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749B1 -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749B1
KR960009749B1 KR1019930027517A KR930027517A KR960009749B1 KR 960009749 B1 KR960009749 B1 KR 960009749B1 KR 1019930027517 A KR1019930027517 A KR 1019930027517A KR 930027517 A KR930027517 A KR 930027517A KR 960009749 B1 KR960009749 B1 KR 960009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an
driving
fan impeller
c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237A (ko
Inventor
안순석
Original Assignee
안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준 filed Critical 안영준
Priority to KR101993002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749B1/ko
Publication of KR95001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04D25/105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by changing rotor axis direction, e.g. oscillat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3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driven by a common gearing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선풍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제1실시예의 상부몸체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선풍기의 일부절개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제2실시예의 상부몸체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선풍기의 일부절개 평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제3실시예의 상부몸체 부분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선풍기의 일부절개 평면도이다.
제7도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제4실시예의 상부몸체 부분 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제5실시예의 상부몸체 부분 단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몸체의 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생략 정면도이다.
제11도는 손잡이를 펼쳐 지면에 재치한 상태의 부분정면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상부몸체의 저면에 이동바퀴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일부생략 정면도이다.
제13도 내지 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상부몸체를 천장부착형 내지 벽걸이형으로 사용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몸체2 : 하부몸체
100 : 제1구동부106 : 크랭크축
107 :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 구동용 전동축
108 : 크랭크기구109 : 스터빌라이져(stabilizer)
114 : 회전반200 : 제2구동부
300 : 팬 임펠러 상하 요동장치 M1 : 제1구동모우터
M2 : 제2구동모우터
본 발명은 복수개의 팬 임펠러(fan impeller), 예컨대 3개의 팬 임펠러를 구비함으로써 360도 모든 방향으로 동시에 바람을 불어 보낼 수 있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출원인의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89-1902호(미국 대응특허 제4,922,766호)에 개시된 선풍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형적인 선풍기는 다수의 팬 날개(fan blades)로 형성되는 하나의 팬 임펠러를 구동모우터축에 동축상으로(coaxially) 장착하고 소정의 크랭크기구로 그 팬 헤드를 좌우로 반복하여 선회시킴으로써 좌우로 교대로 바람을 불어 보내는 구조이거나, 또는 모우터 구동에 따라 팬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생긴 바람의 송풍방향을 바꾸는 수단으로서, 팬 헤드 자체를 이동하는 것 없이, 바람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이동판을 사용한 구조였다.
이러한 종래의 선풍기는 그 송풍방향이 좌우로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한쪽으로 바람을 불어 보내는 동안에는 다른쪽은 바람이 없어서 더운 상태로 남아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팬 임펠러가 왼쪽을 향하여 송풍하고 있는 동안에는 오른쪽은 바람이 없어서 더운 상태로 남아 있어야 하고, 반대로, 팬 임펠러가 오른쪽을 향하여 송풍하고 있는 동안에는 왼쪽이 더운 상태로 남아 있어야 했다.
한편,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89-1902호(미국 대응특허 제4,922,766호) 및 동 공보 제90-3130호 등에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형적인 선풍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팬 임펠러축, 예컨대 3개의 팬 임펠러축을 수직으로 배설한 구동모우터축 주위에 120도 간격으로 수평으로 배설하고 소정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이 구동모우터축과 팬 임펠러축을 상호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접동시킴으로써 360도 전방향으로 동시에 바람을 불어 보낼 수 있는 선풍기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이 선풍기들은 팬 임펠러축을 좌우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수단만을 구비하고 있을 뿐 동축을 상하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의 송풍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이 선풍기의 각 팬 임펠러는 크랭크기구에 의해 그 세개의 팬 임펠러축을 동시에 좌 또는 우로 왕복선회시켜 바람을 보낼때, 팬이 진행해 나가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송풍 반력을 받기 때문에 팬이 반력을 받는 방향으로 선회할때, 그 반력에 선회력이 더하여져 더 빠르게 선회되고, 반대로, 반력을 받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회할 때에는 이와 반대의 결과로 되어 크랭크축의 토르크가 증가하고 심한 떨림현상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선풍기들은 팬 임펠러를 3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중량이 상당히 무거워 이를 들어 옮기거나 밀어 옮기는 작업이 용이치 않았으며, 또한 조작스위치가 주로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하부몸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모우터와 팬 임펠러와 클러치기구 및 크랭크기구 등 주요요소를 포함하는 상부몸체를 하부몸체로부터 분리하여 그 상부몸체만을 높이가 낮은 직립형, 천장부착형 또는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위 국내 실용신안공보에 기재된 선풍기들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3개의 팬 임펠러축을 좌우방향으로 선회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하방향으로도 선회시킴으로써 상,하,좌,우 전방위로 바람을 불어 보낼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로 