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932B1 -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 - Google Patents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932B1
KR102221932B1 KR1020190143569A KR20190143569A KR102221932B1 KR 102221932 B1 KR102221932 B1 KR 102221932B1 KR 1020190143569 A KR1020190143569 A KR 1020190143569A KR 20190143569 A KR20190143569 A KR 20190143569A KR 102221932 B1 KR102221932 B1 KR 102221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ulley
tension
adjustment screw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연섭
Original Assignee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1풀리;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2풀리;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와의 사이에 감아걸린 벨트; 및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에 장력을 가하는 텐션풀리;로 구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텐션풀리는, 상기 벨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타측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텐션풀리를 벨트의 바깥쪽에 위치시켜 벨트의 바깥쪽에서 텐션을 가하기 때문에 벨트의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서 골고루 힘을 가하기 때문에 벨트의 마모를 최소화하는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Belt system for Tensioned inside the belt}
본 발명은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1풀리;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2풀리;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와의 사이에 감아걸린 벨트; 및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에 장력을 가하는 텐션풀리;로 구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텐션풀리는, 상기 벨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타측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을 통해 발생되는 회전력은 기어를 통해 맞물려 전달되거나 벨트를 통해 전달되고 있다.
풀리와 풀리간의 회전력을 전달함에 있어서, 벨트의 경우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오랜 시간 많이 사용할수록 늘어나게 되어 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텐션을 가하는 텐션풀리가 필수적인 요소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텐션풀리는 각 폴리와 삼각형 형태를 이루어 벨트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텐션을 가하여 장력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기존의 벨트시스템은 그 크기도 컸을 뿐 아니라 힘의 전달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자동차의 엔진에 설치되는 벨트시스템은 그 크기로 인해 엔진오일 탱크와의 간섭문제를 야기시켜 왔었다. 아울러, 벨트시스템에 형성된 바퀴부를 용이하게 조절하지 못해 벨트에 가해지는 장력 또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5951호 등에 벨트시스템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텐션풀리를 벨트의 바깥쪽에 위치시켜 벨트의 바깥쪽에서 텐션을 가하기 때문에 벨트의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서 골고루 힘을 가하기 때문에 벨트의 마모를 최소화하는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텐션풀리가 벨트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기 때문에 벨트가 제1풀리 및 제2풀리에 맞닿는 길이가 더 많아져 더 안정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고 벨트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에 벨트시스템의 크기가 작아져 엔진 오일 탱크와 간섭문제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텐션풀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조절나사가 삽입되는 홈의 형상이 철(凸)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절나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휘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텐션풀리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1풀리;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2풀리; 제1풀리와 제2풀리 사이에 감아 걸린 벨트; 및 벨트에 텐션을 가하며 가이드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퀴부와, 일단이 바퀴부의 중앙에 접하며 타단이 가이드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축과, 일측이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가이드축의 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제1풀리와 제2풀리 사이에 설치되어 벨트에 장력을 가하는 텐션풀리;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긴 장홀의 가이드홀과, 가이드홀이 형성된 곳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한 곳에 철(凸)자 형으로 형성되어 조절나사의 축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홈을 포함해, 타측에 텐션풀리가 삽입되면 텐션풀리가 좌우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텐션풀리는,
조절나사가 감기면 벨트의 외측에서 벨트의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점차 커지도록 하고 조절나사가 풀리면 벨트의 외측에서 벨트의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고,
조절나사는,
머리부, 머리부에서 형성되어 나사산이 없는 제1영역과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2영역을 포함하는 축, 축의 제1영역에 설치되는 제2이송방지판을 포함하여 제2이송방지판이 고정브라켓(10)에 접하였을 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텐션풀리를 벨트의 바깥쪽에 위치시켜 벨트의 바깥쪽에서 텐션을 가하기 때문에 벨트의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서 골고루 힘을 가하기 때문에 벨트의 마모를 최소화하는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텐션풀리가 벨트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기 때문에 벨트가 제1풀리 및 제2풀리에 맞닿는 길이가 더 많아져 더 안정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고 벨트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에 벨트시스템의 크기가 작아져 엔진 오일 탱크와의 간섭문제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텐션풀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조절나사가 삽입되는 홈의 형상이 철(凸)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절나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휘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텐션풀리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텐션풀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텐션풀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바퀴부와 가이드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조절나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텐션풀리의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조절나사가 고정브라켓에 삽입되는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텐션풀리를 벨트의 바깥쪽에 위치시켜 벨트의 바깥쪽에서 텐션을 가하기 때문에 벨트의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서 골고루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벨트의 마모를 최소화 시키며 풀리 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텐션풀리가 벨트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기 때문에 벨트가 제1풀리 및 제2풀리에 맞닿는 길이가 더 많아져 힘을 더 안정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으며 벨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벨트시스템의 크기가 줄이며 엔진 오일 탱크와 간섭문제 또한 줄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은 조절나사가 삽입되는 홈의 형상이 철(凸)자 형태로 형성되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풀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조절나사의 축이 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같은 본 발명은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1풀리(20), 고정브라켓(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2풀리(30), 제1풀리(20)와 제2풀리(30)와의 사이에 감기는 벨트(40) 및 제1풀리(20)와 제2풀리(30) 사이에 설치되고 벨트(40)에 장력을 가하는 텐션풀리(100);로 구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은 고정브라켓(10), 제1풀리(20), 제2풀리(30), 벨트(40) 및 텐션풀리(10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40)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텐션풀리(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40)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텐션풀리(100)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40)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바퀴부(110)와 가이드축(12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텐션풀리(100)는 벨트(40)의 일측에 설치되어 벨트(40)의 타측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텐션풀리(100)는 바퀴부(110), 가이드축(120) 및 조절나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퀴부(110)는 벨트(40)에 의해 회전하며 벨트(40)에 텐션을 가하는 바퀴가 된다. 이러한 바퀴부(110)는 가이드축(120)이 고정브라켓(10)의 가이드홀(12)에 삽입되어 조절나사(130)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브라켓(10)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하며 벨트(40)에 일정한 텐션을 가할 수 있다.
