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996Y1 - 수납공간을 구비한 좌석 등받이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을 구비한 좌석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996Y1
KR960008996Y1 KR2019940022110U KR19940022110U KR960008996Y1 KR 960008996 Y1 KR960008996 Y1 KR 960008996Y1 KR 2019940022110 U KR2019940022110 U KR 2019940022110U KR 19940022110 U KR19940022110 U KR 19940022110U KR 960008996 Y1 KR960008996 Y1 KR 960008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seat back
cover
blank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552U (ko
Inventor
배재홍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2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996Y1/ko
Publication of KR960007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5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납공간을 구비한 좌석 등받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좌석 등받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좌석 등받이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좌석 등받이의 배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좌석 등받이의 사용상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석 2 : 좌석 등받이
3 : 프레임 4 : 커버
5 : 수납공간 6 : 담요
7 : 지퍼
본 고안은 자동차의 좌석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담요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의 좌석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이용할 때에는 이용자가 자동차 안에서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대중교통용 버스, 예를 들어 우등고속버스의 승객이 우등고속버스를 이용하는 주요한 이유는 이동시간중에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이용자가 자동차 안에서 휴식을 취하고자 할 때 종래의 자동차에는 별도의 담요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부분 겉옷을 덮고 휴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충분한 휴식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담요를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의 좌석 등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좌석 등받이는 프레임에는 담요를 수용할 수 있으며 후방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커버에는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부부만큼 상기 커버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를 절개한 절개선을 따라 개폐가능한 지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좌석 등받이(2)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단면도이며, 제3도는 배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좌석 등받이(2)는 대략 프레임(3) 커버(4)로 둘러싼 구조로 되어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프레임(3)에 담요(6)를 수용할 수 있으며, 후방으로 개방된 수납공간(5)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커버(4)에는 상기 수납공간(5)의 개방된 크기와 형상에 해당하는 만큼 커버(4)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공간(5)의 개방된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절개하고, 이 절개선을 따라 개폐가능한 지퍼(7)를 형성시켜 두었다. 본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은 자동차의 좌석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좌석 등받이(2) 내부에 수납공간(5)이 있는 프레임(3)과, 개폐가능한 지퍼(7)가 형성된 커버(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수납공간(5)에 담요(6)를 넣어두면 자동차의 이용자가 자동차 안에서 휴식을 취하고자 할 때에는 이용자의 바로 앞에 있는 좌석의 좌석 등받이(2)의 지퍼(7)를 개방하여 담요(6)를 꺼내어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다시 상기 수납공간(5)에 담요(6)를 넣고 지퍼(7)를 닫아 두므로써 나중의 이용자가 다시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담요(6)가 수납공간(5)에 보관된다. 이용자가 담요(6)를 사용하는 상태를 제4도에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납공간을 구비한 좌석 등받이에 의하면, 담요를 간편하게 수납하여 둘 수 있으므로 이용자에게 충분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프레임(3)과, 상기 프레임(3)을 둘러싸는 커버(4)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좌석 등받이(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에 담요(6)를 수용할 수 있으며, 후방으로 개방된 수납공간(5)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4)에는 상기 수납공간(5)의 개방된 부분만큼 상기 커버(4)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공간(5)의 개방된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4)를 절개한 절개선을 따라 개폐가능한 지퍼(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좌석 등받이.
KR2019940022110U 1994-08-30 1994-08-30 수납공간을 구비한 좌석 등받이 KR960008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110U KR960008996Y1 (ko) 1994-08-30 1994-08-30 수납공간을 구비한 좌석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110U KR960008996Y1 (ko) 1994-08-30 1994-08-30 수납공간을 구비한 좌석 등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52U KR960007552U (ko) 1996-03-13
KR960008996Y1 true KR960008996Y1 (ko) 1996-10-14

Family

ID=1939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110U KR960008996Y1 (ko) 1994-08-30 1994-08-30 수납공간을 구비한 좌석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9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52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2740A (en) Motor vehicle armrest with storage space
KR960008996Y1 (ko) 수납공간을 구비한 좌석 등받이
JPH08127279A (ja) 自動車用シート
JPH0428853Y2 (ko)
JP2789551B2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JPS6245985Y2 (ko)
JP2886100B2 (ja) 車両用シート
USD366356S (en) Automobile accessory
KR0122514Y1 (ko) 자동차의 담배케이스구조
KR100194557B1 (ko) 자동차용 옷걸이
JPS6021299Y2 (ja) 車輛用コップ立て具
KR200158688Y1 (ko) 차량용 시트 포켓
JPH054762Y2 (ko)
JPH08386A (ja) シ−トカバ−を収納した車両用シ−ト
JPH07242141A (ja) 小型トラックの後部座席装置
JPH0212103Y2 (ko)
KR0122195Y1 (ko) 자동차용 카폰 수납장치
KR19980036367A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KR19990033268A (ko) 후방시트백의 물품보관함 겸용 암레스트
JPH03108541U (ko)
KR960021824A (ko) 자동차 의자의 등받이 구조
JP2003135206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KR19980016988U (ko) 후방시트백의 물품보관함
KR980007373U (ko) 수납구를 구비한 자동차용 후방시트
KR19980062319A (ko) 차량내에 장착된 티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