받침대 역할을 하는 하부몸체와, 구동장치 및 팬 임펠러 등 주요 요소를 포함하는 상부몸체를 상호 분리하여 후자를 높이가 낮은 직립형, 천장부착형, 또는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하부몸체 분리자재형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 임펠러의 좌우선회동작이 원활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풍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수단이 구비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제1구동모우터, 제2구동모우터, 팬 임펠러 등을 포함하는 상부몸체와 이 상부몸체의 하부에 착탈자재로 결합되어 받침대로 쓰이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몸체는 각 팬 임펠러를 일정한 각도만큼 좌우방향으로 왕복선회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와; 각 팬 임펠러를 회동시켜 바람을 일으키기 위한 제2구동부와;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와 작동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된 구동부와 동력에 의해 팬 임펠러를 일정한 각도만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팬 임펠러 상하방향 요동용 동력전달단속장치를 포함하며, 그리고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몸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바닥에 전달하기 위한 대체로 평탄형의 지지판과,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착된 중공의 하부관과 동 하부관 내에 동축상으로 삽입되어 동 하부관 내에 축설된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망원경식으로 신축자재하여 상단이 상부몸체 하우징의 하부플레이트 저면 중앙에 착탈자재로 체결되는 상부관으로 구성된 지지로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다른 특징과 이점, 작용효과들은 첨부도면의 도면부호에 기초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제1실시예의 상부몸체(1)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상부몸체(1)는, 각 팬 임펠러를 일정한 각도만큼 좌우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00)와; 각 팬 임펠러축을 회동시켜 바람을 일으키기 위한 제2구동부(200)와;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와 작동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된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팬 임펠러를 일정한 각도만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팬 임펠러 상하방양 요동용 동력전달장치(300)(이하 '상하요동장치'라 약칭한다)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10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A)과, 상호 간격을 두어 대체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플레이트(101)와, 중앙부지지플레이트(102)와, 하부플레이트(103)와, 그리고 이들 플레이트의 외주연을 공통으로 둘러싸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01)의 위로 연장된 원통형 측면플레이트(104)를 포함하며, 위 플레이트들(101)(102)(103)(104)에 의해 구획되는 상부공간(S1)과 중간부공간(S2)과 그리고 하부공간(S3)을 갖는 하우징(105)과; 상기 하부공간(S3)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설된 제1구동모우터(M1)와; 상기 제1구동모우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크랭크축(106) 및 상기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 입설된 전동축(107)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중간부공간(S2) 내에 배설된 일련의 기어군과; 상기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 장착된, 원통부(112)와 환형플랜지부(113)를 갖는 회동자재의 회전반(114)과; 상기 상부공간(S1)내에 배설된, 상기 회전반(114) 좌우선회 구동용 크랭크기구(108)와; 그리고, 상기 상부공간(S1) 내에 상기 크랭크기구(108)와 관련하여 설치된 회전반 좌우선회구동 안정용 스터빌라이저(109)를 포함하며, 이들 요소의 보다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05)의 상부플레이트(101)의 상면중앙에는 상기 중간부공간(S2)과 연통하는 구멍(110)을 갖는 축관부(111)가 수직상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축관부의 구멍(110) 내에 상하요동단속장치 구동용 전동축(107)이 회동자재로 삽입설치되며, 또한 동 축관부(111)의 외부에는 원통부(112)와 환형플랜지부(113)를 갖는 회전반(114)이 베어링(115)을 개재하여 회동자재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01)의 일측에는 크랭크축(106)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구멍(116)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구멍을 통해 상기 중간부공간(S2)의 저면으로부터 상부공간(S1)까지 크랭크축(106)이 회동자재로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플레이트(103)의 저면 중앙에는 동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 제9도에 도시된 하부몸체(2)의 지지로드를 착탈자재로 결합하기 위한 원통형 체결부(117)가 하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또한 동 하부플레이트(103)의 저면에는 이동용 손잡이(118)가 회동핀(119)을 중심으로 회동자재하도록 방사상으로 장착된다.
하우징의 하부공간(S3) 내에는 양방향 구동축(120)을 갖는 제1구동모우터(M1)가 수평으로 배설되어 있는데 이 모우터축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워엄나사(1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워엄나사에는 상단부에 평기어(12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워엄휘일(123)이 장착된 전동축(124)의 동 워엄휘일(123)이 체결되며 동 제1구동모우터(120) 일단 또는 양단에는 모우터 냉각용 팬 임펠러(129)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동축(124)의 상단에 형성된 평기어(122)는 상기 팬 임펠러 상하요동단속장치 구동용 전동축(107)의 하단 외주연에 고착된 감속기어(125)에 치합되므로써 동 전동축(107)을 구동하는 한편, 동 감속기어(125)의 일측에는 전술한 크랭크축(106) 구동용 크랭크기어(126)가 치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팬 임펠러 상하요동단속장치 구동용 전동축(107)과 크랭크축(106)은 상기 제1구동모우터(M1)의 구동에 의해 동시에 구동된다.
상기 크랭크축(106)의 상단과 회전반(114)의 환형 플랜지부(113)의 저면과는 상호 크랭크(127)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전반(114)은 크랭크축(106)의 회동에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좌우로 왕복하여 선회된다.
상기 제2구동부(20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반(114)의 환형플랜지부(113)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돌출된 3쌍의 지지브라켓(201)의 각 쌍의 선단에 핀(202)에 의해 회동자재토록 장착된 하우징(203)과; 그리고 각 하우징(203)의 내부에 장착된 팬 임펠러 구동용 제2구동모우터(M2)로 이루어진다.
