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479Y1 -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 - Google Patents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479Y1
KR960010479Y1 KR2019930019240U KR930019240U KR960010479Y1 KR 960010479 Y1 KR960010479 Y1 KR 960010479Y1 KR 2019930019240 U KR2019930019240 U KR 2019930019240U KR 930019240 U KR930019240 U KR 930019240U KR 960010479 Y1 KR960010479 Y1 KR 960010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ipe
flange
pumping
pack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9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250U (ko
Inventor
조희남
Original Assignee
조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남 filed Critical 조희남
Priority to KR2019930019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479Y1/ko
Publication of KR950009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2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6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플랜지를 사용한 조립식 진공양수장치의 케이싱 상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분 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플랜지를 사용한 조립식 진공양수장치의 케이싱 상부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출원인에 의한 국내 선특허출원 제92-13374호에 개시된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케이싱 카바링 50 : 패킹링
60 : 케이싱 막음용 플랜지부재
본 고안은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는 대장균 등의 세균이 없고, 인체에 유익한 무기질 원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수량 및 수온이 일정하여 음료용으로 널리 개발되고 있는 외에, 최근 하절기 열교환 냉매로 활용하기 위해서도 개발되고 있다.
본 고안은 특히 음료용으로 개발되는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특히 본 출원인의 국내 선특허출원 제92-13374호에 개시된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국내 선특허출원 제92-13374호에 따른 지하수 진공양수장치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내주면에 중공파이프형 케이싱(4)이 설치된 심정(深井)(6)내부에, 다수의 단위 파이프를 그 양단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14)끼리 연결하여서 된 양수파이프연속체(8)를 배설하고, 이 양수파이프연속체(8)의 하단에 수중모터펌프(10)를 설치하며, 상기 양수 파이프연속체(8)의 지상측 상부에 양수용 상부장치(18)가 연결되어서 양수파이프 연속체의(8)의 상단 외주면에 상기 케이싱 플랜지(20)에 안착되는 대경플랜지(22)에는 심정(6) 내부의 진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흡기체트밸브(24)를 장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발명은 심전내부에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신정내부의 수맥(水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수맥내의 지하수를 강하게 흡인하고 이 흡인력이 모세관 수맥에까지 미치도록 하여 수맥내의 지하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진공에 따른 흡인력으로 인해 수맥 내의 지하수 유출속도를 증진하여 그 수맥 내에 퇴적물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며 아울러 심정 내로 오염된 외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무균실 청정의 지하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위 특허출원 제92-13374호에 개시된 지하수 양수장치를 실제로 시공함에 있어서는 심정 내부를 외기아 차단 밀폐하여 진공으로 만들기 위하여, 필히 케이싱(4)의 상단 외주면에 케이싱 플랜지(20)를 형성하고, 양수파이프 연속체(8)의 상단 외주면에 대경플랜지(22)를 형성하여 이들 케이싱 플랜지(20)와 대경플랜지(22)와를 상호 밀접되게 접합하여야 하였는바, 이들 플랜지(20) 및 대경 플랜지(22)의 형성공정이, 대체로, 중공원반형 플레이트를 케이싱(4) 외주면 및 양수파이프(8)외주면에 각각 용접하는 방식으로 행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잡하고 시간 및 비용 소모적이며 또한 전선 배선작업 등에 불편함이 많았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케이싱 및 양수파이프에 대한 용접이 전혀 필요없고, 자중에 의한 조립식 결합방식으로서 볼트체결작업이 불필요하여 지하수 양수장치의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하수 진공양수 장치용 조립식 플랜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는 제1도 맨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 파이프형 케이싱(30)의 상단을 환상으로 둘러싸는 수평조절 및 패킹링 받침용 케이싱 카바링(40)과 동 케이싱 카바링 상면에 배설되는 패킹링(50)과, 그리고 상기 패킹링(50)을 개재하여 케이싱 카바링(40)에 위해 장착되어 심정을 외기와 밀봉적으로 차단하는 케이싱 막음용 플랜지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케이싱 상단을 환상을 둘러싸는 수평조절 및 패킹링 받침용 케이싱 카바링(40)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대체로 역(逆) U-자형으로서 그 외벽(41)과 내벽(42)이 케이싱의 상단(31)을 둘러싸고 상면은 후술하는 패킹링(50)을 올려놓기에 충분한 폭 및 평활도를 가지며, 또한 그 상면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수평조절용 세트 스크류(set screw)(43) 나합공(44)이 뚫려 있으며, 외벽(41)에도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케이싱 카바링(40)의 케이싱(30)에 대한 고정용 나합공(45)이 뚫려 있다.
