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748B1 -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748B1
KR960009748B1 KR1019930027516A KR930027516A KR960009748B1 KR 960009748 B1 KR960009748 B1 KR 960009748B1 KR 1019930027516 A KR1019930027516 A KR 1019930027516A KR 930027516 A KR930027516 A KR 930027516A KR 960009748 B1 KR960009748 B1 KR 96000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impeller
fan
shaft
brack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236A (ko
Inventor
안순석
Original Assignee
안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준 filed Critical 안영준
Priority to KR101993002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748B1/ko
Priority to AU12501/95A priority patent/AU1250195A/en
Priority to CN94194836A priority patent/CN1061134C/zh
Priority to US08/656,328 priority patent/US6000910A/en
Priority to PCT/KR1994/000176 priority patent/WO1995016861A1/en
Publication of KR950019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4Non-adjustable friction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04D25/105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by changing rotor axis direction, e.g. oscillat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3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driven by a common gearing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3/00Gearing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nstant gear ratio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3/02Gearing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nstant gear ratio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선풍기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상부몸체의 단면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상부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하부몸체의 단면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에 있어서 회전반의 좌우회동을 안정화하기 위한 스터빌라이저로서 회전반의 둘레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이 장착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5 도는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6 도는 제 5 도에 도시된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7 도와 (가)-(마)는 각각 구동마찰차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8 도는 접동면이 곡면으로 된 베벨기어의 단면도이다.
제 9 도는 구동마찰차의 저면에 압축 코일스프링이 탄설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0도는 종동마찰차의 저면에 압축 코일스프링이 탄설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1도(가)는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제11도(나)는 제11도(가)와 Ⅰ-Ⅰ선 단면도이다.
제12도는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3도는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4도(가)는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4도(나)는 제14도(가)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제15도(가)는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5도(나)는 제15도(가)에 도시한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5도(다)는 제15도(가)의 요부사시도이다.
제15도(라)는 제15도(가) 내지 (다)에 도시된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작동방식과 동일한 작동방식을 유지하되 그 일부요소가 대체되고 또한 부가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6도(가)는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6도(나)는 제16도(가)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제17도(가)는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7도(나)는 제17도(가)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제18도(가)는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제18도(나)는 제18도(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제18도(다)는 제18도(나)의 측단면도이다.
제19도는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0도는 선풍기 팬 임펠러축의 상하선회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1도는 제20도에 도시한 선풍기 팬 임펠러축의 상하선회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에 있어서 이동손잡이를 편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정면도이다.
제23도는 선단에 바퀴가 달린 이동손잡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정면도이다.
제2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에 있어서 하부몸체를 제거하고 상부몸체를 그 이동손잡이를 직접 바닥에 펼쳐 놓은 상태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5도는 선풍기 상부몸체를 천장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6도는 선풍기 상부몸체를 벽걸이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몸체2 : 하부몸체
20 : 하우징40 : 클러치기구
60 : 좌우회전반80 :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
100 : 팬 임펠러축120 : 제 1 크랭크기구
130 : 스터빌라이저(stabilizer)160 : 이동손잡이
180 : 콘트롤스위치기구1200 : 제 2 크랭크기구
C : 동력전달단속장치M : 구동모우터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개의 팬 임펠러(fan impeller), 예컨대 3개의 팬 임펠러를 구비함으로써 360도 모든 방향으로 동시에 바람을 불어보낼 수 있거나, 또한 필요에 따라 각 팬 임펠러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출원인의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89-1902호(미국 대응특허 제4,922,766호)에 개시된 선풍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형적인 선풍기는 다수의 나선형 팬 날개(helical fan blades)로 형성되는 하나의 팬 임펠러를 구동모우터와 동축상으로 (coaxially)장착하고 소정의 크랭크기구로 그 팬 헤드를 좌우로 반복하여 선회시킴으로써 좌우로 교대로 바람을 불어 보내는 구조이거나, 또는 모우터 구동에 따라 팬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생긴 바람의 송풍방향을 바꾸는 수단으로서, 팬 헤드 자체를 이동하는 것 없이, 바람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이동판을 사용한 구조였다.
이러한 종래의 선풍기는 어느것이나 그 송풍방향이 좌우로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한쪽으로 바람을 불어 보내는 동안에는 다른 쪽은 바람이 없어서 더운 상태로 남아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89-1902호(미국 대응특허 제4,922,766호)에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형적인 선풍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팬 임펠러축, 예컨대 3개의 팬 임펠러축을 수직으로 배설한 구동모우터축 주위에 120도간격으로 수평으로 배셜하고 소정의 동력전달단속장치에 의해 이 구동모우터축과 팬 임펠러축을 상호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접동시킴으로써 360도 전방향으로 동시에 바람을 불어 보낼 수 있는 선풍기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이 선풍기는 구동모우터축의 선단에 장착된 구동마찰차(driving bevel friction wheel)와 팬 임펠러축의 선단에 장착된 종동마찰차(driven bevel friction wheel)와의 접동면(friction faces)이 각각 평면상으로 되어 있어서 양자 사이의 동력전달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팬 임펠러축의 상하방향 경사각을 조절 할 수 없었고, 또한 팬 임펠러축을 상하로 선회시키는 수단이 없어서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의 송풍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선풍기는 다수의 나선형 날개로 이루어진 팬 임펠러가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동 팬 임펠러의 전방으로 바람을 불어보내는 장치인 바, 팬 임펠러는 그 나선형 날개의 나선방향과 관련하여, 송풍시, 어느정도의 좌 또는 우측으로 쏠리는 송풍반력(blowing reaction)을 받는다. 그런데, 상기 선풍기는 그 팬 임펠러를 3개 구비한 것으로서 이들 팬 임펠러가 동시에 회전될 경우 그 송풍량이 대단히 많기 때문에 팬 임펠러가 받는 송풍반력의 크기는 상당히 크다. 즉, 상기 선풍기는 그 각 팬임펠러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크랭크기구에 의해, 예컨대 좌로 선회될때 그 선회력에 송풍반력이 더해짐으로써 동 선회방향으로 급속히 선회되며, 반면에, 우로 선회될때에는 각 팬 임펠러는 송풍반력에 대항하면서 진행하는 결과로 되어 심하게 떨리고 구동모우터축에 과부하(excess load)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선풍기는 구동모우터축의 선단에 장착된 구동마찰차와 팬 임펠러축의 선단에 장착된 종동마찰차를 상호 접동(friction driving)시키거나 또는 접동해제시키는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조작방식이 나사회동방식이어서 그 단속조작에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이 선풍기는 팬 임펠러를 3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중량이 상당히 무거워 이를 들어 옮기거나 밀어 옮기는 작업이 용이치 않았으며, 또한 조작스위치가 주로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하부몸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모우터와 팬 임펠러와 클러치기구 및 크랭크기구 등 주요 요소를 포함하는 상부몸체를 하부몸체로부터 분리하여 그 상부몸체만을 높이가 낮은 직립형, 천장부착형, 또는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위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89-1902호(미국 대응특허 제4,922,766호)의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구동모우터축의 선단에 장착된 구동마찰차와 각 팬 임펠러축의 선단에 장착된 종동마찰차 간의 접동효율이 뛰어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팬 임펠러축의 구동모터축에 대한 상하방향 접동경사각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팬 임펠러의 좌우선회동작이 원활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주로 받침대 역할을 하는 하부몸체와 구동장치 및 팬 임펠러 등 주요 요소를 포함하는 상부몸체와를 상호 분리하여 후자를 높이가 낮은 직립형, 천장부착형, 또는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하부몸체 분리자재의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선풍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수단이 구비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팬 임펠러가 좌우방향으로 선회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도 왕복하여 선회함으로써 상, 하, 좌, 우 전방위(全方位)로 바람을 불어 보낼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하나의 구동모우터 및 복수의 팬 임펠러 등을 포함하는 상부몸체와, 이 상부몸체의 하부에 착탈자재로 결합되어 받침대로 쓰이는 하부몸체로 이루어 진다.
