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435B1 - 리모콘 서치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 서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435B1
KR960008435B1 KR1019920020128A KR920020128A KR960008435B1 KR 960008435 B1 KR960008435 B1 KR 960008435B1 KR 1019920020128 A KR1019920020128 A KR 1019920020128A KR 920020128 A KR920020128 A KR 920020128A KR 960008435 B1 KR960008435 B1 KR 960008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unit
sou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530A (ko
Inventor
신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0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435B1/ko
Publication of KR93002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모콘 서치장치
제1도는 종래의 리모콘 서치장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리모콘 서치장치의 블록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리모콘 서치장치의 실시예 블록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리모콘 서치장치의 실시예 상세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에서 레벨비교부 신호파형도.
제6도의 (a) (b) (c)는 본 발명 장치에서 지터제거부 신호파형도.
제7도의 (a) 내지 (f)는 본 발명 장치에서 박수간격이 과도한 경우 카운트 동작신호 파형도.
제8도의 (a) 내지 (f)는 본 발명 장치에서 박수 입력횟수가 규정치 미만인 경우 카운트 동작신호 파형도.
제9도의 (a) 내지 (f)는 본 발명 장치에서 박수 입력횟수가 규정치를 초과한 경우 카운트 동작신호 파형도.
제10도의 (a) 내지 (g)는 본 발명 장치에서 박수 입력횟수가 규정치인 경우 카운트 동작신호 파형도.
제11도의 (a) 내지 (d)는 본 발명 장치에서 부저구동부의 동작신호 파형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리모콘 서치장치의 다른 실시예 볼록구성도.
제13도는 상기 제12도의 실시예 상세 블록구성도.
제14도는 상기 제13도 실시예의 상세회로도.
제15도의 (a) (b) (c)는 정상동작시의 동작파형도.
제16도의 (a) (b) (c)는 잡음입력시의 동작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입력수단 나 : 잡음제거수단
다 : 카운터수단 라 : 응답음 발생수단
마 : 오동작 방지수단
본 발명의 TV 수상기, VCR등의 원격제어기기에서 리모콘 송신기의 위치를 식별해내기 위한 리모콘 서치(Remocon Search)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음압과 시간내의 규정된 횟수의 박수소리에 리모콘 송신기가 응답하여 리모콘 위치를 알아낼수 있도록한 것이다.
종래의 리모콘 서치장치는 제1도에서와 같이, 기기본체측에 발진기(1)와 증폭기(2)를 구비하여 응답요구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고, 리모콘 송신기측에 동조부(3)와 증폭기(4), 캐리어 검출부(5). 부저구동부(6) 및 부저(7)를 구비하여 기기본체측에서 무선송신된 특성 RF 신호를 동조부(3)로 선국, 수신하고 증폭기(4)에서 증폭하여 캐리어 검출부(5)에서 DC를 변환시킨후 부저 구동부(6)를 통해 부저(7)를 올려주므로서 리모콘 위치를 알아낼수 있도록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종래의 리모콘 서치장치에 의하면, 기기(TV,VCR 등) 본체측에 RF 송신기를 구성해야 하고, 리모콘측에는 무선 송출되어 수신되는 미약한 RF 신호를 증폭시켜주기 위한 RF 증폭기(4)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소비전력 증가가 초래되며 이와같은 수신측의 회전전원은 대기시에도 항상 공급되어야 하므로 리모콘 전기가 감당해내기 어려운 전원용량이 요구되고. 따라서 이와같은 점을 극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품으로 용이하게 구현해낼 수 없는 제약이 따른다.