이 케이싱 카바링(40)의 일측면상은, 제3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전선 배선작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개구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는 그 단면형상에 부합하는 막음부재(47)에 의해 전선 배선이후 사후적으로 폐쇄한다.
상기 케이싱 카바링(40)은 케이싱 상단부(31)의 삽착된 후 수평조절용 세트 스크류(43)에 의해 수평조절이 행하여지며, 이 수평조절을 전후하여 동 카바링의 내외벽 사이에 경시적(經時的)으로 경화하는 접착제(48), 예컨대 에폭시 접착제를 충전하여 두면 케이싱과 상기 내외벽 사이의 틈새를 밀봉적으로 폐쇄할 수 있어서 심정내부를 외기와 밀봉적으로 차단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패킹링(50)을 설명하면, 패킹링은 전술한 케이싱 카바링의 상면(49)상에 재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 카바링(40) 위에 올려지는 케이싱 막음용 플랜지부재(60)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짐으로써 케이싱 카바링(40)과 케이싱 막음용 플랜지부재(60)사이의 밀봉적 씰링을 행하는 부재이다.
다음으로, 케이싱 막음용 플랜지부재(6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 케이싱 막음용 플랜지부재는 제1도 및 제3도에 의해 잘 알 수 있듯이 대체로 원반형 몸체의 저면에, 상술한 패킹링(50)을 개재한 상태로 케이싱 카바링(40)의 상단을 수용하기 위한 환상의 요입홈(61)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중앙에는 하부양수 파이프(P)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양수용 관통공(62)이 뚫려 있으며, 몸체 상면의 상기 관통공(62) 주위에는 양수파이프(P′)를 볼트체결하기 위한 볼트구멍들(63)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몸체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 즉 하부양수파이프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하단에 파이프 연결 플랜지가 형성된 보조파이프(64)가 연장되어서 된 부재이다.
상기 케이싱 막음용 플랜지부재(60)에는 앞서 언급한 본 출원인의 국내 특허 제92-13374호에 개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심정 내부의 진공도를 조절하기 위한 흡기체트밸브 및 압력계, 메인 유량계, 연성계, 진공펌프 등을 심정 내부와 연통되도록 장착하기 위한 관통공들(65)이 뚫려 있으며, 또한 일측면에는 케이싱 카바링(40)의 개구부(46)와 마찬가지로 전선인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선인입용 개구부(66)가 뚫려 있다.
