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9237A -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9237A
KR950019237A KR1019930027517A KR930027517A KR950019237A KR 950019237 A KR950019237 A KR 950019237A KR 1019930027517 A KR1019930027517 A KR 1019930027517A KR 930027517 A KR930027517 A KR 930027517A KR 950019237 A KR950019237 A KR 950019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an impeller
fan
driv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749B1 (ko
Inventor
안순석
Original Assignee
안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준 filed Critical 안영준
Priority to KR101993002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749B1/ko
Publication of KR95001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04D25/105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by changing rotor axis direction, e.g. oscillat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3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driven by a common gearing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반에 지지된 세 개의 팬 임펠러를 동시에 일정한 각도만큼 좌우로 선회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00)와, 각 팬 임펠러를 회동시켜 바람을 일으키기 위한 제2구동부(200)와,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와 작동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팬 임펠러를 상하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상부몸체(1)의 하부몸체(2)가 상호 분리될 수 있으며 상부 몸체의 저면에는 절접자재의 이동손잡이가 방사상으로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제1구동부 내에 장착된 스터빌라이저에 의해 각 팬 임펠러의 좌우선회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풍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제1실시예의 상부몸체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선풍기의 일부절개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제2실시예의 상부몸체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선풍기의 일부절개 평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다른 선풍기 제3실시예의 상부몸체 부분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선풍기의 일부절개 평면도이다.
제7도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제4실시예의 상부몸체 부분 단면도이다.

Claims (18)

  1. 상무몸체(1)와, 이 상부몸체의 하부에 착탈자재로 결합되어 상기 하부몸체를 받치는 받침대로 쓰이는 하부몸체(2)로 이루어지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는 수평방향으로 120도 간격을 두어 방사상으로 배설된 3개의 팬 임펠러를 동시에 일정한 각도만큼 좌우방향으로 왕복선회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00)와; 상기 각 팬 임펠러를 각각 별개의 구동력으로 회동시켜 바람을 일으키기 위한 제2구동부(200)와;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와 작동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된 구봉부의 동력에 의해 팬 임펠러를 일정한 각도만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팬 임펠러 상하 요동장치(300)를 포함하며, 그리고 하부몸체(2)는 상기 상부몸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바닥에 전달하기 위한 대체로 평탄형의 지지판(10)과,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착된 중공의 하부관(11)과 동 하부관 내에 동축상으로 삽입되어 동 하부관 내에 축설된 압축 코일스프링(12)에 의해 망원경식으로 신축자재하며 상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 플레이트 저면 중앙에 착탈자재로 체결되는 상부관(13)으로 구성된 지지로드(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100)는 축(A)과, 상호 간격을 두어 대체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플레이트(101)와, 중앙부지지플레이트(102)와, 하부플레이트 (103)와, 그리고 이들 플레이트의 외주연을 공통으로 둘러싸며 상기 상부플레이트 (101)의 위로 연장된 원통형 측면플레이트(104)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는 위 플레이트들(101)(102)(103)(104)에 의해 상부공간(S1)과 중간부공간(S2)과 그리고 하부공간(S3)으로 구획되며; 상기 하부공간(S3)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설된 제1구동모우터(M1)와; 상기 제1구동모우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크랭크축(106) 및 상기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 입설된 팬 임펠러 상하방향 요동단속장치 구동용 전동축(107)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중간부공간(S2) 내에 배설된 일련의 기어군과 ; 상기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 장착된, 원통부(112)와 환형플랜지부(113)를 갖는 회동자재의 회전반(114)과 상기 상부공간(S1) 내에 배설된,상기회전반(114)을 좌우방향으로 선회구동시키기 위한 크랭그기구(108)와; 그리고 상기 상부공간(S1) 내에 상기 크랭크기구(108)와 관련하여 설치된, 회전반 좌우선회구동 안정용 스터빌라이저 (1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200)는 상기 회전반(114)의 환형플랜지부 (113)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돌출된 3쌍의 지지브라켓(201)의 각 쌍의 선단에 핀(202)에 의해 회동자재토록 장착된 세 개의 하우징(203)과; 그리고 상기 각 하우징(203)의 내부에 장착된 팬 임펠러 구동용 제2구동모우터(M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 임펠러 구동용 제2구동모우터(M2)의 축(204)은 일단은 하우징(203)의 외부(전방)로 돌출되어 그 선단에 팬 임펠러(205)가 고착되고, 둥 축의 타단은 하우징의 후내벽에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상기 팬 임펠러 구동용 구동모우터(M2)의 축의 타단부에는 동 모우터(M2)구동시 그 모우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모우터 냉각팬(206)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5. 