상기 상부몸체는, 축(axis)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 상부플레이트와 중앙부지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및 이들 플레이크의 외주연을 공통으로 둘러싸는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대체로 원통형의 하우징과 ; 위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 및 중앙부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내에 하우징의 축과 동축상으로(coaxially)장착된, 상, 하 양방향으로 뻗은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우터와, 여기서 상기 구동모우터의 상향구동측은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됨으로써 그 자유단이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며, 그 하향구동축을 상기 중앙부지지플레이트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며 ; 상기 상향구동축의 둘레에 회전자재로 삽착된, 원통부와 3방플랜지부(trident flange)를 갖는 회전반(rotary disk)과 ; 상기 회전반의 각 플랜지에 피봇자재로 장착된,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과 ; 위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상에 장착된 동력전달단속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상향구동축의 자유단 주위에 방사상으로 수평배설되어 상향구동축의 회전력을 수직 또는 임의의 경사각으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받는 복수의 팬 임펠러축과 ; 각 팬 임펠러축이 상기 상향구동축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상에 설치된 동력전달단속장치와 ; 상기 하향구동축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후술하는 제 1 크랭크기구에 감속하여 왕복선회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중앙부지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기구와 ; 상기 클러치기구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왕복선회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회전받을 상향구동축을 중심으로하여 반복하여 좌우선회시키기 위한 제 1 크랭크기구와 ; 상기 제 1 크랭크기구에 의한 회전반의 좌우선회운동을 안정화하기 위한 스터빌라이저(stabilizer)와 ;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된, 단속자재의 (interruptable) 커넥터(connector)를 구비한 콘트롤스위치기구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몸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바닥에 전달하기 위한 대체로 평판형의 지지판과 ;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착된 중공의 하부관과, 동 하부관 내에 동축상으로 삽입되어 동 하부관 내에 축설된 앙축코일스프링에 의해 망원경식으로(telescopically) 신축자재하며 상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플레이트의 하면 중앙에 착탈자재로 체결되는 상부관으로 구성된 지지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상부몸체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플레이트의 저면에 하우징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절첩자재의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상부몸체는 상기 팬 임펠러축이 구동모터의 상향구동축 둘레를 좌우방향으로 선회될때, 동시에 동 팬 임펠러축이 상하방향으로도 반복하여 선회시키기 위한 제 2 클랭크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다른 특징 및 이점, 작용 효과들을 첨부도면의 도면부호에 기초한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상부몸체의 단면도이고, 제 2 도는 동 상부몸체의 일부절개 분해사시도이다.
상부몸체(1)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하우징(20)과, 구동모우터(M)와, 클러치기구(40)와, 회전반(60)과, 팬 임펠러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과, 3개의 팬 임펠러축(100)과, 회전반 구동용 크랭크기구(120)와, 팬 임펠러축 동력전달단속장치(C)와, 이동용 손잡이(160)와, 그리고 콘트롤스위치기구(180)를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A)과, 상호 간격을 두어 나란히 배설된, 상부 플레이트(21)와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와 하부플레이트(23) 및 이들 플레이트의 외주연을 공통으로 둘러싸는 대체로 원통형의 측면플레이트(24)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에 의해 상부공간(S1)과 하우공간(S2)으로 구획된다.
위 상부공간(S1)내에는 상향구동축(11) 및 하향구동축(12)을 갖는 구동모우터(M)가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coaxially) 배치된다. 상기 상, 하향 구동축(11)(12)은 단일몸체로서 구동모우터(M)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동되는데, 상향구동축(11)은 후술하는 마찰차(30)(90)를 매개로 하여 각 팬 임펠러축을 구동하며, 하향구동축(12)은 후술하는 클러치기구(40)를 개재하여 회전반(60)을 좌우로 선회시킴으로써 팬 임펠러축(100)을 상기 상향구동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선회시킨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21)의 중앙에는 하우징의 상부공간(S1)과 연통하는 구멍(25)을 갖는 축관부(26)가 동 상부플레이트(21)와 일체로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으며, 구동모우터(M)의 상향구동축(11)은 상기 축관부의 구멍(25)을 통해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장착된 지지플레이트(22)는 상기 구동모우터(M)의 하향구동축(12)의 일부를 회동자재로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하부공간(S2) 내에 장착되는 클러치기구(40)를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의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모우터(M)의 하향구동축(12)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하우징의 하부공간(S2) 내로 연장되며, 하우징 상부공간(S1) 내에 위치하는 하향구동축(12)의 외주면에는 모우터 냉각용 팬(13)이 고착되어 있어서 모우터(M) 구동시 모터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21),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 하부플레이트(23) 및 측면플레이트(24)에는 각각 다수의 통기공(28)이 뚫려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플레이트(23)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구동모우터(M)의 하향구동축(12)의 자유단을 동축상으로 회동자재로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14)이 장착되며, 동 하부플레이트(23)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하부몸체를 착탈자재로 체결하기 의한 체결부(27)가 형성된다.
구동모우터(M)의 상향구동축(11)은 상기 축관부의 구멍(25)을 통해 상부로 연장되어 그 자유단이 외부로 노출되며 동 자유단에는 대체로 원추형의 구동마찰차(30)가 고착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축관부(26) 둘레에는, 중공의 원통부(61)와 동 원통부의 외주면에 120도 간격으로 수평으로 돌출된 3방플랜지부(62)를 구비한 회전반(60)이 베어링(63)을 개재하여 회전자재로 장착되며, 이 회전반은 후술하는 제 1 크랭크기구(120)에 의해 좌루로 반복하여 선회된다.
상기 회전반(60)의 각 플랜지의 선단에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이 경사조절볼트(8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피봇자재로 장착되며, 동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는, 일단에는 상기 구동마찰차(30)의 외주면에 작동적으로 접하여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종동마찰차(90)가, 타단에는 팬 임펠러(110)가 각각 장착된 팬 임펠러축(100)이 동력전달단속장치(C)를 개재하여 대체로 수평으로 배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마찰차(30)의 경사면과, 팬 임펠러축(100)의 일단에 고착되어 상기 구동마찰차(30)에 맞닿음으로써 그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마찰차(90)의 경사면은 양자 모두 또는 그 어느 한쪽이 볼록곡면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전술한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89-1902호(미국 대응특허 제4,922,766호)에 개시된 선풍기의 그것들과는 달리 양자 사이의 동력전달효율이 뛰어나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국내 실용신앙공보 제89-1902호에 개시된 구동마찰차와 종동마찰차는 양자의 접촉면이 넓고 또한 각각 평탄면이기 때문에, 접동시, 양자 접촉면 사이의 단위 면적당 접촉압이 작을뿐만 아니라, 만약 오랜 시간의 구동이나 또는 외충격 등에 의해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이 회전반 플랜지(62)에 대하여 그 장착각도가 기울러질 경우에는 종동마찰차(90)의 경사면이 구동마찰차(30)의 경사면에 정확히 맞닿지 않게 되어 양자 간의 동력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혹 팬 임펠러축(100)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그 선단에 고착된 종동마찰차(90)의 접동면 및 구동마찰차(30)의 접동면이 블록곡면으로 되어 있어서 종동마찰차(90)은 구동마찰차(30)와 높은 접촉압으로 항상 일정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구동마찰차(30)의 경사면과 종동마찰차(90)의 경사면 양자 모두 또는 어느 한쪽을 블록곡면으로 함으로써 동력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조절볼트(81)의 조정에 의해 구동마찰차(30)에 대한 종동마찰차(90)의 접동각도를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예컨대 3방의 팬 임펠러축(100)들 중의 하나는 구동축(11)에 대하여 직각으로, 다른 하나는 예각으로(즉, 하향으로), 또다른 하나는 둔각으로(즉, 상향으로) 각각 셋팅할 수 있어서 송풍방향을 다변화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팬 임펠러축(100)을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제 2 크랭크기구(1200)를 더 부가할 경우에는 각 팬 임펠러축의 선단에 장착된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에 맞닿아 동력을 전달받으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선회할때 이와 동시에 그 팬 임펠러축(100)을 상하로 요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상하좌우로 또한 360도 전방위로 동시에 바람을 불어보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에 사용되는 구동마찰차(30) 및 종동마찰차(90)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구동모우터의 상향구동축(11)의 자유단과 팬 임펠러축(100)의 자유단의 각각에, 또는 이들 중 어느 한쪽에 원추형 보스부(31) 및 동 원추형 보스부의 경사면에 고착되는 탄성고무판 내지 탄성합성수지판(32)을 장착하여서 이루어지며, 이 탄성고무판 또는 탄성합성수지판은 충분한 경도와 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접동면)의 형상은 블록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추형 보스부(31)의 경사면에 고착되는 탄성고무판 또는 탄성합성수지판(32)의 형상은, 상술한 바의 효과를 달성하기 한, 제 7 도(가) 내지 제 7 도(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볼록곡면상, 원통형상, 만곡돌출형상, 중공의 원통형상 등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볼록곡면의 탄성마찰차 대신에,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록곡면을 갖는 베벨기어(35)를 사용하여도 상기 볼록곡면을 갖는 마찰차를 사용할 때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 즉 접동각도가 변하여도 유효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구동마찰차(30)와 종동마찰차(90)와를 상호 탄력성 있게 접촉시킴으로써 접동효율을 보다 높힐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제 9 도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마찰차의 보스부(31)를 상향구동축(11)의 자유단에 스플라인(35)으로 결합하여 동 보스부(31)를 구동축(1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유동자재토록 하고 동 보스부의 하면에 압축 코일스프링(33)을 베어링(34)을 개재하여 상향구동축 둘레에서 회동자재하도록 탄설하거나,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종동마찰차의 보스부(91)를 팬 임펠러축(100)의 자유단에 스플라인(95)으로 결합하여 동 보스부를 팬 임펠러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유동자재토록 하고 동 보스부(91)의 하면에 압축 코일스프링(93)을 베어링(94)을 개재하여 팬 임펠러축 둘레에서 회동자재하도록 탄설하거나,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9 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구성을 동시에 구비하는 것에 의해 양 마찰차(30)(90)가 서로에 대하여 압축력을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
다음으로, 각 팬 임펠러축(100)이 상기 상향구동축(11)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된 동력전달단속장치(C)의 구성을 제 1 도, 제 2 도, 제 5 도, 제 6 도 및 제11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우선, 제 1 도, 제 2 도,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일측에 결합부(82a)가 돌설되고 타측에 관통공(82b)이 천설되고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볼트(82C)에 의하여 착설되는 하부브라켓(82)과, 상단 양쪽에 경사면(83c)을 통하여 연통되는 상, 하부핀홈(83a)(83b)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82b)에 삽착되는 원통형 캠(83)과, 핀(84a)에 의해 상기 결합부(82a)에 회동자재로 결합되는 노치부(84b) 및 팬 임펠러축(10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고 있는 몸체부(84c)를 구비하고 상부브라켓(84)과, 상기 몸체부(84c)의 일측에서 좌우회동자재하도록 수직으로 삽입설치되고 그 좌우회동시 하단에 장착된 계합핀(85a)의 돌출된 일단이 상기 원통형 캠(83)의 상, 하부핀홈(83a)(83b)에 차례로 계합하는 단속손잡이(85)와, 그리고 상기 핀(84a)으로 결합된 부분의 상, 하부브라켓(84)(82)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 코일스프링(86)(8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속손잡이(85)를 회동하여 계합핀(85a)이 캠(83)의 경사면(83c)을 따라 접동하여 하부핀홈(83b)에 계합되면 상부브라켓(84)이 팬 임펠러축(100)과 함께 핀(84a)을 중심으로 하향선회함으로써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에 접촉되고, 이 접촉 상태는 스프링(86)(86)의 탄성력에 의하여 유지된다. 또한,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속손잡이(85)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계합핀(85a)이 상부핀홈(83a)에 계합되면 상부브라켓(84)이 팬 임펠러축(100)과 함께 상향선회함으로써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로부터 떨어진다.
