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294B1 - 정보기록매체의 자동 교환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기록매체의 자동 교환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294B1
KR960011294B1 KR1019940003496A KR19940003496A KR960011294B1 KR 960011294 B1 KR960011294 B1 KR 960011294B1 KR 1019940003496 A KR1019940003496 A KR 1019940003496A KR 19940003496 A KR19940003496 A KR 19940003496A KR 960011294 B1 KR960011294 B1 KR 960011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ording
recording medium
magazine
carrier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711A (ko
Inventor
최영범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294B1/ko
Publication of KR95002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5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disks are transferred from a fixed magazine to a fixed playing unit using a moving carri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1Selecting or spacing of record carriers for introducing th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6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vertical axi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기록매체의 자동 교환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정보기록매체 자동교환장치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정보기록매체의 자동교환장치에 대한 구동전 상태의 평면도.
제3도(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기록매체 자동교환장치의 매거진에서 정보기록매체를 꺼내는 상태에 대한 평면도.
재3도(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기록매체 자동교환장치의 트레이에 정보기록매체가 안착직전, 설정위치로의 삽입완료직전 상태에 대한 평면도.
제3도(c)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기록매체 자동교환장치의 재생구동장치에 정보기록매체를 장착하는 상태에 대한 평면도.
제4도는 제2도(a)의 A-A선 단면도.
제5도(a)(b)는 본 발명중 슬라이드체의 돌편과 온/오프 스위치에 대한 구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6도는 종래의 정보기록매체 자동교환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쥬크박스 2 : 매거진
3 : 재생구동장치 10 : 운반부재
11 : 캐리어 본체 20, 30 : 제1, 제2슬라이더
21, 22, 22', 31, 32, 32' : 래크 24, 24', 34, 34' : 푸쉬레버
28, 28', 38, 38' : 스토버 29, 39 : 돌편
40, 50 : 동력장치 70 : 이송부재
65, 65a, 66, 66a : 로울러 71, 72, 74, 75 : 온/오프센서
80 : 체크센서
본 발명은 매거진에 보관되는 정보기록매체를 별도의 위치에 있는 재생구동장치로 이동시키거나, 메카니즘에 안착된 정보기록매체를 이동시켜 매거진에 다시 삽입하는 동작을 최소한으로 제공된 공간범위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자동 교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기록매체는 일정한 규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에 기록할 수 있는 정보의 저장량은 한정적이어서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기에는 제한적 이므로 많은 정보가 요구되는 업무에서는 여러 장의 새로운 정보기록매체를 준비하여 필요시에 사용되는 정보기록매체와 교환하여 사용하여 왔다.
따라서 여러장의 정보기록매체를 구동메카니즘에 교체하여 주는 동작은 소정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여 이 동작을 취하는 사용자는 정보기록매체의 교환작업에 대하여 취급상의 불편함으로 느끼게 되었고, 이러한 불편은 정보기록매체를 구비한 량이 많을 수록에 비례적으로 증가되는 것이어서 많은 량의 정보기록매체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기에 이르렀다.
정보취급에서의 요구되는 정보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바있는 정부기록매체의 자동교환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부기록매체의 구동메카니즘 상측공간에 정보기록매체를 수평하게 삽입하고 꺼낼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된 정부기록매체의 보관실을 여러층으로 구비한 매거진을 설치하고, 상기 매거진의 최상단에서 구동 메카니즘의 상면까지 스트로크를 가지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에는 매거진과 구동메카니즘에서 정보기록매체를 밀어내거나, 이동체에서 매거진과 재생구동장치로 밀어주는 동작을 하는 아암을 구비하여 여러장의 정보기록매체가 선택적으로 교환되어 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기록매체의 자동교환장치가 미국의 빅터(VICTOR)와, 일본이 소니(SONY)에서 개발되어 제공된 바 있다.
