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914B1 -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914B1
KR960009914B1 KR1019930025691A KR930025691A KR960009914B1 KR 960009914 B1 KR960009914 B1 KR 960009914B1 KR 1019930025691 A KR1019930025691 A KR 1019930025691A KR 930025691 A KR930025691 A KR 930025691A KR 960009914 B1 KR960009914 B1 KR 960009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tape
starting point
driving
data
tap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민호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101993002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14B1/ko

Link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도.
제2도는 종래의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테이프장치 구동방법.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제1, 2프로세서
30, 40, 50, 60 : 디스크 장치(Disk Unit:DKU0~3)
70, 80, 90, 100 : 마그네틱 테이프장치(Magnetic Tape Unit : MTU0~3)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 장치(Magnetic Tape Unit)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그네틱 테이프 장치에 장착되는 마그네틱 테이프상에 기록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동을 제어하는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전자교환기는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상위레벨의 주처리기(MP;Main Processor)와 하위레벨의 주변처리기(PP;Peripheral Processor)로 구성된다. 주처리기는 호(Call 또는 Ringing)정보처리, 번호번역, 그룹스위치제어, 시스템 유지 및 보수기능과 같이 실시간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상위레벨의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주변처리기는 가입자전화 또는 입출력소자들로 부터 감지 및 순간분석들과 같이 신호의 실시간처리가 요구되는 하위레벨의 일을 수행한다. 이중 주처리기는 모듈화 및 신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다중프로세서 구조에 의한 분산제어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주처리기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를 다수개 구비하여 액티브/대기(Active/Standby)모드의 제어로 이중화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주처리기에 의해 제어되는 주변장치로는 각종 과금(또는 사용요금)정보를 비롯하여 시스템유지보수와 관련된 정보를 보관하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장치(Disk Drive Unit;DKU)와 마그네틱 테이프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주처리기에 해당되는 프로세서모듈과 주변장치인 디스크 드리이브장치와 마그네틱 테이프장치는 보통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표준 인터페이스회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드라이브장치와 마그네틱 테이프 장치는 제2차원 저장기라고도 한다.
이는 주처리기보드내에 약 16M 내지 32M바이트 정도의 주메모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1도는 상술한 주처리기를 중심으로 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DKU0~3 ; 30~60) 및 마그네틱 테이프장치(MTU0~3 ; 70~100)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장치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모듈은 제1프로세서(10)와 제2프로세서(20)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제1프로세서(10)와 제2프로세서(20)는 제1프로세서(10)가 액티브모드인 경우에는 제2프로세서(20)는 대기모드로 설정되어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30~60) 및 마그네틱 테이프장치(70~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과금정보나 시스템유지보수와 관련된 매우 중요한 데이터는 신뢰도가 매우 중요하므로 이를 저장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장치(30~60) 및 마그네틱 테이프장치(70~100)는 이중화되어 있고(예를 들어 과금용도의 마그네틱 테이프가 MTU0(70)인 경우에는 보조용도의 마그네틱 테이프로 MTU2(90)를 설정한다), SCSI버스 역시 이중화된 프로세서 모듈(10, 20)과 주변장치들(30~100)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중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종래의 마그네틱 테이프장치에 마그네틱테이프를 실장하여 과금용 또는 통계용, 백업(Back-up)용으로 구동하고자 할 때, 기존에는 제2도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처리되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금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하고, 과금용도로 사용되는 마그네틱 테이프장치(MTU)는 제1도에 있어서 MTU0(70)와, MTU2(90)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가 2로 설정한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중화 기능을 위한 것이다.
제2도에 의하여 처리될 때, 우선 마그네틱 테이프장치(Magnetic Tape Unit;MTU, 70, 이하 MTU라 함)에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MT, 이하 MT라 함)가 실장되었는지를 확인한다(제101단계). 만약 MT가 실장되어 있지 않으면 MT를 실장한다(제102단계). 제101단계와 제102단계를 통해 MT가 실장된 경우에, 해당 MTU0(70)가 과금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103단계). 다른 용도로 사용중이라면 사용하고 있지 않은 다른 MTU2(90)를 선택하여 MT를 실장한다(112단계).
그러나 제103단계에서 MTU0(70)가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고 잇다면, 해당 MTU0(70)를 원하는 용도로 구동하기 위하여 명령을 내린다(제104단계).
그러면, MTU0(70)는 MT의 시작부분에 있는 헤더(Header)부분을 읽는다(105단계). 여기서 헤더부분은 MT중 512~10240바이트 정도의 영역을 차지하여 해당 MT에 데이터가 수록된 날짜 및 시각, 그리고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영역이다.
