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811Y1 - 목걸이용 볼의 종횡방향다각(多角) 성형기 - Google Patents

목걸이용 볼의 종횡방향다각(多角)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811Y1
KR960009811Y1 KR2019940028858U KR19940028858U KR960009811Y1 KR 960009811 Y1 KR960009811 Y1 KR 960009811Y1 KR 2019940028858 U KR2019940028858 U KR 2019940028858U KR 19940028858 U KR19940028858 U KR 19940028858U KR 960009811 Y1 KR960009811 Y1 KR 960009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ylinder
ball
tailstock
collet chuck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143U (ko
Inventor
김삼식
Original Assignee
김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식 filed Critical 김삼식
Priority to KR2019940028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811Y1/ko
Publication of KR9600131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1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목걸이용 볼의 종횡방향다각(多角) 성형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목걸이줄의 커팅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제6도는 본 고안중 커팅휘일을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생산된 가공후의 볼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상판
3 : 공구대베이스 4 : 공구대
5 : 에어실린더 6 : 커팅휘일
7 : 카바 8 : 가공중의 볼
9 : 가이드 10 : 벨트풀리
11 : 심압대 12 : 에어실린더
13 : 바이스 14 : 상부그립
15 : 하부그립 16 : 공급대
17 : 콜릿척 18, 19 : 기어
20 : 스테핑모타 21 : 목걸이줄투입구
22, 23 : 레바 24, 25 : 에어실린더
26 : 레바 27 : 칩투입공
28 : 가공전의 볼 29 : 가공후의 볼
30 : 개폐문 31 : 공급대이동거리조정구
32 : 다이알게이지 33 : 공급대베이스고정나사
34 : 공구대위치조정핸들 38 : 벨트
36 : 커터삽착홈 27 : 절취홈
28 : 커터 39 : 타원구멍
40 : 볼트 41 : 나사
42 : 편심핀 43 : 너트
44 : 나사 45 : 나공
46 : 핀공 47 : 나공
48 : 나사 49 : 통공
본 고안은 목걸이용 볼(Ball)의 다각(多角)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콜릿척(17)을 가진 공급대(16)가 가공전의 볼(28)을 정해진 길이만큼 공급하면 심압대(11)의 바이스(13)에 부착된 상부그립(14)가 심압대(11)에 부착된 하부그립(15)이 가공전의 볼(28)을 조여 감싸고 이어 다각으로 면취를 할 수 있도록 커터(38)가 차례로 배열삽착된커팅휘일(6)이 회전하여 1차커팅을 몸체(1) 내부에 내장된 전자프로그램에 의해 (예 : 8각, 12각, 24각등) 스테핑모타(20)가 회전하여 기어(19)를 회전시키고 이와 차합된 상부의 기어(18)에 의해 콜릿척(17)이 한각의 거리만큼 미세회전을 하면 가공중의 볼(8)도 한각의 거리만큼 회전하여 다음면이 커팅되는데 전면(全面)의 커팅이 종료되면 상하부의 그립(14)(15)이 열리고 공급대(16)가 정해진 길이만큼 가공전의 볼(28)을 다시 공급하고 이어 동일한 요령으로 커팅되게 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이룬다. 세월이 흐를수록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감에 따라 귀금속 장신구의 수요도 꾸준히 늘어가는 실정에 있어 생산자는 그 수요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아름답고 정밀한 제품을 개발하여 대량생산을 하고 있다. 목걸이용 볼은 타원형태나 정원형 태의속이 빈 공타입으로 된 목걸이소재인데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면서 목걸이가 되고 팔찌등의로도 사용이 된다.
그런데 둥근형태를 가진 그대로도 심미감이 있긴하나 그 표면을 횡방향으로 8각 또는 12, 24각 등으로 분할하여 각지에 하면서 종방향으로도 다각으로 각이지도록 하면 각기 다른 수십면이상의 커팅면이 생겨나게 되어 제7도의 상태와 같이 매우 아름다운 미러 볼(Mirror Ball)의 형태로 가공이 되는데 이를 목걸이나 팔찌의 소재로 사용하면 심미감이 훌륭한 고부가가치의 제품이 된다.