또한 기기본체측에 RF 송신기를 필수적으로 구성해두어야 하므로 리모콘을 찾을때는 기기에 근접한 위치로 일일이 이동하여 리모콘 서치스위치(통상 발진기(1)의 동작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RF 신호 통달거리 및 전파 장애물에 의한 공간적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청주파수 대역의 박수소리에 리모콘 송신기가 자신의 위치 응답음을 발생토록 하므로서 RF수신 증폭단을 배제시키고 리모콘 서치회로에 소비되는 전력을 격감시켜 리모콘 전지의 수명연장이 가능하며 이를 통한 제품화의 제반 장애요인들을 극복하고. 박수소리에 응답하게 되므로서 별도로 기기본체측에 송신기를 구비할 필요성을 배제시키며, 사용자가 넓은 영역에 걸쳐 배회하면서 박수소리로 리모콘을 찾아낼 수 있게 하고 이에따른 공간상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도록한 리모콘 서치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장치의 구성과 이에의한 리모큰 서치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모콘 서치장치는, 리모콘 서치에 대한 응답요구 정보로서 박수소리를 입력으로 받아들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입력수단(a)과, 박수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박수신호만을 분리해내는 잡음제거수단(b)과, 잡음제거된 박수신호를 규정된 시간내의 입력횟수로 카운트하는 카운터수단(c)과, 카운트 결과가 규정치를 만족하는 경우에 리모콘 서치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는 응답음 발생수단(d)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3도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수단(a)은 박수소리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마이크/스피커(8)와, 입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부(9)로 구성되고, 상기 잡음재거수단(나)은 박수입력신호가 주로 분포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성분을 통과시켜주는 대역통과필터부(10)와, 필터링된 신호레벨을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레벨비교부(11)와, 박수소리의 횟수에 대응하는 카운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레벨비교된 신호에 포함된 지터잡음을 제거하여 주는 지터제거부(12)로 구성되고. 상기 카운터수단(c)은, 잡음제거된 박수신호의 횟수을 카운트하는 카운터(13)와, 규정치의 박수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하여 박수소리가 연속적으로 입력되어야할 규정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터(13)를 동작시켜주는 카운트 제어부(14)로 구성되고, 상기 응답음 발생수단(d)은. 입력박수소리가 규정치에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로직부(15)와, 판단결과에 따라 응답음 발생시간을 통제하는 부저구동 타이머부(16)와, 타이머 설정시간동안 응답음이 단속음으로 출력되게 제어하는 단속음 출력 제어부(17)와, 단속음 출력제어를 받아 일정 주파수의 리모콘 서치 응답음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발진부(1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기)에는 마이크/스피커(8)를 박수소리를 입력시켜주는 마이크와 응답신호를 출력시켜 주는 스피커로 겸용 가능하게 전환시켜주는 입/출력 스위칭부(19)를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에 의한 리모콘 서치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에서 입력수단(가)은 사용자가 박수를 칠때 발생되는 가청주파수 대역의 박수소리를 입력으로 받아들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출력한다.
전기신호로 변환된 박수신호는 잡음제거수단(나)에서 원하는 신호로 필터링되고 파형 정형한다.
즉, 박수소리의 주파수 스펙트럼으로부터 제반 잡음과 박수소리를 구분해내기 위한 소정의 박수소리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켜 주고 필터링된 신호는 일정한 음압이상의 신호입력인 경우에만 반응할 수 있게 그 레벨이 설정해놓은 기준레벨과 비교 검출되며, 검출된 신호는 박수소리 입력에 대응되는 디지탈 신호로서 여기에 혼입된 잡음을 재차 제거한후 최종 파형정형된 박수소리 검출정보로 출력된다.
이 출력신호는 카운터수단(다)에 입력되어 규정된 시간내에 연속적으로 입력되어야할 박수소리의 입력횟수를 카운트하게 된다.
이는 미리 설정해놓은 규정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박수소리를 카운트해 주므로서 박수소리와 유사한 주파수 대역의 제반신호 입력시 응답 오동작을 사전 예방해주기 위함이며, 시간내에 입력되는 박수 소리의 입력횟수 카운트 결과는 응답음 발생수단(라)에 공급되어 응답 여부의 실행 제어정보가 된다.
응답음 발생수단(라)은 입력된 박수소리의 횟수가 규정된 횟수와 일치하는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 일치된 경우에만 응답음을 발생시켜 출력하므로서 리모콘 송신기의 위치를 알려준다. 제3도는 이와같은 본 발명의 리모콘 서치장치 실시예로서, 이에 의한 리모콘 위치 응답동작은 다음과 같다.
마이크/스피커(8)는 입출력 스위칭부(19)의 전환제어를 받아 응답 대기중에는 증폭부(9)측으로 연결되고, 응답음 출력중에는 발진부(18)측으로 연결되어 박수소리의 입력과 응답음의 출력을 겸한다.
