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395B1 -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395B1
KR960011395B1 KR1019940017931A KR19940017931A KR960011395B1 KR 960011395 B1 KR960011395 B1 KR 960011395B1 KR 1019940017931 A KR1019940017931 A KR 1019940017931A KR 19940017931 A KR19940017931 A KR 19940017931A KR 960011395 B1 KR960011395 B1 KR 96001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pulse signal
speed
sig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395B1/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형파형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를 논리적 등가회로의 형태로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종래에 따른 자동차의 주행속도감지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피드센서 11 : 구동트랜지스터
20 : 제1인버터회로 21 : 제1트랜지스터
30 : 제2인버터회로 31 : 제2트랜지스터
40 : 제1펄스발생기 50 : 노어회로
51 : 제3트랜지스터 60 : 제2펄스발생기
100 : 제1펄스변환수단 200 : 제2펄스변환수단
R1~R7 : 저항 Ra,Rb : 가변저항
Ca,Cb : 캐패시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른 감지펄스를 발생하는 회로구성이 간단화됨과 더불어 기준펄스신호의 가변에 의해 그 주행속도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의 주행속도감지회로에 있어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자기장을 그 베이스측에 입력받아 구동되는 구동트랜지스터(11)가 구비된 홀효과(Hall Effect)방식의 스피드센서(10)로부터 구형파펄스가 출력되면, 마이컴 또는 주파수카운터 및 비교기 등으로 이루어진 속도감지수단(70)에서 이 스피드센서(10)로부터 구형파펄스를 인가받고서 소정의 주행속도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예컨대 과속경고장치 또는 주행시의 도어잠금장치 등과 같은 임의의 구동장치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주행속도감지회로에서는 스피드센서에서 단순히 구형펄스의 주파수만 발생해 주게 되므로 자동차의 소정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임의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마이컴이 추가되거나 주파수카운터 및 비교기를 포함하는 복잡한 회로가 구비되어야 하는 불리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다른 구형파펄스를 인가받아 소정의 주행속도에 대한 펄스신호를 검출하는 회로의 구성을 간단화한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변되는 기준펄스신호에 따라 소정의 주행속도가 검출되는 펄스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스피드센서로부터의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발생하는 소정의 구형파신호를 인가받아 소정의 기준펄스신호를 기초로 변환된 펄스폭을 갖는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제1펄스변환수단과, 상기 스피드센서와 상기 제1펄스변환수단으로 부터의 펄스신호를 각각 인가받아 소정의 기준펄스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주행속도에 따른 펄스신호를 검출하는 제2펄스변환수단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펄스변환수단은 저항과 제1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1인버터회로와, 가변저항과 캐패시터를 통해 발생되는 소정의 기준펄스신호를 공급받아 입력펄스신호를 변환하는 제1펄스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펄스변환수단은 저항과 제2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1인버터회로와, 저항과 제3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노어회로 및, 가변저항과 캐패시터를 통해 공급되는 소정의 기준펄스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주행속도가 검출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2펄스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펄스발생기는 타이머IC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펄스발생기 및 제2펄스발생기의 출력펄스신호는 상기 가변저항과 캐패시터에 의해 발생되는 기준펄스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펄스발생기는 그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기 위해 하이레벨의 리세트신호가 입력되는 리세트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펄스발생기와 제2펄스발생기의 기준펄스신호는 상기 스피드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고속시의 구형파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길게 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스피드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주행속도에 따른 구형파펄스신호에서 특정의 주행속도에 따른 펄스신호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회로의 구성이 보장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참조부호 10은 자동차의 주행속도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구형파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홀효과 방식의 스피드센서이고, 20,30은 A점의 노드에서 검출되는 상기 스피드센서(10)로부터의 구형파펄스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로서 작용하는 제1인버터회로 및 제2인버터회로로서, 상기 제1인버터회로(20)는 저항(R2,R3)과 제1트랜지스터(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인버터회로(30)는 저항(R4,R5)과 제2트랜지스터(3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피드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A점의 노드에서의 구형파펄스신호는 자동차의 저속 상태보다 고속 상태에서의 펄스폭이 더 작게 나타난다〔즉,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상기 구형파펄스신호의 펄스폭은 반비례한다〕.