제1항에 있어서, 팬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하단이 상기 회전반(114)의 상면에 고착되고, 상기 각 쌍의 지지브라켓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수평의 축관부(301)를 갖는 원통체(302)와; 외주연이 상기 원통체(302)의 상단에 고착되고, 하부에 요입부(303)를 갖는 축관부(304)가 저면 중앙에 형성된 원반형 커버(305)와; 상면 중앙에 상기 요입부(303)에 회동자재로 삽입되는 돌출부(306)가 형성되고 상기 축관부(304)의 구멍과 연통하는, 내스플라인의 형성된 축구멍을 갖는 구동베벨기어(307)와; 상기 제1구동부(100)의 전동축(107)의 상단부 외주면에 고착된 계합구(308)와;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계합구(308)에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ball key)(309)를 가지며, 상기 베벨기어 축구멍 및 원반형 커버(305) 축관부 구멍에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05) 상부로 돌출된 단속손잡이(310)와; 상기 각 수평축관부(301)에 회동자재로 삽입된 수평전동축 (311)의 상기 원동체(302) 내측 단부에 고착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307)에 치합되는 종동베벨기어(314)와; 상기 수평전동축(311)의 상기 원통체(302) 외측 단부에 고착된 크랭크아암(312)와; 그리고 상기 크랭크아암의 일단과 제2구동부 하우징 (203)의 후단과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로드베어링(3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6. 제2항에 있어서, 스터빌라이저(stabilizer)(109)는 일단이 상기 크랭크기구의 커넥티이로드(127)의 하면에 고정되고 길이의 도중이 크랭크축(106) 외주면에 장착된 스프링 이탈방지겸 가이드용 드럼(130)의 외주면을 경유하며 타단이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101)의 상면에 고정된 인장스프링(131)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단이 회전반(114)의 저면에 고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 상부플레이트(101)의 상면에 고착되며 그리고 길이의 도중이 상기 회전반의 원통부(112) 둘레에 감긴 비틀림 스프링(1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7.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스위치기구(150)가 상부몸체 하우징(105)의 일측에 장착되며, 이 콘트롤스위치기구에 접속되는 전선은 플러그(151)와 콘센트(152)에 의해 하부몸체의 상부관(13) 내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전선(153)에 단속자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하우징 저면에 하우징의 축(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뻗은 4개의 손잡이(118)가 핀(119)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절첩자재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8)의 자유단에 360도 회전자재형 바퀴(160)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0. 제2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축 상하요동장치(300)는 상기 회전반(114)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각 쌍의 팬 임펠러지지용 지지브라켓(201)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개구부(330)를 갖는 원통형 입벽체(331)와; 저면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와 상기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를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 저면에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2단속손잡이체결부 (333)를 갖는 원반형 커버(334)와; 상기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의 저면 중앙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동 체결부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내스플라인이 형성된 축구멍을 갖는 구동평기어(335)와; 상기 제1 구동부 전동축(107)의 상단부 외주면에 장착된 계합구(308)과;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계합구(308)에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309)를 가지며, 키 또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평기어(335) 축구멍의 내스플라인에 체결되고 원반형 커버(334)의 제1단속손잡이체결부의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34)의 상부로 연장된 제1단속손잡이(336)와; 상기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의 저면 중앙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동 체결부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내스플라인이 형성된 축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동평기어 (335)에 치합된 종동평기어(337)와; 길이의 중간이 상기 종동평기어(337)와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338)를 가지고, 하단부가 회전반(114)의 상면에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상기 종동평기어(337)의 축구멍 및 제2단속 손잡이 체결부(333)의 중공부에 삽압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34)의 상부로 연장된 제2단속손잡이(339)와; 상기 각 종동평기어(337)의 하부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키 또는 스프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제2단속손잡이(339)의 하단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워엄나사(340)를 형성하고 있는 위웜나사체(341)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워엄나사체(341)의 워엄나사 (340)에 치합되는 부분 워엄휘일 치형(342)을 가지고 타단이 핀(343)에 의해 제2구동부의 하우징(203)에 회동자재로 결합된 전동로드(344)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회전반 좌우구동용 크랭크기구(108)는 크랭크축(106)의 상단부에 장착된 평기어(161)와; 상기 회전반 원통부(112) 외주면에 고착되어 상기 평기어(16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62)와; 그리고 상기 회전반의 저면과 상부플레이트(101) 상면에 각각 상호 협동하여 작동하도록 부착된 한 쌍의 구동모우터(M1)의 정,역회전구동용 근접 스위치기구(1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1. 