상기 팬 임펠러 구동용 제2구동모우터(M2)의 축(204)의 일단은 하우징(203)의 외부(전방)로 돌출되어 그 선단에 팬 임펠러(205)가 고착되고, 동축의 타단은 하우징의 후내벽에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한편, 상기 팬 임펠러 구동용 구동모우터(M2)의 축의 타단부에는 동 모우터(M2) 구동시 그 모우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모우터 냉각팬(206)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에 있어서 바람을 일으키기 위한 각 팬 임펠러(205)의 구동은 상기 각 하우징(203) 내에 장착된 각 팬 임펠러 구동용 제2구동모우터(M2)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팬 임펠러(205)의 수평방향으로의 좌우선회구동은 전술한 제1구동부(100)의 크랭크기구(108)의 작동에 의한 회전반(114)의 좌우선회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1구동부(100) 또는 제2구동부(200)와 작동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된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팬 임펠러(205)를 일정한 각도만큼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요동시키기 위한 상하요동장치(300)의 구성을 제1도 및 제2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상하요동장치(300)는, 하단이 상기 회전반(114)의 상면에 고착되고, 상기 각 쌍의 지지브라켓(201)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수평의 축관부(301)를 갖는 원통체(302)와; 외주연이 상기 원통체(302)의 상단에 고착되고, 하부에 요입부(303)를 갖는 축관부(304)가 저면 중앙에 형성된 원반형 커버(305)와; 상면 중앙에 상기 요입부(303)에 회동자재로 삽입되는 돌출부(306)가 형성되고 상기 축관부(304)의 구멍과 연통하는, 내스플라인이 형성된 축구멍을 갖는 구동베벨기어(307)와; 상기 제1구동부(100)의 전동축(107)의 상단부 외주면에 고착된 계합구(308)와;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계합구(308)에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ball key)(309)를 가지며, 상기 베벨기어 축구멍 및 원반형 커버(305) 축관부 구멍에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05) 상부로 돌출된 단속손잡이(310)와; 상기 각 수평축관부(301)에 회동자재로 삽입된 수평전동축(311)의 상기 원통체(302) 내측 단부에 고착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307)에 치합되는 종동베벨기어(314)와; 상기 수평전동축(311)의 상기 원통체(302) 외측 단부에 고착된 크랭크아암(312)와; 그리고 상기 크랭크아암의 일단과 제2구동부 하우징(203)의 후단과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로드베이링(31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단속손잡이(310)를 누르면, 동 손잡이의 하단부에 형성된 볼키(309)가 계합구(308)를 통해 전술한 전동축(107)에 결합되어 동 전동축의 회동력에 의해 구동베벨기어(307)를 구동시킴으로써,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도 간격으로 동 구동베벨기어(307)에 공통으로 치합하고 있는 각 종동베벨기어(311)를 동시에 구동하여 각 팬 임펠러를 상하로 요동시킬 수 있다.
또, 각 팬 임펠러(205)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킬 필요가 없을 때에는, 상기 단속손잡이(310)를 상부로 뽑아 볼키(309)를 계합구(308)로부터 결합 해제함으로써 전동축(107)의 동력이 구동베벨기어(307)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선풍기는 다수의 나선형 날개로 된 팬 임펠러가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동 팬 임펠러의 전방으로 바람을 불어보내는 장치인 바, 팬 임펠러는 그 나선형 날개의 나선방향과 관련하여, 송풍시, 어느정도의 좌 또는 우측으로 쏠리는 송풍반력을 받는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라 선풍기는 팬 임펠러를 3개 구비한 것으로서 이들 팬 임펠러가 동시에 회전되어 송풍할 경우에는 그 송풍량이 대단히 많기 때문에 각 팬 임펠러가 받는 송풍반력의 크기도 상당히 크다. 즉, 본 발명과 같이 3개의 팬 임펠러를 구비한 형태의 선풍기는 그 각 팬 임펠러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크랭크기구에 의해, 예컨대 좌로 선회될때, 그 선회력에 송풍반력이 더해짐으로써 동 선회방향으로 급속히 선회되며, 반면에, 우리 선회될 때에는 각 팬 임펠러는 송풍반력에 대항하면서 진행하는 결과로 되어 심하게 떨리고 구동모우터축에 과부하(excess load)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이러한 송풍반력을 제어하기 위한 스터빌라이저(stabilixer)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스터빌라이저는 팬 임펠러의 불안정한 좌우선회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장치로 이루어지며, 그 구체적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일단이 전술한 제1구동부의 케넥팅로드(127)의 일단 하면으로부터 하향돌출된 부착봉(133)에 부착되고 크랭크축(106) 외주면에 장착된 스프링이탈방지겸 가이드용 드럼(130)의 외주면을 경유하며 타단이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101)의 상면에 부착된 인장 코일 스프링(131)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단이 회전반(114)의 저면에 고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 상부플레이트(101)의 상면에 고착되며 상기 회전반의 원통부(112) 둘레를 감는 비틀림 스프링(13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장 코일 스프링(131) 또는 비틀림 스프링(132)은 회전반(114)이 좌회전될때 그 선회력에 송풍반력이 더해져서 급속히 선회되는 것에 대하여 그 송풍반력을 상쇄하는 방향, 즉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그 과속을 방지하며, 반대로, 상기 회전반(114)이 그 선회방향을 바꾸어 우회전될때, 전술한 좌회전시에 스프링(113)(132)이 늘어나거나 비틀린 만큼 동 선회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서 팬 임펠러의 좌우선회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140)에 의해 제9도에 도시된 하부몸체(2)의 지지로드의 상단부를 상부몸체(1)의 하우징의 저면 중앙에 동축상으로 착탈자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140)를 풀어 하부몸체(2)를 제거한 후, 상부몸체(1)만을 높이가 낮은 직립 스탠드형 또는 천장부착형 도는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상,하부몸체 분리자재형 구조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콘트롤스위치기구(150)는 상부 몸체 하우징(105)의 일측에 장착되며 이 콘트롤스위치에 접속되는 전선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51)와 콘센트(152)에 의해 하부몸체의 상부관(13) 내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전선(153)에 단속자재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에는, 제1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몸체의 하우징 저면에 하우징의 축(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뻗은 4개의 손잡이(118)(도면에는 2개만 도시됨)가 핀(119)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절첩자재로 