 상기 제2스위치모듈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리미트기어 또는 상기 제2리미트기어의 이동경로 상의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가변리미트스위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모듈과 상기 제2스위치모듈은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알 수 있는 LED램프를 포함하는 가변리미트스위치.
KR1020140149529A 2014-10-30 2014-10-30 가변리미트스위치 KR10167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529A KR101674147B1 (ko) 2014-10-30 2014-10-30 가변리미트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529A KR101674147B1 (ko) 2014-10-30 2014-10-30 가변리미트스위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254A Division KR20160091299A (ko) 2016-07-20 2016-07-20 가변리미트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092A KR20160053092A (ko) 2016-05-13
KR101674147B1 true KR101674147B1 (ko) 2016-11-10

Family

ID=5602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529A KR101674147B1 (ko) 2014-10-30 2014-10-30 가변리미트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522A (ko) 2021-12-21 2023-06-28 이형훈 금형 카운터기의 동작 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715Y1 (ko) 1996-07-11 1999-06-15 최경도 창문개폐용 리미트스위치장치
KR100818615B1 (ko) * 2007-04-06 2008-04-02 케이엠주식회사 리미트스위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636B1 (en) * 1994-02-28 1996-07-23 Lg Electronics Inc Turn table operating apparatus in microwave oven
KR100498227B1 (ko) 2003-02-24 2005-07-01 지상열 승강기의 리미트스위치
KR20100104705A (ko) * 2009-03-18 2010-09-29 김유성 비닐하우스의 리미트 스위치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715Y1 (ko) 1996-07-11 1999-06-15 최경도 창문개폐용 리미트스위치장치
KR100818615B1 (ko) * 2007-04-06 2008-04-02 케이엠주식회사 리미트스위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522A (ko) 2021-12-21 2023-06-28 이형훈 금형 카운터기의 동작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092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9113B1 (en) Swiveling actuator
US20120292174A1 (en) Switch actuator
JP5314496B2 (ja) チェーンソー
WO2016072447A1 (ja) 角度調整装置および該角度調整装置を備える照明装置
CN104246101A (zh) 转动扇叶驱动装置
ATE508909T1 (de)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WO2017206766A1 (zh) 机械限位装置和机械限位方法
KR101674147B1 (ko) 가변리미트스위치
DE602005001379D1 (de) Schaltgerät mit Frontbedienung oder Seitenbedienung
JP4550178B2 (ja) 可動物を駆動する電気モータの制御装置
KR20160091299A (ko) 가변리미트스위치
KR101355574B1 (ko) 리미트 스위치 장치
KR100905748B1 (ko) 누름 버튼을 포함하는 리미트 스위치
US10134544B2 (en) Control device with limit switches
KR101689505B1 (ko) 스테이지 장치
KR102623945B1 (ko) 클러치 액추에이터 장치
KR101394163B1 (ko) 회전식 약실을 갖는 화포의 간헐 고정 및 해제 장치
KR101261319B1 (ko) 범용 영구자석 조작기용 수동조작모듈
JP2016214223A (ja) 温室カーテン用停止装置
FI20060680A0 (fi) Linssimoduuli ja sen sähkölaitteisto
KR20160035792A (ko) 푸쉬 스위치장치
KR101043902B1 (ko)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KR102221932B1 (ko)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
KR101501429B1 (ko) 리니어 모듈을 포함하는 모터
JP2017086056A (ja) 温室カーテン用停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