여기서 정보기록매체의 자동교환장치중에 VICTOR방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매거진에 형성된 보관실과 보관실 사이의 공간에는 정작 모기록매체를 삽입하거나 꺼낼 수 있는 트레이를 구비하여 재생구동장치에서 매거진의 최상단에 이르기까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리어의 상면으로 정보기록매체가 담겨진 매거진의 트레이를 수장실로부터 꺼내고 이를 전자석의 힘으로 캐리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트레이를 수장실로 다시 삽입하고, 정보기록매체가 부착된 캐리어를 재생구동장치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재생 구동장치의 트레이를 꺼내 정보기록매체를 상기의 트레이 위에 올린 후 트레이를 재생구동장치로 복귀시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고, 정보기록매체를 구동메카니즘의 트레이에서 꺼내어 다시 매거진의 트레이로 삽입하는 동작을 이루기에 충분한 구성을 갖추었다.
이러한 VICTOR 방식의 정보기록매체 교환장치는 매거진과 재생 구동장치에 설치한 트레이를 꺼내고 삽입하여 주는 동작을 취해야만 하므로 구동상태가 복잡하여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기구물의 동작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VICTOR방식에서는 매거진, 캐리어 구동메카니즘 등의 구성물들은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립작업의 어려움과 고장발생부위가 많은 것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일본 SONY방식의 정보기록매체 자동 교환장치에 대하여 제6도의 내용으로 설명하면 재생구동메카니즘의 상부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한 매거진(100)의 보관실에 삽입된 정보기록매체(400)를 매거진의 최상된과 구동메카니즘의 상면사이를 이동하는 캐리어(200)에 설치한 푸쉬레버(301)로 밀어주면 캐러이내의 큰원주의 원형로울러(300)가 회전하여 캐리어 중심으로 정보기록매체를 이동시키면 캐리어는 구동메카니즘 위치로 이동되고 캐리어에 설치된 또 하나의 푸쉬레버(302)가 정보기록매체를 재생구동 메카니즘의 중심으로 밀어 재생동작을 이루게 되고, 재생이 끝나면 재생구동메카니즘에서 캐리어, 캐리어에서 매거진 내로 정보기록매체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정보기록매체의 교환을 이루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SONY의 정보기록매체의 구동방식은 캐리어내의 푸쉬레버과 큰 원주의 원형 로울러의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캐리어 양측에 위치한 또는 구동메카니즘에 위치한 정보기록매체를 구름상태로 소정의 방향에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어서 이들 구동부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들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부품들의 가격이 비싸서 구입하기에도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정보기록매체의 수평이동에 의한 교환이 오토 체인저 내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특히 교환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정보기록매체를 가지고 최상단의 매거진 위치에서 최하단의 재생구동장치의 위치까지 수직이동운반하는 캐리어 본체로 이루어진 운반부재; 동력장치의 구동력으로 수평이동하는 랙이 정보기록매체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인출레버를 회전시켜 정보기록매체에 구름력을 제공하는 인출부재; 매거진 또는 재생구동장치로부터 인출되는 정보기록매체를 탄성로울러의 마찰력으로 캐리어에 인도, 장착하며 운반부재의 수직이동시 안정되게 잡아주는 이송부재; 상기 인출부재의 대향한 위치에서 수평하게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정보기록매체의 원주면에 삽입력을 재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저장부재; 의 구성으로된 정보기록매체의 오토체인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의하면 정보기록매체의 운반을 구름상태로 할 수 있고, 캐리어 본체측으로 이동된 정보기록매체는 캐리어에서 록크된 상태로 매거진의 상단과 재생구동장치의 하단으로 운반되어 진다.
그리고, 정보기록매체의 꺼냄은 운반부재에서 수평이동력이 가해지는 인출레버와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하는 이송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정보기록매체의 삽입은 상기의 이송부재와 저장 부재의 구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운반부재의 캐리어 본체에 구비하는 이송부재에서 고무로울러가 정보기록매체를 록크하고 록크해제하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저장되는 정보기록매체 교환기에 대한 사시도인데, 45매의 정보기록매체를 저장할 수 있는 매거진(2)을 수직방향으로 4개를 적재하여 대체로 직사각형상을 이룬 그의 마주하는 곳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 동일한 형태 매거진을 4개 수직하게 설치하여 360매의 정보기록매체를 쥬크박스(1)내에 보관하는 상태에서 양측에 마련된 각각의 매거진(2) 하단에는 정보기록매체를 구동시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게 하는 재생구동장치(3)를 설치한 구성이고, 이들의 매거진에 보관된 정보기록매체(D)를 재생구동장치로 이동시키고, 재생구동장치에 이동된 정보기록매체(D)를 매거진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 본체(11)는 매거진의 최상단 위치에서 매거진 하단에 위치한 재생구동장치까지 승하강이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졌다.