그러나 소재를 대량생산키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소모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의 지출이 높고 일정하게 정밀도를 가진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라 자동화된 다각성형기의 출현이 필수불가결한 현실에 놓여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목걸이용볼을 종횡방향으로 다각성형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해낼 수 있는 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한다.
개폐문(30)을 측면에 대칭되게 가진 사각의 몸체(1) 상판(2)의 침투입공(27)을 전방으로 접하게 하여 심압대(11)를 설치하되 전면으로 하부그립(15)을 나사(48)로 조립하고 상부그립(14)은 바이스(13)에 나사(41)로 조립하여 바이스(13)는 에어실린더(12)의 피스톤과 연결하여서 상하작동되도록 하고 외벽 측부에 다이알게이지(32)를 부착한 다음, 심압대(11)의 전방으로는 다수의 커터삽착홈(36)을 가진 커팅휘일(6)이 상하부그립(14)(15)의 중심에 위치토록 조립된 공구대(4)를 공구대베이스(3)위에 설치하여 벨트풀리(10)에 벨트(35)를 걸어 피동회전케하고 공구대베이스(3)는 에어실린더(5)에 의해 전후 위치조정이 되도록 한 다음, 좌측부에는 공급대(16)를 설치하되 측부의 에어실린더(24)의 작동에 의해 통공(49)을 가진 레바(22)에 의해 지지되는 레바(23)가 전후진함으로써 이에 접촉되어 있는 목걸이줄투입구(21)가 전후진하여 콜릿척(17)을 개폐하게 하고 콜릿척(17)의 후단에 기어(18)를 결합하고 이와 치합되는 기어(19)를 스테핑모타(20)의 축에 결합한 다음 공급대(16) 자체는 에어실린더(25)의 레바(26)에 의해 전후진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동요령을 설명한다.
가공전의 볼(28)을 레바(23)의 통공(49)을 통해 목걸이줄투입구(21) 내부구멍으로 밀어 넣을 때 에어실린더(24)를 작동시켜 콜릿척(17)을 벌어지게 하고 콜릿척(17)을 관통한 가공전의 볼(28)이 상하부그립(14)(15)사이에 위치케 되면 에어실린더(24)를 작동시켜 콜릿척(17)을 조이게 한다.
이때 상부하부그립(14)(15)은 에어실린더(12)의 작동에 의해 바이스(13)가 상승되어 있으므로 상부그립(14)이 상승되어 서로 벌어져 있는 상태이다 다음 에어실린더(12)를 작동시켜 바이스(13)를 하강시키면 상하부그립(14)(15)은 가공전의 볼(28)을 전방부만 노출시킨채 견밀하게 잡아 고정시킨다. 이 상태까지만 (초품세팅)반자동으로 본 고안을 작동을 작동키면 나머지 공정 전체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 커팅휘일(6)이 회전하는 고정이 이어지는데 커팅휘일(6)은 원주방향으로 몇등분 내지는 몇십등분하여 커터삽입홈(36)을 형성할 수 있는데 커터삽입홈(36)이 많아질수록 종방향의 각을 많이 낼 수는 있지만 커팅휘일(6)의 잭경이 켜져서 주위의 관련장치도 설계변형이 되어야 하고 또한 지나치게 커질 필요는 없으므로 커팅휘일(6)의 직경은 300밀리머터 적당하다.
커터삽입홈(36)에는 제5도의 상태와 같이, 끝의 각기 다른 커터삽입홈(36)의 개수만큼의 커터(38)가 하나씩 삽입되게 되는데 이에는 타원구멍(39)이 있어 편심핀(42)을 이용하여 작은 범위내에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수의 커터(38)는 커터휘일(6)이 1회전하면 가공전의 볼(28)표면을 종방향으로 1회 커팅하여 커팅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5도의 상태와 같이 간격을 서로 잘 맞추어 배치하고 커터삽입홈(36)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절취홈(37)의 양측면에 관통된 나공(47)을 이용하여 볼트(40)를 나합해서 각 커타(38)를 견고히 고정한다.