장착되며, 또한,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를 하부 몸체(2)를 제거하여 높이가 낮은 직립형으로 사용할 경우에 동 선풍기를 밀어 옮기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118)의 자유단에는 바퀴(160)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손잡이(118)는 동 손잡이가 절첩가능한 것이고 또한 그 자유단에 360도 회전자재형 바퀴를 선택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11도는 손잡이를 직접 바닥에 펼쳐놓아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몸체(2)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바닥에 전달하기 위한, 단속자재의 전원 커넥터(152)를 구비한 대체로 평판형의 지지판(10)과;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착된 중공의 하부관(11)과 동 하부관 내에 동축상으로 삽입되어 동 하부관 내에 축설된 압축 코일 스프링(12)에 의해 망원경식으로 신축자재하며 상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플레이트(103)의 저면 중앙에 착탈자재로 체결되는 상부관(13)으로 구성된 지지로드(14)를 포함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제2실시예의 상부몸체의 단면도로서, 이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는 제1구동부(10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이를 제2구동부(200)로 전달하며 팬 임펠러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상하요동단속장치(300) 및 제1구동부 내에 장착된 회전반 좌우선회구동용 크랭크기구만이 전술한 제1실시예의 상부몸체(1)에 구비된 그것들과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우선,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에 있어서의 상하요동장치(300)는, 상기 회전반(114)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각 쌍의 팬 임펠러 지지용 지지브라켓(201)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개구부(330)를 갖는 원통형 입벽체(331)와; 저면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와 상기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를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 저면에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를 갖는 원반형 커버(334)와; 상기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의 저면 중앙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동 체결부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축구멍을 갖는 구동평기어(335)와; 상기 제1구동부 전동축(107)의 상단부 외주면에 장착된 계합구(308)와;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계합구(308)에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309)를 가지며, 키 또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평기어(335)의 축구멍에 체결되고 원반형 커버(334)의 제1단속손잡이체결부의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34)의 상부로 연장된 제1단속손잡이(336)와; 상기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의 저면 중앙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동 체결부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축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동평기어(335)에 치합된 종동평기어(337)와; 길이의 중간에 상기 종동평기어(337)와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338)를 가지고, 하단부가 회전반(114)의 상면에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상기 종동평기어(337)의 구멍 및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34)의 상부로 연장된 제2단속손잡이(339)와; 상기 각 종동평기어(337)의 하부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키 또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제2단속손잡이(339)의 하단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워엄나사(340)가 형성된 워엄나사체(341)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워엄나사체(341)의 워엄나사(340)에 치합되는 부분 워엄휘일 치형(342)을 가지고 타단이 핀(343)에 의해 제2구동부의 하우징(203)에 회동자재로 결합된 전동로드(34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단속손잡이(336)를 누르면 동 손잡이의 하단부에 형성된 볼키(309)가 계합구(308)를 통해 전술한 전동축(107)에 결합되어 동 전동축의 회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평기어(335)가 구동됨으로써 동 구동평기어에 치합된 상기 종동평기어(337)가 회동되고, 이어서 이 종동평기어(337)의 회동은 제2단속손잡이(339)의 볼키(338)를 통해 동 제2단속손잡이(339)와 함께 그 하단 외주연에 핀결합 또는 스플라인 결합된 워엄나사체(341)를 회동시키며 동 워엄나사체의 회동에 따라 그 워엄나사(340)에 치합되어 있는 전동로드(334)를 핀(343)을 중심으로 요동시킴으로써 팬 임펠러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워엄나사체(341)는 후술하는 회전반 좌우선회구동용 클러치기구와 관련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역회전됨으로써 상기 팬 임펠러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선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있어서는 제1단속손잡이(336)가 눌려져 구동평기어가 회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3개의 제2단속손잡이(339)중 어느 하나만을 또는 둘 또는 세개 모두를 선택적으로 조작합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팬 임펠러(205)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단속손잡이(339)들이 각각 볼키(338)를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있어서 상하요동의 필요가 없는 팬 임펠러에 대하여는 그 대응하는 제2단속손잡이(339)를 뽑아 그 종동평기어(337)의 회동력이 워엄나사체(34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 물론, 세개의 팬 임펠러 모두를 상하요동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제1단속손잡이(336)를 상부로 뽑아 그 볼키(309)를 결합해제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부공간(S1) 내에 설치되는 회전반 좌우구동용 크랭크기구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축(106)의 상단부에 장착된 평기어(161)와; 상기 회전반 원통부(112) 외주면에 고착되어 상기 평기어(16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62)와; 그리고 상기 회전반저면과 상부플레이트(101) 상면에 상호 협동하여 작동하도록 부착된 한쌍의 구동모우터(M1)의 정,역회전 구동용 근접 스위치기구(163)로 구성된다.
