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225Y1 - 외부 동기회로 - Google Patents

외부 동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225Y1
KR960010225Y1 KR2019930025856U KR930025856U KR960010225Y1 KR 960010225 Y1 KR960010225 Y1 KR 960010225Y1 KR 2019930025856 U KR2019930025856 U KR 2019930025856U KR 930025856 U KR930025856 U KR 930025856U KR 960010225 Y1 KR960010225 Y1 KR 960010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outputting
synchronization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5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948U (ko
Inventor
서경렬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5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225Y1/ko
Publication of KR950015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9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12Devices in which the synchronising signals are only operative if a phase difference occurs between synchronising and synchronised scanning devices, e.g. flywheel 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5Generation or recovery of colour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55Gene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ser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 colour picture signals or sepa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from colour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외부 동기회로
제1도는 종래의 외부동기회로의 구성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인 외부동기회로의 구성 블럭도이다.
제3a도는 동기신호 분리부의 회로도이다.
제4b도는 동기신호 분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제4도는 외부동기 제어부의 회로도이다.
제5a도는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의 회로도이다.
제5b도는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제6a도는 수평동기 위상조정부의 회로도이다.
제6b도는 수평동기 위상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제7도는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동기신호 분리부 102 : 외부동기 제어부
104 : 동기신호 발생부 106 : 타이밍 발생부
108 :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 200 :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
206 : 수평동기 위상조정부
본 고안은 외부동기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2대이상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믹스처리를 할 경우에 휘도신호에는 물론 색신호에도 동시에 동기를 맞추기 위한 외부동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영상신호를 믹스처리하기 위해서는 동기를 맞추어 주어야 하는데, 만약 동기가 맞지 않게 되면 정상적인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외부동기를 걸어서 사용하였는데, 이때 사용된 기준펄스로서 복합동기신호(CSYNC)가 있다. 이것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외부동기회로의 구성 블럭도이다. 상기 제1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종래의 외부동기방식은 외부동기 기준펄스로서 복합동기신호를 사용한다. 즉, 복합동기신호와 동기신호 발생부(104)로부터의 WHD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비교신호(이하 COMP 신호라고 함)를 발진부(108)로 출력하여 동기를 맞춘다. 이는 HD 펄스(15.734KHz)에 동기를 맞추는 방식, 즉 휘도신호에 동기를 맞추는 방식으로 흑백 카메라나 색신호와 휘도신호가 서로 동기되어 있는 칼라 카메라에는 아무 문제가 없으나 색신호와 휘도신호가 동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색신호의 동기가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외부동기회로에서는 외부동기를 걸어줄 경우 수평동기신호에 준하여 고착(Lock)시키고 있는데, 이 방법은 흑백의 경우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칼라의 경우에는 휘도신호외에 색신호가 존재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즉, 대부분의 칼라 카메라는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서로 동기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휘도신호를 기준하여 외부동기를 걸어주어도 별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동기되어 있지않을 경우에는 휘도신호쪽은 고착되나 색신호쪽은 고착되지 않아 정상적인 영상신호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색신호와 휘도신호에 별도로 동기를 걸어줌으로써 색신호와 휘도신호의 동기여부에 관계없이 정확히 동기가 맞도록 하기 위한 외부동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외부동기회로는 외부동기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복합동기신호를 분리해내고 외부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분리수단;
상기 외부동기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소정의 제2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동기신호로부터 버스트신호를 분리해내고 위상을 조정하여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수단;
소정의 수평블랭킹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수평동기 위상을 맞추어 주는 수평동기리셋신호를 출력하는 수평동기 위상조정수단;
상기 수평동기리셋신호, 상기 제1제어신호 및 소정의 제2반송파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수평동기리셋신호 및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수평동기 및 수직동기를 각각 리셋하고, 상기 제2반송파신호에 대한 제1반송파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발생수단;
소정의 비교신호 및 소정의 제3제어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3제어신호에 따라 내부의 주파수에 동기된 클럭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비교신호의 주파수에 동기된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
상기 클럭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반송파신호를 만들어 출력하는 타이밍 발생수단 및 상기 복합동기신호, 제1반송파신호 및 기준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수단으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합동기신호와 상기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로 상기 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외부동기를 맞추는 경우인지 내부동기를 사용하는 경우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상기 제3제어신호를 상기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 및 상기 동기신호 발생수단으로 출력하는 외부동기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수단에서 버스트신호 분리수단과 색신호 위상조정수단으로 분리하여 상기 버스트신호 분리수단은 상기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수단의 위치에 그대로 위치하고, 상기 색신호 위상조정수단은 상기 외부동기 제어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발생수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반송파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위상조정이 된 제1반송파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인 외부동기회로의 구성 블럭도이다.
