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368B1 - 자동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368B1
KR960010368B1 KR1019880011809A KR880011809A KR960010368B1 KR 960010368 B1 KR960010368 B1 KR 960010368B1 KR 1019880011809 A KR1019880011809 A KR 1019880011809A KR 880011809 A KR880011809 A KR 880011809A KR 960010368 B1 KR960010368 B1 KR 960010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tank
filter device
pipe
automatic filter
side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376A (ko
Inventor
데루오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야마모도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데루오 야마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도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데루오 야마모도 filed Critical 야마모도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8001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368B1/ko
Publication of KR90000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자동필터장치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역세노즐장치를 갖추지 않은 자동필터장치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 1 도는 그 전체의 일부 절결 정면도.
제 2 도는 횡단 평면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각각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 5 도 내지 제 8 도는 역세노즐장치를 갖춘 자동필터장치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 5 도는 그 전체의 일부 절결 정면도.
제 6 도는 횡단 평면도.
제 7 도 및 제 8 도는 각각 주요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역세노즐장치2 : 여과조
4 : 측주벽5 : 바닥판
6 : 원액유입관7 : 이물배출관
8 : 스크리인통10 : 여과엘리멘트
12 : 여액유출관19 : 스크레이프부재
20 : 파넬상부재33 : 구동장치
본 발명은 공업용수, 공업폐액, 원유, 시멘트 밀크 등의 액체, 액상물질중에서 쓰레기, 토사 등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동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과중에 생기는 여과엘리멘트의 이물에 의한 눈막힘을 자동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는 자동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눈막힘을 방지하는 수단, 즉 스크레이프부재를 회전시키는데에 요하는 동력원가가 저원가인 자동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필터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원통형의 여과조와, 여과조내에 고정상태로 세워 설치되고 또한 측주면에 여과엘리멘트를 갖춘 원통형의 스크리인통과, 여과조의 측주벽 상부에 접속되어 원액을 여과조내에 유입시키는 원액유입관과, 스크리인통의 바닥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여과조를 관통하여 외부로 꺼내어져서, 또한 스크리인통내의 여액을 유출시키는 여액유출관과, 여과조의 하부에 접속이 되어 여과조내의 이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배출관과, 스크리인통의 측주면의 외방 근방에 배치된 파넬상부재와 파넬상부재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여과엘리멘트에 접촉하는 스크레이프부재와, 상기 파넬부재를 스크리인통의 측주면의 주위에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제 1 도 내지 제 8 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자동필터장치와 제 5 도에 도시한 자동필터장치와는 역세노즐장치(1)를 갖추고 있는가 아닌가의 차이가 있으나, 그밖에는 공통의 구조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의 기호에 응하여 제 1 도에 도시한 것 또는 제 5 도에 도시한 것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으나, 제조공장에 있어서 기본구조체를 완성하여 두면, 설치현장에 있어서 오프션 부품으로써 역세노즐장치를 추가하든가 않든가의 기호의 타입의 것을 완성할 수가 있다.
또 한편의 타입에서 다른쪽의 타입에로의 개조도 극히 용이하게 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먼저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의거 역세노즐장치(1)를 갖추고 있지 않는 타입의 자동필터장치를 설명한다.
원통형으로 금속제의 여과조(2)는 천판(3), 측주벽(4) 및 바닥판(5)에서 이루어진 밀폐용기이다.
측주벽(4)의 상부에는 공업용수 등의 원액을 내부에 유입시키기 위한 원액유입관(6)이 접속되어 있다.
이 원액유입관(6)은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측주벽(4)의 접속방향에 접속되어 있으며, 소정의 압력이 가하여져서 여과조(2)내에 유입한 원액의 선회류로 되어서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바닥판(5)은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즉, 타원형상으로 중앙에 관통구(56)를 갖춘 판이 경사상태로 측주벽(4)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측주벽(4)의 하단부에서 상기 바닥판(5)의 낮은 부분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측주벽(4)의 접선방향으로 이물배출관(7)이 접속되어 있다.