제2도는 정보기록매체 자동교환기를 구성하는 매거진(2)과 운반부재 (10)에 대한 평면도인데, 여기서 매거진의 설치상태는 쥬크박스(1)내에서 대칭적이고, 운반부재(10)도 대칭적인 구성을 갖는다.
쥬크박스(1)의 내부공간의 양측에는 정보기록매체(D)를 360매 보관할 수 있는 매거진(2)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매거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정보기록매체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장소로 이동시키는 운반부재(10)가 설치된다.
상기의 운반부재(10)는 알파벳의 문자 중 'T'자의 형상을 이루면서 정보기록매체(D)를 옮겨 놓기에 충분한 면적을 확보한 캐리어 본체(11)를 형성하고, 매거진과, 재생구동장치에 위치한 정보기록매체를 캐리어측으로 밀어내는 동작을 하는 제1푸쉬레버(24) , (24')와, 정보기록매 체를 매거진측으로 밀어넣는 동작을 하는 제2푸쉬레버(34), (34')를 매거진의 전방과 후방의 대향한 위치에 각각 설치하고, 제1, 제2푸쉬레버 (24) (24'), (34) (34')들 사이의 중간위치에서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더의 동력장치(40), (50)와, 상기의 동력장치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제1, 제2푸쉬레버에 전달하기에 충분한 길이와 맞물림구성을 갖추어 수평이동하는 각각의 슬라이드체(20) (30)를 구비한다.
상기 각 슬라이드체(20) (30)의 내측면 중앙에는 래크(21), (31)를 형성하고, 이 래크에는 정력회전가능한 구동모터(M)의 워엄(41), (5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워엄휠기어(42), (52)가 맞물리게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푸쉬레버는 마치 자동차의 유리창을 닦는 윈드와이퍼와 같은 지점회동상태로 되는 것을 제3도(a)와 제3도(c)에 의해서 알 수 있다.
슬라이드체(20,30)의 수평이동에 의하여 지점회동하는 제1, 제2푸쉬레버가 이상범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푸쉬레버에는 록크(27,27'), (37,37')를 소정의 위치에 형성하고, 푸쉬레버의 회전시 록크가 걸릴 수 있는 위치에 스토퍼(28,28') (38,38')를 설치한다.
슬라이더 동력장치(40) (50)에 의하여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는 제1, 제2슬라이더(20,30)의 랙(21,31)형성부분의 양단에는 동력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돌편(29,39)을 형성하고, 이 돌편의 스트로크 위치에 동력장치의 구동이 반대 방향으로 전환되거나, 정지케 하는 온/오프 센서(71,72), (74,75)를 설치하고, 돌편과 돌편 사이의 중간에는 랙의 이동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랙홈 포지션 센서(73,76)과 포지션핀(29A,39A)를 설치한다.
제4도는 이송부재(70)의 설치상태를 단면하여 나타내었으며, 이에는 정보기록매체가 출입하는 각 매거진의 출입구 앞에 한쌍으로 설치되며 정보기록매체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이동력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마찰력이 보유된 이송부재(70)가 정보기록매체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을 형성한다.
이송부재는 통상적으로 로울러(65,65a) (66,66a)를 사용하며 이 로울러 가 정보기록매체와 접촉할때 접촉면이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로울러의 표면에 탄성부재를 감싸아 준다.
이송부재의 로울러에 사용되는 탄성부재로는 고무재와 실리콘재가 적당하다.
상기의 로울러(65) (66)의 축 일단에는 로울러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60)와, 각 매거진의 입구에 설치된 구동체의 축 타단에는 동력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가 설치된다.
