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834Y1 - 안전시스템의 배터리 경보회로 - Google Patents

안전시스템의 배터리 경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834Y1
KR960008834Y1 KR2019930023668U KR930023668U KR960008834Y1 KR 960008834 Y1 KR960008834 Y1 KR 960008834Y1 KR 2019930023668 U KR2019930023668 U KR 2019930023668U KR 930023668 U KR930023668 U KR 930023668U KR 960008834 Y1 KR960008834 Y1 KR 960008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battery
voltage
zener diod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747U (ko
Inventor
문용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윤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윤종용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3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834Y1/ko
Publication of KR950015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8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전시스템의 배터리 경보회로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 전압 입력단 20 : 인버터
30 : 부하 40 : 부져회로
LED : 발광다이오드 ZD : 제너다이오드
Q1, Q2:트랜지스터 R1~R3: 저항
본 고안은 각종 안전시스템(예를들면 Home Security System)의 배터리 경보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전지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안전장치에 건전지의 수명을 체크해주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전시스템을 고주파(RF)로 설계시 데이타 송수신 장치중 센서쪽 송신기는 건전지를 사용한다.
특히 유선이나 혹은 무선으로 동작하는 가정용 안전장치는 대문이나 담벼락 같은데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도둑이나 강도들의 출입을 감시하게 되는데, 이 감시 장치에는 센서(Sensor) 감지에 의하여 물체의 유무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센서 회로의 동작은 통상적으로 건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사용자가 상기 건전지의 수명이 다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일정기간 경과후 어림짐작으로 배터리를 갈아주곤 하였다.
그런데 만일 사용자가 배터리의 수명을 다되었는데도 이를 망각하고 교체하지 않는다면 안전장치의 센서회로는 전혀 동작을 하지 못하므로 안전감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전지를 사용하여 센서회로를 동작시키는 유무선 안전시스템에서 건전지의 수명이 다되었을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수명이 다된 건전지를 대체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장치의 기능을 최대한 살리기 위한 안전시스템의 배터리 경보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배터리 전압 입력단의 입력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제너다이오드의 동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출력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부져회로 및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배터리 체크회로 구성도로서, 배터리 연결단(10)에 저항(R1)을 통하여 제너 다이오드(ZD1)를 거쳐 접지시키고, 동시에 저항(R2)(R3)을 통하여 제1 및 제2 PNP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의 에미터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너다이오드(ZD)의 상복 전압은 5.2V이다. 상기 저항(R1)과 제너다이오드(ZD) 사이에는 입력신호를 반전시켜주는 인버터(20)를 연결하여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부하(Load)(3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이 콜렉터에는 부져회로(40)아 발광다이오드(LED)를 각각 연결시켜 접지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부져 회로(40)와 발광다이오드(LED)는 청각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배터리 체크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며, 상기 부져회로(40)와 발광다이오드(LED) 설치는 사용자에게 편리하도록 근거리 혹은 원거리에도 가능하며, 유선 혹은 무선으로도 가능하다.
이하 이들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배터리의 정상전압은 제너다이오드(ZD)의 항복전압 설정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에서 제너다이오드(ZD)의 항복전압을 5.2V로 설정하였으므로 이 항복전압 이상에서는 배터리 전압이 정상이고, 상기 항복전압 이하에서는 배터리 전압이 비정상이다.
따라서, 배터리 연결단(1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의 항복전압인 5.2V 이상인 9V로 입력되면 상기 9V의 하이신호는 저항(R1)을 통하여 인버터(20)에 인가되고 동시에 저항(R2)(R3)을 각각 통하여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Q2)의 에미터에 각각 인가된다.
상기 인버터(20)는 입력된 하이신호를 로우신호로 반전시켜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시키므로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도통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면 에미터에 걸려있는 9V의 하이전압이 콜렉터로 흐르게 되므로 콜렉터에 연결된 부하(30)에 정상신호를 공급하며, 동시에 콜렉터에 연결된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하이 신호를 공 인가하므로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오프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면 콜렉터에는 로우신호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경보장치은 부져회로(40)와 발광다이오드(LED)가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배터리 연결단(1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의 항복전압인 5.2V 이하로 떨어져서 입력되면 이때는 배터리 전압이 거의 소모된 상태이므로 이 로우전압이 저항(R1)을 통하여 제너다이오드(ZD)와 인버터(2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너다이오드(ZD)는 상기 항복전압에 의해 도통되어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을 모두 접지로 흘려버린다.
그러면 상기 인버터(20)는 입력된 로우 전압을 하이로 만들어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시키므로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오프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저항(R2)을 통해 에미터에 걸려있는 로우 전압이 콜렉터에 나타나므로 콜렉터에 연결된 상기 부하(30)는 동작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나타난 로우전압은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도통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면 저항(R3)을 통해 에미터에 걸려있는 5.2V 전압이 콜렉터로 흐르면서 경보장치인 부져회로(40)를 동작시켜 부져음을 발생하고, 동시에 발광다이오드(LED)를 동작시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가정용 안전시스템등에서 시스템을 RF로 설계시 센서쪽 송신기는 반드시 배터리를 이용해야 되는바 이때 배터리의 수명이 다될때 이를 사용자에게 청각 및 시각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적기에 배터릴르 교환시켜주도록 한다.
그러므로 안전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불시에 일어나는 안전사고에도 적절히 대비할 수 있는 유익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터리 전압 입력단(10)의 입력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제너다이오드(ZD)와, 상기 제너다이오드의 동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20)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부하(3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제1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제2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출력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부져회로(40) 및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의 배터리 경보회로.
KR2019930023668U 1993-11-11 1993-11-11 안전시스템의 배터리 경보회로 KR960008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668U KR960008834Y1 (ko) 1993-11-11 1993-11-11 안전시스템의 배터리 경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668U KR960008834Y1 (ko) 1993-11-11 1993-11-11 안전시스템의 배터리 경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747U KR950015747U (ko) 1995-06-19
KR960008834Y1 true KR960008834Y1 (ko) 1996-10-09

Family

ID=1936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668U KR960008834Y1 (ko) 1993-11-11 1993-11-11 안전시스템의 배터리 경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8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747U (ko) 199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549B1 (ko) 경비감시장치
EP1251473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hazard alarms
JPH0518159B2 (ko)
EP0388756A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with means for remotely indicating a break-in attempt
CN110648487A (zh) 烟雾监测电路及显示屏
US6885301B2 (en) Security system for windows
US6078256A (en) Dead-bolt lock monitoring unit and system
KR960008834Y1 (ko) 안전시스템의 배터리 경보회로
US4163968A (en) Supervised loop alarm radio transmitter system
KR20050004362A (ko) 저 전력 소모형 오토바이 도난 방지 시스템
US6104286A (en) Monitoring alarm systems
JPS581289A (ja) 電池電圧の検知.表示方法
US6133828A (en) Fire detection and alarm system with selective fire warning
EP0453957B1 (en) Remote-control home electronics device
KR930004170B1 (ko) 비상연락 경보시스템
CN217880466U (zh) 烟雾报警器
CN210123888U (zh) 10kv变电所主变瓦斯保护告警信号箱
CN214540480U (zh) 多功能控制模块
CN211506670U (zh) 光电烟雾报警器
KR200247209Y1 (ko) 저 전력소모형 오토바이 도난 방지 시스템
JPS61224737A (ja) 無線式通報装置
KR910001528B1 (ko) 다목적 경보장치
JPS6347994Y2 (ko)
JPS5975397A (ja) 警報設備の受信応答装置
JP2001254546A (ja) 電池消耗状態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