응답 대기중에 사용자가 리모콘을 찾기 위하여 박수를 친다.
박수소리는 마이크/스퍼커(8)를 통애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증폭부(9)에서 소정의 신호레벨로 증폭되어 대역통과 필터부(10)에 입력된다.
대역통과필터부(10)는 입력된 박수소리 신호의 주파수 대역성분을 집중적으로 통과시킨다. 대역통과필터부(10)를 통과한 박수신호는 레벨비교부(11)에 입력되어 검파된후 응답동작의 실행가능한 소정의 기준음압 레벨과 비교된다.
비교결과 기준음압레벨 이상의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신호를 박수소리로 검출하여 출력한다. 이 박수소리 검출신호는 레벨 비교단계에서 지터잡음을 포함하게 되므로 후단의 지터제거부(12)에서 지터잡음을 제거하여 박수소리 매1회에 대응하는 온전한 디지탈 검출정보(신호파형의 정형)로 출력된다.
지터잡음 제거된 박수소리 검출신호는 카운터(13) 및 카운트 제어부(14)에 입력된다.
카운트 제어부(14)는 일정한 규정시간동안만 카운터(13)를 인에이블시켜 주고, 이 규정시간동안 카운터(13)가 입력되는 박수의 횟수를 카운트해준다.
카운트 제어부(14)는 규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카운터(13)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종료정보를 판단로직부(15)에 공급해 주므로서 판단로직부(15)는 이 규정된 시간동안 카운터(13)가 카운트한 박수횟수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미리 정해놓은 규정치(일정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일정횟수의 박수를 친 경우에만 응답하도록 정해놓은 값)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부저구동 타이머부(16)를 동작시키고, 박수 카운트값이 규정된 횟수 미만이거나 초과하면 부저구동 타이머부(16)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부저구동 타이머부(16)가 일정한 시간동안 단속음 출력제어부(17)를 동작시키고, 단속음 출력제어부(17)는 발진부(18)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시킨다.
이에따라 발진부(18)가 주기적으로 온/오프되면서 응답음을 단속적으로 발생시키고 이 응답음은 입출력 스위치부(19)의 전환에 의하여 마이크/스피커(8)를 통해 출력된다.
부저구동 타이머부(16)에 설정된 타이머 시간이 경과하면 단속음 출력제어부(17)와 발진부(18)의 동작을 중단시켜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 위치 응답동작은 종료된다.
제4도는 상기한 본 발명의 리모콘 서치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이 실시예는 3회의 박수소리가 일정한 시간내에 입력되었을 경우 응답하는 회로구성이다.
즉, 증폭부(9)는 연산증폭기(Al)로 이루어지며 가청주파수 대역의 입력신호를 반전 증폭한다.
마이크/스피커 (8)로 입력되는 박수소리는 결합콘덴서(Cl)와 가변저항(VRI)을 거쳐 연산증폭기(Al)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어 저항(Rl)과 콘덴서 (Cl) 및 가변저항(VRI)의 합성 임피던스(Z1)로 정해지는 이득(G)=Rl/Zl으로 입력신호를 증폭한다.
VDD, VSS는 전원이고. R2는 바이어스 저항이다.
중폭된 박수신호는 대역통과필터부(10)에 입력되어 필터링된다.
대역통과필터부(10)는 연산증폭기(A2)와 저항(R3) (R4) 및 가변저항(VR2), 콘덴서(C2) (C3) (C4)로 이루어지는 선택도, 동조이득, 중심주파수를 갖는 액티브 필터 (Active Filter)이다.
여기서, 입력신호는 연산증폭기 (A2)의 비반전 입력단(+)에 공급하므로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고 증폭을 겸하여 저소비전력으로 입력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선택도와 중심주파수는 박수소리의 주파수 성분이 집중 분포되는 1.2KHz±500Hz로 설정하여 박수소리를 정확하게 필터링시킨다.
