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927B1 - 다수의 송신국을 갖는 무선 페이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의 송신국을 갖는 무선 페이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927B1
KR960009927B1 KR1019930000226A KR930000226A KR960009927B1 KR 960009927 B1 KR960009927 B1 KR 960009927B1 KR 1019930000226 A KR1019930000226 A KR 1019930000226A KR 930000226 A KR930000226 A KR 930000226A KR 960009927 B1 KR960009927 B1 KR 960009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aging
signal
base station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319A (ko
Inventor
요시오 이찌까와
Original Assignee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filed Critical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67Common-wave systems, i.e. using separate transmitters operating on substantially the same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67Arrangements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the basic mobile satellite telephony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5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mmon w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다수의 송신국을 갖는 무선 페이징 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블럭 회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중앙 제어 부분의 상세한 블럭 회로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코딩 제어 부분의 상세한 블럭 회로도.
제 4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페이징 제어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 5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페이징 요구 신호의 포맷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6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코딩 제어 부분에 있어서 신호의 시간 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제 7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변조 신호의 시간 위치 사이에 관계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제 8 도는 각각의 기지국이 2개의 서로 다른 비변조의 무선 주파수 반송파를 송신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블럭 회로도.
제 9 도는 제 8 도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 신호의 시간 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블럭 회로도.
제11도는 제10도의 도시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 신호의 시간 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시스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페이징 제어기20, 21 : 기지국
41 : 전화 단자80 : 페이징 수신기
110 : PSTN 인터페이스 장치120 : 중앙 제어 장치
130, 131 :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 가입자 데이타 파일
150, 230 : GPS 수신기210 :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220 : 코딩 제어 장치240 : 송신기
본 발명은 무선 페이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일한 주파수를 갖고 있고 동일한 디지탈 선택 호출 신호, 즉 페이징 신호와 동기적으로 변조된 다수의 무선 주파수 반송파가 상호 간에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송신되는 광역 무선 페이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페이징 시스템에서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선정된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어 있고 출력이 100W단위인 무선 송신기를 각각 가지는 다수의 기지국을 배치하여 동일한 주파수를 갖고 있고 동일한 디지탈 페이징 신호로 변조된 다수의 무선 주파수 반송파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무선 페이징 시스템에서는 인접한 2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무선 주파수 반송파가 수신될 수 있는 영역, 즉 간섭 영역 내에서 수신된 2개의 반송파 사이의 위상차가 통상 디지탈 페이징 신호의 비트 간격의 1/4 이내의 일정한 값보다 크지 않도록 제한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POCSAG(Post office Code Standardization Group)에 의하여 표준화된 512BPS의 디지탈 페이징 신호, 즉 POCSAG 코드를 사용하는 페이징 시스템에서, 상기 위상차는 488μs 이상이 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각각의 기지국의 기준 위상으로 부터의 위상 오차가 약 250μs보다 크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러한 형태의 페이징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페이징 요구(reguest)를 수신하는 전화 교환망 사이에 중앙국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상기 중앙국은 가입자들롭터의 페이징 요구 데이타를 예를 들어 POCSAG 코드의 페이징 요구 신호 포맷 등의 선정된 신호 포맷으로 포맷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페이징 제어기를 포함한다.
중앙국 및 기지국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케이블 또는 무선 주파수 시분할 멀티플렉서 등에 의하여 형성된다. 중앙국과 기지국 간의 접속 회로를 통한 신호 전성에 의하여 발생되는 지연을 보상함으로써 위상 오차를 선정한 범위(약 250μs)로 제한하기 위하여, 중앙국 및 기지국은 각각 다양한 지연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미합중국 특허 제4,709,401호는 중앙국이 선정된 코드 패턴을 가지는 위상 보정 코드와 변조된 무선 주파수 반송파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위상 보정 코드로 복조시키는 기지국들 중의 하나는 위상 보정 코드를 기초로 하여 그 자체의 다양한 지연 수단의 지연의 크기를 계산하고 설정하나.
일반적으로 중앙국과 하나의 기지국 간의 상기 접속 회로는 통상 루트 또는 별도의 루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미합중국 특허의 위상 동기화 시스템에서 통상 회로가 차단되어 별도 회로에 연결되었을 때 지연의 크기를 다시 계산하고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요구에 부응하여 디지탈 페이징 신호의 비트율을 더욱 증가시킬 때,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른 위상 보정의 정확도는 충분하지 않게 된다. 즉, 1600BPS의 POCSAG 코드 비트율에 대응하는 무선 페이징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위상 보정의 정확도는 26μs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이는 무선 송신 영역들 간의 지연의 차이 및 또는 송신기 내에서는 위상 오차가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송신기의 변조 입력의 위상 보정 정확도가 약 10μs 이내가 되어야 함을 의미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서 중앙국과 기지국을 접속시키는 송신선의 지연 변이가 상기 허용 위상 오차보다 작아야 한다. 그러나 시분할 멀티플렉서 회로에서 그와 같은 정확도를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상기 송신선에서 시분할 멀티플렉스 신호를 분리할 때 발생하는 신호 지연의 증가는 페이징 제어기 및 시분할 멀티플랙서의 클럭 펄스가 일반적으로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항상 변화한다. 따라서, 만약 지연의 변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시분할 멀피플렉싱이 제한되면, 송신선의 수가 증가되어 송신선을 설치하고 유지하는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수를 증가시키면, 중앙국과 기지국을 접속하는 접속 회로의 수가 증가하여 이러한 회로들의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증가된다.