상기의 동력장치(60)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M)와, 모터의 축에 축결합된 워엄(61)과 워엄휠(62) 및 기어군(63)으로 이루어져 구동체의 종동기어(64)에 맞물리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동력전달부재는 로울러(65) (66)의 축에 결합된 타이밍풀리(67)와 이 풀리에 긴장되는 타이밍 밸트(68)로 이루어 진다.
상기의 이송부재(70)는 정보기록매체를 설정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목적으로 체크센서부(80)와 연결되며 이들을 캐리어 본체(11)의 표면에 설치하되 정보기록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되는 체크센서는 캐리어의 3곳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존의 교환방식과는 달리 매거진의 전후방에서 수평이동하는 슬라이드체에 의하여 이동력이 정보기록매체의 원주면에 전해지고, 매거진의 출입구에 설치 구동체에 의하여 이동력이 정보기륵매체의 표면으로 전해진다.
그리고, 발생되는 구동력이 정보기록매체에 전달되어 소정의 장소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이동스트로크에 의하여 각 위치에 설치된 온오프 센서가 접속되어 전기적인신호를 동력장치에 전달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러에 의하여 다음동작에 관련한 신호를 받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사용자의 기능선택에 의하여 동력은 쥬크박스(1)내의 운반부재(10)에 전달되어 형재의 위치에서 설정되어진 위치로 수직 이동한다.
이렇게 이동하는 운반부재가 설정된 위치에 이르면 도시하지 않은 수직이동 감지센서에 의하여 동력장치가 제어되어 정지상태로 된다.
이어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제1슬라이더의 동력장치(40)에 전원이 공급되는 구동모터(M)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발생된다.
이때의 회전력은 동력장치의 워엄(41)에 맞물린 워엄휠기어(42)를 통하여 제1슬라이더(20)의 래크(21)에 전달되어 슬라이드체는 수평하게 제1푸쉬레버(24)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슬라이드체가 푸쉬레버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드체의 양단에 형성된 래크가 푸쉬레버(24)의 원호치차에 맞물리게 되고 이러한 맞물림에 의하여 푸쉬레버는 정보기록매체(D)의 원주면을 향하여 회전된다.
원주면을 향하여 회전하게 되는 푸쉬레버(24)의 선단은 매거진 또는 재생구동장치에 위치한 정보기록매체의 원주면에 접촉되어 푸쉬레버에 전달된 힘으로 정보기록매체를 밀어낸다.
상기 푸쉬레버는 정보기록매체가 A선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하게 되고, A선에 정보기록매체가 이르면 슬라이드체의 돌편(29)이 제1온/오프 센서(71) (72)를 접속시켜 구동모터(M)의 전원이 단속됨과 등시에 슬라이드체의 이동은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체의 동력장치(60)가 구동된다.
제1온/오프 스위치(71)가 슬라이드체의 돌편(29)에 의하여 접속되면 제1슬라이더 동력장치(40)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된 슬라이드체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스토퍼(28) (28')에 의하여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제1푸쉬레버(24) (24')는 도시하지 않는 비틀림스프링력으로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로울러체의 동력장치(60)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면 워엄 (61)과 맞물린 워엄휠기어(62) 및 기어군(63), 종동기어(64)를 거쳐서 이송부재(70)인 로울러체(65) (65a)에 전달되어 로울러체는 회전된다.
이때, A선에 위치한 정보기록매체(D)의 원주면은 로울러체(65,65a)의 맞물린 부분에 접속된 상태를 이루고있으므로 로울러체의 회전력이 정보기록매체에 도달된다.
따라서 정보기록매체는 로울러체에 접촉된 부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구동체 사이의 간격으로 진입하고 대향한 위치에 있는 또 하나의 로울러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로울러체가 회전함에 따라서 로울러체 타측의 타이밍 풀리 (67)에 걸어진 타이밍벨트(68)도 회전하게 되어 대향한 위치에 있는 또 하나의 로울러(66) (66a)로 구동력은 전달된다.