헤더부분에 수록되어 있는 날짜에 대한 정보에 의하여 수록된 데이터가 30일이 경과되었는지 확인한다(제106단계). 여기에서 30일이 기준이 된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 전화국에서 MT에 수록된 데이터의 보존기간을 30일로 정해 놓았기 때문이며, 만약 보존 기간이 60일로 바뀐다면, 여기서 비교되는 날짜도 30일이 아닌 60일로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이 날짜 정보에 대한 비교치는 운용자에 의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제106단계에서 30일이 경과되지 않은 MT라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보존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때 시스템은 운용자에게 새로운 용도로 MT를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MT를 탈장하여 보존시킬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요구한다(제107단계). 새로운 용도로 MT를 사용할 경우와 30일이 경과된 경우에, MT의 헤더 부분에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와 시각등의 정보를 기록한 후(제108단계), MT를 원하는 용도로 사용한다(제109단계).
이에 따라 해당되는 MTU0(70)는 장착된 MT에 현재 발생되는 과금용도의 데이터를 수록하도록 한다. 데이터수록 중 원하는 용도로의 사용이 다 끝났으면, 해당 MTU0(70)의 구동을 해제시켜, 해당 MT를 MTU0(70)로 부터 탈장시킨 뒤 작업을 종료하며(제111단계), 사용이 끝나지 않았으면 계속 사용한다(제110단계). 이와 같은 MTU의 구동제어는 제1프로세서(10) 또는 제2프로세서(2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2도와 같은 MTU의 구동시, 제105단계의 구동지점은, MT의 시작부분이어야 한다는 조긴이 따르게 된다. 만약 MT의 시작부분이 아닌 중간부분이 픽업된 경우에는 헤더 길이만큼(512~10240바이트)의 다른 데이터(여기서는 불규칙성을 띤 정보)가 읽혀지므로(왜냐하면 헤더는 MT의 시작부분에 있으므로), 프로세서는 장착된 MT를 다른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하게 되어 MT의 보존 여부와는 무관하게 다른 용도로 사용하게 되므로 원래의 데이터를 유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그네틱 테이프를 원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 시작지점 검출후 수록제어를 하여 마그네틱 테이프에 수록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 테이프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그네틱 테이프 장치 및 디스크드라이브 장치를 주변장치로 하고, 상기 주변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이중화 또는 단일화하여 구동하는, 전전자교환기의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제어시, 장착된 마그네틱 테이프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 ;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에 마그네틱 테이프가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의 사용용도가 어떠한 용도로 설정되어 있는지 검출하기 위한 사용용도 검출과정 ; 상기 사용용도 검출과정에 의하여 원하는 용도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의 시작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시작지점 검출과정 ; 상기 시작지점 검출과정에서 시작지점이 검출되면,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를 원하는 소정의 용도로 구동되도록 명령을 인가하기 위한 명령인가과정 ; 상기명령인가과정에 의하여 인가된 명령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가 구동되면,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상의 헤더부분의 데이터를 읽기 위한 헤더데이터 읽기과정 ; 상기 헤더데이터 읽기 과정에서 읽혀진 데이터중 상기 마그네틱테이프에 수록된 데이터에 대한 기록될 날짜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 ; 상기 판단과정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에 새로운 데이터를 수록하도록 제어하는 수록제어과정 ; 상기 제1판단과정에서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나 상기 수록제어 과정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에 수록될 데이터를 모두 수록한 경우,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의 구동을 해제하는 구동해제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MT에 기록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MT의 시작 지점을 검출한 후 헤더부분에 기록되어 있는 날짜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착된 MT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를 판단한 후, 새로운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인가되는 데이터를 수록(또는 기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3도는 해당되는 MT 장착여부를 판단하는 제201, 202단계와, MTU의 사용용도를 검출하는 제203, 216단계와, MT의 시작지점(BOT, Begin Of Tape)을 검출하는 제204단계와, MTU의 구동명령을 인가하여 MT의 헤더부분의 데이터를 읽는 제205, 206단계, 날자데이터에 의하여 MT데이터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207, 208단계, 새로운 용도의 데이터 수록을 제어하는 제209, 210, 211단계, MTU의 구동을 해제하는 제212단계로 이루어진다.
제3에 따른 수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되는 MTU는 제2도에서와 같이 주(主)주변장치로는 MTU0(70)를 설정하고 보조 주변장치로는 MTU2(90)를 설정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MTU0(70)를 구동시키기 전에 MTU0(7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10 또는 20)에 의해 MT가 장착 되었는지를 체크한다(제201단계). 체크결과, MT가 장착되지 않았으면, MT를 장착(또는 실장)한다(제201, 202단계). MT가 장착되어 있으면, 제2도에서와 같이 구동하고자 하는 마그네틱 테이프장치의 사용용도가 원하는 용도(예를 들어 과금용)가 아닌 다른 용도로 설정되었는지를 체크한다(제203단계). 체크결과, 다른 용도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2도에서와 같이 다른 MTU를 선택한다(즉 MTU(90)을 선택한다)(제216단계).
