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290B1 - 보조 기억 장치 다중화 상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보조 기억 장치 다중화 상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290B1
KR930010290B1 KR1019900022878A KR900022878A KR930010290B1 KR 930010290 B1 KR930010290 B1 KR 930010290B1 KR 1019900022878 A KR1019900022878 A KR 1019900022878A KR 900022878 A KR900022878 A KR 900022878A KR 930010290 B1 KR930010290 B1 KR 93001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auxiliary memory
mass storage
bus
match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079A (ko
Inventor
김재명
조주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0002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290B1/ko
Publication of KR92001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조 기억 장치 다중화 상태 관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 프로세서 2 : 외부 메모리
3 :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 보드 4 : 시스템 버스
5 : 정합 버스 6 : 디스크
7 : 마그네틱 테이프 드라이브
본 발명은 대용량 전전자 교환 시스템에서 보조 기억 장치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점검하여 보고함으로서 시스팀의 유지 보수 뿐아니라 교환기 기능의 신뢰성 및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범용 시스팀은 그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장치들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상태 점검을 하지 않고 사용시에 그 상태를 알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교환 시스팀은 한 프로세서가 가지고 있는 주변 장치들을 시험하여 그 상태를 가지고 있어 장치들을 언제든지 사용 가능하도록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전전자 교환기의 보조기억 장치의 상태 관리 방법은 원래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가 자신이 가진 모든 장비들의 상태들을 시험하여 그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전체 속도 및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조 기억장치들의 상태를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 보드(이하 MSIA라함)에서 감지하여 그 상태를 관리하고 변화의 상태를 메인 프로세서(이하, MPMA라함)에 알려줌으로서 상위 레벨의 부하를 줄여주고 보다 신뢰성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보조기억장치의 다중화 상태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스템 버스(MPSB)에 연결된 메인 프로세서(MPMA)와, 주메모리(MECA) 및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 보드(MSIA)와, 상기 대용량 저장장치 정하보드에 정합버스(SCSIB)로 연결된 쌍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디스크와 다수의 마그네틱 테이프 드라이브로 구성되어 보조기억 장치의 상태관리를 수행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 보드에 있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태점검을 요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후, 수행중인 주(main) 작업이 있으면 먼저 수행시키고 상기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에 연결된 보조기억 장치들의 상태를 점검하여 상태가 변화가 있을경우 변화 상태를 기록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후, 상태변화를 조사하여 확인된 사항을 기록하고 현재 서비스 가능한 버스를 결정하여 변경상태가 보고 가능할 경우 상위 레벨로 변경상태를 보고하는 제3단계로 수행되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메인 프로세서(MPMA)(1), 시스템의 주 메모리(MECA)(2),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 보드인 MSIA(3), 시스템의 주 통로인 시스템 버스(MPSB)(4), 각종 장비들의 신호 통로인 정합버스(SCSIB)(5)가 이중화 되어 있고, 각종 디바이스 장치인 디스크(6), 마그네틱 테이프 드라이브(7)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스크(6)는 항상 짝으로 구성되어 있다.
MSIA(3)가 디바이스(6,7)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각 장치의 제어기로 상태 확인 명령어(이하, TUR(Test Unit Ready)라함)를 보내면 각 장치의 상태를 정합 버스(이하, SCSIB라함)로 그 정보를 전달하거나 시간 경과에 의해 각 장치의 상태를 감지한 후 이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변화가 있을 경우 그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 보트인 MPMA(1)에 알린다.
제2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흐름도이다. MSIA(3)에 존재하는 타이머의 의해 주기적인(n초) 상태 점검 요구(10)를 받게 되면 상위의 메인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11)있으면 처리를 먼저하고(12) 없으면 MSIA(3)가 가지고 있는 장비들에 대해서 상태를 TUR명령어를 수행하여 각 장치들의 상태를 실장된 장치의 갯수만큼 반복하여 수집한 후(13,14) 각 SCSIB에 있는 장치들의 상태에 따라 SCSIB의 상태 정보를 만들어 준다(15).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장치들 중에 하나라도 상태 변화가 있는지 점검(16)하여, 없으면 상기 과정(10)으로 리턴하고, 상태변화가 있으면 변화된 상태를 표시한다(17). 디스크(6)인 경우에 SCSIB(5)가 이중화되어 있으므로 한짝(pair)인 장치가 둘다 죽었는지, 또는 살았는지를 점검하여(18), 둘다 죽었든지, 또는 살았으면 그 상태를 표시(19)하고, 둘다 죽었든지, 또는 살아있는 상태가 아니면 한짝(pair)이 된 장치중에서 하나가 이미 살아있는 상태고 다른 하나가 죽었다 산 경우인지를 점검(20)하여, 다른 하나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 있는 경우에는 살아 있는 장치에서 살아난 장치로 필요한 디스크 정보를 복사하여 이중화(21)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판단된 정보로 현재 서비스중인 버스 SCSIB(5)를 결정하고(22), MSIA(3)의 상태 즉 동작 상태인지 대기 상태인지 혹은 MSIA(3)자체의 시험인지를 구별하여 상위로 정보전달 여부를 판단하여(23) 가능하면 전달하게 된다(4).