제1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팬 임펠러 축(204)의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350)와; 상기 워엄기어에 치합하는 워엄휘일(351)과; 상기 워엄휘일과 연동하는 일련의 크랭크기어(352)와; 상기 회전반 상면에 장착된 팬 임팰러 장착용 브라켓(201)의 돌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입설된 브라켙(353)과; 그리고 상기 크랭크기어(352)와 브라켙(353)과를 상호 회동자재로 연결한 커넥팅로드(3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2. 제1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제2구동모우터축의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350)와 ; 상기 워엄기어에 치합하는, 중공부(360)를 갖는 워엄휘일(361)과;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 내에 슬라이딩 자재로 삽착되는 긴 형상의 로드부재로서 그 일단부 외주면에 평기어(37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회전자재의 놉(372)이 부착되며,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360) 내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전후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동 워엄휘일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볼키(ball key)(373)를 구비한 작동손잡이(374)와; 상기 평기어(371)에 치합된 일련의 크랭크기어(352)와; 상기 회전반 상면에 장착된 팬 임팰러 장착용 브라켙 (201)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각각 입설된 브라켙(353)과; 그리고 상기 크랭크기어(352)와 브라켙(353)과를 상호 회동자재로 연결한 커넥팅로드(3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3. 축(A)과, 상호 간격을 두어 대체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플레이트(101)와, 중앙부지지플레이트(102)와, 하부플레이트(103)와, 그리고 이들 플레이트의 외주연을 공통으로 둘러싸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01)의 위로 연장된 원통형 측면플레이트(104)를 포함하며, 위 플레이트들(101)(102)(103)(104)에 의해 구획되는 상부공간(S1)과 중간부공간(S2)과 그리고 하부공간(S3)을 갖는 하우징(105)과; 상기 하부공간(S3)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설된 제1구동모우터(M1)와; 상기 제1구동모우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크랭크축(106) 및 상기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 입설된 팬 임펠러 상하방향 요동단속장치 구동용 전동축(107)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중간부공간(S2) 내에 배설된 일련의 기어군과; 상기 하우징의 축(A)과 동축상으로 장착된, 원통부(112)와 환형플랜지부(113)을 갖는 회동자재의 회전반(114)과; 상기 상부공간(S1) 내에 배설된, 상기 회전반을 좌우방향으로 선회구동시키기 위한 크랭크기구(108)과; 상기 하부플레이트(103)의 저면에 하우징의 축(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뻗은, 절첩자재의 손잡이(118)와; 그리고 상기 상부공간(S1) 내에 상기 크랭크기구(108)와 관련하여 설치된, 회전반 좌우선회구동 안정용 스터빌라이저(109)와를 포함하는 제1구동부(100)와; 상기 회전반(114)의 환형플랜지부(113)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돌출된 3쌍의 지지브라켓(201)의 각 쌍의 선단에 핀(202)에 의해 회동자재토록 장착된 세 개의 하우징(203)과, 그리고 상기 각 하우징(203)의 내부에 장착된 팬 임펠러 구동용 제2구동모우터(M2)로 이루어진 제2구동부(200)와;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와 작동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된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팬 임펠러를 일정한 각도만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팬 임펠러 상하 요동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하단기 상기 회전반(114)의 상면에 고착되고, 상기 각 쌍의 지지브라켓의 돌출위치과 동일한 위치에 수평의 축관부(301)를 갖는 원통체(302)와; 외주연이 상기 원통체(302)의 상단에 고착되고, 하부에 요입부(303)를 갖는 축관부(304)가 저면 중앙에 형성된 원반형 커버(305)와; 상면 중앙에 상기 용입부(303)에 회동자재로 삽입되는 돌출부(3096)가 형성되고 상기 축관부(304)의 구멍과 연통하는 축구명을 갖는 구동베벨기어 (307)와; 상기 제1구동부(100)의 전동축(107)의 상단부 외주면에 고착된 계합구 (308)와;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계합구(308)에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ball key)(309)를 가지며, 상기 베벨기어 축구멍 및 원반형 커버(305) 축관부 구멍에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05) 상부로 돌출된 단속손잡이(310)와; 상기; 각 수평축관부(301)에 회동자재로 삽입된 수평전동축 (311)의 상기 원통체(302) 내측단부에 고착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307)에 치합되는 종동베벨기어(314)와; 상기 수평전동축(311)의 상기 원통체(302) 외측 단부에 고착된 크랭크아암(312)와; 그리고 상기 크랭크아암의 일단과 제2구동부 하우징 (203)의 후단과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로드베어링(3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5. 제13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상기 회전반(114)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각 쌍의 팬 임펠러지지용 지지브라켓 (201)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개구부(330)를 갖는 원통형 입벽체(331)와; 저면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와 상기 제1단속손잡이체결부 (332)를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 저면에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를 갖는 원반형 커버(334)와; 상기 제1단속손잡이체결부(332)의 저면 중앙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동 체결부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축구멍을 갖는 구동평기어(335)와; 상기 제1구동부 전동축(107)의 상단부 외주면에 장착된 계합구(308)와;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계합구(308)에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309)를 가지며, 키 