그러나 MTU0(70)가 원하는 용도로 설정된 경우에는 MTU0(70)에 장착된 MT의 시작지점(BOT)을 검출한다(제204단계). 시작지점이 검출되면, 곧바로 MTU0(70)에 구동명령을 내려(제205단계), 제2도의 제105~111단계와 같이 제206~212단계를 수행하여 해당되는 데이터를 MT에 수록한다.
그러나 시작지점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해당 MT를 되감아서(제213단계), 다시금 시작지점(BOT)이 검출되는지를 체크한다(제214단계). 이 때 시작지점(BOT)이 검출되면, 제205단계를 통해 제211단계까지 새로운 용도의 데이터수록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나 시작 지점(BOT)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해당 MT를 불량으로 간주하여 불량 MT가 실장되었다는 메세지를 출력시키도록 한다(제215단계). 그리고 제211단계로가서 MTU0(70)의 구동을 해제하고 MTU0(70)로부터 MT를 탈장한다. 상술한 내용에서 MTU0(70)는 나머지 MTU1~3(80~100)중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제2도의 설명 내용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MTU0(70) 또는 MTU2(90)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제어시 BOT검출에 의하여 해당 마그네틱 테이프의 헤더부분을 정확히 찾아 정보를 비교, 확인한 후 마그네틱 테이프 데이터 수록여부를 결정하므로써, 마그네틱 테이프에 수록된 데이터에 대한 보존을 명확히 하여 중요한 데이터의 손실을 막을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및 디스크드라이브장치를 주변장치로 하고, 상기 주변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이중화 또는 단일화하여 구동하는 전전자교환기의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제어시 장착된 마그네틱 테이프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 ;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에 마그네틱 테이프가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의 사용용도가 어떠한 용도로 설정되어 있는지 검출하기 위한 사용용도검출과정 ; 상기 사용용도검출과정에 의하여 원하는 용도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의 시작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제1시작지점검출 과정 ; 상기 제1시작지점검출 과정에서 시작지점이 검출되면,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를 원하는 소정의 용도로 구동되도록 명령을 인가하기 위한 명령인가과정 ; 상기명령인가과정에 의하여 인가된 명령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가 구동되면,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상의 헤더부분의 데이터를 읽기 위한 헤더데이터읽기과정 ; 상기 헤더데이터읽기과정에서 읽혀진 데이터중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에 수록된 데이터에 대한 기록될 날짜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 ; 상기 판단과정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에 새로운 데이터를 수록하도록 제어하는 수록제어과정 ; 상기 제1판단과정에서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나 상기 수록제어과정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에 수록될 데이터를 모두 수록한 경우,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의 구동을 해제하는 구동해제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1시작지점 검출과정에서 시작지점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를 되감기하여 재차 상기 시작 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제2시작지점 검출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1시작지점 검출과정에서 시작지점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를 되감기하여 재차 상기 시작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제2시작지점 검출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2시작지점 검출과저에서 상기 시작지점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장치에 장착된 마그네틱 테이프에 대하여 불량메세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방법에서 마그네틱 테이프레코더에 설정하기를 원하는 용도가 과금용인 경우에 상기 판단과정에서 사용되는 상기 날자데이터는 임의로 설정된 보존기간에 해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KR1019930025691A 1993-11-29 1993-11-29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KR960009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5691A KR960009914B1 (ko) 1993-11-29 1993-11-29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5691A KR960009914B1 (ko) 1993-11-29 1993-11-29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914B1 true KR960009914B1 (ko) 1996-07-24

Family

ID=1936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691A KR960009914B1 (ko) 1993-11-29 1993-11-29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91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69260A1 (zh) 一种系统板卡电源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H0758474B2 (ja) デジタル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おいて複数の構成要素の起こりそうな故障の一つを検出する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
US4523275A (en) Cache/disk subsystem with floating entry
KR960009914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CN2470879Y (zh) 具有告知故障原因的语音设备
KR96000015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기록 매체 시험방법
JPS6217299B2 (ko)
KR96000695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온라인 통계 마그네틱 테이프 분석방법
KR930010290B1 (ko) 보조 기억 장치 다중화 상태 관리 방법
JP2861846B2 (ja) 磁気ディスク制御システム
KR100242707B1 (ko) 교환기에서 데이터 수록 장치
KR100260084B1 (ko) 교환기에서 과금 서비스 기록 방법
JPS58223860A (ja) 磁気デイスク制御装置
KR0168783B1 (ko) 테이프 백업 방법
JPH05113854A (ja) バツフア付デイスク装置
JP3042034B2 (ja) 障害処理方式
JPH06103119A (ja) トレース情報保持制御装置
JPH0324640A (ja) 情報処理装置のデバッグ方式
JPH07296530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S60256834A (ja) 外部記憶制御装置
JPH04289558A (ja) 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電源瞬断時の書き込みデータ保護方式
JPH02178862A (ja) 情報処理装置
KR19990042275A (ko) 교환기에서 과금 서비스 기록 방법
JP2002182990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S6374177A (ja) 磁気デイス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