다음에,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한 동력단속장치(c)이 구성과는 다른 구성의 동력전달단속장치(c)의 실시예들을 제11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 및 그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하는 대응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그 형상이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어느정도 다른경우라 할지라도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1도(가)(나)에는 동력전달단속장치(c)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동력전달단속장치에서와 같은 상, 하부브라켓(84)(82)과, 하부브라켓(82)의 일측부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201)와, 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좌우이동자재하도록 설치된, 일단부에 테이퍼진 단속편(207)을 갖는 작동봉(203)과, 이 단속봉의 중간부 둘레에 고정된 솔레노이드 접촉판(204)과, 작동봉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된 복귀스프링(205)과, 상기 복귀스프링(205)을 탄압하도록 하부브라켓(82)에 장착된 지지브라켓(206)과, 상단부가 상부브라켓(84)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관통공(80b)을 통하여 상기 작동봉(203)의 단속편(202)의 경사진 상면에 접촉하도록 된 상하방향 유동자재의 단속봉(207a)과, 그리고 양측 압축 코일스프링(86)(86)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솔레노이드(201)의 여자(勵磁)에 의하여 작동봉(203)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콘트롤스위치기구(180)를 조작하면 상기 단속봉(207a)의 하단이 단속편(202)의 경사면 상단에 위치하게 되므로 핀(84a)을 중심으로 팬 임펠러축(100)이 상향선회됨으로써 종동마찰자(90)가 구동마찰차(30)로부터 떨어진다. 또한 솔레노이드(201)를 비여자(非勵磁) 상태로 만들면 지지브라켓(206)에 탄압된 복귀스프링(205)에 의하여 작동봉(203)이 좌측(제11도(가)의 화살표(A)방향)으로 복귀되어 단속봉(207a)의 하단이 단속편(202)의 경사면 하단에 위치하게 되어 팬 임펠러축(100)이 하향선회됨으로써 종동마찰차(30)가 구동마찰차(90)에 접촉한다.
제12도에는 동력전달단속장치(C)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단속장치도 마찬가지로 제 1 실시예에 의한 동력전달단속장치에서의 상, 하부브라켓(84)(82)을 그대로 이용한 것이다. 이 동력전달단속장치는 핀(84a)에 의하여 상호 선회자재로 결합된 상, 하부브라켓(84)(82)과, 하부브라켓(82)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301)와, 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하이동 자재함과 아울러 상단이 상부브라켓(84)에 핀(302)으로 지지되는 작동봉(303)과, 상, 하부 브라켓(84)(82) 사이의 상기 작동봉(303) 둘레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접촉판(304)과, 그리고 양측 압축코일스프링(86)(86)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콘트롤스위치기구(180)를 조작하여 상기 솔레노이드(301)를 여자시키면 작동봉(303)이 하향이동하여 핀(84a)을 중심으로 팬 임펠러축(100)이 상향선회됨으로써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로부터 떨어진다. 또한 솔레노이드(301)의 비여자시에는 스프링(86)에 의하여 작동봉(303)이 상향이동되어 핀(84a)을 중심으로 팬 임펠러축(100)이 하향선회됨으로써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에 접촉한다.
제13도에는 동력전달단속장치(C)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단속장치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수직으로 결합된 하부브라켓(82)와, 일단이 상기 하부브라켓(82)의 상단부 일측에 핀(84a)에 의해 상하회동자재로 결합되고 타단이 팬 임펠러축(10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며, 동 타단의 상부로 레버(401)가 형성된 상부브러켓(84)과, 상기 레버(401)와 하부브라켓(82)과의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코일스프링(402)과, 그리고 하부브라켓(82)에 상하이동자재로 나합되고 중간에 상기 레버(401)를 압압하여 상부브라켓(84)을 핀(84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하는, 누름편(403)을 갖는 단속손잡이(40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속손잡이(404)를 회동하여 동 손잡이를 상향이동하면 상기 스프링(402)에 의하여 핀(84a)을 중심으로 레버(401)가 상향선회됨에 따라 상부브라켓(84)의 일단부에 지지된 팬임펠러축(100)이 하향선회함으로써 팬 임펠러축(100)의 선단에 고착된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에 접동한다. 또한, 상기 단속손잡이(404)를 회동하여 동 손잡이를 하향이동하면 레버(401)가 누름편(403)에 의해 눌려져 핀(84)을 중심으로 하향선회됨에 따라 팬 임펠러축(100)이 상향선회함으로써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로부터 떨어진다.
제14도 (가)(나)에는 동력전달단속장치(C)의 제 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단속장치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설치되는 하부브라켓(82)과, 동 브라켓의 상면상에 장착되고 내주면의 상, 하에 길이방향의 키이홈(501), (502)이 형성되며 양단에 체결판(503)(504)이 나합된 실린더(505)와, 외주면 상, 하에 상기 키이홈(501)(502)에 삽입되는 키이(506)(507)가 각각 돌성되어 상기 실린더(505)에 좌우이동자재로 유설되고 중앙에 오일리스 붓시(oilless bush)(508)을 개재하여 팬 임펠러축(10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슬라이더(509)와, 외주면에 피치가 큰 사각나사가 형성되고 우측단이 상기 슬라이더(509)의 좌측단에 접촉하면서 팬 임펠러축(100)를 회동자재로 지지하며 상기 체결판(503)에 좌우이동자재로 나합되는 작동구(510)와, 동 작동구의 외주면 일측에 고착된 단속손잡이(511)와, 그리고 상기 우측체결판(504)과 슬라이더(509)의 우측단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 코일스프링(51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단속손잡이(511)를 팬 임펠러축(10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어느 일측으로 약간 회동하면 작동구(510)가 좌측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스프링(512)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라이더(509)와 함께 팬 임펠러축(100)이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단속손잡이(511)을 반대측으로 약간 회동하면 작동구(51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더(509)를 우측으로 이동하게 함에 따라 동 슬라이더와 함께 팬 임펠러측(10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로부터 떨어진다.
제15도 (가)(나)(다)에는 동력전달단속장치(c)의 제 6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단속장치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되는 하부브라켓(82)과, 동 하부 브라켓의 상부에 장착되고 아울러 양단에 체결판(601)(602)이 체결된 실린더(603)와, 동 실린더의 내부에 좌우이동 및 회동자재로 유설되고 중앙에 오일리스 붓시(604)을 개재하여 팬 임펠러축(10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슬라이더(605)와, 하단이 상기 실린더(603)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더(605)의 외주면에 고착된 단속손잡이(606)와, 그리고 우측 체결판(602)과 슬라이더(605)의 우측단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 코일스프링(60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603) 상면에는, 제15도(다)에 도시된 것처럼, 장공(608)과, 단공(609) 및 이들 구멍을 상호 연결하는 연통공(610)으로 이루어진 안내공(611)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단이 상기 슬라이더(605)에 고착되고 상단이 상기 안내공(611)을 통하여 상부로 연장된 단속손잡이(606)는 그 이동시 상기 안내공(611)을 따라 시프트된다.