필터링된 박수신호는 다이오드(Dl)로 검파되어 연산증폭기(A3)의 반전입력단(-)에 공급되고, 비반전입력단(+)의 저항(R7) (R8)으로 정해진 기준레벨과 비교되어 기준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출력단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고 기준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하이신호가 출력되므로 음압레벨이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의 입력에 대해서만 박수소리로 인식되게 한다.
즉, 입력되는 신호는 저항(R6)과 콘덴서(C5)에 의하여 적분되어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근소한 리플 상태로 연산증폭기 (A3)에 입력되고 기준레벨(Vref)과 비교되어 구형파의 펄스(디지탈 정보) 신호로 출력되어 진다.
여기서, 저항(R5)는 콘덴서(C5)의 방전경로를 확보해주고 콘덴서(C6)는 연산증폭기(A3)의 출력변화분을 정(+) 피이드백을 걸어주므로서 적분출력(입력단(-)의 신호)이 기준레벨을 교차하는 지점에서 dV/dt를 향상시켜주는 스피드-업(Speed Up) 콘덴서이고, 저항(R9)은 바이어스 저항이다. 이와같이 하여 출력된 박수신호에는 레벨비교부(11)에서 기준레벨과 입력신호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지터잡음 성분과 감지된 박수 소리의 주파수 성분이 산발적으로 존재하는데 따른 잡음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의 (가) 참조)
이와같은 레벨비교부(11)의 출력(제6도의 (가))은 지터제거부(12)에서 지터잡음이 제거된다.
즉,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ICI)의 포지티브 트리거 입력단(TGB)에 레벨비교부(11)의 출력 신호가 인가되면 그 비반전 및 반전출력단(Q) (/Q)의 출력신호는 제6도의 (나) 및 (다)에서와 같은 펄스신호가 저항(R10) 및 콘덴서 (C7)로 정해진 시간동안 안정된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이는 비반전 입력단(Q)의 출력신호를 네가티브 트리거 입력단(TGA)에 피이드백시켜 비반전 입력단(Q)의 폴링엣지에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ICI)가 트리거되어 타이머로 동작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타이머 시간동안 입력되는 지터잡음과 무관하게 안정된 박수검출신호를 반전출력단(/Q)에서 출력하게 된다.
이 박수검출신호는 후단의 카운터(13)와 카운터 제어부(14)에 입력된다. 카운터(13)는 JK플립플롭(IC3)(IC4)으로 구성된 2비트 2진 카운터로 동작하여 박수소리가 입력된 횟수를 00.10.01.11,00으로 카운트한다.
그리고 카운트 제어부(14)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IC2)와 저항(Rll) (Rl2) (Rl3) 및 콘덴서 (C9)(C10)으로 이루어진 타이머이고 박수검출신호가 콘센서 (C8)를 통해 포지티브 트리거 입력단(TGB)에 입력되면 타이머 동작을 시작한다.
즉, 박수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IC2)가 트리거되어 발전출력단(/Q)이 로우가 되고 콘덴서 (C9) 및 저항(Rl2)으로 정해진 시간동안 타이머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저항(Rl3) 및 콘덴서 (C10)로 정해지는 콘덴서(C10)의 방전시간이 경과되면 카운터 (13)의 리세트단(R)을 로우로 만들어서 카운터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정해진 규정시간 이내의 3회의 박수소리가 입력되어야 카운터 (13)가 11(3)을 카운트하게 된다.
먼저, 박수간격이 과도하게 길어져서 카운터 제어부(14)로 설정된 시간이내에 3회의 박수소리가 입력되지 못하면, 제7도의 (가)에서와 같이 입력된 박수검출신호에 의하여 콘덴서(C8) 및 저항(Rll)의 미분회로를 거쳐(나)도와 같은 트리거 펄스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IC2)의 트리거 입력단(TGB)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그 반전출력단(/Q)은(다)도와 같이 최초 입력단 박수검출 신호에 의하여 로우가 되었다가 타이머 시간이 경과되면 하이가 되어 (라)도와 같이 카운터 (13)를 리세트시키게 된다.
따라서 카운터(13)의 JK 플립플롭(IC3) (IC4)의 출력단은 각각 (마) 및 (바)에서와 같이 10(1회)만 카운트한후 0으로 리세트 되었다가 타이머 시간이후 입력된 박수소리를 10(1회)으로 카운트하게 된다.
