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334Y1 - 자동차용 범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범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9334Y1 KR960009334Y1 KR2019940031251U KR19940031251U KR960009334Y1 KR 960009334 Y1 KR960009334 Y1 KR 960009334Y1 KR 2019940031251 U KR2019940031251 U KR 2019940031251U KR 19940031251 U KR19940031251 U KR 19940031251U KR 960009334 Y1 KR960009334 Y1 KR 96000933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mper
- mounting bracket
- body frame
- impact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자동차용 범퍼의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의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차체프레임 31 : 중공부
32 : 볼트 33 : 마운팅 브라켓
34 : 자동차용 범퍼 35 : 외측면
36, 37 : 경사부 38, 39 : 요홈
40 : 탄성 로울러 41, 42 : 볼트구멍
43 : 완충부재 44 : 지지벽
T1, T2 : 틈새
본 고안은 자동차용 범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와 범퍼의 연결부분에 탄성미끄럼부재를 개재시켜 충격시 미끄럼이 일어나도록 한 자동차용 범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범퍼는 차량이 전방충돌되면서 받게 되는 반력이 차체쪽을 전달되기 전에 일부를 흡수하여 차체의 변형과 탑승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다소나마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범퍼는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마운팅(Flange Mounting)방식이나 삽입조임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제1도는 플랜지 마운팅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제2도는 삽입조임방식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 모두가 범퍼페시아(10)의 후면상에 충격흡수재(1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충격흡수재(11)의 후부에는 중공부(12)를 가진 임펙트럼(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임팩트빔(13)은 마운팅 브라켓(14)을 통해 차체프레임(15)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공통점이 있으며, 전술한 것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14)의 후부와 차체프레임(15)의 전방부에 서로 대합되는 플랜지(16)(17)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후술한 것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14)의 돌출부(18)가 차체프레임(15)의 중공부(19)에 끼워져 삽입되어 볼트(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점이 다르나 이들 모둑 차체프레임(15)과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하고 있어서 전방충돌시 범퍼(21)의 충격이 차체프레임(15)에 직접전달되면서 차체프레임(15)까지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범퍼(21)의 고정지점이 도면중 C로 표시된 부분이므로 차량운행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범퍼(21)가 쉽게 흔들려 마운팅 브라켓(14)과 차체프레임(15)의 연결부분에서 금속끼리 부딪히면서 일어나는 금속성 소음이 발생되어 차량주변에 소음공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범퍼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밀리는 이 범퍼에 의해 차체프레임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며, 운행중에 연결부분에서 발생되는 금속성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범퍼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체프레임의 선단부에 마련된 중공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이것을 가로지르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가진 자동차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외측면과 상기 차체프레임의 중공부가 이루는 결합부위를 확개하여 이들 결합부위에 전방부에서 후방부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서로 일정한 틈새를 이루는 경사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경사부에 충격시 서로 어긋나는 다수개의 요홈을 각각 형성하여 이 각 요홈에 충격시 눌리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로울러를 한개씩 개재시키는 한편, 상기 볼트가 끼워져 결합되는 볼트구멍을 충격시 서로 어긋나도록 전·후길이 방향으로 확장하여 장공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후단에는 완충부재를 접촉시키며, 상기 차체프레임의 중공부에는 상기 완충부재와 소정의 틈새를 이루는 지지벽을 형성하여 충격시 상기 완충부재가 후방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범퍼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30)의 선단부에 마련된 중공부(31)에 끼워져 설치되고 이것을 가로지르는 볼트(32)에 의해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33)을 가진 자동차용 범퍼(34)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33)의 외측면(35)과 상기 차체프레임(30)의 중공부(31)가 이루는 결합부위를 확개하여 이들 결합부위에 전방부에서 후방부쪽으로 갈 수록 좁아지면서 서로 일정한 틈새(T1)를 이루는 경사부(36)(37)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경사부(36)(37)에 충격시 서로 어긋나는 다수개의 요홈(38)(39)를 각각 형성하여 이 각 요홈(38)(39)에 충격시 눌리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로울러(40)를 한개씩 개재시키는 한편, 상기 볼트(32)가 끼워져 결합되는 볼트구멍(41)(42)을 충격시 소로 어긋나도록 전·후길이방향으로 확장하여 장공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33)의 후단에는 완충부재(43)를 접촉시키며, 상기 차체프레임(30)의 중공부(31)에는 상기 완충부재(43)와 소정의 틈새(T2)를 이루는 지지벽(44)을 형성하여 충격시 상기 완충부재(43)가 후방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지지벽(44)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요홈(38)(39)은 도시예에서와 같이 그 단면모양을 반구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로울러(40) 또한 이 요홈(38)(39)과 같이 같은 크기의 반구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33)의 선단에는 플랜지(5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체프레임(30)에도 이 마운팅 브라켓(33)에 형성된 플랜지(50)와 틈을 두고 결합되는 플랜지(51)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2는 상기 자동차용 범퍼(34)의 안쪽에 부착된 충격흡수재를 나타낸 것이며, 53은 이 충격흡수재(52)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33)의 사이에 설치되고 좌·우 양측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임팩트빔을 나타낸 것이고, 54는 상기 임팩트빔(53)의 내부공간을 나타낸 것이며, 55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33)의 내부공간을 나타낸 것이고, 56은 상기 자동차용 범퍼(34)의 겉껍질에 해당하는 범퍼페시아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범퍼(34)에 도면중 화살표 F로 표시된 방향으로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범퍼페시아(56)가 후방쪽으로 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충격흡수재(52)에 의해 충격이 완화된 상태로 임팩트빕(53)에 전해지게 된다.