다수의 기지국이 단일 송신선에 접속되는 멀티드롭 시스템(multi-drop system) 및 중앙국과 기지국들 사이에 신호 분배기가 배치되는 수상 접속 시스템(tree-connection system)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멀티드롭 시스템에서 중앙국 및 기지국 사이의 한 지점에서 송신선의 구성이 변경되면, 따라서 지연의 크기가 변화하여 위상 보정이 매우 어렵게 된다. 즉, 송신선에 접속된 모든 기지국들의 위상이 유사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중앙국 측의 송신선 부분에서 발생되는 지연의 변이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기지국 측의 송신선에서 발생되는 지연의 변이는 기지국 간의 위상 오차를 야기한다. 수상 시스템에서는 송신선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신호 분배기의 사용으로 말미암아 지연의 변이가 증가된다. 따라서, 디지탈 페이징 신호의 비트율이 증가될 때, 다수의 기지국들의 송신 출력 간의 위상 동기화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다수의 신호 분배기가 사용될 때에느, 분배기의 하부스트림(downstream)쪽에 배치된 기지국의 위상 보정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고 동일한 페이징 신호로 동기적으로 변조된 다수의 무선 주파수 반송파가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디지탈 페이징 신호를 다수의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한 접속회선을 가지고, 디지탈 페이징 신호로 무선 주파수 반송파를 변조할 때의 동기화의 정확도가 접속 회선의 지연의 변이에 상관없이 높게 유지도는 무선 페이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의 수의 증가 및 무선 주파수 반송파의 증가와 비교하여, 접속 회선의 수의 증가가 제한될 수 있는 상기 형태의 무선 페이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페이징 수신기들에 페이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광역 페이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PSTN(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하여 PSTN의 가입자로부터 수신된 페이징 호출에 응답하여 호출된 페이징 수신기의 소유자의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는 페이징 제어기, 및 상이한 송신 기간을 갖는 다수의 송신선을 통하여 페이징 제어기에 접속되고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며 페이징 요구 신호에 대응하여 디지탈 페이징 신호와 동기적으로 변조된 무선 주파수 반송파를 각각 발생시키는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 페이징 제어기는 송신선들의 상이한 송신 시간의 최대값과 동일한 제1 시간값 및 각각의 기지국이 페이징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탈 페이징 신호를 발생할 때까지 소요되는 제2 시간값을 예비적으로 기억시키기 위한 지연 시간 기억 메모리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페이징 제어기는 다수의 NAVSTAR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시간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GPS(광역 위치설정 시스템) 수신기, 시간 기준 신호에 응답하여 국제 표준 시간과 선정된 관계를 가지는 고도로 정확한 시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시간 기준화로 및 제1 시간값과 제2 시간값의 합을 고도로 정확한 시간 신호에 의하여 표시된 현재 시간에 더하여 얻어지는 시각 이후의 시간을 나타내는 코드를 송신 개시 시간 지정 코드로서 페이징 요구 신호에 부가하는 코드 부가 수단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기지국은 상기 페이징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임시로 기억하기 위한 수신 버퍼 메모리 수단.
상기 시간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GPS 인공위성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는 제2 GPS 수신기 기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시간 기준 신호에 응답하는 제2 시간 기준 회로.
상기 수신 버퍼 메모리 수단에 누산된 상기 페이징 요구 신호의 송신 개시 시간 지정 코드와 상기 제2 시간 기준 회로로부터의 상기 고정밀 시간 신호 사이에서 일치성을 검출하기 위한 일치회로,
상기 페이징 요구 신호의 포맷을 상기 일치회로의 일치 출력이 상기 제2 시간 기준회로로부터의 상기 고정밀 시간 신호와 일치하여 발생되는 시간으로부터의 상기 디지탈 페이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포맷 변환 회로 및 선정된 주파수를 갖고 있고 상기 디지탈 페이징 신호와 동기적으로 변조되는 무선 주파수 반송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무선 송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무선 페이징 시스템에 따라, 송시 개시 시간 정보가 무선 주파수 반송파의 변조 신호를 형성하는 디지탈 페이징 신호에 부가되는 한편, 각각의 기지국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다수의 무선 주파수 반송파가 GPS 인공위성으로부터의 고도로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할당된 시각에 페이징 신호에 의하여 동기적으로 변조된다. 따라서, 페이징 수신기가 변조된 무선 주파수 반송파를 수신할 대 인접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출력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시스템을 블럭 형태로 도시한 제 1 도에 있어서, 중앙국 내에 제공되는 페이징 제어기(10)은 공중 교환전화망(PSTN)에 접속되어 전화 단자(41)로부터 페이징 호출 신호를 수신한다. 페이징 제어기(10)은 PSTN(40)과의 접속을 제어하고 페이징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PSTN(40)에 의해 발생되는 페이징 호출 수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PSTN 인터페이스 장치(110), 송신 개시 시간 지정 코드에 부가된 페이징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페이징 호출 수신 신호에 응답하는 중앙 제어 장치(120), 기지국(20 및 21)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송신선(60 및 61)에 페이징 요구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30 및 131), 페이징 수신기(80 ; 도면의 단순화를 위한 제 1 도에는 하나만 도시됨)의 가입자의 번호의 등록/비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데아타 파일(140), 및 NAVSTAR GPS 인공 인공(9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국제 표준 시간에 매우 정확하게 동기된 시간 정보 및 클럭 펄스를 발생시켜 중앙 제어 장치(120)에 공급하기 위한 GPS 수신기(150)을 포함한다. 