따라서, 단속손잡이(606)를 장공(608)의 좌단(제15도(나)의 실선위치)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605)와 함께 팬 임펠러축(10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에 접촉한다. 이 접촉상태는 스프링(607)의 탄성력에 의하여 유지된다. 또한, 상기 단속손잡이(606)를 단공(609)(제15도(나)의 점선위치)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605)와 함께 팬 임펠러축(10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로부터 떨어진다.
제15도(라)는 전술한 제15도(기) 내지 (다)에 도시된 동력전달단속장치의 작동방식과 동일한 작동방식을 유지하되 그 일부요소가 대체되고 또한 부가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 도면에서는 전술한 체결판(601)(602) 대신에 슬라이더 이탈 방지용 스냅링(630) 및 스프링 이탈방지용 스냅링(631)이 장착되고 오일리스 붓시(604)의 둘레에 기름저장솜(621)이 장입되고, 슬라이더(605)의 좌우단에 오일누출흡입솜(622)과 오일누출방지용카바(623)와, 오일누출고무판(624)과, 그리고 강판와셔(625)가 각각 차례로 부착된 것이다. 도면부호 626은 슬라이더 오일누출흡입솜을 나타내고 627은 팬 임펠러 고정핀이며, 629는 팬 임펠러 보호카바 고정볼트 구멍이며 이러한 요소외의 타요소들은 전술한 제 6 실시예와 그것들과 동일하다.
제16도(가)(나)에는 동력전달단속장치(c)의 제 7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단속장치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되는 하부브라켓(701)과, 동 하부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좌우측 모서리에 각각 수직의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 레일(702)이 입설되고 이 가이드 레일(702)의 상단이 각각 가로대(703)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브라켓(704)과 동 상부 브라켓의 가이드레일 내부에 상하이동자재로 설치되고 중앙에 팬 임펠러축(10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슬라이더(705)와, 동 슬라이더의 좌우측 상면과 가로대(703)의 하면 사이에 각각 탄설된 압축 코일스프링(708)과, 일측 가이드레일(702)의 측부를 상호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706)의 대략 중앙에 고착된 지지구(709)와, 하단부가 동 지지구에 상하방향으로 나합된 단속손잡이(710)와, 상기 좌우측 가이드레일(702)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지지축(711)의 중간부에 시이소오작동 가능하게 유설되어 상기 단속손잡이(7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705)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렛대(712)와, 그리고 상기 지렛대(712)의 하면과 하부브라켓(701)의 상면 사이에 탄설된 압축 코일스프링(7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속손잡이(710)는 바람직하게는 그 하단부에 피치가 큰 사각나사각 형성되어 지지구(709)에 상 하이동자재로 나합된다.
따라서, 단속손잡이(710)를 회동하면 동 손잡이가 상승하여 그 하단과 접촉하고 있는 지렛대(712)의 일단부가 스프링(713)에 의하여 상승됨과 아울러 그 타단부가 스프링(708)에 의하여 지지축(711)을 중심으로 하강함에 따라 슬라이더(705)와 함게 팬 임펠러측(100)이 하강함으로써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에 접촉한다. 또한, 단속손잡이(71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 동 손잡이가 하강하여 그 하단과 접촉하고 있는 지렛대(712)의 일단부가 하강함과 아울러 그 타단부가 피치축(711)을 중심으로 상승하여 슬라이더(705)를 밀어 올림으로써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로부터 떨어진다.
제17도 (가)(나)에는 동력전달단속장치(c)의 제 8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단속장치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되는 하부브라켓(501)과, 동 하부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면일측에 스토퍼(802)가 입설된 하우징(803)과, 동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축(809)을 중심으로 회동자재로 유설되고 팬 임펠러축(100)을 편기하여 지지하여 외주면 일측 둘레에 워엄휠 치형(804)이 형성된 슬라이더 실린더(805)와, 하우징(803)에 회동자재로 수직으로 장착되고 하단부에 상기 워엄휠 치형(804)과 치합되는 워엄나사(806)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802)에 의하여 좌우회동량이 제한되도록 핀(807)이 상단부 일측에 장착된 단속손잡이(808)와, 그리고 슬라이더 실린더 좌우 유격방지용 스냅링(81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속손잡이(808)를 좌로 1회전하면 핀(807)이 스토퍼(802)에 걸려 더 이상의 그 회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워엄나사(806)의 회동에 의하여 슬라이더 실린더(80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동 슬라이더 실린더가 회동축(809)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따라서 동 회동축(809)을 중심으로 팬 임펠러축(100)이 하향선회함으로써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에 접촉한다. 또한, 단속손잡이(808)를 반대방향으로 1회전하면 이때도 역시 핀(807)이 스토퍼(802)에 걸려 더 이상 그 회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워엄나사(806)의 회동에 의하여 슬라이더 실린더(80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팬 임펠러축(100)이 회동축(809)을 중심으로 상향선회하게 되어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로부터 떨어진다.
제18도 (가)(나)(다)에는 동력전달단속장치(c)의 제 9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단속장치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되는 하부브라켓(901)과, 동 하부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양단 측부에 노치(902)(902)가 형성된 하우징(903)과, 상기 하우징(903)내에서 회동축(904)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로 유설되고 팬 임펠러축(100)을 편기하여 회동자재로 지지하며 일단부에 외스플라인(905)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부 일측에 상기 노치(902)에 삽입되는 지지편(906)이 돌설된 환봉(907)과, 내주면에 내스플라인(908)이 형성되어 상기 환봉 외스플라인(905)에 치합하고 외주면 일측에 상기 노치(902)에 삽입되는 지지편(909)이 형성된 지지링(910)과, 상기 하우징(903)의 축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하단이 환봉(907)에 결합된 연결구(911)에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903)에 승강자재로 나합된 단속손잡이(912)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903)의 상단부와 지지편(906)(909)과의 사이에 각각 탄설된 압축 코일스프링(9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속손잡이(912)는 바람직하게는 하단부에는 피치가 큰 사각나사가 형성되어 하우징(903)에 승강자재로 나합된다. 도면부호 914는 지지링(9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의한 스냅링이고, 915는 스프링(913) 탄설용 세트 스크루우이다.
따라서, 단속손잡이(912)를 회동하면 동 손잡이가 상승함에 따라 스프링(91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편(906)(909)이 하강 선회함으로써 환봉(907)의 축(904)을 중심으로 동 환봉(907)이 시계방향으로 돌아 팬 임펠러측(100)이 하향회동되므로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에 접동한다. 또한, 단속손잡이(912)를 반시계방향으로 조금 회동하면, 동 손잡이가 연결구(911)를 하향선회시키면서 하강함에 따라 환봉(907)의 축(90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돌아 팬 임펠러축(100)이 상향회동되므로 종동마찰차(90)가 구동마찰차(30)로부터 떨어진다.
제19도에는 동력전달단속장치(c)의 제10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단속장치는 종동마찰차(90)를 팬 임펠러축(100)의 일단에 베어링(1001)을 개재하혀 회동자재로 유설함과 아울러 종동마찰차(90)의 보스부(91)에 환형플랜지(1002)를 형성하고, 상기 종동마찰차(90)의 회동을 단속하도록 통상의 전자(電磁) 클러치(1003)를 팬 임펠러축(100) 및 상기 환형플랜지(1002)에 대응하도록 장착함과 아울러 전자클러치(1003)의 요크(1004)를 하부브라켓(82)을 통하여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한 것이다. 상기 전자클러치(1003)는 팬 임펠러축(100)에 축착되는 로터(1005)와, 동 로터와 대면하는 측에 코일(1009)이 권취되고 상기 로터(1005)의 축부(1006)에 베어링(1007)을 개재하여 회동자재로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상기 하부브라켓(82)을 통하여 동 하부브라켓(82)에 지지되는 요크(1004)와, 그리고 종동마찰차(90)의 환형플랜지(1002)에 전동핀(1008)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동 전동핀의 선단에 압축 코일스프링(1011)을 탄설함으로써 코일(1009)의 여자 또는 비여자에 따라 전후탄동되어 로터(1005)의 페이싱(미도시)에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페이싱으로부터 이간되는 아마츄어판(10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1009)은 콘트롤스위치기구(180)에 배선 연결된다.
따라서, 콘트롤스위치기구(180)를 조작하여 코일(1009)을 여자시키면 자력에 의하여 상기 아마츄어판(1010)과 로터(1005)가 상호 접촉되어 이들이 종동마찰차(90)와 함께 회동되므로 팬 임펠러측(100)이 회동된다. 또한, 콘트롤스위치기구(180)를 조작하여 코일(1009)을 비여자시키면 스프링(1011)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터(1005)로부터 아마츄어판(1010)이 떨어짐으로써 종동마찰차(41) 및 아마츄어판(1010)만이 회동되고 팬 임펠러축(100)은 회동되지 않는다.
