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808A -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 Google Patents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808A
KR960009808A KR1019950022784A KR19950022784A KR960009808A KR 960009808 A KR960009808 A KR 960009808A KR 1019950022784 A KR1019950022784 A KR 1019950022784A KR 19950022784 A KR19950022784 A KR 19950022784A KR 960009808 A KR960009808 A KR 960009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conductive
segments
conductive pads
memb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시라이
마사끼 우찌다
Original Assignee
프랭크 에이. 오울플링
더 휘테이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랭크 에이. 오울플링, 더 휘테이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프랭크 에이. 오울플링
Publication of KR96000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8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07Surface contacts, e.g. b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압접지지형 전기 컨넥터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에서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에 전자부품을 납땜부착할 때에 땜납이 부착되어도 양호한 접속상태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20)의 랜드(21)는 전기적으로 도통인 복수의 폭이 좁은 미소랜드(21a)로 구성되며 부착되는 땜납(22)의 높이(h)를 낮게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의 랜드와 콘택트와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랜드의 정상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랜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전기 커넥터와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Claims (7)

  1. 전기 컨넥터의 콘택트등을 납땜접속하는 도전 캐드가 표면에 형성된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전 패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폭이 좁은 다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전 패드는 직사각형의 외틀내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전 패드는 일단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평행 세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전 패드는 거의 직사각형 도전성 영역내에 복수의 개구가 배열되어 복수의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전 패드는 지그재그형의 복수의 세그먼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전 패드는 중심 직선 도체의 양측에 복수의 세그먼트가 거의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7.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22784A 1994-08-29 1995-07-28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KR9600098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3303 1994-08-29
JP6203303A JPH0878824A (ja) 1994-08-29 1994-08-29 被接続板状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808A true KR960009808A (ko) 1996-03-22

Family

ID=1647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784A KR960009808A (ko) 1994-08-29 1995-07-28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878824A (ko)
KR (1) KR960009808A (ko)
CN (1) CN1130340A (ko)
TW (1) TW32303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0861B2 (ja) * 2011-03-29 2014-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部品の製造方法と配線基板
JP6504762B2 (ja) 2014-08-05 2019-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340A (zh) 1996-09-04
JPH0878824A (ja) 1996-03-22
TW323035U (en)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9079A (ko) 인쇄 회로 기판
KR960039502A (ko) 고성능 카드 에지 커넥터
KR890016707A (ko) 유연한 인쇄배선판용 전기 접속기 단자
KR840000080A (ko) 혼성집적회로부품 및 그 부착방법
KR870008424A (ko) 박층 프린트 코일 구조
KR960002967A (ko) 내부에 설치된 프린트 회로 기판 접지용 접촉 클립을 갖는 프린트 회로 카드
KR930007320A (ko)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단자 구조체
KR860004370A (ko) Ic카드
KR870006824A (ko) 전극 부품을 표면 장착하기 위한 안전형 리드 구조체
KR950010350A (ko) 유전체 필터
KR980006184A (ko)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KR970008742A (ko) 양극성 보호 장치
JP3148855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745470B1 (ko) 버튼 스위치
KR960016022A (ko) 혼선감소용 용량형 트레이스 커플링을 갖춘 평면형 전자장치
KR960009808A (ko) 도전 패드를 구비한 플레이트 부재
DE60206721D1 (de) Kugelmatrix-Verbinder
JPH01319278A (ja) 表面実装コネクタ
ATE365387T1 (de) Sub-d-stecker in smd-technik
KR930020774A (ko) 전기 커넥터의 임피던스 및 인덕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JPH09307208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接続端部構造
KR960704278A (ko) 전자 스마트 카드 접속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smart card)
JPH0521316B2 (ko)
KR0122951Y1 (ko) 단자가 양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판구조
KR200230496Y1 (ko) 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