기지국(20)은 송신선(60)을 통해 페이징 요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10), GPS 인공위성(9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국제 표준 시간에 매우 정확하게 동기된 시간 정보 및 클럭 펄스를 발생시켜 중앙 제어 장치(120)에 공급하기 위한 GPS수신기(150)을 포함한다. 기지국(20)은 송신선(60)을 통해 페이징 요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210), GPS 인공위성(3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국제 표준시간에 매우 정확하게 동기된 시간 정보 및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GPS 수신기(150)과 유사하게 동작하는 GPS 수신기(230), 송신 개시 시간 지정 코드에 부가된 페이징 요구 신호를 디지탈 페이징 신호로 포맷 변환시키기 위한 코딩 제어 장치(220),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탈 페이징 신호로 변조된 무선 주파수 반송파를 출력시키기 위한 송신기(240)을 포함한다. 기지국(21)은 기지국(20)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GPS 수신기(150 및 230)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GPS 수신기를 사용하여 국제 표준 시간에 동기된 시간 정보 및 클럭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호간에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지점에서의 정확한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5, 134, 407호에 기술되어 있다. GPS 수신기의 원래 목적은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즉, 다수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의 궤도 정보 및 기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기의 위치를 알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GPS 인공 위성은 국제 표준 시간에 대한 시간 오류 정보를 지상으로부터 공급받는 세슘 및 루비듐을 사용하는 원자 시계를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원자 시계는 실질적으로 국제 표준 시간과 일치한다. 각각의 GPS 수신기(150 및 230)에 의해 얻어진 시간 정보의 오류는 국제 표준 시간에 대해 5μs이내로서, 고도로 정밀한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제 2 도는 중앙 제어 장치(120)을 더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제 2 도에서, 중앙 제어 장치(120)은 PSTN 인터페이스 장치(110)으로 부터의 페이징 호출 수신 신호를 일시적으로 기억하여 이를 대기열로 형성하기 위한 대기열 처리기(121), 시간 축 상의 호출 수신 신호의 정렬을 나타내는 선정된 간격을 갖는 시간 신호(TQ)를 발생시키기 위한 대기열 타이머(123), 송신선(60 및 61)의 지연 시간 중 최대 지연시간의 값을 기억시키고, 기지국(20 및 21)에서 시간을 처리하기 위한 지연시간 기억 장치(124), GPS 수신기(150)의 출력에 기초하여 국제 표준 시간에 동기된 시간 정보 및 클럭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준 시간 펄스 발생기 회로(125) 및 타이밍 신호(TQ)의 매 수신시마다 대기열 처리기(121) 내의 호출 수신 신호의 포맷을 일군의 페이징 요구 신호로 변환시키고 기준 시간 펄스 발생기 회로(125)의 출력에 의해 표시된 현재 시간 및 지연 시간 기억 장치(124)의 출력에 의해 표시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개시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시간에 대응하는 코드를 페이징 요구 시간에 부가하여 이를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30 및 131)을 통해 각각 기지국(20 및 21)에 공급하기 위해 상술한 회로를 제어하기 위하 제어 회로(122)를 포함한다.
제 3 도는 코딩 제어 장치(220)을 더 자세하게 도시한다. 제 3 도에서, 코딩 제어 장치(220)은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10)으로부터 송신 개시 시간 지정 코드에 부가된 페이징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키기 위한 수신 버퍼(221), GPS 수신기(230)의 출력에 기초하여 국제 표준 시간에 동기된 시간 정보 및 클럭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 시간 펄스 발생기 회로(225), 기준 시간 펄스에 의해 표시된 현재 시간과 수신 버퍼(221) 내의 페이징 요구 신호의 지정 시간 사이읠 일치성을 검출하여 전송 신호(SS)를 출력하기 위한 일치 회로(22), 페이징 신호를 디지탈 페이징 신호로 포멧 변환하여 이를 변조 신호로서 송신기(240)에 공급하기 위한 송신 데이타 변환기(224) 및 전송 신호 (SS)에 기초하여 수신 버퍼(221)내의 페이징 요구 신호의 선택적인 공급 및 포맷 변환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제어 회로(223)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동작을 디지탈 페이징 신호가 512BPS의 POCSAG 코드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면, 페이징 제어기(10)은 PSTN 인터페이스 장치(110)에 있어서, 어떤 전화단자(41)로부터 페이징 요구에 대한 호출이 있는지의 여부를 항상 검사한다(S1). 호출이 있으면, 페이징 제어기는 호출된 가입자 번호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 상태로 들어간다(S2). 일본에서는 호출된 가입자 번호가 PSTN(40)과의 접속이 트렁크 접속인 경우 MF(다중 주파수) 신호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호출된 가입자 번호의 수신 후에, 대기열 처리기(121)은 가입자 데이타 파일(140)에 참조 번호를 붙이고 (S3) 페이징 요구는 호출된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만 수신된다. 호출된 가입자가 메시지 서비스와 함께 페이징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멤버 중의 한명이면(S4), PB(버튼 누름식 ; Push Button) 신호 형태로 메시지가 누신된다(S5). 이런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수신된 다수의 페이징 호출 수신 신호가 대기열 타이머(123)으로부터 타이머 신호(TQ)가 나올 때까지 대기열 처리기(121) 내에 수산된다. 그 다음, 대기열 처리기(121)은 그 포맷이 POCSAG 코드와 매우 근사한 일련의 페이징 신호를 발생시킨다(S6) (이 처리가 대기열 형성으로 불린다).
이 제어 회로(122)는 선정된 시간 간격을 갖는 시간 신호(TQ)의 매 수신시마다 대기열 처리기(121) 내에 누산된 페이징 수신기 신호의 포맷을 페이징 요구 신호로 변환시키고, 지연 시간 처리(124)의 출력에 의해 표시된 데이타 송신 시간 및 기지국 쪽의 수신 및 처리 시간을 기준 시간 펄스 발생기 회로(125)에 표시된 현재 시간에 가산하고, 페이징 요구 신호에 전송 개시 시간으로서 가산 결과로 표시된 시간 후에 경과된 시간을 부가하여 이를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30 및 131) 및 송신선(60 및 61)을통해 기지국(20 및 21)에 전송한다.