가이드축(120)의 일단은 바퀴부의 중앙에 접하며, 타단은 가이드홀(12)의 외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가이드홀(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긴 장홀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축(120)은 장홀의 세로로 이동하며 벨트에 가하는 텐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축(120)은 고정브라켓(10)에 가이드홀(12)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축(120)의 중앙에는 일단에서 타단 즉, 상단에서 하단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관통하며 관통홀(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홀(122)의 내부 면에는 가이드축(120)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34)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축의 타측은 가이드홀(12)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위치가 고정브라켓(10)에 고정되도록 일단은 가이드홀(12)의 상하 너비보다 조금 더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가이드축(120)에는 제1이송방지판(124)이 형성되어 관통홀(122)이 형성된 타측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며 바퀴부(110)가 작동되더라도 고정브라켓(10)의 외측면에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40)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조절나사(1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조절나사(130)는 일측 상단부가 육각형태 또는 십자홈이 형성된 머리부(132), 머리부(132)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나사산이 없는 제1영역과 나사산이 형성된 제2영역으로 형성된 축 그리고 머리부(132)에서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이송방지판(136)은 포함한다.
이와 같은 조절나사(130)는 일측이 삽입홈(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에 수나사산(134)이 형성되어 가이드축(120)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산(134)과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조절나사(130)는 머리부(132)가 드라이버, 렌치 등에 결합되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절나사(130)는 삽입홈(14)에 조절나사(130)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머리부(132)와 제2이송방지판(136)이 삽입홈의 상단에 고정되며 그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제2이송방지판(136)은 중앙에 조절나사의 축을 수용하는 관통모듈과 관통모듈의 외주면에 수나사산(134)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판모듈로 형성된다. 제2이송방지판(136)은 제2영역의 최상단으로 이동하며 지지판모듈이 수나사산(134)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제2이송방지판(136)은 머리부(132)와 간격을 형성하며, 형성된 간격을 통해 고정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이송방지판(136)은 고정브라켓에 의해 아래로 그리고 수나사산(134)의 위로 힘이 전달되도록 하며, 머리부(132)와 함께 축이 고정브라켓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40)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텐션풀리(100)의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텐션풀리(100)는 조절나사(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벨트(4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점차 강하게 하고, 조절나사(1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벨트(4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미는 힘을 점점 약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텐션풀리(100)는 조절나사(130)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에 따라 승강하며 벨트(40)에 다양한 크기의 텐션이 가해지도록 한다. 더욱이, 조절나사(130)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2이송방지판(136)은 관통모듈의 내부에서 조절나사의 축이 회전되도록 하며 지지판모듈은 고정브라켓을 연속해서 밀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제2이송방지판(136)이 머리부(132)의 회전에 대응해 슬라이딩 이동 하는 너트로 형성될 경우, 머리부(1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승 이동하여 삽입홈의 하면을 훼손할 수 있다. 아울러, 머리부(1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강이동하며 머리부(132)가 삽입홈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며 조절나사(130)가 전체가 고정브라켓(10)에 불안정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작업자가 한 손에 렌치를 들고, 너트를 고정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 머리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벨트시스템의 설치 위치가 엔진오일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엔진오일과 벨트시스템 간의 틈새로 렌치를 이용해 너트를 고정시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고정브라켓(10)은 기본적으로 제2풀리(30)가 형성되어, 제1풀리(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고정브라켓(10)의 내부에 모터가 형성되어 모터에서 연장된 제2풀리(30)를 통해 회전력을 제1풀리(20)로 전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40)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고정브라켓(1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40)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고정브라켓(10)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40)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고정브라켓(1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고정 브라켓은, 가이드홀(12) 및 삽입홈(14)을 포함한다. 