이 이물배출관(7)은 통상의 개폐밸브(도시생략)에 의하여 닫혀져 있으나 개폐밸브가 열리면 여과조(2)의 바닥부에 저류된 이물이 원액과 같이 외부로 배출이 된다.
이물배출관(7)이 바닥판(5)의 낮은 부분에 연통하는 위치에 접속됨으로써 이물의 배출은 용이하게 되고, 또 이물배출관(7)이 측주벽(4)의 접선방향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선회류를 이용할 수 있으며, 효과적을 이물의 배출을 행할 수 있다.
여과조(2)의 내부에는 여과조(2)와 동심상태로 원통형의 스크리인통(8)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크리인통(8)은 장판(9)을 갖추는 동시에 여과엘리멘트(10)에서 주구성되는 측주부(11)를 갖추고 있으며, 바닥부는 개방상태로 되어 있다.
여과엘리멘트(10)로서는 웨지와이어를 원통형으로 감은 것, 펀칭 플레이트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것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스크리인통(8)은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여액유출관(12)위에 세워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여액유출관(12)은 L형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 연직부(鉛直部)(13)의 상부가 상기 관통구(56)보다 바닥판(5)위에 돌입하여 여과조(2)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바닥판(5)과 여액유출관(12)과는 상기 관통구(56)의 부분에서 수밀상태로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여액유출관(12)의 상단(14)위에 상기 스크리인통(8)의 하단(15)이 얹어놓아져서, 여액유출관(12)의 상단부내면에 돌출설치한 걸어맞춤핀(16)과 스크리인통(8)의 하단부내면에 설치한 L형훅(17)이 걸어맞춤함으로써, 스크리인통(8)은 여액유출관(12)상에 세워설치되어 고정이 되어 있다. 여액유출관(12)은 스크리인통(8)의 여과엘리멘트(10)위에서 여과된 여액을 스크리인통(8)의 바닥부로부터 꺼내어 그 연직부(13)에 따라 아래쪽으로 인도하여 이어서 그 수평부(18)에서 측방으로 인도하고 있다.
여과조(2)의 내부의 약 2/3에 해당하는 상부 공간은 상기 스크리인통(8)이 배치된 여과스페이스로 되어 있으며, 약 1/3에 해당하는 하부 공간은 이물 저류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여과스페이스에 있어서 스크리인통(8)과 여과조(2)의 사이의 공간에는 스크레이프부재(19)를 갖춘 파넬상부재(20)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 파넬상부재(20)는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한쌍의 연직로드(21, 21), 이들 연직로드(21, 21)를 상단에 있어서 고착하는 수평레버(22)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방에 돌출 설치하는 보스(23)로 주 구성되어 있다.
양 연직로드(21, 21)는 대칭위치에 있으며, 각각의 하단에 스크리인통(8)의 측주부(11)의 하단외주에 맞닿아서 진동하는 로울러(24)를 갖추고 있다.
또 각 연직로드(21)에는 아암부재(25)를 통하여 스크레이프부재(19)가 부착되어 있다. 스크레이프부재(19)로서는 도시하는 예와 같이 브러시를 사용하면 알맞으나, 이외에 불소계 수지로 된 브레이드상의 스크레이프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레이프부재(19)는 스프링(26)에 의하여 여과엘리멘트(10)에 압접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상기 보스(23)는 여과조(2)의 내부상단 근방에 배설한 지지부재(27)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로이 매달려 있다.
즉 지지부재(27)의 중앙에는 베어링통부(28)가 형성되어, 그의 내면에 플랜지부착부쉬(29)가 끼워맞춤되는 한편, 상기 보스(23)는 플랜지부착부쉬(29)에 끼워넣어져서 플랜지부착부쉬(29)보다 위쪽에 돌출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보스(23)에 너트(30)가 체결되어 있다(상세하게는 제 7 도 참조).