페이징 요구 신호의 송신 프로토콜은 OSI의 제2 층으로서 HDLC(고 레벨 데이타 링크 제어) 및 OSI의 제7 층으로서 제 5 도에 도시된 포맷을 사용한다. 제 5 도에 있어서, TXNO는 지정된 기지국읠 식별(ID)번호를, CHNO는 송신 데이타가 전송되는무선 주파수 채널을 표시하는 채널 벌호를 CODE는 전송되는 송신 데이타의 지정 포맷(예를 들면, POCSAG512BPS에 대해, 1)을, TIME은 송신 데이타에 대한 지정 송신 개시 시간(에를 들면, 12시 10분 00초일 때의 송신에 대해서 1000)을, TRNO는 이 포켓의 ID 번호를 나타내는 트랜잭션(transaction) 번호를, 그리고 TPL은 이 포켓의 데이타 길이를 나타내는 트랜잭션 포켓 길이를 표현한다. 또한, POCASG 데이타에 관해서, 21 정보 비트만이 3 바이트의 1 코드워드로서 송신되고 패리티 비트 및 프리앰블 및 동기 코드워드(SC)는 기지국 측에 부가된다. 이 체계에 의해, 송신선을 통과하는 송신 시간이 단축된다. 상술한 바에 의해 분명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각각의 페이징 요구 신호의 상부열(upstream)에 송신 개시 시간 정보를 삽입하는 것으로 특정 지워진다.
각 기지국의 ID번호의 번호 체계는 개개의 기지국 뿐만 아니라 그룹 내의 모든 기지국 또는 모든 그룹이 동시에 지정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중앙 제어 장치(120)는 송신선 및 기지국의 상태에 따라 ID 번호를 선택하고 TXNO를 설정한다. CHNO는 기지국이 다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갖을 때 사용된다.
제 1 도 및 제 3 도와 함께 제 6 도를 참조하면, 기지국(20)은 TXNO로서 페이징 요구 신호를 자신이 수신하거나 모든 기지국 및 코딩 제어 장치(220)이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된 수신 버퍼(221)내에 페이징 요구 신호를 기억시킨다. GPS 수신기(230)은 기준 시간 펄스 발생 회로(225)에 1초의 반복 주기를 갖는 펄스 신호(C3) 및 신호(C3)에 연속하여 조금 지연된 연속타 데이 형태의 시간 신호(C4)를 공급한다. 기준 시간 펄스 발생기 회로(225)에는 GPS 수신기(230)으로부터의 신호 (C3/C4)에 기초하여 더 정확한 시간을 알기 위해 매우 안정한 수정 발진기가 설치된다. 시간 신호(C4)가 펄스 신호(C3)보다 조금 늦게 기준 시간 펄스 발생기 회로(225)에 공급되기 때문에, 펄스 신호(C3)이 수신된 시간에 1초가 가산된 시간인 이미 수신된 신호(C4)에 의해 표시되는 시간을 사용함으로써 국제 표준시간과 동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기준시간 펄스 발생기 회로(225)는 전송 데이타 변환기(224)에 매 비트마다 클럭 펄스(C1)을, 매 코드워드(codeword)마다 클럭 펄스(C2)를 공급하여 디지탈 페이징 신호 포맷, 즉 송신 포멧 데이타(DS)를 매 비트 및 매 코드워드마다 동기시킨다. 기준 시간 펄스 발생기 회로(225)의 시간 정보는 펄스 신호(C3)을 수신할 때마다 수신 버퍼(221)로부터 페이징 요구 신호의 TIME 영역의 송신 개시 지정 시간을 판독하고, 그것을 기준 시간 펄스 발생기 화로(225)로부터의 펄스를 나타내는 현재 시간과 비교하며 이들 시간들이 일치할 때 데이타의 기억 어드레스와 함께 신호(SS)를 송신제어기(223)으로 송신 하는 일치 회로(222)에도 공급된다. 송신 제어기(223)은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POCSAG 데이타영역의 데이타를 송신 데이타 변환기(224)로 연속해서 공급한다. 송신 데이타 변환기(224)는 클럭 펄스(C1 및 C2)와 동기되어 동작하며 입력 디지탈 신호에 패리티 비트(tp)를 부가시키고, 거기에 프리앰블 및 SC를 더 추가함으로써 송신 포맷 데이타로 변환하여 이를 변조 신호로서 송신기(240)에 공급한다. 송신기(240)은 송신 데이타 변환기(224)로부터의 디지탈 페이징 신호와 무선 주파수 반송파를 변조시켜 디지탈 페이징 신호가 특정 페이징 수신기(80)을 호출하도록 전자기파로서 송신한다. 기지국(21)은 기지국(20)과 마찬가지로 국제 표준 시간과 동기하여 동작하므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변조 신호를 형성하는 디지탈 페이징 신호들간의 위상차를 1/4비트 길이로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기지국의 GPS 수신기들일 위상 비교를 위한 기준을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이들 기지국들간의 변조 신호 동기는 페이징제어기(중앙국)와 각 기지국간의 송신선에 있어서의 다른 시간 지연의 영향없이 유지될 수 있다.
제 7 도에 도시된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면, 시각(T0)에서 송신 개시 시간(TS)를 지정하는 페이징 요구 신호가 중앙국의 페이징 제어기(10)의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30 및 131)을 통해 출력된다. 송신선(60)으로 출력된 페이징 요구 신호(D1)은 수신되어 송신 지연 시간(t1) 후에 시각(T1)에서 기지국(20)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송신선(61)로 출력된 페이징 요구 신호(D2)는 수신되어 송신 지연 시간(t2) 후에 시각(T2)에서 기지국(21)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시각(TS)에서, 기지국(20 및 21)은 각각 신호 포맷 변환에 의해 디지탈 페이징 신호를 형성하여, 각각 형성 전 신호와 함께 변조된 무선 주파 반송파의 송신을 개시한다. 페이징 제어기(10)은 현재 시간(제 7 도의 t0)에 최대 송신 지연 시간(제 7 도의 t2) 및 기지국에서의 데이타 수신 및 처리시간(제 7 도의 tp)을 가산함으로써 송신 개시 시간(TS)을 알려 준다. 호출 가입자가 호출시 송신 시간을 지정하는 시스템(일본 공개 59-85147 참조)에 본 발명이 적용될 경우, 페이징 요구 신호는 t2 및 tp의 합으로 지정된 시간(TS) 이전에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출력되어야 한다.