이와 같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잘 고정된 커터(38)가 꽂힌 커팅휘일(6)이 제3도의 상태처럼 1회전하게 되면 가공중의 볼(8)의 노출면에 커팅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커터(38)가 11개 채 가공중의 볼(8) 표면에 6각의 종ㅇ향 커팅면이 형성되도록 항 것을 예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1회커팅이 끝나면 즉시 에어실린더(5)가 작동하여 공구대베이스(3)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커팅휘일(6)은 공회전하게 하고 이 동작과 동시에 삼압대(11)의 에어실린더(12)가 작동하여 바이스(13)를 상승시켜 이에 부착되어 있는 상부그립(14)을 상승시켜 상하부그립(14)(15) 사이를 오픈시키게 되면 역시 동시에 스테핑모타(20)가 회전하여 기어(19)와 기어(18)를 통해 콜릿척(17)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콜릿척(17)의 회전 원주거리는 몸체(1) 내부에 내장된 전자기판의 전자전기적 명령에 의해 정해진다. 즉 사용자가 횡방향으로 형성할 각의 수를 정하여 입력시켜 놓으면 그 정해진 각에 따른 콜릿척(17)의 1회 원주이동거리가 정해지므로 그 거리만큼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1회 커팅이 끝나면 그 즉시 콜릿척(17)이 정해진 거리만큼 원주회전하여 가공중인 볼(8)의 다음 커팅면이 노출되도록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에어실린더(12)가 작동하여 바이스(13)와 상부그립(14)을 내려 가공중인 볼(8)을 처음과 같이 고정시키면 그 즉시 에어실린더(5)가 공구대베이스(3)를 위치대로 전진시켜 커터(38)가 두 번째로 가공중인 볼(8)의 표면을 커팅하게 된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가공중인 볼(8)의 표면에 정해진 각만큼 커팅면이 형성되면 공구대베이스(3)가 이동하고 바이스(13) 및 상부그립(14)이 오픈되면서 콜릿척(17)은 회전하지 않은 채 에어실리더(25)가 작동하여 공급대(16) 전체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콜릿척(17)에 물려있던 가공전의 볼(28)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가공중인 볼(8)이 완성되어 빠져나간 개수만큼 상하부그립(14)(15) 사이에 위치케 된다.
다음 상하부그립(14)(15)이 새로 장입된 가공전의 볼(28)을 고정시키면 에어실린더(24)가 작동하여 콜렛척(17)을 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에어실린더(25)가 작동하여 공급대(16)를 원위치시킴과 동시에 에어실린더(24)가 작동하여 콜릿척(17)이 가공전의 볼(28)을 애초와 같이 물어서 고정시키게 된다.
그 다음은 전술한 고정과 동일하게 작동이 되어 계속해서 연속적인 커팅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대향된 공구대베이스 고정나사(33)는 공구대(4)가 전후진 동작을 계속하더라도 정해진 전후행정을 정밀하게 고정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약간의 오차가 발행하게 되면 공구대위치조정핸들지(34)을 이용하여 공구대(4)를 미세조정할 수 있어 정밀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다이알게이지(32)는 최초세팅시 보다 정밀한 작업상태를 창출키 위함이므로 필요하며 1/100밀리미터까지의 커팅면 공차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공급대이동거리조정구(31) 역시 공급대(16)의 전후진행정을 정확하게 제어유지키 위해 필요한 것이다.