구동체 사이의 간격으로 진입되어 운반부재(10)의 캐리어(11)로 이동되는 정보기록매체(D)의 상태가 체크센서(80a) (80b) (80c)에 의하여 확인되며 이 체크센서(80a) (80b) (80c)의 감지순서에 따라서 로울러체들의 동력장치(60)는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정,역 회전에 의하여 정보기록매체는 운반부재로 삽입되거나, 빠져나가는 이동성을 갖게된다.
정보기록매체가 운반부재의 캐리어에 얹혀지는 상태를 이루게 되면 체크센서(80a) (80b) (80c)는 모두 감지되는 상태가 되어 구동중인 동력장치(60)를 정지시키는 상태를 이루고, 동력장치가 정지된 상태에서 운반부재(10)는 정보기록 매체(D)를 가지고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고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된다.
상기의 운반부재 이동시에 캐리어(11)에 얹혀진 정보기록매체는 양측의 로울러체(65,65a) (66,66a)에 진입된 상태를 이루므로 운반부재에서는 정보기록매체가 록크상태로 된다.
이때의 록크상태는 정보기록매체의 양측 표면을 가로지르는 상태를 한쌍의 로울러체로 이루므로 정보기록매체의 록크상태는 매우 안정적인 상태로써 외부에서 충격이 전해져도 요동되지 않는다.
운반부재(10)의 이동이 정지하게 되면 로울러체들의 동력장치(60)에서는 정보기록매체가 진입할 때와는 반대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발생되어 정보기록매체에 전달하고, 이러한 동력전달에 의하여 정보기록매체는 설정된 장소로 이동하게 되고 정보기록매체(D)가 캐리어를 빠져나가 A선에 도달하면 체크센서(80a) (80b) (80c)의 감지작용으로 로울러체(65,65a) (66,66a)의 구동장치(60)는 정지하는 상태로 된다.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모터(M)가 체크센서에 의하여 정지하면 이어서 제2슬라이더 래크(31)에 치차 맞물림구성을 이룬 구동 모터(M)가 구동되므로 슬라이드체(30)는 소정의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고 이 슬라이드체의 래크(31)에 맞물린 제2푸쉬레버(34,34')는 정보기록매체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A선에 도달된 정보기록매체의 원주면에 회전하는 제2푸쉬레버(34,34')가 접촉되므로 설정된 장소로 정보기록매체(D)는 삽입되고, 제2슬라이더의 돌편(39)은 제2온/오프 스위치(74,75)를 접속시키어 제2슬라이더 동력장치(50)의 구동이 정지되고, 푸쉬레버의 이상회전은 스토퍼 (38,38')에 의해 적당한 회전위치에서 제어되어 이상회전은 방지된다.
제2온/오프센서(74,75)가 접속되면 구동모터(M)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슬라이더(30)를 최초의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고, 제2푸쉬레버는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스프링에 의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정보기록매체(D)의 원주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체의 수평왕복이동에 의한 푸쉬레버의 회전이 매거진의 입구와 내측에서 이루어지게 한 구성으로 정보기록매체의 출입이 원할해지고, 매거진 입구에서 구동체가 정역회전하게 한 구성으로 정보기록매체의 수평이동이 가능한 것이어서 선택된 정보기록매체의 이동이 설정된 장소에서 정확하게 이루어져 소망하는 정보기록매체가 간단하게 교체되는 이점이 있으며, 운반부재의 전방과 후방 그리고, 매거진의 출입구앞에 교환장치를 평면적으로 구성하므로써 쥬크박스의 크기와 무게등을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교환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실시예 1
쥬크박스(1)의 내부공간의 양측에는 제2도와 같이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매거진(2)을 설치하되, 매거진의 출입구가 마주보게 한다.
상기의 매거진 사이의 공간에는 정보기록매체가 얹어질 수 있는 면적으로 된 트레이부와, 정보기록매체에 출입력을 전달하여 주기위한 제1, 제2푸쉬레버(24,24') (34,34') 및 슬라이더체(20,30)를 설치할 수 있는 면적으로 된 지지부를 일체로 갖는 운반부재(10)가 설치된다.