제 8 도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진 2개의 무선 주파수 반송파가 송신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 8 도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지국(20 및 21)이 각각 상술한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 반송파를 갖고 있는 기지국(30 및 31)로 대체된 구조를 갖고 있다. 제 8 도에서, 기지국(30)은 코딩 제어 장치(220 및 320) 및 전송기(240 및 340)을 2개의 무선 주파수 반송파용 무선 채널(CH1 및 CH2)에 대응하여 갖고 있다. 이들 구성 부품은 제 1 도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코딩 제어기(220) 및 송신기(240)과 구성 및 기능에 있어서 각각 동일하다. 또한 제 1 도의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된 부품들은 각각 제 1 도의 부품들과 구성 및 기능에 있어서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겠다. 중앙 제어 장치(120)은 자신이 PSTN(40)의 전화 단말기(41)로 부터 페이징 호출을 수신할 경우 제 4 도에 도신 플로우챠트에 따라 대기열 형성을 행한다. 반면에, 복수의 페이징 수신기(80 및 81 : 2개만 도시됨) 각각은 무선 채널들(CH1 또는 CH2) 중 어느 것에 동조되고 이 송신 채널 번호 정보가 가입자 번호에 대응하여 가입자 데이타 파일(140)에 기억된다. 중앙 제어 장치(120)이 대기열 처리를 행할 때, 중앙 제어 장치(120)은 호출된 가입자 번호의 등록을 확인하고 그것을 모든 지정된 무선 채널에 분류하기 이해 가입자 데이타 파일을 참조하여 대기열 처리를 행한다. 중앙 제어 장치(210)은 타이밍 신호(TQ)에 응답하여 각 무선 채널용 페이징 요구 신호(제 5 도)를 직렬로 형성하여 그것을 송신선(60 및 61)을 통해 기지국(30 및 31)에 송신한다. 각 기지국(30 및 31)에서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10)에 의해 수신된 페이징 요구 신호의 CHNO 영역의 무선 채널 번호가 식별되어 그 번호가 무선 채널(CH1)일 경우 제어 장치(220)으로, 그 번호가 채널(CH2)일 경우 코딩 제어 장치(320)으로 송신된다. 무선 채널(CH1)에 대응하는 코딩 제어 장치(220) 및 송신기(240)은 무선 채널(CH2)에 대응하는 코딩 제어 장치(320) 및 송신기(340)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지정된 시간에 독자적으로 페이징 수신기(80 및 81)을 호출할 수 있다. 페이징 제어기(10) 및 기지국(30 및 31)에 있는 GPS 수신기(150 및 23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제 9 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페이징 요구 신호 및 디지탈 페이징 신호의 각 부분의 입력 및 출력간의 시간 위치의 관계를 도시한다. 제 9 도에서,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30)으로부터, 송신 시간(TSI)을 무선 채널(CH1)을 위해 지정하는 페이징 요구 신호(D11) 및 송신 기간(TS2)를 무선 채널(CH2)를 위해 지정하는 페이징 신호(D12)는 각각 시각(T01 및 T02)로부터 동일한 송신선에 연속적으로 송신되어 t1의 지연 후에 시각(T11 및 T12)에 기지국에 의해 각각 수신된다. 기지국(30)의 코딩 제어 장치(220)은 시간(TS1)에 채널(CH1)용 디지탈 페이징 신호를 형성하도록 신호(D11)의 포맷을 변환시킨다. 무선 채널(CH1)상의 신호가 계속된다 해도, 코딩 제어 장치(320)은 무선 채널(CH2)용 디지탈 페이징 신호를 형성하도록 신호(D12)의 포맷을 변환시킨다. 신호(D11 및 D12)는 또한 시각(T01 및 T02)에 페이징 제어기(10)의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31)로부터 송신선(61)에 공급되어 t1과는 다른 지연 시간 후에 기지국(31)에 의해 수신된다. 무선 채널(CH1 및 CH2)의 페이징 신호의 송신 개시 시간은 물론 기지국(30)의 그것들에 각각 동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나면서 복수의 무선 채널로부터의 페이징 신호가 중첩될 때라도, 페이징 제어기(10)과 각 기지국(30 및 31)내의 송신선을 통해 송신될 페이징 요구 신호에 송신 개시 시간 지정 코드가 부가되어 있으므로 이들 페이징 신호를 시분할 방시으로 단일 송신선 상으로 송신할 수 있어서 송신선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물론 송신선 상의 페이징 요구 신호의 비트율은 송신 포맷의 비트율의 N(무선 채널의 수)배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시분할 멀티플렉싱 속도를 이에 상응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512 BPS POCSAG 코드의 경우, 송신선 상의 페이징 요구 신호의 비트율이 9600 BPS이면 최소한 10개의 채널을 멀티플랙싱할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페이징 제어기(11) 및 기지국(20 및 21)간의 송신선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각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제10도에서, 송신선(70)은 멀티드롭 방식으로 페이징 제어기(11)의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30)과 다수의 기지국(20 및 21)의 각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10) 사이를 접속시킨다. 페이징 요구 신호가 페이징 제어기(11)로부터 송신선 (70)으로 송신될 때, 모든 기지국에 대해 TXNO가 지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페이징 제어기(11)측에서도 각 기지국이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가 있다. 이는 페이징 요구 신호의 정상적인 수신을 나타내는 각 기지국(20 및 21)로부터의 인식 신호(Ack)가 서로 충돌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페이징 요구 신호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20 및 21)에 각각 송신된다. 페이징 제어기(11)은 시각(T03)에서 TXNO 영역으로 기지국(20)에 지향된 ID 번호(TX1)을 지정하는 페이징 요구 신호(D3)을 송신하고나서 시각(T04)에서 기지국(21)에 ID 번호(TX2)를 지정하는 페이징 요구 신호(D4)를 송신한다. 신호(D3 및 D4)는 각각 송신 지연 시간(t3 및 t4) 후의 시각 (T3 및 T4)에 기지국(20 및 21)에 의해 수신된다. 따라서, 각 기지국(20 및 21)은 서로 다른 시각에 각각 Ack를 반송할 수 있다. 모든 기지국이 페이징 요구 신호의 수신을 완료하는 시각(T5) 이후에 송신 개시 시간(TS3)을 설정할 필요가 물론 있다. 본 시스템에서, 송신선(70)을 통해 송신될 페이징 요구신호의 비트율은 접속될 기지국의 수가 M(제10도에서, M=2)인 한 기지국의 비트율의 M배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에 상응하게 시분할 멀티플렉싱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들 들어, 512 BPS POCSAG 코드의 경우에, 송신선 상의 페이징 요구신호의 비트율이 9600 BPS이면 단일 송신선에 최소한 10개의 기지국을 접속할 수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페이징 제어기(11) 및 각 기지국(20 및 21)간의 거리 증가를 수용하도록 송신선에 페이징 신호를 전달/분배시키기 위한 신호 분배기(50)이 제공되는 수상 접속 구조를 갖고 있다. 