따라서, 크랭크축(106)의 회동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161) 및 동 구동기어에 치합된 종동기어(162)의 회동에 의해 회전반(114)이 일정각도 회동하는데, 이때 동 회전반이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근접스위치(163)의 접속에 의해 제1구동모우터(M1)의 구동방향이 반대로 바뀌어져 회전반(114)이 반대로 회동된다. 따라서 전술한 상하요동단속용 전동축(107)도 상기 근접스위치(163)의 작동에 의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역회전됨으로써 전술한 팬 임펠러(들)을 상하로 요동시킬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제3실시예의 상부몸체의 부분단면도이며, 특히 상하요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구동부(100)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하요동단속장치를 구동하는 방식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제2구동부(200)의 팬 임펠러 구동을 제2모우터(M2)의 동력을 사용하여 팬 임펠러의 상하요동장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있어서의 상하요동장치(300)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임펠러축(204)의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350)와; 상기 워엄나사에 치합하는 워엄휘일(351)과; 상기 워엄휘일과 연동하는 일련의 크랭크기어(352)와; 상기 회전반 상면에 장착된 팬 임펠러 장착용 브라켓(201)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각각 입설된 크랭크지지용 브라켓(353)과; 그리고 상기 크랭크기어(352)와 크랭크지지용 브라켓(353)과를 상호 회동자재로 연결한 커넥팅로드(35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있어서는 팬 임펠러 구동용 제2구동모우터(M2)가 구동되면 동 모우터(M2)축의 후단부에 형성된 워엄기어(350)에 작동적으로 치합된 일련의 기어군의 작동 및 크랭크 기구가 작동됨으로써 팬 임펠러가 상하로 요동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제4실시예의 상부몸체의 부분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4실시예는 팬 임펠러 구동용 제2구동모우터의 동력을 상하요동단속장치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요동장치에 연계하도록 구성된 선풍기의 요부단면도로서 상기 상하요동단속장치는 상기 제2구동모우터(M2)축의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350)와; 동 워엄나사에 치합하는 중공부(360)를 갖는 워엄휘일(361)과;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 내에 슬라이딩 자재로 삽착되는 긴 형상의 로드부재로서 그 일단부 외주면에 평기어(371) 형성되고 타단부는 회동자재의 놉(372)이 부착되며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360) 내에서 일정길이만큼 전후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동 워엄휘일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볼키(ball key)(373)를 구비한 작동손잡이(374)와; 그리고 상기 평기어(371)에 치합된 일련의 크랭크기어(352)로 이루어진다.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에 있어서 상부몸체(1)만을 천장부착형 및 벽걸이형으로 사용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들 도면에서 도면부호 S는 천장을, W는 벽체를 각각 나태내며, 전술한 하부몸체 대신 선풍기를 천장 또는 벽체에 부착하기에 적절한 형상과 구조의 부착 브라켓(400) 또는 턴버클(401) 등이 사용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3개의 팬 임펠러를 좌우방향으로 선회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상,하,좌,우 전방위로 동시에 바람을 불어 보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하부몸체를 상호 분리하여 그 상부몸체만을 적절한 브라켓을 사용하여 벽걸이형 또는 천장부착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스터빌라이저에 의해 각 팬 임펠러의 좌우선회동작이 안정화할 수 있으며 하우징 저면에 절첩자재로 구비된 손잡이를 사용함으로써 동 선풍기를 옮기기 편리한 이점을 갖는다.