가이드홀(12)은, 텐션풀리(100)의 타측이 삽입되되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홈(14)은 조절나사(130)가 삽입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40)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의 조절나사(130)가 고정브라켓(10)에 삽입되는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삽입홈(14)은, 철(凸)자 형으로 형성되어 하측에 상기 조절나사(130)의 일측이 삽입된 후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삽입홈(14)은 폭이 넓은 하부를 통해 조절나사(130)의 머리부(132)가 삽입된 후 조절나사(130)의 축이 폭이 좁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조절나사(130)가 고정될 수 있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절나사(130)가 삽입되는 삽입홈(14)의 형상이 철(凸)자 형태로 형성되어, 조절나사(130)가 삽입홈의 상단의 홈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바퀴부가 작동하며 조절나사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축이 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고정브라켓 12: 가이드홀
14: 삽입홈 20: 제1풀리
30: 제2풀리 40: 벨트
100: 텐션풀리 110: 바퀴부
120: 가이드축 122: 관통홀
124: 제1이송방지판 130: 조절나사
132: 머리부 134: 나사산
136: 제2이송방지판

Claims (5)

  1.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1풀리(20);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2풀리(30);
    제1풀리(20)와 제2풀리(30) 사이에 감아 걸린 벨트(40); 및
    벨트(40)에 텐션을 가하며 가이드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퀴부(110)와, 일단이 바퀴부(110)의 중앙에 접하며 타단이 가이드홀(12)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축(120)과, 일측이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가이드축(120)의 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조절나사(130)를 포함하여, 제1풀리(20)와 제2풀리(30) 사이에 설치되어 벨트(40)에 장력을 가하는 텐션풀리(100);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긴 장홀의 가이드홀(12)과, 가이드홀(12)이 형성된 곳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한 곳에 철(凸)자 형으로 형성되어 조절나사(130)의 축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홈(14)을 포함해, 타측에 텐션풀리(100)가 삽입되면 텐션풀리(100)가 좌우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고정브라켓(10);을 포함하고,
    텐션풀리(100)는,
    조절나사(130)가 감기면 벨트의 외측에서 벨트의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점차 커지도록 하고 조절나사(130)가 풀리면 벨트의 외측에서 벨트의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고,
    조절나사(130)는,
    머리부(132), 머리부(132)에서 형성되어 나사산이 없는 제1영역과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2영역을 포함하는 축, 축의 제1영역에 설치되는 제2이송방지판(136)을 포함하여 제2이송방지판(136)이 고정브라켓(10)에 접하였을 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43569A 2019-10-31 2019-11-11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 KR102221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383 2019-10-31
KR20190137383 2019-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932B1 true KR102221932B1 (ko) 2021-03-04

Family

ID=7517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569A KR102221932B1 (ko) 2019-10-31 2019-11-11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9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5244U (ja) * 1991-01-23 1992-09-10 株式会社ゼクセル 伝達ベルトのテンシヨン調整機構
KR960023644U (ko) * 1994-12-06 1996-07-22 텐션 풀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5244U (ja) * 1991-01-23 1992-09-10 株式会社ゼクセル 伝達ベルトのテンシヨン調整機構
KR960023644U (ko) * 1994-12-06 1996-07-22 텐션 풀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10582A1 (en) Adjustment Element
KR102221932B1 (ko) 벨트의 안쪽으로 텐션을 가하는 벨트시스템
CN103842720A (zh) 用于将led光源固定至散热器表面上的装置
CN104891379A (zh) 电磁制动装置、电梯用曳引机和电梯
CN103750737B (zh) 压力锅锅盖的夹钳式开合及锁定结构
KR10072305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벽걸이 이동조절 장치
CN107564173B (zh) 纸币处理设备及其钞箱
JP5517663B2 (ja) 阻止バーホルダーのリリース制限機構
EP3372773B1 (en) Roller screen
JP4805098B2 (ja) ピボットヒンジ
KR20190077036A (ko) 조정 장치
CN104654212A (zh) 灯具的万向调节机构的安装固定装置
CN104654211A (zh) 灯具的万向调节机构的安装固定装置
US8348791B2 (en) Tensioner
CA2956169C (en) Belt tensioning device for a hollow blind
KR102217662B1 (ko)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100983201B1 (ko) 안테나 브라켓
KR100651793B1 (ko) 체인장력조절기구
KR101568815B1 (ko) 골판 절곡장치용 이동거리 측정부재
KR101788209B1 (ko)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KR101448564B1 (ko) 롤 블라인드의 회전제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KR20090007374U (ko) 기판에 식각 영역을 만들기 위한 장치
KR20150056138A (ko)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KR101566693B1 (ko) 자동 변속기용 파킹장치
KR20160056036A (ko)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