제12도에서, 신호 분배기(50)은 페이징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분배하기 위해 페이징제어기(11)로부터 송신선(70)에 접속된 입력 분배 장치(510) 및 입력 분배 장치(510)에 의해 송신선(72 및 73)을 통해 각각 기지국(20 및 21)에 분배된 각 페이징 요구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출력 장치(520 및 5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지국의 수와 비교하여 페이징 제어기로부터의 송신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페이징 시스템은 변조된 무선 주파수 반송파가 페이징 수신기에 의해 수신될 때 인접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출력 신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한편으로 무선 주파수 반송파의 변조신호를 형성하는 디지탈 페이징 신호에 송신 개시 시간 정보가 인가되어 있고, 반면에 각 기지국에서, 동일 주파수를 갖고 있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반송파가 시간기준으로 GPS 위성으로부터의 매우높은 정밀도의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지정된 시각에 동기하여 페이징 신호에 의해 변조되기 때문이다. 또한, 페이징 제어기 및 각 기지국간의 페이징 신호 송신선이 멀티드롭 접속, 수상 접속 또는 스타 접속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동시 송신을 성취하기 위한 위상 동기화가 가능해져서 송신선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제 3 도에서, GPS 수신기(230)으로부터 클럭 퍽스 및 시간 정보를 구할 수 없게 되는 경우는, 고도로 안정된 수정 발신기(226)에 의해 각 기지국의 기준 시간 펄스 발생기 회로(225)가 가동된다. 안정도가 0.01 PPM 이하인 수정 발진기가 9600BPS의 비트율용의 발진기(226)으로서 실용가능하다, 페이징 신호의 비트율이 9600BPS 이하일 때, 수정 발진기의 안정도는 더 작아질 수 잇다. 이러한 자가 동작 수정 발진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송신선의 동기 클럭 펄스, 텔레비젼 방송 전파 또는 JJY와 같은 표준 전파의 동기 신호를 사용해서 GPS 수신기의 클럭과 위상이 동기된 클럭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백업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GPS 수신기에서 동기되고 난 후, 백업 수단에 의해 동기가 유지된다. 제 2 도의 페이징 제어기의 기준 시간 펄스 발생기 힐(12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즉, 회로(125)의 안정도는 기지국 측과 비교할 때 더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백업 수단을 사용한 기준 시간 펄스 생성기 회로는 GPS 수신기(150)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는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참조할 경우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뿐만 아니라 기재된 실시에 대한 여러가지 변경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는 이러한 변경 또는 다른 실시예를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포함한다.

Claims (3)

  1. 호출되는 페이징 수신기의 소유자의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공중 교환 정화망(PSTN)의 가입자로부터 수신된 페이징 호출에 응답하는 페이징 제어기, 및 상이한 송신 시간을 갖는 다수의 송신선을 통해 상기 페이징 제어기에 접속되고, 동일한 주파수를 갖고 상기 페이징 요구 신호에 대응하여 디지탈 페이징 신호와 동기적으로 변조되는 무선 주파수 반송파를 각각 발생시키는 다수의 기지국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분산된 다수의 페이징 수신기용 페이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광역 페이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선의 상이한 송신 시간의 최대값과 동일한 제 1 시간 및 상기 각각의 기지국이 상기 페이징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페이징 신호를 발생할 때까지 소요되는 제 2 시간 값을 에비적으로 기억시키기 위한 지연 시간 기억 장치, 시간 시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다수의 NAVSTAR GPS(광역 위치 설정 시스템)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는 제 1 GPS 수신기, 국제 표준 시간에 맞춰 선정된 시간 기준 신호에 응답하는 제 1 시간 기준 회로 및 소정 시각 후에 제 1 시간 값 및 제 2 시간 값의 합을 현재 시간에 가산 하여 얻어지는 시간을 표시하는 코드를 송신 개시 시간 지정 코드로서 페이징 요구 신호에 부가시키기 위한 코드 부가 수단을 포함하는 페이징 제어기, 및 상기 페이징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임시로 기억하기 위한 수신 버퍼 메머리 수단, 상기 시간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GPS 인공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는 제 2 GPS 수신기, 국제 표준 시간에 맞춰 선정된 관계를 갖는 고정밀 시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시간 기준 신호에 응답하는 제 2 시간 기준 회로, 상기 수신 버퍼 메모리 수단에 누산된 상기 페이징 요구 신호의 송신 개시 시간 지정 코드와 상기 제 2 시간 기준 회로로부터의 상기 고정밀 시간 신호 사이에서 일치성을 검출하기 위한 일치회로, 상기 일치회로의 일치 출력이 상기 제 2 시간 기준 회로로부터의 상기 고정밀 시간 신호와 일치하여 발생되는 시간에서부터 상기 페이징 요구 신호의 포맷을 상기 디지탈 페이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포맷 변환 회로 및 선정된 주파수를 갖고 있고 상기 디지탈 페이징 신호와 동기적으로 변조되는 무선 주파수 반송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기준 회로가 고도로 안정한 수정 발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GPS 수신기로부터 상기 시간 기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탈 페이징 신호의 각 비트의 시간 위치를 정하는 클럭 펄스를 발생하며 상기 시간 기준 신호가 정지한 후에도 상기 클럭 펄스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반송파가 상이한 주파수를 갖고 있는 다수의 반송파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페이징 수신기가 상기 반송파 중 상이한 1개의 반송파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페이징 제어기가 상기 각각의 반송파에 대응하여 상기 코드 부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페이징 요구 신호의 비트율이 상기 디지탈 페이징 신호의 비트율과 상기 반송파의 수의 곱과 동일하고, 상기 각각의 기지국이 각각 상기 수신 버퍼 메모리 수단, 상기 포맷 변환 회로 및 상기 전송기를 포함하는 세트들을 상기 반송파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포함하며, 상기 반송파들이 상기 각각의 반송파에 대응하는 상기 페이징 요구 신호들의 상기 시간 지정 코드들에 의해 지정되는 송신 개시 시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시스템.