Claims (18)

  1. 상부몸체(1)와, 이 상부몸체의 하부에 착탈자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몸체를 받치는 받침대로 쓰이는, 대체로 평탄형이 지지판(10)과 망원경식으로 신축자재되도록 하부관(11)고 상부관(13)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12)을 개재하여 되는 하부몸체(2)로 이루어지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는 수평방향으로 120도 간격을 두어 방사상으로 배설된 3개의 팬 임펠러를 동시에 일정한 각도만큼 좌우방향으로 왕복 선회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00)와; 상기 각 팬 임펠러를 각각 별개의 구동력으로 회동시켜 바람을 일으키기 위한 제2구동부(200)와;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와 작동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된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팬 임펠러를 일정한 각도만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100)는 축(A)과, 상호 간격을 두어 대체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플레이트(101)와, 중앙부지지플레이트(102)와, 하부플레이트(103)와, 그리고 이들 플레이트의 외주연을 공통으로 둘러싸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01)의 외로 연장된 원통형 측면플레이트(104)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는 위 플레이트들(101)(102)(103)(104)에 의해 상부공간(S1)과 중간부공간(S2)과 그리고 하부공간(S3)으로 구획되며, 상기 하부공간(S3)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설된 제1구동모우터(M1)와; 상기 제1구동모우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크랭크축(106) 및 상기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 입설된 팬 임펠러 상하방향 요동단속장치 구동용 전동축(107)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중간부공간(S2)내에 배설된 일련의 기어군과, 상기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 장착된, 원통부(112)와 환형플랜지부(113)를 갖는 회동자재의 회전반(114)과; 상기 상부공간(S1) 내에 배설된, 상기 회전반(114)을 좌우방향으로 선회구동시키기 위한 크랭크기구(108)와; 그리고 상기 상부공간(S1) 내에 상기 크랭크기구(108)와 관련하여 설치된, 회전반 좌우선회구동 안정용 스터빌라이저(1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200)는 상기 회전반(114)의 환형플랜지부(113)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돌출된 3쌍의 지지브라켓(201)의 각 쌍의 선단에 핀(202)에 의해 회동자재토록 장착된 세개의 하우징(203)과; 그리고 상기 각 하우징(203)의 내부에 장착된 팬 임펠러 구동은 제2구동모우터(M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 임펠러 구동용 제2구동모우터(M2)의 축(204)의 일단은 하우징(203)의 외부(전방)로 돌출되어 그 선단에 팬 임펠러(205)가 고착되고, 동축의 타단은 하우징의 후내벽에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상기 팬 임펠러 구동용 구동모우터(M2)의 축의 타단부에는 동 모우터(M2) 구동시 그 모우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모우터 냉각팬(206)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5. 제1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하단이 상기 회전반(114)의 상면에 고착되고, 상기 각 쌍의 지지브라켓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수평의 축관부(301)를 갖는 원통체(302)와; 외주연이 상기 원통체(302)의 상단에 고착되고, 하부에 요입부(303)를 갖는 축관부(304)가 저면 중앙에 형성된 원반형 커버(305)와; 상면 중앙에 상기 요입부(303)에 회동자재로 삽입되는 돌출부(306)가 형성되고 상기 축관부(304)의 구멍과 연통하는, 내스플라인의 형성된 축구멍을 갖는 구동베벨기어(307)와; 상기 제1구동부(100)의 전동축(107)의 상단부 외주면에 고착된 계합구(308)와;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계합구(308)에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ball key)(309)를 가지며, 상기 베벨기어 축구멍 및 원반형 커버(305) 축관부 구멍에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05) 상부로 돌출된 단속손잡이(310)와; 상기 각 수평축광부(301)에 회동자재로 삽입된 수평전동축(311)의 상기 원통체(302) 내측 단부에 고착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307)에 치합되는 종동베벨기어(314)와; 상기 수평전동축(311)의 상기 원통체(302) 외측 단부에 고착된 크랭크아암(312)와; 그리고 상기 크랭크아암의 일단과 제2구동부 하우징(203)의 후단과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로드베어링(3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6. 제2항에 있어서, 스터빌라이저(stabilizer)(109)는 일단이 상기 크랭크기구의 커넥틸오드(127)의 하면에 고정되고 크랭크축(106) 외주면에 장착된 스프링 이탈방지겸 가이드용 드럼(130)의 외주면을 경유하며 타단이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101)의 상면에 고정된 인장스프링(131)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단이 회전반(114)의 저면에 고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 상부플레이트(101)의 성면에 고착되며 상기 회전반의 원통부(112) 둘레에 감긴 비틀림 스프링(1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7.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스위치기구(150)가 상부몸체 하우징(105)의 일측에 장착되며, 이 콘트롤스위치기구에 접속되는 전선은 플러그(151)와 콘센트(152)에 의해 하부몸체의 상부관(13) 내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전선(153)에 단속자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하우징 저면에 하우징의 축(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뻗은 4개의 손잡이(118)가 핀(119)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절첩자재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8)의 자유단에 360도 회전자재형 바퀴(160)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0. 제2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축 상하요동장치(300)는 상기 회전반(114)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각 쌍의 팬 임펠러지지용 지지브라켓(201)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개구부(330)를 갖는 원통형 입벽체(331)와; 저면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와 상기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를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 저면에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를 갖는 원반형 커버(334)와; 상기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의 저면 중앙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동 체결부의 중 공부와 연통하는, 내스플라인이 형성된 축구멍을 갖는 구동평기어(335)와; 상기 제1구동부 전동축(107)의 상단부 외주면에 장착된 계합구(308)와;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계합구(308)에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309)를 가지며, 키 