이것에 따라 파넬상부재(20)의 중량은 너트(30), 플랜지부착부쉬(29)의 플랜지부를 통하여 지지부재(27)의 베어링통부(28)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스(23)의 축심은 여과조(2)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또 상기 보스(23)의 상부내면은 사각구멍(31)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레버(22)의 보스(23) 근방하면에는 아래쪽에 돌출하는 한쌍의 동력전달핀(32, 32)이 설치되어 있다. 단, 제 1 도에 표시한 타입의 것에 대하여는 이 동력전달핀(32)은 하등작용을 하지 않는다.
여과조(2)의 천판(3)위에는 상기 파넬상부재(2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장치로서의 전동모터(3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동모터(33)는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좋다. 또 감속기가 조입되어 있는 것이나 따로 감속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면 알맞다.
상기 전동모터(33)의 출력축(34)은 천판(3)의 중심에 설치한 구멍(35)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뻗고, 그 선단측에 위치하는 사각축부(36)가 상기 보스(23)의 사각구멍(31)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모터(33)를 회전시키면 파넬상부재(20)가 회전하여 이에 따라 스크레이프부재(19, 19)가 스크리인통(8)의 주위를 그의 여과엘리멘트(10)에 압접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여과엘리멘트(10)에 부착하거나 먹어들어가 있는 이물을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다.
스크리인통(8)의 정판(9)의 중앙 즉, 여과조(2)의 중심선상에는 후기 역세용 파이프(37)를 관통 지지하기 위한 구멍(38)이 설치되어 있으나, 제 1 도에 도시한 타입의 것은, 폐쇄판(39)이 끼워넣기부 주위에 O링(40)이 설치되어, 또 부착비스(41)에 대응하는 나사구멍(42)은 블라인드호울로 되어 있어 수밀구조로 되어 있다.
여액배출관(12)의 굴곡부 바닥면에서, 여과조(2)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부분에도, 후기 역세용파이프(37)를 관통 지지하기 위한 나사구멍(43)이 설치되어 있으나, 제 1 도에 표시한 타입의 것은 상기와 같이 폐쇄플러그(44)에 의하여 상기 나사구멍(43)은 닫혀져 있다. 그의 구조는 제 4 도는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플러그(44)와 여액배출관(12)과의 사이에 가스킷(45)을 개재시켜서, 수밀구조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자동필터장치에 의하면, 압송펌프(도시생략)에 의하여 압송된 원액은 원액유입관(6)에서 여과조(2)내에 유입하여, 유동압에 의하여 선회하면서 아래쪽으로 행한다.
그 사이에 원액은 여과엘리멘트(10)의 주위에 대략 균등하게 이송되어, 여과엘리멘트(10)를 통하여 스크리인통(8)내에 유입한다.
이때 원액중의 이물은 여과엘리멘트(10)에 의하여 포획되어, 스크리인통(8)내에 유입한 액은 이물이 제거된 여액으로 된다.
이 여액은 여액유출관(12)을 통하여 외부에 꺼내어진다. 다른쪽 여과엘리멘트(10)에 포획되어 이것에 부착된 이물은 스크레이프부재(19)에 스크레이프되어서 여과엘리멘트(10)에서 제거된다.
이때 원액의 선회류는 이물을 여과엘리멘트(10)에서 박리시키도록 작용함으로, 이물의 제거에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 원액의 선회류 그 자체가 원심분리 작용에 의하여 원액중의 이물을 분리하는데 유효하게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하여, 이물은 여과조(2)의 아래측의 이물저류 공간에 인도된다. 그리고 이물배출관(7)이 적시개방되면 이물이 원액의 일부와 같이 외부에 배출이 된다.
이와 같이 스크레이프부재(19)의 회전에 의한 이물스크레이프작업이나 원액의 선회류에 의한 이물분리 작용 등에 의하여, 여과엘리멘트(10)에 부착하는 이물이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여과엘리멘트(10)의 눈막힘이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된다.