KR1019930000226A 1992-01-10 1993-01-09 다수의 송신국을 갖는 무선 페이징 시스템 KR960009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7092 1992-01-10
JP92-002970 1992-01-10
JP92-127016 1992-05-02
JP12701692 1992-05-20
JP18020492 1992-07-08
JP92-180204 1992-07-08
JP18775392 1992-07-15
JP92-187753 1992-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319A KR930017319A (ko) 1993-08-30
KR960009927B1 true KR960009927B1 (ko) 1996-07-24

Family

ID=2745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226A KR960009927B1 (ko) 1992-01-10 1993-01-09 다수의 송신국을 갖는 무선 페이징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61701A (ko)
EP (1) EP0551126B1 (ko)
KR (1) KR960009927B1 (ko)
AU (1) AU663351B2 (ko)
CA (1) CA2087064C (ko)
DE (1) DE69329209T2 (ko)
ES (1) ES2149782T3 (ko)
HK (1) HK1010031A1 (ko)
SG (1) SG46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2932A1 (fr) * 1993-07-12 1995-01-26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Systeme de synchronisation de phases interservices
GB2288951A (en) * 1994-04-25 1995-11-01 Cirkisys Technology Ltd Synchronising simulcast systems
FR2725860A1 (fr) * 1994-10-17 1996-04-19 Telediffusion Fse Procede et systeme de synchronisation d'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
JP3192897B2 (ja) * 1994-12-02 2001-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呼び出しシステム
WO1996020543A1 (en) * 1994-12-27 1996-07-04 Ericsson, Inc. Simulcast resynchronisation improvement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EP0743800A3 (en) * 1995-05-17 1999-01-27 NEC Corporation Paging system capable of calling pagers of different bit rates with efficient use of radio channels
JP2661589B2 (ja) * 1995-05-22 1997-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Gpsによるダイナミックキューイング方式
US5742907A (en) * 1995-07-19 1998-04-21 Ericsson Inc. Automatic clear voice and land-line backup alignment for simulcast system
KR0159665B1 (ko) * 1995-11-16 1998-12-01 김광호 페이징시스템의 동시방송을 위한 자동조정 지연회로 및 방법
US6011977A (en) * 1995-11-30 2000-01-04 Ericsson Inc. RF simulcasting system with dynamic wide-range automatic synchronization
JP2809179B2 (ja) * 1996-03-14 1998-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同報通信システム
US6049720A (en) * 1996-04-12 2000-04-11 Transcrypt International / E.F. Johnson Company Link delay calculation and compensation system
WO1997039542A2 (en) * 1996-04-12 1997-10-23 E.F. Johnson Company Simultaneous broadcast management system
US5896560A (en) * 1996-04-12 1999-04-20 Transcrypt International/E. F. Johnson Company Transmit control system using in-band tone signalling
US5991309A (en) * 1996-04-12 1999-11-23 E.F. Johnson Company Bandwidth management system for a remote repeater network
US5970400A (en) * 1996-04-30 1999-10-19 Magellan Corporation Adjusting the timing and synchronization of a radio's oscillator with a signal from an SATPS satellite
US5937357A (en) * 1996-05-15 1999-08-10 Nec Corporation Network comprising base stations for selectivity calling mobile units by call radio signals of different bit rates in phase coincidence
DE19625219C1 (de) * 1996-06-24 1997-10-30 Siemens Ag Vorrichtung zur Kompensation der Signallaufzeitunterschiede von digitalen Übertragungseinrichtungen
DE19633786A1 (de) * 1996-08-22 1998-02-2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Synchronisation von Funkzellen im Gleichwellenfunk und Funkstation
US5884170A (en) * 1996-09-24 1999-03-16 Ericsson, Inc. Subscriber feature controlled high penetration messaging
AUPO264996A0 (en) * 1996-09-27 1996-10-24 Martin Communications Pty Ltd Event recording and analysis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AU716041B2 (en) * 1996-09-27 2000-02-17 Tele-Ip Limited Event recording and analysis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GB2319696B (en) 1996-11-20 2001-08-01 Internat Mobile Satellite Org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864764A (en) * 1996-11-25 1999-01-26 Motorola, Inc. Infrastructure transceiver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6332086B2 (en) * 1997-04-07 2001-12-18 Graham Avis Discontinuous receive operation in a wireless terminal
SG82573A1 (en) * 1997-04-28 2001-08-21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eceivers for receiving signals in 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s
KR100211581B1 (ko) * 1997-05-10 1999-08-02 윤종용 Gps 수신기로부터의 기준클럭신호 지연회로를 이용한 페이징 시스템의 호데이타 송출방법
US6369705B1 (en) 1997-12-04 2002-04-09 Thom Kennedy Alarm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JP3305644B2 (ja) * 1998-01-30 2002-07-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呼出符号化制御装置
JP3225915B2 (ja) * 1998-02-19 2001-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SG55461A1 (en) * 1998-05-22 2002-06-18 Advent Television Ltd A network for broadcasting a digital signal
JP4267092B2 (ja) * 1998-07-07 2009-05-27 富士通株式会社 時刻同期方法
US8363757B1 (en) 1999-10-12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the effects of frequency offsets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6349116B1 (en) 1999-10-14 2002-02-19 Wherenet Corp. Data communication system harnessing frequency shift keyed magnetic field
US6853687B2 (en) 2000-01-12 2005-02-08 Wherenet Corp Proximity-based magnetic field generato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F burst-transmitting tags of geolocation system