따라서 운반부재(10)의 전방 지지부에는 인출력을 정보기록매체에 전달하여 주기위한 제1푸쉬레버(24,24')와 슬라이더체를 설치하고, 운반부재의 후방지지부에는 정보기록매체에 삽입력을 전달하여 주기 위한 재2푸쉬레버(34,34')와 슬라이더체를 설치한다.
상기의 각 지지부에는 가이드 부싱(23,33)이 설치되어 이에 슬라이드체의 제1슬라이더(20)와 제2슬라이더(30)가 끼워지는 구성을 이루어 슬라이드체는 수평으로 이동함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제2슬라이더(20) (30)의 중간위치에 형성된 래크(21,31)에는 입출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로써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M)와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워엄(41,51)에 맞물려 있는 워엄휠 기어 (52,62)가 설치되어 이들의 치차가 맞물리게 한다.
상기의 제1, 제2슬라이더(20,30)들의 양단에는 각기 또는 하나의 래크(24,24'), (34,34')가 구비되어 있어 이 부분의 래크가 제1, 제2푸쉬레버 (24,24')의 짧은단에 형성한 원호래크(25,25')와 맞물리게 한다.
그리고, 제1, 제2푸쉬레버(24,24') (25,25')는 원호래크외에 정보기록매체에 접촉되는 아암(26,26')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원호래크(25,25')와 아암(26,26')의 사이에는 푸쉬레버를 지지부에 설치되는 힌지핀(24A,24A')이 형성되어 있고, 힌지핀의 주위에는 푸쉬레버가 이상범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커(27)가 돌출된 구성을 이룬다.
또한, 푸쉬레버의 이상회전범위에는 상기의 록커가 걸리도록한 스토퍼 (28)가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제1슬라이더(20)는 정보기록매체에 인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에 맞물리게 되는 제1푸쉬레버(24)의 아암(26)이 정보기록매체의 외측원주면에 접촉되는 구성을 이루게 되고, 제2슬라이더(30)는 정보기록매체에 삽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에 맞물리게 되는 제2푸쉬레버(34)의 아암(36)이 정보기록매체의 내측 원주면에 접촉되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각 매거진(2)의 출입구 앞부분에는 정보기록매체의 표면에 마찰력을 재공하여 주기에 직당한 탄성재로 제작하고 정보기록매체의 표면에 탄력접촉할 수 있는 간격으로 한쌍의 로울러체(65,65a) (66,66a)가 각각 설치된다.
이들의 로울러체의 축 끝단에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타이밍 풀리(67)와 동력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종동기어(64)가 설치 고정된다.
상기의 타이밍풀리(67)에는 동력전달부재인 벨트(68)가 걸어지고, 종동기어(64)에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모터(M), 구동모터의 워엄(61), 워엄휠기어(62), 기어군(63)등으로 이루어진 동력장치(60)가 연결된다. 타이밍 풀리(67)에 걸어지는 동력전달부재로 타이밍벨트이면 바람직하다.
로울러체(65,65a) (66,66a)와 동력 장치(60)에 의한 이송부재(70)가 설치된 캐리어 본체(11)에는 정보기록매체(D)의 안착유무를 감지하여 이송부재의 동력장치가 정역으로 회전하게 하는 수개의 체크센서부(80)를 설치한다.
이러한 체크센서부에는 센서(80a) (80b) (80c)가 3개이면 적당하지만 교환장치의 기능에 따라서는 센서의 수를 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푸쉬레버가 소정의 상태로의 동작과, 이상범위로 동작하는 감지하여 제어하기 위하여 제1온/오프 센서(71,72), 제2온/오프 센서(74,75)를 슬라이드체의 랙주위에서 수직하게 돌출시켜 형성한 돌편(29,39)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그리고, 랙이 형성된 상면 중앙에는 랙의 홈포지션핀(29A)을 감지하기 위한 홈포지션 센서(73,76)를 제1, 제2슬라이더체 주변에 설치한다.