또 중량이 큰 스크리인통(8)이 고정구조로, 스크레이프부재(19)를 갖춘 중량이 작은 파넬상부재(20)가 회전 구조이기 때문에, 그 회전구동에 요하는 진동모터(33)의 소비전력을 저원가로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 5 도에 도시한 자동필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미 말한 바와 같이, 이 타입의 것은 제 1 도에 도시한 타입의 것과 기본구조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자동필터장치에 있어서는 여과조(2)의 중심선상에 스크리인통(8) 및 여액유출관(12)의 연직부(13)를 관통하도록 역세노즐장치(1)가 배설되어 있다.
이 역세노즐장치(1)는 그 상단이 스크리인통(8)의 정판(9)에 회전 자유로이 지지되는 동시에 그 하단이 여액유출관(12)의 굴곡부 바닥면에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된 역세용파이프(37)를 갖추고 있다.
이 역세용파이프(37)의 상단부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정판(9)의 구멍(38)에 끼워넣어진 플랜지부착부쉬(46)에 의하여 회전자유로이 축지지되어 있다.
또 역세용파이프(37)의 상단부에서 플랜지부착부쉬(46)보다 상방에 돌출하는 부분에는 스냅(47)이 끼워붙혀져서, 이 스냅(47)이 플랜지부착부쉬(46)의 플랜지부상에 착좌함으로써 역세용파이프(37)의 중량이 상기 플랜지부착부쉬(46)에 의하여 지지된다.
48은 수밀구조를 얻기 위한 가스킷이다.
또한 역세용파이프(37)의 상단부에는, 파넬상부재(20)의 동력전달핀((32, 32)에 유리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동력전수핀(49, 49)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모터(33)의 회전에 따라서, 파넬상부재(20)가 회전하면, 동시에 역세용파이프(37)도 동기하여 회전한다.
역세용파이프(37)의 하단은 개방되어, 공급파이프(50)에 접속되어 있다. 이 공급파이프(50)는 역세액, 역세용스팀 등을 역세용파이프(37)에 송입하는 것으로, L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이 역세용파이프(37)의 하단에 연통하고 있다.
역세용파이프(37)의 하단부는 제 8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착코넥터(51)에 의하여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착코넥터(51)는 여액유출관(12)의 나사구멍(43)에 나사조임되어 그의 상부의 부쉬(52)를 갖춘 원공부에 역세용파이프(37)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그의 하부의 테이퍼 나사구멍(53)의 송출파이프(50)의 상단 테이퍼나사부(54)를 나사식붙임기를 하는 것이다.
또한 55는 O링, 59는 가스킷으로 어느것이나 수밀구조로 하는 것이다.
역세용파이프(37)에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역세노즐(57,…)이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6개의 역세노즐(57, …)을 갖추어, 한쪽의 스크레이프부재(19)에 대향하는 개소에 상하 3단의 역세노즐(57, …)이 다른쪽의 스크레이프부재(19)에 대향하는 장소에도 상하 3단의 역세노즐(57, …)이 각각 역세용파이프(37)에 부착되어 있다.
역세노즐(57)과 스크레이프부재(19)와는 동기하여 회전함으로, 그 관계위치는 항상 일정하나, 도시한 예에서는 제 6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방향의 전측에 역세노즐(57)을 후측에 스크레이프부재(19)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은 역세노즐(57)에서 분출되는 역세액에 의하여 여과엘리멘트(20)내에 깊게 먹어들어간 이물을 외주측에 부상시켜, 그후 곧 스크레이프부재(19)에 의하여 상기 이물을 스크레이프 할 수가 있으며, 효과적인 이물제거를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세노즐(57)과 스크레이프부재(19)와의 관계위치는 상기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이들의 회전방향에 대한 전후 관계를 역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도에 표시한 타입의 것으로 제 5 도에 도시한 타입의 것으로 변경하는데는 제 1 도에 나타낸 타입의 것에 필요하였던 폐쇄관(39)과 폐쇄플라그(44)를 꺼내어 그 대신에 상기 역세노즐장치(1)를 조입하면 좋다.