동력전달단속장치에 관한 이상의 실시예들은 종래 선풍기에 있어서 팬 임펠러축에 대한 동력전달을 단속하기 위하여 스패너나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사용해야 하거나 또는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지는 않더라도 조정나사를 수 회전 돌려야 했던 번거로운 나사조작방식을 극히 간단한 조작방식, 예컨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함이 없이 단지 손잡이를 반 회전 내지 일 회전 회동하거나 또는 이를 직선이동하거나 또는 선풍기 몸체에 붙은 콘트롤스위치 내지 리모트콘트롤스위치를 원터치하는 등의 조작방식으로 개선한 것으로서, 상기에서 구체적 예시하지 아니한 것일지라도 이들 구성요소의 단순한 주합이거나 설계변경에 해당하고 또한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내에 포함되는 변형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구동모우터(M)의 하향구동축(12)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제 1 크랭크기구(120)에 감속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S2) 내에 설치된 클러치기구(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 클러치기구(40)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우터(M)의 하향구동축(12)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41)와, 동 워엄나사에 치합하고 중공부(42)를 갖는 워엄휘일(43)과, 상기 워엄휘일(43)의 중공부 내에 슬라이딩 자재로 삽착되는 긴 형상(elongated)의 로드부재로서, 그 일단부 외주면에 평기어(44)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하우징의 측면플레이트(24)를 관통하여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어 그 선단에 놉(45)을 가지며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42) 내에서 일정 길이만큼 좌우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동 워엄휘일(43)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볼키(ball key)(46)를 구비한 클러치작동손잡이(47)와, 그리고 상기 평기어(44)에 치합된 감속용 평기어(4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속용 평기어(48)의 회전력을 하우징 외부에 설치된 한 쌍의 베벨기어(121)(122) 및 크랭크 측(123)을 통해 전달받아서 동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전술한 회전반(60)을 좌우로 선회시키는 제 1 크랭크기구(120)의 구성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20)의 일 회측에는 콘트롤스위치기구(180)가 내장되는 공간을 규정하는, 대체로 하우징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커버(190)가 크랭크축지지용 상부플레이트(191) 및 크랭크축지지용 중앙부플레이트(192)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부착되는데 크랭크축(123)은 제 1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축지지용 상부플레이트(191) 및 크랭크축지지용 중앙부플레이트(192)를 관통하여 동 플레이트들에 의해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상기 크랭크축(123)의 상단 외주면에는 내주면에 보스가 삽착된, 스터빌라이저의 스프링이 탈방지겸 가이드용 드럼(193)이 장착되며, 또한 상기 드럼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상기 크랭크축(123)에는 크랭크 아암(124)이 체결되고 동 크랭크 아암의 일단에는 커넥팅로드(125)가 회동자재로 체결된다. 커넥팅로드(125)는 크랭크 각(crank angle)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의 핀 체결구멍(126)을 가지며 커넥팅로드의 타단은 볼트에 의해 전술한 회전반 일 플랜지(62)의 하면에 회동자재로 체결된다.
크랭크축(123)의 하단에는 베벨기어(121)가 장착되는데 이 베벨기어는 전술한 클러치기구(40)의 감속기어측 일단에 장착된 베벨기어(122)와 치합되어 있음으로써 감속기어(48)의 회전력이 상기 크랭크축(122)에 전달된다.
구동모우터의 하향구동축(12)의 회전력은 전술한 클러치기구(40)의 클러치작동손잡이(47)를 빼내거나 밀어 넣음으로써 선택적으로 크랭크축(123)의 회전을 단속한다. 즉, 팬 임펠러축(100)를 좌우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클러치작동손잡이 (47)를 빼내어 볼키(46)를 워엄휘일(43)로부터 결합 해제하여 하향구동축(12)의 회전력이 크랭크축(12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 팬 임펠러가 제자리에 그 전방 쪽으로만 송풍하도록 하며, 또한 팬 임펠러축(100)을 좌우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클러치작동손잡이(47)를 밀어 넣어 볼키가 워엄휘일(43)에 결합되도록 하여 동 워엄휘일(43)의 회전력이 클러치작동손잡이(47)의 일단에 형성된 평기어(44) 및 감속기어(48), 베벨기어(121)(122)를 통해 크랭크축(123)에 전달함으로써 회전반(60)을 좌우로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크랭크기구(120)에 의한 회전반(60)의 좌우선회운동을 안정화하기 위한 스터빌라이저(stabilizer)(130)의 구성을 제 1 도, 제 2 도 및 제 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3개의 팬 임펠러를 가지고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각 팬 임펠러가 동시에 좌 또는 우로 선회될 때에 각 팬 임펠러는 상당한 크기의 송풍반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상기 송풍반력을 제어하기 위한 스터빌라이저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스터빌라이저는 팬 임펠러의 불안정한 좌우선회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 장치로 이루어지며, 그 구체적 구성은,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커넥팅로드(125)의 일단을 회동자재로 고정하는 볼트에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이탈 방지겸 가이드용 드럼(193)의 외주면을 경유하며, 타단이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21)의 상면에 부착된 인장 코일스프링(131)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회전반(60)의 저면에 고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21)의 상면에 고착되며, 상기 회전반의 원통부(61) 둘레에 감긴 비틀림 스프링(1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장스프링(131) 또는 비틀림 스프링(132)은 회전반(60)이 좌회전될 때, 그 선회력에 송풍반력이 더하여져 급속히 선회되는 것에 대하여 그 송풍반력을 상쇄하는 방향, 즉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회전반의 과속선회를 방지하며, 반대로, 상기 회전반(60)이 그 선회방향이 바뀌어져 우회전될 때, 전술한 좌회전시에 스프링(131)(132)이 늘어난 만큼 또는 비틀린 만큼 동 선회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서 팬 임펠러의 좌우선회 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170)에 의해 하부몸체(2)의 지지로드(54)의 상단부가 상부몸체(1)의 하우징의 저면 중앙에 동축상으로 착탈자재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170)를 풀어 하부몸체를 제거한 후, 상부몸체(1)만을 높이가 낮은 직립 스탠드형 또는 천장부착형 또는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콘트롤스위치기구(180)가 상부몸체(1)에 설치되며, 이 콘트롤스위치에 접속되는 전선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81)와 콘센트(182)에 의해 하부몸체의 지지로드 내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전선(183)에 단속자재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에는,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몸체의 하우징 저면에 하우징의 축(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뻗은 4개의 손잡이가 핀(161)을 회동중심으로 절첩자재토록 장착되며, 또한 동 손잡이의 자유단에는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풍기를 밀어 옮기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360도 회전자재형 바퀴(162)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제24도는 상기 손잡이(160)를 직접 지면에 재치하여 사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상부몸체는 상기 팬 임펠러축(100)이 구동모우터의 상향구동축(11) 둘레를 좌우방향으로 선회할 때, 동시에 동 임펠러축이 상하방향으로도 반복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2 크랭크기구(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 2 크랭크기구는,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의 일단이 상기 회전반 상에 입설된 지지브라켓(1201)의 상단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타단이 커넥팅로드(1202)를 가재하여 회전반플랜지(62)의 일단에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팬 임펠러축(100)의 일부에 형성된 워엄나사(1203)와, 동 워엄나사에 치합되는 워엄휘일(1204) 및 상기 커넥팅로드(1202)를 작동시키는 복수의 크랭크기어(1205)(1206)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진다.
팬 임펠러축(100)의 선단에 장착된 종동마찰차(90)가 구동모우터축의 선단에 장착된 구동마찰차(30)에 맞닿아 회전하면 팬 임펠러축(100)에 형성된 워엄나사(1203)에 치합된 워엄휘일(1204) 및 이에 치합된 크랭크기어(1205)(1206)를 구동하고 따라서 동 크랭크기어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커넥팅로드(1202)가 작동함으로써 팬 임펠러축(100)은,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선회한다. 이때 구동마찰차(30)와 종동마찰차(90)가 상호 접촉상태를 유효하게 유지하여 동력전달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자의 접동면이 볼록곡면으로 되어 있어서 팬 임펠러축(100)의 구동모우터축(11)에 대한 접동각도에 관계없이 그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며, 또한 구동마찰차(30) 및 종동마찰차(90)가, 제 9 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향구동축(11) 및 팬 임펠러축(90)에 대해 동 축방향으로 유동자재할 수 있도록 스플라인(35)(95)으로 결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압축스프링(33)(93)에 의해 상호간에 압축력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크랭크기구(120) 및 제 2 크랭크기구(1200)에 의해 상, 하, 좌, 우 그리고 360도 전방위로 동시에 송풍할 수 있다.