Claims (4)

  1. 정보기록매체(D)를 가지고 최상단의 매거진(2) 위치에서 최하단의 재생구동장치(3)의 위치까지 수직이동하며, 정보기록매체가 얹혀지는 캐리어 본체(11)와, 설정장소로 정보기록매체를 인도하는 푸쉬레버와 슬라이드체를 설치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운반부재(10); 운반부재 (10)에서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동력장치(40), (50)의 워엄휠 기어(42) (52)가 중앙의 랙(21) (31)에 맞물리는 구성으로 수평이동하는 슬라이드체(20), (30)의 양단에 형성한 랙(22,22') (32,32')에 맞물려 정보기록매체의 내측과 외측 원주면을 향해 지점회전하는 제1, 제2푸쉬레버(24,24'), (34,34')로 이루어진 인출부재; 매거진, 재생구동장치, 캐리어로부터 인출되는 정보기록매체를 표면마찰력으로 인도, 장착하도록 각 매거진의 입구와 근접한 위치에 정보기록매체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치하여 정보기록매체의 표면을 안정되게 잡아주는 탄성부재의 로울러(65,65a)와 대향하게 설치된 한쌍씩의 로울러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장치와 등력전달부재를 구비한 이송부재(60); 상기 운반부재의 캐리어에서 정보기록매체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균일간격으로 설치되어 정보기록매체의 유무상태를 감지하여 이송부재의 동력장치에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체크센서(80)로 이루어진 정보기록매체의 오토체인저.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푸쉬레버(24,24'), (34,34')의 최대회전범위에는 레버의 이상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28,28'), (38,38')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오토체인저.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슬라이드체(20), (30)에 형성된 랙(21), (31)부분양단에는 돌편(25), (39)을 형성하며 돌편의 스트로크위치에 제1, 제2동력장치(40), (5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2온/오프센서(71) (72), (74) (75)를 각각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오토체인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인도, 장착하는 한쌍의 로울러를 형성하는 탄성부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오토체인저.
KR1019940003496A 1994-02-25 1994-02-25 정보기록매체의 자동 교환방법 및 그 장치 KR960011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496A KR960011294B1 (ko) 1994-02-25 1994-02-25 정보기록매체의 자동 교환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496A KR960011294B1 (ko) 1994-02-25 1994-02-25 정보기록매체의 자동 교환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711A KR950025711A (ko) 1995-09-18
KR960011294B1 true KR960011294B1 (ko) 1996-08-21

Family

ID=1937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496A KR960011294B1 (ko) 1994-02-25 1994-02-25 정보기록매체의 자동 교환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2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711A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6127A (en) Mechanism for transporting and receiving large and small tape cassettes
US4772968A (en) Random-access video tape cassette storage and playback apparatus
EP0215767B1 (en) Swinging record changer
US5337297A (en) Magazine drawer manipulation system for a data carrier loader
EP0392489A2 (en) Changing apparatus
EP0374899B1 (en) Magnetic tape cassette loading system i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6215757B1 (en) Reproduction/recording apparatus having a divisible housing for disc-shaped recording carriers and a reproduction/recording head mounting rack
US6031811A (en) Arrangement of subtrays in a main tray of an optical disc drive apparatus
JPH04214260A (ja) ディスクカ−トリッジ収納装置
KR0158055B1 (ko) 디스크 재생 장치
JPS62239372A (ja) カセツトオ−トチエンジヤ−
JP3760024B2 (ja) 記録媒体の保管装置
KR960011294B1 (ko) 정보기록매체의 자동 교환방법 및 그 장치
KR960011292B1 (ko) 정보기록매체의 자동 교환방법 및 그 장치
JP2883013B2 (ja) ライブラリ装置及びライブラリ装置のアクセッサハンド機構
US5850376A (en) Cartridge auto-changer having a push lever and a feed roller
JP2830090B2 (ja) カセツトオートチエンジヤー
JP2687402B2 (ja) カセツトオートチエンジヤー
US6115207A (en) Cassette storage with carrier having gripping and transfer apparatus
JPH0426824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搬送装置及び方法
KR970000414B1 (ko) 오토 체인저의 정보기록매체용 운반부재구동방법 및 장치
JP2721800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JP2919237B2 (ja) オートチェンジャ
KR0147231B1 (ko) 디스크 자동 교환 장치의 누름장치
JP2841499B2 (ja) カセツトオートチエンジヤ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