WO2001067043A1 (en) * 2000-03-07 2001-09-13 Wherenet Corp Ultra-sensitive magnetic field receiver capable of operating in high noise environments
US6476719B2 (en) 2000-03-07 2002-11-05 Wherenet Corp. Ultra-sensitive magnetic field receiver capable of operating in high noise environments
US6807146B1 (en) 2000-04-21 2004-10-19 Atheros Communications, Inc. Protocols for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verland signals and multi-carrier frequency communication
AU2001257133A1 (en) 2000-04-22 2001-11-07 Atheros Communications, Inc.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employing variable symbol rates and number of carriers
US6947769B1 (en) * 2000-09-28 2005-09-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adio 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DE10105093A1 (de) * 2001-02-05 2002-08-08 Nokia Corp Paging-Verfahren und -System für ein Funkzugriffsnetz
US7369576B2 (en) * 2002-02-06 2008-05-06 Telcordia Technologies, Inc. Managing scanning and traffic in a network
DE10349476A1 (de) * 2003-10-21 2005-05-25 Siemens Ag Zeitgenaue Durchführung einer Mess- oder Steueraktion sowie Synchronisation mehrerer solcher Aktionen
US7760704B2 (en) * 2004-06-29 2010-07-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l routing and paging across different types of networks
US7336646B2 (en) * 2004-10-26 2008-02-26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 transport stream in a single frequency network
US8254355B2 (en) * 2008-09-17 2012-08-28 Airhop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second receiver to establish time and frequency
US8279908B2 (en) * 2008-12-31 2012-10-02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Synchronization of separated platforms in an HD radio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TWI515878B (zh) * 2009-07-15 2016-01-01 西拉娜半導體美國股份有限公司 絕緣體上半導體結構、自絕緣體上半導體主動元件之通道去除無用積聚多數型載子之方法、及製造積體電路之方法
US8412475B1 (en) * 2009-12-23 2013-04-02 Southern Company Services, Inc. Pseudorandom binary discrete interval noise signal generation and injection on to the electric power gri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0176A1 (de) * 1980-05-28 1981-12-03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Verfahren und anordnung zum zeitgleichen aussenden von nachrichten ueber mehrere gleichwellensender
SE435438B (sv) 1982-12-09 1984-09-24 Ericsson Telefon Ab L M Forfarande for instellning av radiosendare pa samtidig sendning
JPS5985147A (ja) 1982-11-05 1984-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時刻指定選択呼出し方式
US4696052A (en) * 1985-12-31 1987-09-22 Motorola Inc. Simulcast transmitter apparatus having automatic synchronization capability
US4850032A (en) * 1987-11-18 1989-07-18 Motorola, Inc. Simulcast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5287550A (en) * 1990-12-24 1994-02-15 Motorola, Inc. Simulcast scheduler
AU1342892A (en) * 1991-01-28 1992-08-27 Motorola, Inc. Simulcast transmission system having predetermined launch times
US5134407A (en) 1991-04-10 1992-07-28 Ashtech Telesis, Inc.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digital processing techn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61701A (en) 1996-10-01
AU663351B2 (en) 1995-10-05
EP0551126A1 (en) 1993-07-14
DE69329209D1 (de) 2000-09-21
DE69329209T2 (de) 2001-04-05
AU3114393A (en) 1993-07-15
CA2087064C (en) 1998-04-14
CA2087064A1 (en) 1993-07-11
HK1010031A1 (en) 1999-06-11
KR930017319A (ko) 1993-08-30
SG46571A1 (en) 1998-02-20
ES2149782T3 (es) 2000-11-16
EP0551126B1 (en)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9927B1 (ko) 다수의 송신국을 갖는 무선 페이징 시스템
US5124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radio transmitters in a paging network
KR960015848B1 (ko) 시뮬캐스트 스케쥴러
EP0606236B1 (en) Simulcast synchronization and equalization system
WO1998031111A1 (fr) Systeme de synchronisation de trame entre stations de base d'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mobile et un dispositif de station de base utilisant ce systeme
US6477183B1 (en) Economical synchronization system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dependence on external system
JP2503855B2 (ja) ペ―ジングシステム
US5937357A (en) Network comprising base stations for selectivity calling mobile units by call radio signals of different bit rates in phase coincidence
CA2188076C (en) Synchronization of wireless base stations by a service circuit in a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WO1992013417A1 (en) Simulcast transmission system having predetermined launch times
CN1028946C (zh) 具有多个发射台的无线寻呼系统
JPH0555975A (ja) 衛星同報通信方式及び衛星同報通信装置
JPH08163623A (ja) 無線呼び出しシステム
KR100219876B1 (ko) 페이징 시스템의 동기식 호데이타 송출장치
JPH08213966A (ja) 多方向多重通信システム
KR100249527B1 (ko) 지피에스 수신기를 이용한 동시 방송 방법
GB2320118A (en) Communication
JP2765562B2 (ja) ページングシステム
JP2645030B2 (ja) 時分割多元接続衛星通信システムのバースト同期方式
KR100540685B1 (ko) 위성 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의 의사 기준버스트 수신시점신호생성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트래픽지구국 동기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00226600B1 (ko) 위성통신 시스템용 망동기방법 및 그 장치
JPH10174157A (ja) 無線呼出システムの遅延補正方式
JPH10341195A (ja) 衛星通信における基準時間設定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適用した広域無線ページングシステム
JPH08163624A (ja) 無線呼び出しシステム
JPH08307932A (ja) 移動通信基地局間tdm同期方法及び移動通信基地局間tdm同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