제2도에 의하면, 본 고안은 동기신호 분리부(100), 외부동기 제어부(102), 동기신호 발생부(104), 타이밍 발생부(106),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200), 수평동기 위상조정부(206) 및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108)로 구성되어 있다.
각 블럭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기신호 분리부(100)는 외부동기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CSYNC(Composite Sync)신호와 동기신호 발생부(104)의 수직동기 리셋을 위한 VD 신호등을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204)는 외부동기신호 및 외부동기제어부(102)의 BGP(Burst Gate Pulse)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버스트신호의 9개 펄스를 뽑아내어 위상조정을 취한 후 외부동기 제어부에서 비교할 수 있는 기준 펄스인 GLBSC 신호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외부동기 제어부(102)는 EXT/INT 동기의 자동전환기능, 동기신호 발생부(104)로부터의 fsc(3.58MHz)신호와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204)의 출력신호인 GLBSC 신호와 비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수평동기 위상조정부(108)는 외부동기신호의 블랭킹 구간과 내부 비디오 출력의 블랭킹 스타트 위치를 조정하는 블럭으로서, 이 두 위상이 틀어져 있으면 두 화면을 믹스시킬 때 블랭킹 구간이 브라운관 상에 보이게 된다.
동기신호 발생부(104)는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는데 필요한 동기관련펄스들을 출력하는 블럭으로서 VRI 신호 및 HRI 신호에 의하여 VD(Vertical Drive; 수직동기)신호 및 HD(Horizontal Drive; 수평동기)신호의 스타트 포인트를 결정한다.
타이밍 발생부(106)는 카메라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들을 만드는 블럭으로서 특히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의 출력클럭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fsc 신호의 4배신호를 동기신호 발생부(104)로 출력한다.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108)는 CSYNC 신호와 GLBSC 신호와의 비교신호인 SCPCO 신호를 외부동기 제어부(102)로부터 입력받아 주파수를 가변시켜 동기시키는 블럭이다.
제3a, b도 내지 제7도를 참조로 하여 각 블럭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3a도는 동기신호 분리부의 회로도이고, 제3b도는 동기신호 분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로서 제3a, b도를 참조로 하여 동기신호 분리부(100)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기신호 분리부(100)에는 LM1881(300)을 사용하는데, 외부동기신호는 LM1881(300)의 ②번핀을 통하여 입력되어 ①번핀을 통해서 CSYNC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VD 신호는 저항(R3)과 캐패시터(C2)의 적분량에 의해서 분리되어 ③번핀을 통하여 출력된다.
③번핀으로부터 출력되는 VD 신호는 동기신호 발생부(104)로 입력되어 VRI 신호로 사용되고, ①번핀으로부터의 CSYNC 신호는 외부동기 제어부(102)로 입력된다.
제4도는 외부동기 제어부의 회로도로서, 외부동기 제어부(102)의 입/출력신호들을 도시하고 있다. 외부동기제어부(102)로 입력되는 신호로는 동기신호 분리부(100)로부터의 CSYNC 신호,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204)로부터의 GLBSC 신호 및 동기신호 발생부(104)로부터의 HD 신호와 fsc 신호가 있다.
또한, 외부동기 제어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는 버스트신호 분리부(202)로 출력되는 BGP 신호, 동기신호 발생부(104) 및 위상동기 루프 제어회로(108)로 출력되는 EXT/INT 절환신호, 수평동기 위상조정부(108)로 출력되는 HBLK 신호 및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108)로 출력되는 SCPCO 신호가 있다.
여기서, 외부동기 제어부(102)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CSYNC 신호와 fsc 신호를 비교하여 SCPCO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함으로써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108)로 하여금 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SW1, SW2)는 색신호의 위상을 조정(90, 180, 270, 360)해주는 스위치이며, EXT/INT 신호는 CSYNC 신호의 유무에 따라 내부/외부동기 자동절환을 행한다.
제5a도는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의 회로도이고, 제5b도는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로서 제5a, b도를 참조로 하여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204)는 외부동기 제어부(102)로부터의 BGP신호와 외부동기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외부동기 신호로부터 버스트신호를 분리한 후 TTL 레벨로 변환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동기신호중 버스트신호만을 아날로그 스위치(50)로 분리하여 캐패시터(C3)를 통한 후, 저항(R7, R8)로 바이어스를 잡아 트랜지스터(Q1)와 저항(R9, R10)으로 구성된 앰프로 입력시킨다. 이 앰프의 출력을 저항(R11)과 캐패시터(C4)의 시정수에 의한 위상지연루프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Q2)와 저항(R12)의 에미터 팔로우어로 임피던스를 낮춘다. 왜냐하면, 에미터 팔로우어를 거치지 않고 직접 앰프에 연결하면 저항(R11)과 캐패시터(C4)의 시정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에미터 팔로우어를 사용해야만 한다.