제24도 및 제2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에 있어서 상부몸체만을 천장부착형 또는 벽걸이형으로 사용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들 예에서는 전술한 하부몸체 대신 선풍기를 천장 또는 벽체에 부착하기에 적절한 형상과 구조의 브라켓(1301) 또는 턴버클(turn buckle)(1302) 들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에 의해 잘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구동모우터축(11)의 선단에 장착된 구동마찰차(30) 및 각 팬 임펠러축(100)의 선단에 장착된 종동마찰차(90)의 접동면의 형상을 볼록곡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자로부터 후자로의 동력전달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양자 사이의 접동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스터빌라이저(130)에 의해 팬 임펠러의 좌우선회동작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그 팬 임펠러축(100)의 구동모우터측(11)에 대한 동력전달단속장치(C)를 조작하기가 보다 용이하며, 절첩식 이동손잡이(160)를 더 구비할 경우 그 이동시 편리하고, 또한 상, 하부몸체를 상호 분리할 수 있어서, 상부몸체만을 필요에 따라 높이가 낮은 직립형, 천장부착형, 벽걸이형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팬 임펠러축(100)의 상하방향 요동용 제 2 클러치기구(1200)를 더 구비함으로써 송풍방향을 더욱 다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요 기술구성요소와 균등하게 치환될 수 있는 대응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그 작용 효과가 상술한 본원 발명의 그것과 동일한 것인 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의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 공간과 콘트롤스위치 장착 공간이 별개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를 하나의 공간으로 만들 수 있는데, 이 경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21)와 크랭크축지지용 상부플레이트(191)는 단일 몸체로 되고, 또한 하우징의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와 크랭크축지지용 중앙부플레이트(192)는 단일 몸체로서 이루어지며, 커버(190)는 하우징의 측면플레이트(24)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동마찰차와 구동마찰차, 각 팬 임펠러, 동력전달단속장치들은 적절한 커버(1400)(1401)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일체적으로 보호 또는 은폐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거나 손가락이 끼어 다치는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의 선풍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이므로 이러한 커버의 형상이나 그 구비여부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도에 도시된 커버(1400)는 팬 임펠러축(100)의 상하방향 회동과 관련하여 그 일부분에 절첩자재의 소위 자바라부(1402)가 설치되어 있다.

Claims (30)

  1. 상부몸체(1)와 동 상부몸체를 지지하는 하부몸체(2)로 구성된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축(axis)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 상부플레이트(21)와,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와, 하부플레이트(23) 및 이들 플레이트의 외주연을 공통으로 둘러싸는 측면플레이트(24)를 포함하는 대체로 원통형의 하우징(20)과 ;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 및 중앙부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내에 하우징의 축과 동축상으로(coaxially) 장착된, 상, 하 양방향으로 뻗은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우터(M)와, 여기서 상기 구동모우터의 상향구동축(11)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됨으로써 그 자유단이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며, 그 하향구동축(12)은 상기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며 ; 상기 상향구동측의 둘레에 회전자재로 삽착된, 원통부(61)와 3방플랜지부(trident flange)(62)를 갖는 회전반(rotary disk)(60)과 ; 상기 회전반의 각 플랜지에 경사조절볼트에 의해 피봇자재로 장착된,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과 ; 상기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된 동력전달단속장치(C)를 개재하여 상기 상향구동축의 자유단 주위에 방사상으로 수평배설되어 상향구동축(11)의 회전력을 수직 또는 임의의 경사각으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받는 부수의 팬 임펠러축(100)과 ; 상기 각 팬 임펠러축(100)이 상기 상향구동축(11)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설치된 동력전달단속장치(C)와 ; 상기 하향구동축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후술하는 제 1 크랭크기구에 감속하여 왕복선회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 및 하부플레이트(23)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기구(40)와 ; 상기 클러치기구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왕복선회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회전반(60)을 상향구동축을 중심으로 반복하여 좌우선회시키기 위한 제 1 크랭크기구(120)와 상기 제 1 크랭크기구에 의한 회전반의 좌우선회운동을 안정화하기 위한 스터빌라이저(stabiliger)(130)와 ;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된, 단속자재의(interruptable) 전원 커넥터(connector)(181)를 구비한 콘트롤 스위치기구(180)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2)는, 상기 상부몸체(1)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바닥에 전달하기 위한, 상면 일측에 단속자재의 전원 커넥터(182)를 갖는 대체로 평판형의 지지판(51)과 ;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착된 중공의 하부관(52)과, 동 하부관 내에 동축상으로 삽입되어 동 하부관 내에 축설된 압축코일스프링(53)에 의해 망원경식으로(telescopically) 신축자재하며 상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플레이트(23)의 저면 중앙에 착탈자재로 체결되는 상부관(54)으로 구성된 지지로드(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는 상기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에 의해 상부공간(S1)과 하부공간(S2)으로 구획되는데, 상부공간(S1) 내에는 상향구동축(11) 및 하향구동축(12)을 갖는 구동모우터(M)가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coaxially) 배치되며, 하부공간(S2) 내에는 클러치기구(40)가 장착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부공간(S1) 내에 위치하는 하향구동축(12)의 외주면에는 모우터 냉각용 팬(13)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21),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 하부플레이트(23) 및 측면플레이트(24)에 다수의 통기공(28)이 뚫려 있어서 모우터(M) 구동시 동 모우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향구동축(11)(12)은 단일몸체로서 구동모우터(M)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동되는데, 상향구동측(11)은 마찰차(30)(90)을 통해 각 팬 임펠러축(100)을 구동하며, 하향구동축(12)은 클러치기구(40)를 개재하여 상기 회전반(60)을 좌우로 선회시킴으로써 팬 임펠러축(100)을 상기 상향구동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반(60)의 각 플랜지의 선단에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러켓(80)이 경사조절볼트(8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피봇자재로 장착되며, 동 팬 임뗄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는, 일단에는 상기 구동마찰차(30)의 외주면에 작동적으로 접하여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종동마찰차(90)가, 타단에는 팬 임펠러(110)가 각각 장착된 팬 임펠러축(100)이 동력전달단속장치(C)를 개재하여 대체로 수평으로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구동축(11)의 자유단에 고착되는 구동마찰차(30)의 경사면(접동면)과, 팬 임펠러축(100)의 일단에 고착되어 상기 구동마찰차(30)에 맞닿음으로써 마찰에 의해 그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마찰차(90)의 경사면(접동면)은 양자 모두 또는 그 어느 한 쪽이 볼록곡면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양자간의 접동각도가 변하더라도 동력전달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마찰차의 원추형 보스부(31) 및 종동마찰차의 원추형 보스부(91)의 상면에는 평면상, 만곡돌출형상, 원통형상, 또는 중공의 원통형상의 탄성고무관 또는 탄성합성수지판이 고착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구동축(11)의 자유단 및 각 팬 임펠러축(100)의 일 자유단에는 각각 반구형 베벨기어(35)가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9. 제 6 항에 있어서, 구동마찰차의 보스부(31)와 상향구동축(11)의 자유단을 상호 스플라인(35)으로 결합하여 동 보스부(31)를 동 구동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유동자재토록 하고, 동 보스부의 하면에 압축 코일스프링(33)을 베어링(34)을 개재하여 모우터축 둘레에서 회동자재하도록 탄설하거나, 종동마찰차의 보스부(91)와 팬 임펠러축(100)의 자유단을 상호 스플라인(95)으로 결합하여 동 보스부(91)를 팬 임펠러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유동자재토록 하고, 동 보스부의 하면에 압축 코일스프링(93)을 베어링(94)을 개재하여 팬 임펠러축 둘레에서 회동자재하도록 탄설함으로써 양 마찰차(30)(90)는 그 접동시 접동면에 대하여 상호 압축력을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플레이트(23)의 저면에 하우징의 축(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절첩자재의 이동손잡이(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손잡이(160)의 자유단에 360도 회전자재형 구름바퀴(162)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상단부 일측에 결합부(82a)가 돌설되고 타측에 관통공(82b)이 천설되고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볼트(82C)에 의하여 착설되는 하부브라켓(82)과, 상단 양쪽에 경사면(83c)을 통하여 연통되는 상, 하부핀홈(83a)(83b)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82b)에 삽착되는 원통형 캠(83)과, 핀(84a)에 의해 상기 결합부(82a)에 회동자재로 결합되는 노치부(84b) 및 팬 임펠러축(10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고 있는 몸체부(84c)를 구비한 상부브라켓(84)과, 상기 몸체부(84c)의 일측에서 좌우회동자재하도록 수직으로 삽입설치되고 그 좌우회동시 하단에 장착된 계합핀(85a)의 돌출된 일단이 상기 원통형 캠(83)의 상, 하부핀 홈(83a)(83b)에 차례로 계합하는 단속손잡이(85)와, 그리고 상기 핀(84a)으로 결합된 부분의 상, 하부브라켓(84)(82)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 코일스프링(86)(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제 8 항에 기재된 것과 같은 상, 하부브라켓(84)(82)과, 동 하부브라켓(82)의 일측부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201)와, 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좌우이동자재하도록 설치된, 일단부에 테이퍼진 