제 5 도에 도시한 역세노즐장치(1)를 갖춘 자동필터장치의 작용도 기본적으로는 제 1 도에 도시한 파이프의 것과 마찬가지이나, 이 기본적 작용에 역세노즐장치(1)에 의한 역세작용이 부가됨으로, 보다 한층 여과 엘레멘트(10)의 눈막힘을 장기에 걸쳐서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레이프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항상 여과엘리멘트에 부착하는 이물이 제거됨으로 여과엘리멘트의 눈막힘을 자동적으로 장기에 걸쳐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경량인 파넬상부재를 회전시켜서 그 파넬상부재에 부착한 스크레이프부재로 여과엘리멘트의 눈막힘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파넬상부재의 회전에 요하는 동력원가를 값싼 원가로 할 수 있다.

Claims (5)

  1. 원통형의 여과조와, 여과조내에 고정상태로 입설되고, 또한 측주면에 여과엘리멘트를 갖춘 원통형의 스크리인통과, 여과조의 측주벽 상부에 접속되어 원액을 여과조내에 유입시키는 원액유입관과, 스크리인통의 바닥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여과조를 관통하여 외부로 꺼내어져서, 또한 스크리인통내의 여액을 유출시키는 여액유출관과, 여과조의 하부에 접속이 되어, 여과조내의 이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배출관과, 스크리인통의 측주면의 외방 근방에 배치된 파넬상부재와 파넬상부재(7)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여과엘리멘트에 접촉하는 스크레이프부재와, 상기 파넬부재를 스크리인통의 측주면의 주위에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갖춘 자동필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원액유입관이 여과조의 측주벽 상부에 접선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필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여과조의 바닥판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그 낮은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이물배출관이 여과조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필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이물배출관이 여과조의 측주벽 하부에, 측주벽의 접선방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필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리인통내에 역세노즐장치가 배치되어 이 역세노즐장치가 동일한 구동장치에 의하여 파넬상부재와 같이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필터장치.
KR1019880011809A 1988-09-13 1988-09-13 자동필터장치 KR960010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809A KR960010368B1 (ko) 1988-09-13 1988-09-13 자동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809A KR960010368B1 (ko) 1988-09-13 1988-09-13 자동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376A KR900004376A (ko) 1990-04-12
KR960010368B1 true KR960010368B1 (ko) 1996-07-31

Family

ID=1927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809A KR960010368B1 (ko) 1988-09-13 1988-09-13 자동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05B1 (ko) * 2006-11-03 2008-03-03 권오경 용수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05B1 (ko) * 2006-11-03 2008-03-03 권오경 용수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376A (ko) 199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868B1 (ko) 여과장치의 외부부착 여과재 세정장치
US2562730A (en) Filter tube
KR20050056964A (ko) 여과장치
KR100267899B1 (ko) 여과장치
KR20160089102A (ko) 슬러지 배출장치
KR960010368B1 (ko) 자동필터장치
CN218636790U (zh) 一种箱式微滤机
KR101634932B1 (ko) 유체 여과장치
JPH0975615A (ja) ストレーナ装置
US3356221A (en) Toilet construction
CN210367211U (zh) 一种新型油污分离器
CN210371209U (zh) 一种带过滤功能的卧式离心泵
RU53585U1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и пищевых жидкосте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молока
CN209809666U (zh) 一种立式反冲洗过滤器
JPH0518603B2 (ko)
JPH0470042B2 (ko)
JP3421777B2 (ja) 濾過装置
CN108744656B (zh) 一种全自动螺旋式刮刀过滤器
EP0151127A1 (en) A device for purification of liquid media such as waste water
JPS5933405B2 (ja) 自動洗滌ストレ−ナ−
JPS6034885B2 (ja) 連続式多面圧縮濾過装置
KR0137912Y1 (ko) 산업용 유체 자동여과기
CN220098664U (zh) 一种全自动滚筒微滤机
US3190452A (en) Granular bed filter
CN211513698U (zh) 一种管道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