저항(R13, R14)은 바이어스 저항이며, 저항(R15, R16)은 앰프 게인을 조정한다.
즉, 게인을로 셋팅한다.
캐패시터(C6)의 역할은 직류에 대해서는 오픈, 교류에 대해서는 온이 되어 바이어스는 저항(R13, R14)에 의하여 잡고, 게인은 무한대가 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부(204)는 제5b도의 타이밍도에서처럼 (A)지점의 신호로부터 GLBSC 신호를 외부동기 제어부(102)로 출력시킨다.
제6a도는 수평동기 위상조정부의 회로도이고, 제6b도는 수평동기 위상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제6a, b도를 참조로 하여 수평동기 위상조정부(108)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수평동기를 맞추어주는 이유는 이것이 맞지않게 되면 색신호의 클램프가 이상동작하게 되어 색이 변하며 휘도성분에서는 블랭킹 구간이 화면상에 보이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수평동기 위상조정부(108)는 2개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0, 602)와 저항(R17, R18) 및 캐패시터(C7, C8)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동기 위상을 맞추기 위해서는 비디오 출력의 블랭크 펄스가 외부동기신호의 블랭킹 펄스와 -1μsec∼+4μsec 사이의 차이를 가지면 된다. 물론 펄스 차이가 없을 때 가장 이상적이다.
따라서, 동기신호 발생부(104)가 그 시간 영역안에서 수평리셋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동기신호 발생부(104)의 입력인 HR1 신호는 펄스폭이 일정폭 이상이면 펄스폭에 관계없이 하강엣지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 특성을 이용하여 HR1 신호의 하강엣지를 -1μsec에서 +4μsec까지 변하도록 만들면 수평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제6b도의 타이밍도에서 보듯이 HR1 신호의 하강엣지에서 리셋동작이 발생한다. 따라서, HR1 신호의 하강엣지가 HBLK 신호의 -1μsec에서 +4μsec(HBLK 신호의 상승엣지를 0μsec로 잡는다)까지 움직일 수 있도록 HR1 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여 수평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형하기 위해서 단안전 멀티바이브레이터(600, 602)를 사용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에서는 HBLK 신호를 트리거 펄스로 받아 출력으로 -2μsec에서 0μsec 까지의 폭을 가지는 펄스를 만든다. 이때 HBLK 신호의 상승엣지에서 트리거되도록 회로를 구성하고 (-T단자와 /Q단자를 연결한다). 저항(R18)과 캐패시터(C8)로 시상수를 조정하여 펄스폭을 2μsec로 맞춘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0)에서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의 출력을 트리거 펄스로 이용한다. 트리거 펄스의 하강엣지(-2μsec 지점)에서 트리거되도록 하고 (+T단자를 그라운드로 한다). 저항(R17)으로 시상수를 변화시키면서 HR1 신호의 펄스폭을 1μsec에서 6μsec까지 변화시키면 수평위상을 -1μsec에서 +4μsec 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제7도는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의 회로도로서,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108)는 내부동기일 경우 (EXT/INT 신호가 로우레벨일때)에는 저항(R21, R22)에 의하여 주파수가 결정되며 외부동기일 경우(EXT/INT 신호가 하이레벨일때)에는 외부동기 제어부(102)로부터의 SCPCO 신호의 전압에 의하여 주파수가 가변되어 동기를 맞추게 된다.