또한, 참조부호 40은 소정의 기준펄스신호를 기초로 그 제1입력단자(I1)에 상기 제1인버터회로(20)에 의해 반전되어 입력되는 상기 스피드센서(10)로 부터의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변환하여 그 제1출력단자(01)에 출력하는 타이머IC로 이루어진 제1펄스발생기로서, 상기 제1펄스발생기(40)에서의 기준펄스는 가변저항(Ra)과 캐패시터(Ca)의 가변저항치와 캐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50은 상기 제2인버터회로(30)에 의해 그 위상이 반전되는 구형파펄스신호와 상기 제1펄스발생기(40)의 출력단자(O1) 즉, B점에서의 구형파펄스신호가 논리곱 처리된 결과의 C점에서의 펄스신호의 위상을 반전하기 위한 제3도에서 앤드게이트(50a)와 인버터(50b)가 직렬 연결된 노어회로이고, 60은 소정의 기준펄스신호를 기초로 그 제1입력단자(I1)에 입력되어 상기 노어회로(50)로부터의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변환하여 그 출력단자(O1)에 출력하는 타이머IC로 이루어지 제2펄스발생기로서, 상기 제2펄스발생기(60)에서의 기준펄스는 가변저항(Rb)과 캐패시터(Cb)의 가변저항치와 캐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펄스발생기(60)에는 그 출력단자(O1)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기 위해 하이레벨의 리세트신호가 입력되는 리세트단자(I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한 제3도의 논리적 등가회로와 제2도의 타이밍챠트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서 Ton1은 상기 가변저항(Ra)과 캐패시터(Ca)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펄스폭을 나타낸 것이고, Ton2는 상기 가변저항(Ra)과 캐패시터(Ca)에 의해 결정되는 Ton1의 하이펄스신호가 상기 제1펄스발생기(40)의 제1입력단자(I1)에 입력되고 고속시의 구형파펄스신호에 의해 그 하이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펄스폭을 나타낸 것이며, Ton3는 상기 가변저항(Rb)과 캐패시터(Cb)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펄스폭을 기초로 상기 제2펄스발생기(60)의 제1입력단자(I1)에 입력되는 고속시의 반전된 펄스신호에 의해 그 하이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펄스폭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가변저항(Ra,Rb)과 캐패시터(Ca,Cb)에서 결정되는 기준펄스신호의 하이상태의 펄스폭은 상기 스피드센서(10)에서 발생되는 고속시의 구형파펄스신호의 하강에지에서 다음 펄스의 상승에지 까지의 펄스폭보다는 길게 취하되, 저속시의 구형파펄스신호의 하강에지에서 다음 펄스의 상승에지 까지의 펄스폭보다는 길게 취하되, 저속시의 구형파펄스신호의 하강에지에서 다음 펄스의 상승에지 까지의 펄스폭보다는 작게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피드센서(10)에 의해 감지되어 출력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른 A점에서의 구평파펄스신호가 제2도의 A와 같이 저속시에는 그 펄스폭이 크고 고속시에는 그 펄스폭이 작게 나타나고 있는 상태에서, 제1인버터회로(20)와 제2인버터회로(30)에서는 상기 구형파펄스신호를 반전시켜 제3도의 A-1과 같은 반전된 구형파펄스신호가 나타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제1펄스발생기(40)에서는 상기 제1인버터회로(20)를 통해 반전된 구형파펄스신호를 그 제1입력단자(I1)에 입력받아 상기 가변저항(Ra)과 캐패시터(Ca)에 의해 그 펄스폭이 결정된 기준펄스신호를 기초로 그 출력단자(O1)에서 제2도의 B와 같이 저속시에는 A-1의 하강에지에서 하이상태가 되는 기준펄스신호(Ton1)가 인가되고, 고속시에는 A-1의 펄스폭이 상기 기준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작으므로 계속적으로 하이상태의 펄스신호(Ton2)가 인가되게 된다.
한편, 노어회로(50)의 앤드게이트(50a)에서는 상기 제1펄스발생기(40)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인버터회로(30)에 의해 반전된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동작하고서 제2도의 C와 같이 고속시의 하이상태의 펄스폭이 작은 구형파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상기 노어회로(50)의 인버터(50b)는 상기 앤드게이트(50a)로 부터의 구형파펄스신호를 입력받아 그 위상을 반전시킴에 따라 제2도의 D와 같이 저속시에는 하이레벨의 펄스신호가 인가되고 고속시에는 상기 C에서의 로우상태의 펄스신호가 하이상태로 인가되게 된다.