단속편(202)을 갖는 작동봉(203)과, 이 작동봉의 중간부 둘레에 고정된 솔레노이드 접촉판(204)과, 작동봉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된 복귀스프링(205)과, 상기 복귀스프링(205)을 탄압하도록 상기 하부브라켓(82)에 장착된 지지브라켓(206)과, 상단부가 상부브라켓(84)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관통공(82b)을 통하여 상기 작동봉(203)의 단속편(202)의 경사진 상면에 접촉하도록 된 상하방향 유동자재의 단속봉(207a)과, 그리고 양측 압축코일스프링(86)(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핀(84a)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 상, 하부브라켓(84)(82)과, 하부브라켓(82)의 관통공(82b)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301)와, 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하이동 자재함과 아울러 상단이 상부브라켓(84)에 핀(302)으로 지지되는 작동봉(303)과, 상, 하부브라켓(84)(82) 사이의 상기 작동봉(303) 둘레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접촉판(304)과, 그리고 양측 압축코일스프링(86)(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수직으로 결합된 하부브라켓(82)와, 일단이 상기 하부브라켓(82)의 상단부 일측에 핀(84a)에 의해 상하회동자재로 결합되고 타단이 팬 임펠러축(10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며, 동 타단의 상부로 레버(401)가 형성된 상부브라켓(84)과, 상기 레버(401)와 하부브라켓(82)과의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 코일스프링(402)과, 그리고 하부브라켓(82)에 상하이동자재로 나합되고 중간에 상기 레버(401)를 압압하여 상부브라켓(84)을 핀(84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하는, 누름편(403)을 갖는 단속손잡이(4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설치되는 하부브라켓(82)과, 동 하부브라켓의 상면상에 장착되고 내주면의 상, 하에 길이방향의 키이홈(501)(502)이 형성되며 양단에 체결판(503)(504)이 나합된 실린더(505)와, 외주면 상, 하에 상기 키이홈(501)(502)에 삽입되는 키이(506)(507)가 각각 돌설되어 상기 실린더(505)에 좌우 이동자재로 유설되고 중앙에 오일리스 붓시(508)를 개재하여 팬 임펠러축(10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슬라이더(509)와, 외주면에 피치가 큰 사각나사가 형성되고 우측단이 상기 슬라이더(509)의 좌측단에 접촉하면서 팬 임펠러축(100)를 회동자재로 지지하며 상기 체결판(503)에 좌우이동자재로 나합되는 작동구(510)와, 동 작동구의 외주면 일측에 고착된 단속손잡이(511)와, 그리고 상기 우측체결판(504)과 슬라이더(509)의 우측단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 코일스프링(5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되는 하부브라켓(82)과, 동 하부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아울러 양단에 체결판(601)(602)이 체결된 실린더(603)와, 동 실린더의 내부에 좌우이동 및 회동자재로 유설되고 중앙에 오일리스 붓시(604)를 개재하여 팬 임펠러축(10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슬라이더(605)와, 하단이 상기 실린더(603)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더(605)의 외주면에 고착된 단속손잡이(606)와, 그리고 우측 체결판(602)과 슬라이더(605)의 우측단 사이에 탄설되는 압축 코일스프링(607)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상면에는 장공(608)과 단공(609) 및 이들 구멍을 상호 연결하는 연통공(610)으로 이루어진 안내공(611)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605)에 고착되고 상단이 상기 안내공(611)을 통하여 상부로 연장된 단속손잡이(606)는 그 이동시 상기 안내공(611)을 따라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되는 하부브라켓(82)과, 동 하부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아울러 양단에 스냅링(630)(631)이 체결된 실린더(603)와, 동 실린더의 내부에 좌우이동 및 회동자재로 유설되고 오일리스 붓시(604)를 개재하여 팬 임펠러축(10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슬라이더(605)와, 하단이 상기 실린더(603)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더(605)의 외주면에 고착된 단속손잡이(606)와, 우측 스냅링(631)과 슬라이더의 우측단 사이에 탄설된 압축 코일스프링(607)과, 상기 오일리스 붓시(604)의 둘레에 장입된 기름저장 솜(621)과, 상기 슬라이더(605)의 좌우단에 차례로 삽착된 오일누출흡입솜(622), 오일누출방지용 카바(623), 오일누출판(624) 및 강판와셔(625)와, 그리고 상기 실린더(603)와 슬라이더(605)의 좌우 양단 각각의 사이에 장입된 오일누출흡입솜(626)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실린더(603) 상면에는 장공(608)과 단공(609) 및 이들 구멍을 상호 연결하는 연통공(610)으로 이루어진 안내공(611)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605)에 고착되고 상단이 상기 안내공(611)을 통하여 상부로 연장된 단속손잡이(606)는 그 이동시 상기 안내공(611)을 따라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되는 하부브라켓(701)과, 동 하부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좌우측 모서리에 각각 수직의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 레일(702)이 입설되고 이 가이드 레일(702)의 상단이 각각 가로대 (703)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브라켓(704)과, 동 상부브라켓의 가이드레일 내부에 상하이동자재로 설치되고 중앙에 팬 임펠러축(10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슬라이더(705)와, 동 슬라이더의 좌우측 상면과 가로대(703)의 하면 사이에 각각 탄설된 압축 코일스프링(708)과, 일측 가이드레일(702)의 측부를 상호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706)의 대략 중앙에 고착된 지지구(709)와, 하단부가 상기 지지구에 상하자재로 나합된 단속손잡이(710)와, 상기 좌우측 가이드레일(702)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지지축(711)의 중간부에 시이소오작동 가능하게 유설되어 상기 단속손잡이(7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705)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렛대(712)와, 그리고 상기 지렛대(712)의 하면과 하부브라켓(701)의 상면 사이에 탄설된 압축 코일스프링(7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되는 하부브라켓(801)과, 동 하부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면 일측에 스토퍼(802)가 입설된 하우징(803)과, 동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축(809)을 중심으로 회동자재로 유설되고 팬 임펠러축(100)을 편기하여 지지하며 외주면 일측 둘레에 워엄휘일 치형(804)이 형성된 슬라이더 실린더(805)와, 하우징(803)에 회동자재로 수직으로 장착되고 하단부에 상기 워엄휘일 치형(804)과 치합되는 워엄나사(806)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802)에 의하여 좌우회동량이 제한되도록 핀(807)이 상단부 일측에 장착된 단속손잡이(808)와, 그리고 슬라이더 실린더의 좌우 유격 방지용 스냅링(8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되는 하부브라켓(901)과, 동 하부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양단 측부에 노치(902)(902)가 형성된 하우징(903)과, 상기 하우징(903) 내에서 회동축(904)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로 유설되고 팬 임펠러축(100)을 편기하여 회동자재로 지지하며 일단부에 외스플라인(905)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부 일측에 상기 노치(902)에 삽입되는 지지편(906)이 돌설된 환봉(907)과, 내주면에 내스플라인(908)이 형성되어 상기 환봉의 외스플라인(905)에 치합하고 외주면 일측에 상기 노치(902)에 삽입되는 지지편(909)이 형성된 지지링(910)과, 상기 하우징(903)의 측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하단이 환봉(907)에 결합된 연결구(911)에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903)에 승강자재로 나합된 단속손잡이(912)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903)의 상단부와 지지편(906)(909)과의 사이에 각각 탄설된 압축 코일스프링(9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단속장치(C)는 종동마찰차(90)를 팬 임펠러축(100)의 일단에 베어링(1001)을 개재하여 회동자재로 유설함과 아울러 종동마찰차(90)의 보스부(91)에 환형플랜지(1002)를 형성하고, 상기 종동마찰차(90)의 회동을 단속하도록 통상의 전자(電磁) 클러치(1003)를 팬 임펠러축(100) 및 상기 환형플랜지(1002)에 대응하도록 장착함과 아울러 전자클러치(1003)의 요크(1004)를 하부브라켓(82)을 통하여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클러치(1003)는 팬 임펠러축(100)에 축착되는 로터(1005)와, 동 로터와 대면하는 측에 코일(1009)이 권취되고 상기 로터(1005)의 축부(1006)에 베어링(1007)을 개재하여 회동자재로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상기 하부브라켓(82)을 통하여 동 하부브라켓(82)에 지지되는 요크(1004)와, 그리고 종동마찰차(90)의 환형플랜지(1002)에 전동핀(1008)이 관통하여 설치하며 동 전동핀의 선단에 압축 코일스프링(1011)을 탄설함으로써 코일(1009)의 여자 또는 비여자에 따라 전후탄동되어 로터(1005)의 페이싱에 접촉되거나 상기 페이싱으로부터 이간되는 아마츄어판(10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빌라이저(130)는 일단이 상기 제 1 크랭크기구(120)의 커넥팅로드(125)의 일단을 회동자재로 고정하는 볼트에 부착되고 스프링이탈 방지겸 가이드용 드럼(193)의 외주면을 경유하며 타단이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21)의 상면에 부착된 인장스프링(131)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단이 회전반(60)의 저면에 고착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21)의 상면에 고착되며 상기 회전반의 원통부(61)둘레에 감긴 비틀림 스프링(132)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인장스프링(131) 또는 비틀림 스프링(132)이 회전반(60)의 좌우회전에 따라 그 탄성력을 동 팬 임펠러에 작용하는 송풍반력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반에 작동적으로 작용함으로써 팬 임펠러의 좌우선회동작을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구(40)는 상기 모우터(M)의 하향구동축(12)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41)와, 동 워엄나사에 치합하고 중공부(42)를 갖는 워엄휘일(43)과, 상기 워엄휘일(43)의 중공부 내에 슬라이딩 자재로 삽착되는 긴 형상(elongated)의 로드부재로서, 그 일단부 외주면에 평기어(44)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하우징의 측면플레이트(24)를 관통하여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어 그 선단에 놉(45)을 가지며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42) 내에서 일정 길이만큼 좌우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동 워엄휘일(43)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볼키(ball key)(46)를 구비한 클러치작동손잡이(47)와, 그리고 상기 평기어(44)에 치합된 감속용 평기어(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스위치기구(180)에 접속되는 전선은 플러그(181)와 콘센트(182)에 의해 하부몸체의 지지로드(55) 내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전선(183)에 단속자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몸체(1)는 상기 팬 임펠러축(100)이 구동모우터의 상향구동축(11) 둘레를 좌우방향으로 선회할 때, 동시에 동 팬 임펠러축이 상하방향으로도 반복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2 크랭크기구(1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크랭크기구(1200)는 팬 임펠러축(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1203)와, 동 워엄나사에 치합하는 워엄휘일(1204)과, 복수의 크랭크기어(1205)(1206)와, 그리고 커넥팅로드(1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8. 