저항(R22, R23)은 바이어스 저항이고 저항(R19, R20), 캐패시터(C10)은 로우패스 필터용 소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부동기신호의 버스트신호로부터 기준신호를 발생시켜서 반송파신호와 비교하여 동기를 맞추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경우 기준신호로서 수평동기신호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인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동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동기가 맞지 않게되는 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4)

  1. 외부동기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복합동기신호를 분리해내고 외부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분리수단; 상기 외부동기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소정의 제2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동기신호로부터 버스트신호를 분리해내고 위상을 조정하여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수단; 소정의 수평블랭킹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수평동기 위상을 맞추어 주는 수평동기리셋신호를 수평동기 위상조정수단; 상기 수평동기리셋신호, 상기 제1제어신호 및 소정의 제2반송파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수평동기리셋신호 및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수평동기 및 수직동기를 각각 리셋하고, 상기 제2반송파신호에 대한 제1반송파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발생수단; 소정의 비교신호 및 소정의 제3제어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3제어신호에 따라 내부의 주파수에 동기된 클럭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비교신호의 주파수에 동기된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 상기 클럭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반송파신호를 만들어 출력하는 타이밍 발생수단; 및 상기 복합동기신호, 제1반송파신호 및 기준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수단으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합동기신호와 상기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로 상기 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외부동기를 맞추는 경우인지 내부동기를 사용하는 경우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상기 제3제어신호를 상기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 및 상기 동기신호 발생수단으로 출력하는 외부동기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동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신호 분리 및 위상조정수단은 상기 외부동기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2제어신호를 제어신호로 하여 상기 제2제어신호가 하이레벨상태인 경우 상기 외부동기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외부동기신호로부터 버스트신호를 분리해내기 위한 버스트신호 분리수단; 및 상기 버스트신호의 진폭을 증폭시키고 위상을 지연시킴으로써 TTL레벨의 상기 기준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색신호 위상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동기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 위상조정수단은, 상기 수평블랭킹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수평블랭킹신호의 상승엣지인 지점을 원점으로 하여 -2μsec인 지점에서부터 상기 원점까지 로우레벨인 제1펄스를 출력하는 제1펄스발생수단; 및 상기 제1펄스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수평동기리셋신호의 하강엣지가 상기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1μsec에서 4μsec 사이에 존재하도록 하는 제2펄스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동기회로.
  4. 외부동기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복합동기신호를 분리해내고 외부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분리수단; 상기 외부동기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소정의 제2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동기신호로부터 버스트신호를 분리해내는 버스트신호 분리수단; 소정의 수평블랭킹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수평동기 위상을 맞추어 주는 수평동기리셋신호를 출력하는 수평동기 위상조정수단; 상기 수평동기리셋신호, 상기 제1제어신호 및 소정의 제2반송파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수평동기리셋신호 및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수평동기 및 수직동기를 각각 리셋하고, 상기 제2반송파신호에 대한 제1반송파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발생수단; 상기 제1반송파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1반송파의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반송파위상 조정수단; 소정의 비교신호 및 소정의 제3제어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3제어신호에 따라 내부의 주파수에 동기된 클럭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비교신호의 주파수에 동기된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 상기 클럭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반송파신호를 만들어 출력하는 타이밍 발생수단; 및 상기 복합동기신호, 기준신호 및 상기 반송파위상 조정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버스트신호 분리수단으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합동기신호와 상기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로 상기 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외부동기를 맞추는 경우인지 내부동기를 사용하는 경우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상기 제3제어신호를 상기 위상동기루프 제어회로 및 상기 동기신호발생수단으로 출력하는 외부동기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동기회로.
KR2019930025856U 1993-11-30 1993-11-30 외부 동기회로 KR960010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856U KR960010225Y1 (ko) 1993-11-30 1993-11-30 외부 동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856U KR960010225Y1 (ko) 1993-11-30 1993-11-30 외부 동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948U KR950015948U (ko) 1995-06-19
KR960010225Y1 true KR960010225Y1 (ko) 1996-11-28

Family

ID=1936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5856U KR960010225Y1 (ko) 1993-11-30 1993-11-30 외부 동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2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948U (ko) 199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9128A (en) Deflection synchronizing apparatus
US5907367A (en) Video overlay circuit for synchronizing and combining analog and digital signals
US4468687A (en) Television synchronizing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100717236B1 (ko) 영상 신호 처리 회로
KR960010225Y1 (ko) 외부 동기회로
US5018015A (en) Adaptive keyed synchronous detector
CA1317670C (en) Television synchronizing arrangement
JP3118395B2 (ja) クロマ信号処理装置
CA2345559C (en) Horizontal synchronization for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5122865A (en) Chroma key signal generator for a video editing apparatus
KR100406451B1 (ko) 신호처리회로
KR100287783B1 (ko) 씨씨티브이카메라
KR960013303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휘도신호 지연 제어회로
JP3104229B2 (ja) ビデオカメラ用外部同期装置
KR910005363Y1 (ko) 크로마 키이신호 발생기
KR100189051B1 (ko) 외부동기형 전하결합소자 카메라
KR100203330B1 (ko) 칼라 카메라의 내/외부 동기 장치
JP3515172B2 (ja) テレビカメラ装置
JP2515097Y2 (ja) カラーフレーム検出回路
KR100247087B1 (ko) 텔레비전의 버어스트위치 적응보정장치
JPH074016B2 (ja) 外部同期回路
KR100231501B1 (ko) 크로마 신호 처리 장치
JPH08116548A (ja) 外部同期式カメラの同期回路装置
JPH1093986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H05219522A (ja) Yc分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