상기와 같은 처리절차로 동작하는 본 발명은 상위 레벨 부하를 줄이고 신뢰성 및 성능이 뛰어난 장치 상태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적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시스템 버스(MPSB)(4)에 연결된 메인 프로세서(1)(MPMA)와, 주메모리(2)(MECA) 및 대용량 저장 장치 정합 보드(3)(MSIA)와, 상기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3)에 정합버스(5)(SCSIB)로 연결된 쌍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디스크(6)와 다수의 마그네틱 테이프 드라이브(7)로 구성되어 보조기억 장치의 상태관리를 수행하는 처리장치에 적용되어 보조기억장치의 다중화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용량 저장방치 정합 보드(3)에 있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태점검을 요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수행후, 수행중인 주(main)작업이 있으면 먼저 수행시키고 상기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3)에 연결된 보조기억 장치들(6,7)의 상태를 점검하여 상태가 변화가 있을 경우 변화상태를 기록하는 제2단계 ; 상기 제2단계 수행후, 상태변화를 조사하여 확인된 사항을 기록하고 현재 서비스 가능한 버스를 결정하여 변경상태가 보고 가능할 경우 상위레벨로 변경상태를 보고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억 장치 다중화 상태 관리 방법.
KR1019900022878A 1990-12-31 1990-12-31 보조 기억 장치 다중화 상태 관리 방법 KR930010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78A KR930010290B1 (ko) 1990-12-31 1990-12-31 보조 기억 장치 다중화 상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78A KR930010290B1 (ko) 1990-12-31 1990-12-31 보조 기억 장치 다중화 상태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079A KR920014079A (ko) 1992-07-30
KR930010290B1 true KR930010290B1 (ko) 1993-10-16

Family

ID=1930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878A KR930010290B1 (ko) 1990-12-31 1990-12-31 보조 기억 장치 다중화 상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2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079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497B1 (ko) 억세스 손실 처리용 시스템 및 그 보호방법
US5404500A (en) Storage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system and technique for destaging data from nonvolatile memory
CN102880522B (zh) 面向硬件故障的系统关键文件故障纠正方法及装置
JP2000181887A5 (ko)
CN101582046A (zh) 一种高可用的系统状态监控、预测以及智能管理方法
CN109165138A (zh) 一种监控设备故障的方法和装置
WO2023226380A1 (zh) 一种磁盘处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
KR930010290B1 (ko) 보조 기억 장치 다중화 상태 관리 방법
CN111158955A (zh) 一种基于卷复制的高可用系统以及多服务器数据同步方法
KR96000236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디바이스 보드의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방법
KR100242707B1 (ko) 교환기에서 데이터 수록 장치
JP3085239B2 (ja) 基本処理装置の二重化方式
KR960009914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테이프장치 구동방법
KR96000015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기록 매체 시험방법
KR100260082B1 (ko) 교환기에서 과금 서비스 기록 방법
KR96000398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주변기억장치 이중화 과부하에 대한 적응제어방법
KR0121442B1 (ko)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캐쉬부 오류검출 및 그 처리장치와 방법
JPH03152638A (ja) 情報処理装置のログデータ採取方式
JPH0617593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H04328646A (ja) 障害情報の採取方式
JPH08123502A (ja) 待機冗長化方式二重化システムの切り換え装置
KR97000694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하드디스크 시험방법 및 장치
KR19990042277A (ko) 교환기에서 과금 서비스 기록 방법
JPS60239845A (ja) 誤り報告方式
JPH04273337A (ja) 保守診断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