또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평기어(335)의 축구멍의 내스플라인에 체결되고 원반형 커버(334)의 제1단속손잡이체결부의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34)의 상부로 연장된 제1단속손잡이(336)와; 상기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의 저면 중앙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동 체결부의 중공부외 연통하는, 내스플라인이 형성된 축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동평기어(335)에 치합된 종동평기어(337)와; 길이의 중간에 상기 종동평기어(337)와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338)를 가지고, 하단부가 회전반(114)의 상면에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상기 종동평기어(337)의 축구멍 및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34)의 상부로 연장된 제2단속손잡이(339)와; 상기 각 종동평기어(337)의 하부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키 또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제2단속손잡이(339)의 하단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워엄나사(340)를 형성하고 있는 워엄나사체(341)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워엄나사체(341)의 워엄나사(340)에 치합되는 부분 워엄휘일 치형(342)을 가지고 타단이 핀(343)에 의해 제2구동부의 하우징(203)에 회동자재로 결합된 전동로드(344)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회전반 좌우구동용 크랭크기구(108)는 크랭크축(106)의 상단부에 장착된 평기어(161)와; 상기 회전반 원통부(112) 외주면에 고착되어 상기 평기어(16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62)와; 그리고 상기 회전반의 저면과 상부플레이트(101) 상면에 각각 상호 협동하여 작동하도록 부착된 한쌍의 구동모우터(M1)의 정,역회전구동용 근접 스위치기구(1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1. 제1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팬 임펠러축(204)의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350)와; 상기 워엄기어에 치합하는 워엄휘일(351)과; 상기 워엄휘일과 연동하는 일련의 크랭크기어(352)와; 상기 회전반 상면에 장착된 팬 임펠러 장착용 브라켓(201)의 돌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입설된 브라켓(353)과; 그리고 상기 크랭크기어(352)와 브라켓(353)과를 상호 회동자재로 연결한 커넥팅로드(3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2. 제1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제2구동모우터축의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350)와; 상기 워엄나사에 치합하는 중공부(360)를 갖는 워엄휘일(361)과;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내에 슬라이딩 자재로 삽착되는 긴 형상의 로드부재로서 그 일단부 외주면에 평기어(37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회전자재의 놉(372)이 부착되며,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360) 내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전후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동 워엄휘일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볼키(ball key)(373)를 구비한 작동손잡이(374)와; 상기 평기어(371)에 치합된 일련의 크랭크기어(352)와; 상기 회전반 상면에 장착된 팬 임펠러 장착용 브라켓((201)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각각 입설된 브라켓(353)과; 그리고 상기 크랭크기어(352)와 브라켓(353)과를 상호 회동자재로 연결한 커넥팅로드(3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3. 축(A)과, 상호 간격을 두어 대체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플레이트(101)와, 중앙부지지플레이트(102)와, 하부플레이트(103)와, 그리고 이들 플레이트의 외주연을 공통으로 둘러싸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01)의 위로 연장된 원통형 측면플레이트(104)를 포함하며, 위 플레이트들(101)(102)(103)(104)에 의해 구획되는 상부공간(S1)과 중간부공간(S2)과 그리고 하부공간(S3)을 갖는 하우징(105)과; 상기 하부공간(S3)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설된 제1구동모우터(M1)와; 상기 제1구동모우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방아 크랭크축(106) 및 상기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 입설된 팬 임펠러 상하방향 요동단속장치 구동용 전동축(107)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중간부공간(S2) 내에 배설된 일련의 기어군과; 상기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 장착된, 원통부(112)와 환형플랜지부(113)를 갖는 회동자재의 회전반(114)과; 상기 상부공간(S1) 내에 배설된, 상기 회전반을 좌우방향으로 선회구동시키기 위한 크랭크기구(108)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3)의 저면에 하우징의 축(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뻗은, 절첩자재의 손잡이(118)와; 그리고 상기 상부공간(S1) 내에 상기 크랭크기구(108)와 관련하여 설치된, 회전반 좌우선회구동 안정용 스터빌라이저(109)와를 포함하는 제1구동부(100)와; 상기 회전반(114)의 환형플랜지부(113)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돌출된 3쌍의 지지브라켓(201)의 각 쌍의 선단에 핀(202)에 의해 회동자재토록 장착된 세개의 하우징(203)과, 그리고 상기 각 하우징(203)의 내부에 장착된 팬 임펠러 구동을 제2구동모우터(M2)로 이루어진 제2구동부(200)와;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와 작동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된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팬 임펠러를 일정한 각도만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하단이 상기 회전반(114)의 상면에 고착되고, 상기 각 쌍의 지지브라켓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수평의 축관부(301)를 갖는 원통체(302)와; 외주연이 상기 원통체(302)의 상단에 고착되고, 하부에 요입부(303)를 갖는 축관부(304)가 저면 중앙에 형성된 원반형 커버(305)와; 상기 중앙에 상기 요입부(303)에 회동자재로 삽입되는 돌출부(306)가 형성되고 상기 축관부(304)의 구멍과 연통하는 축구멍을 갖는 구동베벨기어(307)와; 상기 제1구동부(100)의 전동축(107)의 상단부 외주면에 고착된 계합구(308)와;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계합구(308)에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ball key)(309)를 가지며, 상기 베벨기어 축구멍 및 원반형 커버(305) 축관부 구멍에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05) 상부로 돌출된 단속손잡이(310)와; 상기 각 수평축관부(301)에 회동자재로 삽입된 수평전동축(311)의 상기 원통체(302) 내측 단부에 고착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37)에 치합되는 종동베벨기어(314)와; 상기 수평전동축(311)의 상기 원통체(302) 외축 단부에 고착된 크랭크아암(312)와; 그리고 상기 크랭크아암의 일단과 제2구동부 하우징(203)의 후단과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로드베어링(3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5. 