축(axis)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 상부플레이트(21)와,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와, 하부플레이트(23) 및 이들 플레이트의 외주연을 공통으로 둘러싸는 측면플레이트(24)를 포함하는 대체로 원통형의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 및 중앙부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내에 하우징의 축과 동축상으로(coaxially) 장착된, 상, 하 방향으로 뻗은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우터(M)와, 여기서 상기 구동모우터의 상향구동축(11)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됨으로써 그 자유단이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며, 그 하향구동축(12)은 상기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며 ; 상기 상향구동측의 둘레에 회전자재로 삽착된, 원통부(61)와 3방플랜지부(trident flange)(62)를 갖는 회전반(rotary disk)(60)과 ; 상기 회전반의 각 플랜지에 피봇자재로 장착된,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과 ; 상기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80)상에 장착된 동력전달단속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상향구동축의 자유단 주위에 방사상으로 수평배설되어 상향구동축(11)의 회전력을 수직 또는 임의의 경사각으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받는 복수의 팬 임펠러축(100)과 ; 상기 각 팬 임펠러축(100)이 상기 상향구동축(11)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설치된 동력전달단속장치(C)와 ; 상기 하향구동축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후술하는 제 1 크랭크기구에 감속하여 왕복선회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 및 하부플레이트(23)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기구(40)와 ; 상기 클러치기구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왕복선회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회전반(60)을 상향구동축을 중심으로 반복하여 좌우선회시키기 위한 제 1 크랭크기구(120)와 ; 상기 제 1 크랭크기구에 의한 회전반의 좌우선회운동을 안정화하기 위한 스터빌라이저(stabilizer)(130)와 ; 상기 하우징의 하부플레이트(23)의 저면에 하우징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절첩자재의 이동손잡이(160)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된, 단속자재의 (interruptable) 전원 커넥터(connector)(181)를 구비한 콘트롤스위치기구(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손잡이(160)의 자유단에 360도 회전자재형 구름바퀴(162)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30. 상부몸체(1)와, 동 상부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축(axis)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 상부플레이트(21)와,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와, 하부플레이트(23) 및 이들 플레이트의 외주연을 공통으로 둘러싸는 측면플레이트(24)를 포함하는 대체로 원통형의 하우징(20)과 ;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 및 중앙부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내에 하우징의 축과 동축상으로(coaxially) 장착된, 상, 하 양방향으로 뻗은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우터(M)와, 여기서 상기 구동모우터의 상향구동축(11)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됨으로써 그 자유단이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며, 그 하향구동축(12)은 상기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며 ; 상기 상향구동축의 둘레에 회전자재로 삽착된, 원통부(61)와 3방플랜지부(trident flange)(62)를 갖는 회전반(rotary disk)(60)과 ; 상기 회전반의 각 플랜지에 피봇자재로 장착된,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과 ; 상기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장착된 동력전달단속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상향구동축의 자유단 주위에 방사상으로 수평배설되어 상향구동축(11)의 회전력을 수직 또는 임의의 경사각으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받는 복수의 팬 임펠러축(100)과 ; 상기 각 팬 임펠러축(100)이 상기 상향구동축(11)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팬 임펠러축 장착용 베이스브라켓(80)상에 설치된 동력전달단속장치(C)와 ; 상기 하향구동축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후술하는 제 1 크랭크기구에 감속하여 왕복선회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중앙부지지플레이트(22) 및 하부플레이트(23)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기구(40)와 ; 상기 클러치기구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왕복선회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회전반(60)을 상향구동축을 중심으로 반복하여 좌우선회시키기 위한 제 1 크랭크기구(120)와 ; 상기 제 1 크랙크기구에 의한 회전반의 좌우선회운동을 안정화하기 위한 스터빌라이저(stabiliser)(130)와 ;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된, 단속자재의 (interruptable) 전원 커넥터(connector)를 구비한 콘트롤스위치기구(180)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상부몸체(1)를 천장 또는 벽체에 부착하여 지지하기에 적합한 형상의 브라켓(1301) 또는 턴버클(1302)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KR1019930027516A 1993-12-13 1993-12-13 선풍기 KR96000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516A KR960009748B1 (ko) 1993-12-13 1993-12-13 선풍기
AU12501/95A AU1250195A (en) 1993-12-13 1994-12-13 Electric fan
CN94194836A CN1061134C (zh) 1993-12-13 1994-12-13 电扇
US08/656,328 US6000910A (en) 1993-12-13 1994-12-13 Electric fan
PCT/KR1994/000176 WO1995016861A1 (en) 1993-12-13 1994-12-13 Electric f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516A KR960009748B1 (ko) 1993-12-13 1993-12-13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236A KR950019236A (ko) 1995-07-22
KR960009748B1 true KR960009748B1 (ko) 1996-07-24

Family

ID=1937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516A KR960009748B1 (ko) 1993-12-13 1993-12-13 선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00910A (ko)
KR (1) KR960009748B1 (ko)
CN (1) CN1061134C (ko)
AU (1) AU1250195A (ko)
WO (1) WO1995016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3548B1 (en) * 2000-09-11 2003-03-18 Li-Yen Wang Lin Multi-functional electric fan
US6682308B1 (en) 2002-08-01 2004-01-27 Kaz, Inc. Fan with adjustable mount
US20060039809A1 (en) * 2004-08-19 2006-02-23 Robin Fan Worm-gear type ceiling fan motor
CN204553288U (zh) * 2015-04-10 2015-08-12 浙江久友电器科技有限公司 风扇的多重摇头结构
WO2017080593A1 (en) * 2015-11-11 2017-05-18 Baruffaldi S.P.A. Apparatus for actuating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of blades of fans for cooling the coolant in machines/vehicles.
JP6342953B2 (ja) * 2016-06-17 2018-06-1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電動機
CN108105162A (zh) * 2017-12-08 2018-06-01 成都海之译翻译有限公司 一种语音识别装置中的风扇固定结构
CN110131195B (zh) * 2019-04-03 2020-06-05 温州市仿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桌用usb台扇
CN110043494B (zh) * 2019-04-13 2020-05-15 深圳市西微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除尘功能的台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540A (en) * 1908-09-14 1914-04-28 Eck Dynamo And Motor Company Fan.
DE1018186B (de) * 1953-05-05 1957-10-24 Siemens Ag Selbsttaetig hin- und herschwenkbarer, elektromotorisch getriebener Tischluefter
GB2136877A (en) * 1983-03-21 1984-09-26 Hsieh Fa Lien Electric fans
GB2214232B (en) * 1988-01-06 1991-08-21 Moon Seong Do Electric fa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236A (ko) 1995-07-22
WO1995016861A1 (en) 1995-06-22
CN1141666A (zh) 1997-01-29
CN1061134C (zh) 2001-01-24
US6000910A (en) 1999-12-14
AU1250195A (en) 1995-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9748B1 (ko) 선풍기
US6578643B2 (en) Pneumatic ratchet drive wrench
JP2000513992A (ja) 混合機械
CN201207143Y (zh) 大范围角度限位装置
US9790948B2 (en) Oscillating mechanism and ceiling fan using the same
CN1234749A (zh) 用于混合机的旋转混合器球状皿的夹持件
KR960011950B1 (ko) 선풍기
CN100458995C (zh) 电气开关设备的起动装置
CN213821048U (zh) 一种炒锅的密封搅拌总成
CN208934979U (zh) 驱动机构以及塔扇
CN209015929U (zh) 一种双电源自动转换开关的操作机构
CN111049307B (zh) 一种安全防护电机套
KR970005780Y1 (ko)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CN115596816A (zh) 离合变速结构、电机、驱动装置、烹饪器具以及电器
CN109058141A (zh) 驱动机构以及塔扇
CN100373066C (zh) 管状电机离合器开关
CN221098950U (zh) 一种空调器室内机
KR960009750B1 (ko) 선풍기
KR960009749B1 (ko) 선풍기
CN2356410Y (zh) 有载分接开关切换与选择同步装置
CN2151989Y (zh) 三自动执行器
CN219107225U (zh) 电机总成及电器
CN208951786U (zh) 一种可同步展翅的led风扇灯
WO2000013902A3 (de) Walze
US20070057450A1 (en) Hockey game table with rotary strik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