이때 임팩트빔(53)도 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동시에 마운팅 브라켓(33)에 충격을 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마운팅 브라켓(33)은 차체프레임(30)의 중공부(31)에서 미끄러지면서 경사부(36)(37)의 틈새(T1)에 놓여진 탄성 로울러(40)를 변형시키면서 밀어내게 되며, 볼트구멍(41)(42)은 서로 어긋나게 되고, 곧 완충부재(43)는 후방으로 약간 밀리면서 틈새(T2)를 메우고 지지벽(44)에 부딪혀 가압변형되면서 충격력을 거의 없애게 되며, 차체프레임(30)은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자동차용 범퍼(34)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범퍼페시아(56)의 변형에너지 → 충격흡수재(52)의 탄성변형에너지 → 임팩트빔(53)의 변형에너지 → 마운팅 브라켓(33)이 후방쪽으로 밀리게 되면서 변형되는 탄성 로울러(40)의 변형에너지 및 마찰에너지 → 마운팅 브라켓(33)과 차체프레임(30)의 미끄럼에 의한 마찰에너지 → 완충부재(43)의 탄성변형에너지 → 기타 진동 및 탄성 휨에너지로 소모되면서 미처 차체프레임(30)에 까지는 힘을 전달하지 못하여 충격이 완화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방충격이 가해졌을 때 마운팅 브라켓의 밀림에 이한 탄성 로울러의 변형 및 마찰에너지와 미끄럼에 의한 마찰에너지 및 완충부재의 탄성변형에너지의 합보다 자동차용 범퍼를 변형시키고 남은 충격에너지가 다소 커야만 차체프레임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보다 큰 충격력을 완화시키면서 차체프레임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 차체프레임(30)의 선단부에 마련된 중공부(31)에 끼워져 설치되고 이것을 가로지르는 볼트(32)에 의해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33)을 가진 자동차용 범퍼(34)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33)의 외측면(35)과 상기 차체프레임(30)의 중공부(31)가 이루는 결합부위를 확개하여 이들 결합부위에 전방부에서 후방부쪽으로 갈 수록 좁아지면서 서로 일정한 틈새(T1)를 이루는 경사부(36)(37)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경사부(36)(37)에 충격시 서로 어긋나는 다수개의 요홈(38)(39)을 각각 형성하여 이 각 요홈(38)(39)에 충격시 눌리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로울러(40)를 한개씩 개재시키는 한편, 상기 볼트(32)가 끼워져 결합되는 볼트구멍(41)(42)을 충격시 서로 어긋나도록 전·후길이방향으로 확장하여 장공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33)의 후단에는 완충부재(43)를 접촉시키며, 상기 차체프레임(30)의 중공부(31)에는 상기 완충부재(43)와 소정의 틈새(T2)를 이루는 지지벽(44)을 형성하여 충격시 상기 완충부재(43)가 후방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지지벽(44)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범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31251U KR960009334Y1 (ko) | 1994-11-25 | 1994-11-25 | 자동차용 범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31251U KR960009334Y1 (ko) | 1994-11-25 | 1994-11-25 | 자동차용 범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7181U KR960017181U (ko) | 1996-06-17 |
KR960009334Y1 true KR960009334Y1 (ko) | 1996-10-16 |
Family
ID=1939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31251U KR960009334Y1 (ko) | 1994-11-25 | 1994-11-25 | 자동차용 범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9334Y1 (ko) |
-
1994
- 1994-11-25 KR KR2019940031251U patent/KR96000933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7181U (ko) | 1996-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49603A (en) | Suspension for a front, especially a transversely-mounted motor vehicle power plant | |
KR101006053B1 (ko) | 차량용 크래쉬 박스 | |
JP4087636B2 (ja) | バンパ装置 | |
KR960009334Y1 (ko) | 자동차용 범퍼 | |
KR100932673B1 (ko) | 차량용 크래쉬 박스 | |
KR0123824B1 (ko) | 차량의 전방측면구조 | |
KR200147047Y1 (ko) | 차량의 프런트사이드멤버 보강구조 | |
KR100195498B1 (ko) |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 |
KR970000438B1 (ko) | 차량범퍼의 강화구조 | |
KR100410506B1 (ko) |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부재 | |
KR0136951Y1 (ko) |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 구조 | |
KR100462399B1 (ko) | 자동차용 프론트사이드멤버의 충격흡수구조 | |
KR200160764Y1 (ko)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 |
KR19990039480U (ko) | 자동차용 충격흡수부재 | |
KR100231534B1 (ko) | 범퍼 리인포스먼트구조 | |
KR970004011B1 (ko) | 자동차의 충격완화용 보강재 | |
KR20210020224A (ko) | 차량 전부 구조 | |
JPH0141651Y2 (ko) | ||
KR0129394Y1 (ko) | 범퍼 스테이 완충구조 | |
KR0153188B1 (ko) | 자동차용 충격흡수 프레임 | |
KR0136333Y1 (ko) | 범퍼 스테이 | |
KR0115977Y1 (ko) | 차량의 범퍼스테이구조 | |
KR200179579Y1 (ko) | 승용차 사이드 씰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 |
KR19980082364A (ko) | 자동차의 범퍼용 프로텍션 바 고정 구조 | |
KR19990034883A (ko) |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