제13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상기 회전반(114)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각 쌍의 팬 임펠러 지지용 지지브라켓(201)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개구부(330)를 갖는 원통형 입벽체(331)와; 저면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와 상기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를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 저면에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를 갖는 원반형 커버(334)와; 상기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의 저면 중앙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동 체결부의 중 공부와 연통하는 축구멍을 갖는 구동평기어(335)와; 상기 제1구동부 전동축(107)의 상단부 외주면에 장착된 계합구(308)와;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계합구(308)에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309)를 가지며, 키 또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평기어(335)의 축구멍에 체결되고 원반형 커버(334)의 제1단속손잡이체결부의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34)의 상부로 연장된 제1단속손잡이(336)와; 상기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의 저면 중앙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동 체결부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축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동평기어(335)에 치합된 종동평기어(337)와; 길이의 중간에 상기 종동평기어(337)와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338)를 가지고, 하단부가 회전반(114)의 상면에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상기 종동평기어(337)의 구멍 및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34)의 상부로 연장된 제2단속손잡이(339)와; 상기 각 종동평기어(337)의 하부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키 또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제2단속손잡이(339)의 하단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워엄나사(340)를 형성하고 있는 워엄나체(341)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워엄나사체(341)의 워엄나사(340)에 치합되는 부분 워엄휘일 치형(342)을 가지고 타단이 핀(343)에 의해 제2구동부의 하우징(203)에 회동자재로 결합된 전동 로드(344)로 이루어고, 그리고, 회전반 좌우선회구동용 크랭크기구(108)는 크랭크축(106)의 상단부에 장착된 평기어(161)와; 상기 회전반 원통부(112) 외주면에 고착되어 상기 평기어(16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62)와; 그리고 상기 회전반 저면과 상부플레이트(101) 상면에 상호 협동하여 작동하도록 부착된 한쌍의 구동모우터(M1)의 정,역회전 구동용 근접 스위치기구(1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6. 제13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팬 임펠러축(204)의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250)와; 상기 워엄기어에 치합하는 워엄휘일(351)과; 상기 워엄휘일과 연동하는 일련의 크랭크기어(352)와; 상기 회전반 상면에 장착된 팬 임펠러 장착용 브라켓(201)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각각 입설된 브라켓(353)과; 그리고 상기 크랭크기어(352)와 브라켓(353)과를 상호 회동자재로 연결한 커넥팅로드(3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7. 제13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제2구동모우터축의 후단부 외주면에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350)와; 상기 워엄나사에 치합하는, 중공부(360)를 갖는 워엄휘일(361)과;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 내에 슬라이딩 자재로 삽착되는 긴 형상의 로드부재로서 그 일단부 외주면에 평기어(37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회전자재의 놉(372)이 부착되며,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360) 내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전후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동 워엄휘일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볼키(ball key)(373)를 구비한 작동손잡이(374)와; 상기 평기어(371)에 치합된 일련의 크랭크기어(352)와; 상기 회전반 상면에 장착된 팬 임펠러 장착용 브라켓(201)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각각 입설된 브라켓(353)과; 그리고 상기 크랭크기어(352)와 브라켓(353)과를 상호 회동자재로 연결한 커넥팅로드(3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8)의 자유단에 360도 회전자재형 바퀴(160)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KR1019930027517A 1993-12-13 1993-12-13 선풍기 KR960009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517A KR960009749B1 (ko) 1993-12-13 1993-12-13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517A KR960009749B1 (ko) 1993-12-13 1993-12-13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237A KR950019237A (ko) 1995-07-22
KR960009749B1 true KR960009749B1 (ko) 1996-07-24

Family

ID=1937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517A KR960009749B1 (ko) 1993-12-13 1993-12-13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7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237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7070A (en) Two-wheeled motorized toy
US20050123392A1 (en) Multi-directional tower fan
US9656227B2 (en) Food blending appliance with wiper assembly
KR100835352B1 (ko) 카메라 팬 틸트 장치
CN110447674A (zh) 一种自动和面机
KR960009749B1 (ko) 선풍기
JP2002316699A (ja) 同軸反転型ヘリコプタ
WO2022036973A1 (zh) 一种双联锥行星齿轮传动机构及应用该机构的手持式搅拌机
KR960009748B1 (ko) 선풍기
CN112369939A (zh) 打蛋机
US20120156064A1 (en) Orbital oscillation fan
CA2806033C (en) Oscillating fan with built-in pull-type control switch
GB2539713A (en) Stand mixers
US3377465A (en) Oscillating electric heater
JPH0396697A (ja) 可搬式電気扇風機
JP4484154B2 (ja) 餅搗機
CN209761814U (zh) 一种可360°旋转的同轴双向送风电风扇
KR200229990Y1 (ko) 선풍기
CN220158112U (zh) 一种能自动调节出风口大小的空气炸锅
JP3240858U (ja) 照明機能付き送風装置
CN220302375U (zh) 一种移动式轴流风机
KR100323355B1 (ko)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CN218118099U (zh) 一种可增设高度的自转式塔扇
CN220559073U (zh) 一种智能震动装置
CN213243739U (zh) 一种电动推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