그에 따라, 제2펄스발생기(60)에서는 상기 노어회로(50)로 부터의 펄스신호를 그 제1입력단자(I1)에 입력받아서 상기 가변저항(Rb)과 캐패시턴스(Cb)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펄스신호를 기초로 그 출력단자(O1)를 통해 제2도의 E와 같이 상기 D의 파형의 펄스폭이 상기 기준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더 작으므로 Ton3와 같은 하이펄스신호가 발생된다. 즉, 고속시의 구형파펄스신호가 검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펄스발생기(60)의 출력단자(O1)를 통해 출력되는 고속의 펄스신호가 검출된 E출력펄스신호는 예컨대 과속경고장치나 주행시의 도어 잠금장치 또는 정차시의 전조등점멸장치와 같은 응용장치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E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파형을 고속시라도 로우상태로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제2펄스발생기(630)의 리세트단자(12)를 통해 하이레벨의 입력펄스를 인가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스피드센서로 부터 주행속도가 감지되고서 발생되는 구형파펄스신호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펄스신호에 따라 특정의 주행속도에 따른 펄스신호가 간단히 구성된 회로를 통해서 검출된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관련된 응용장치와의 적용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간단한 회로의 구성을 통해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스피드센서(10)로 부터의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발생하는 소정의 구형파신호를 인가받아 소정의 기준펄스신호를 기초로 변환된 펄스폭을 갖는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제1펄스변환수단(100)과, 상기 스피드센서(10)와 상기 제1펄스변환수단(100)으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각각 인가받아 소정의 기준펄스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주행속도에 따른 펄스신호를 검출하는 제2펄스변환수단(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스변환수단(100)은 저항(R2,R3)과 제1트랜지스터(21)로 이루어진 제1인버터회로(20)와, 가변저항(Ra)과 캐패시터(Ca)를 통해 발생되는 소정의 기준펄스신호를 공급받아 입력펄스신호를 변환하는 제1펄스발생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펄스변환수단(200)은 저항(R4,R5)과 제2트랜지스터(31)로 이루어진 제1인버터회로(30)과, 저항(R6,R7)과 제3트랜지스터(51)로 이루어진 노어회로(50) 및, 가변저항(Rb)과 캐패시터(Cb)를 통해 공급되는 소정의 기준펄스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주행속도가 검출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2펄스발생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펄스발생기(40,60)는 타이머IC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펄스발생기(40) 및 제2펄스발생기(60)의 출력펄스신호는 상기 가변저항(Ra,Rb)과 캐패시터(Ca,Cb)에 의해 발생되는 기준펄스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펄스발생기(60)는 그 출력단자(O1)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기 위해 하이레벨의 리세트신호가 입력되는 리세트단자(I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스발생기(40)와 제2펄스발생기(60)의 기준펄스신호는 상기 스피드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고속시의 구형파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길게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KR1019940017931A 1994-07-25 1994-07-25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KR960011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931A KR960011395B1 (ko) 1994-07-25 1994-07-25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931A KR960011395B1 (ko) 1994-07-25 1994-07-25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395B1 true KR960011395B1 (ko) 1996-08-22

Family

ID=1938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931A KR960011395B1 (ko) 1994-07-25 1994-07-25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39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7266A (ko) 위상 에러 신호 발생기
JPH06221871A (ja) アナログ/ディジタル・コンバータ
KR960011395B1 (ko)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지펄스발생회로
JPH05207749A (ja) インバータ装置
KR950003946A (ko) 전력 연산장치
JPS623673B2 (ko)
JP2005233626A (ja) 車輪速検出装置
SU1497580A1 (ru) Тахометр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JP2732402B2 (ja) モータの異常回転検出装置
JP3131975B2 (ja) ディジタル三相pwm波形発生装置
SU1453585A2 (ru) Синхронный детектор
KR970071807A (ko) 주파수 검출회로
SU1238225A1 (ru) Синхронный детектор
SU104350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приработки подшипников
KR940019073A (ko) 플로우팅 감지 회로
KR880003191A (ko) 3상 모터 회전방향 검출회로
SU132875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скорости
KR940017066A (ko) 인버터 구동장치의 데드시간 발생방법
SU641462A1 (ru) Интегратор
JPH0318884Y2 (ko)
JPS59128822A (ja) 半導体回路
SU1242907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тока утечки КМОП-микросхем в динамическом режиме
SU921053A1 (ru) Управл емый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SU89460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равнени фаз
SU916965A1 (ru) Динамический емкостной датчик наличи объек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