또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평기어(335)의 축 구멍에 체결되고 원반형 커버(334)의 제1단속손잡이체결부의 구멍에 삽압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34)의 상부로 연장된 제1단속손잡이(336)와; 상기 제2단속손잡이체결부(333)의 저면 중앙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동 체결부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축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동평기어(335)에 치합된 종동평기어(337)와; 길이의 중간에 상기 종동평기어 (337)와 작동적으로 계합되는 볼키(338)를 가지고, 하단부가 회전반(114)의 상면에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상기 종동평기어(337)의 구멍 및 제2단속 손잡이 체결부 (333)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원반형 커버(334)의 상부로 연장된 제2단속손잡이 (339)와; 상기 각 종동평기어(337)의 하부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키 또는 스프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제2단속손잡이(339)의 하단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워엄나사(340)를 형성하고 있는 워엄나사체(341)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워엄나사체 (341)의 워엄나사(340)에 치합되는 부분 워엄휘일 치형(342)을 가지고 타단이 핀(343)에 의해 제2구동부의 하우징(203)에 회동자재로 결합된 전동로드(344)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회전반 좌우선회구동용 크랭크기구(108)는 크랭크축(106)의 상단부에 장착된 평기어(161)와; 상기 회전반 원통부(112) 외주면에 고착되어 상기 평기어(16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62)와 ; 그리고 상기 회전반 저면과 상부플레이트(101) 상면에 상호 협동하여 작동하도록 부착된 한 쌍의 구동모우터(M1)의 정,역회전 구동용 근접 스위치기구(1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6. 제13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팬 임펠러 축(204)의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350)와; 상기 워엄기어에 치합하는 워엄휘일(351)과; 상기 워엄휘일과 연동하는 일련의 크랭크기어(352)와; 상기 회전반 상면에 장착된 팬 임팰러 장착용 브라켙(201)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각각 입설된 브라켓(353)과; 그리고 상기 크랭크기어(352)와 브라켙(353)과를 상호 회동자재로 연결한 커넥팅로드(3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7. 제13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 상하요동장치(300)는 제2구동모우터축의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워엄나사(350)와; 상기 워엄나사에 치합하는, 중공부(360)를 갖는 워엄휘일(361)과;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 내에 슬라이딩 자재로 삽착되는 긴 형상의 로드부재로서 그 일단부 외주면에 평기어(37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회전자재의 놉(372)이 부착되며, 상기 워엄휘일의 중공부(360) 내에서 일정한 길이만큰 전후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동 워엄휘일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볼키(ball key)(373)를 구비한 작동손잡이(374)와; 상기 평기어(371)에 치합된 일련의 크랭크기어(352)와; 상기 회전반 상면에 장착된 팬 임팰러 장착용 브라켙(201)의 돌출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각각 입설된 브라켙(353)과; 그리고 상기 크랭크기어(352)와 브라켙(353)과를 상호 회동자재로 연결한 커넥팅로드(3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8)의 자유단에 360도 회전자재형 바퀴 (160)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27517A 1993-12-13 1993-12-13 선풍기 KR960009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517A KR960009749B1 (ko) 1993-12-13 1993-12-13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517A KR960009749B1 (ko) 1993-12-13 1993-12-13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237A true KR950019237A (ko) 1995-07-22
KR960009749B1 KR960009749B1 (ko) 1996-07-24

Family

ID=1937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517A KR960009749B1 (ko) 1993-12-13 1993-12-13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7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749B1 (ko) 199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4756T3 (es) Interruptor giratorio para vehiculo.
US9656227B2 (en) Food blending appliance with wiper assembly
US4114988A (en) Mirror angle adjusting device, with consecutively driven worms in remotely controlled rear-view mirror apparatus
KR940703618A (ko) 작은 반경도어를 가진 오븐(oven with short radius door)
JP2000513992A (ja) 混合機械
US5044146A (en) Oscillating-type mowing apparatus
KR950019237A (ko) 선풍기
KR950019236A (ko) 선풍기
GB2129322A (en) Detachable stirring device
JP2018047730A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CN214631800U (zh) 一种食品搅拌机的开关装置
US3938278A (en) Starter device for toys
US5799535A (en) Kitchen appliance with a flexible drive
JP4472514B2 (ja) スイッチ構造
KR920005189Y1 (ko) 자력을 이용한 완구의 동작장치
CN213519710U (zh) 多功能滚轮开关
KR100585335B1 (ko) 기어의 자유회전방지구조
US20230280779A1 (en) Appliance knob assembly
KR950019238A (ko) 선풍기
WO2017190312A1 (zh) 一种多挡位的电动水果搅拌机
JP2005002908A (ja) 首振り式電気機器
KR200201424Y1 (ko) 선풍기
US4636800A (en) Apparatus for rotating and driving antenna device
US2128724A (en) Electric fan
KR950019239A (ko) 선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