칩투입공(27)은 고가의 칩을 회수키 위한 것으로서 그 하방에 칩수거상자가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작동을 하게 되는 본 고안은 목걸이줄등의 소재인 볼을 원하는 커팅각과 커팅면을 자재로이 조절하여 매우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고 신속하게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부가가치를 저렴한 원가에 대량으로 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유용한 장치이다. 또한 커터(38)끝의 모양을 자재로이 변화시켜 사용하면 아름답고 창조적인 무늬와 커팅면이 얼마든지 형성될 수 있고 횡방향의 형성거리를 조절하여 커팅된 볼의 면이 난반사를 일으키게도 할 수 있는 등 응용의 대단히 넓어서 귀금속 세공분야에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실용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1)

  1. 개폐문(30)을 측면에 대칭되게 가진 시각의 몸체(1) 상판(2)의 칩투입공(27)을 전방으로 접하게 하여 심압대(11)를 설치하되 전면으로 하부그립(15)을 나사(48)로 조립하고 상부그립(14)은 바이스(13)에 나사(41)로 조립하여 바이스(13)는 에어실린더(12)의 피스톤과 연결하여서 상하작동되도록 하고 외벽 측부에 다이알게이지(32)를 부착한 다음 심압대(11)의 전방으로는 다수의 커터삽입홈(36)을 가진 커팅휘일(6)이 상하부그립(14)(15)의 중심에 위치토록 조립된 공구대(4)를 공구대베이스(3)위에 설치하여 벨트풀리(10)에 벨트(35)를 걸어 피동회전케하고 공구대베이스(3)는 에어실린더(5)에 의해 전후 위치조정이 되도록 한 다음 좌측부에는 공급대(16)를 설치하되 측부의 에어실린더(24)의 작동에 의해 통공(49)을 레바(22)에 의해 지지되는 레바(23)가 전후진함으로써 이에 접촉되어 있는 목걸이줄투입구(21)가 전후진하여 콜릿척(17)을 개폐하게 하고 콜릿척(17)의 후단에 기어(18)를 이와 치합되는 기어(19)를 스테핑모타(20)의 축에 결합한 다음 공급대(16) 자체는 에어실린더(25)의 레바(26)에 의해 전후진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불의 종횡방향 다각(多角) 성형기.
KR2019940028858U 1994-10-26 1994-10-26 목걸이용 볼의 종횡방향다각(多角) 성형기 KR960009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858U KR960009811Y1 (ko) 1994-10-26 1994-10-26 목걸이용 볼의 종횡방향다각(多角)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858U KR960009811Y1 (ko) 1994-10-26 1994-10-26 목걸이용 볼의 종횡방향다각(多角) 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143U KR960013143U (ko) 1996-05-17
KR960009811Y1 true KR960009811Y1 (ko) 1996-11-13

Family

ID=1939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858U KR960009811Y1 (ko) 1994-10-26 1994-10-26 목걸이용 볼의 종횡방향다각(多角)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8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24B1 (ko) * 2009-06-03 2009-12-07 송원길 싱글볼 가공장치
KR100930026B1 (ko) * 2009-05-14 2009-12-07 송원길 싱글볼 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802B1 (ko) * 2000-03-02 2003-06-19 유희진 인조보석의 가공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26B1 (ko) * 2009-05-14 2009-12-07 송원길 싱글볼 가공장치
KR100930024B1 (ko) * 2009-06-03 2009-12-07 송원길 싱글볼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143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7670A (en) Universal automatic spring-making machine
KR960009811Y1 (ko) 목걸이용 볼의 종횡방향다각(多角) 성형기
CN208840356U (zh) 一种可微调模具冲头的冲压模具
CN109864401A (zh) 全自动元宝链扣链机
US6860133B2 (en) Plate material processing machine with bending function and tool for the same
US4244256A (en) Profile shap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349884B1 (ko) 장신구 외주면의 문양 성형장치
US4750245A (en) Gemstone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271194Y1 (ko) 장신구 외주면의 문양 성형장치
KR101945949B1 (ko) 장식부재에 결합 시 결합 부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피어싱 핀 제조 장치
KR100814335B1 (ko) 휴대폰 키버튼용 장식기재의 제조장치
TWI747785B (zh) 二模三沖衝壓成型機
KR200241321Y1 (ko) 건축용 세파레잇 타이의 제조장치
CN111215574B (zh) 单粒成型装置及全自动元宝链扣链机
KR200206784Y1 (ko)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CN114850283B (zh) 一种颊面管网底发育沟的加工方法
CN220006665U (zh) 一种插筷机的转筷机构
JPH0337782Y2 (ko)
KR890002650Y1 (ko) 가구조립용 체결너트의 탭구멍 연속가공장치
JPS605955Y2 (ja) パ−ツフオ−マにおけるノツクアウトピンの突出量調整装置
KR960000333Y1 (ko) 음쇠 절단기
KR100357576B1 (ko) 차량의 인너 패널 위치 규제용 지그
KR960008999B1 (ko) 스피이커(speaker) 터미날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S6327888Y2 (ko)
KR910008602Y1 (ko) 안경테 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