상기 개구부(66)에는 전선을 심정 내부로 인입한 후 이를 밀봉적으로 파지하여 장착하기 위한 전선파지부재(67)가 삽착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막음부재(68)가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는 케이싱의 상단에 대한 케이싱 카바링(40)의 장착이 극히 간단하고, 또한 이에 아무런 접합수단 없이 얹혀지는 케이싱 막음용 플랜지부재(60)는 심정 내에 인입된 양수파이프연속체 및 수중모터 펌프 등과 일체적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그 전체의 자중으로 패킹링(50)을 누르기 때문에 심정 내부와 외기와를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는 본 출원인의 위 선행 특허 출원 발명에 비해 그 시공작업이 극히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전선배관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상부 내주면에 중공파이프형 케이싱(30)이 설치된 심정의 내부에 양수파이프 연속체(8)를 배설하고, 이 양수파이프 연속체(8)의 하단에 수중모터펌프(10)를 설치하며, 상기 양수파이프 연속체의 지상측 상부에 양수용 상부장치(18)를 연결하고, 또한 상기 케이싱과 양수파이프 사이의 공간을 플랜지에 의해 기밀적으로 폐쇄하여 심정내부와 외기와를 차단한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의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중공파이프형 케이싱(30)의 상단에는 단면이 대체로 역 U-자형으로서 그 외벽(41)과 내벽(42) 사이에 케이싱의 상단이 삽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수평조절용 세트 스큐브(43) 삽입용 나사공(45)이 뚫려 있고, 외벽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케이싱(30)에 대한 고점용 나사공(45)이 뚫려 있으며 케이싱(30)의 상단을 환상으로 둘러싸는 수평조절 및 패킹링 받침용 케이싱 카바링(40)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카바링의 상면(49)상에는 심정내부와 외기차단 역할의 패킹링(50)을 배설하며,그리고 상기 패킹링(50)을 개재하며 케이싱 카바링(40)위에 장착되고, 대체로 원반형 몸체의 저면에 상기 패킹링(50)을 기재한 상태로 케이싱 카바링(40)의 상단을 수용하기 위한 환상의 요입홈(61)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중앙에는 하부양수파이프(P)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양수용 관통공(62)이 뚫려 있으며, 몸체 상면의 상기 관통공 주위에는 상부 양수 파이프(P′)를 볼트 체결하기 위한 볼트구멍(63)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 즉 하부양수파이프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하단에 파이프 연결 플랜지가 형성된 보조 파이프(64)가 연장되어 있어 심정을 외기와 밀봉적으로 차단하는 케이싱 막음용 플랜지 부재(60)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징공양수 장치용 조립식 플랜지.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싱 카바링(40)의 일측면 및 케이싱 막음용 플랜지부재(60)의 일측면에는 각각 전선인입용 개구부(46, 66)가 뚫여 있고, 이 개구부들에는 전선 인입이후 막음부재(47, 66)가 뚤려 있고, 이 개구부들에는 전선인입이후 막음부재(47, 68)에 의해 밀봉적으로 폐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
KR2019930019240U 1993-09-23 1993-09-23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 KR960010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240U KR960010479Y1 (ko) 1993-09-23 1993-09-23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240U KR960010479Y1 (ko) 1993-09-23 1993-09-23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250U KR950009250U (ko) 1995-04-19
KR960010479Y1 true KR960010479Y1 (ko) 1996-12-16

Family

ID=1936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9240U KR960010479Y1 (ko) 1993-09-23 1993-09-23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4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763B1 (ko) * 2006-09-21 2007-05-14 홍성술 지하수 및 지열 이송용 파이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250U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3235A (en) Trap fitting assembly
US5184941A (en) Mounting support for motor-pump unit
KR960010479Y1 (ko)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플랜지
US4457448A (en) Gasketless well casing cap
US3993416A (en) Fuel tank assembl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4087211A (en) Driving unit for vertical pump
US2309707A (en) Sealed submersible structure
JP3973393B2 (ja) 浅井戸用水中ポンプ
US3014532A (en) Pitless well connector
JP3131721B2 (ja) 設備用水中ポンプ
JP3111339B2 (ja) 水中ポンプのポンプケーシング
US3939909A (en) System of suppressing the discharge casing string in deep-well vertical pumps
JP3591711B2 (ja) 変速装置付エルボおよび立軸ポンプ
JPH042382Y2 (ko)
CN213270452U (zh) 一种液下泵出液管路与安装底板固接装置及高温熔盐液下泵
US7802325B2 (en) Hartford loop manifold assembly for bathing vessels
EP0243518A1 (en) Centrifugal pump for water recirculation
JPH0315724Y2 (ko)
US3797571A (en) Pump support adapter
JP2903752B2 (ja) 水中モータポンプ設備
JPS61159778U (ko)
JPH0213200U (ko)
KR200296110Y1 (ko) 수중펌프와 엘보우관의 수밀구조
JPS61114958U (ko)
JPS6391761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