다른 경우로 박수 입력횟수가 3회 미만인 경우에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도의 박수 검출신호에 의하여 (나)도와 같은 트리거 펄스가 단안정 멀티바이브체이터(IC2)에 입력되고. 그 반전출력단(/Q)에서는 (다)도와 같은 로우신호가 출력되어 (라)도와 같은 리세트 신호가 카운터 (13)에 인가되며 이 리세트 신호가 로우인 기간동안 JK플립플롭(IC3) (IC4)이 인에이블되어 각 출력단에서는 (마) 및 (바)도와 같이 10(1회), 1(2회)의 박수횟수를 카운트하게 된다. 또 다른 경우로 박수입력횟수가 3회를 초과(4회)하는 경우에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도의 박수검출신호에 의하여 (나)도와 같은 트리거 펄스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IC2)에 입력되고, 그 반전출력단(/Q)에서는 (다)도와 같은 로우신호가 출력되어 (라)도와 같은 리세트 신호가 카운터(13)에 인가되며 이 리세트 신호가 로우인 기간동안 JK플립플롭(IC3) (IC4)이 인에이블되어 각 출력단에서는 (마) 및 (바)도와 같이 10(1회), 1(2회), 11(3회), 0(4회)의 박수횟수를 카운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7도 내지 제9도에서와 같은 각 경우에는 공히 판단로직부(15)의 적어도 1개 이상의 다이오드(D2) (D3) (D4)에 정바이어스가 걸리게 된다.
즉, 판단로직부(15)는 카운터(13) 및 카운트 제어부(14)의 출력에 의하여 다이오드(D2) (D3) (D4)가 앤드게이트로 동작하므로 카운터 (13)출력이 11(3회)이고 카운트 제어부(14)의 출력이 1(하이)인 경우에만 역바이어스가 걸려 풀업저항(Rl4)을 통해 부저구동 타이머부(16)에 하이신호(트리거)가 인가되고 그 이외의 모든 경우(제7도 내지 제9도의 각 경우)에서는 트리거가 걸리지 않게 해준다.
따라서 카운트 제어부(14)에서 정해진 시간내에 카운터(13)가 3회의 박수소리를 카운트하는 경우에만 판단로직부(15)의 모든 입력이 1이 되고 그 출력 또한 1이 되어 부저구동 타이머부(16)가 동작하게 된다.
제10도는 이 경우의 카운트 동작 타이밍 관계를 보인 것이다.
즉, (가)도와 같은 박수검출신호에 의하여 (나)도와 같은 트리거 펄스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IC2)에 입력되고. 그 반전출력단(/Q)에서는 (다)도와 같은 로우신호가 출력되서 (라)도와 같은 리세트 신호가 카운터(13)에 인가되며 이 리세트 신호가 로우인 기간동안 JK플립플롭(IC3) (IC4)이 인에이블되어 각 출력단에서는 (아) 및 (바)도와 같이 10(1회), 1(2회). 11(2회),11(3회)의 박수횟수가 카운트된 값이 출력된다.
이와같이 카운트값이 11이 되고난후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IC2)의 반전출력단(/Q)이 (다)도와 같이 하이가 되면 저항(R13) 및 콘덴서 (C10)의 충전시간이 경과되어 카운터(13)가 리세트되므로 이 기간(카운트 제어부(14)의 출력이 하이가 되고부터 카운터 (13)가 리세트되기까지) 동안만 앤드게이트를 이루는 판단로직부(15)의 출력이 (사)도와 같이 하이가 된다.
이와같이 하이신호(트리거 펄스)가 부저구동 타이머부(16)에 입력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IC5)가 트리거되어 저항(Rl5) 및 콘덴서 (Cll)로 설정된 시간동안 비반전 출력단(Q)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된다.
제11도의 (가)는 트리거 펄스를, (나)는 이에의한 부저구동 타이머부(16)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이하이신호 출력기간동안만 응답음을 발생시켜주게 된다.
즉, (나)도와 같이 부저구동 타이머부(16)출력이 하이가 되면 단속음 출력제어부(17)의 다이오드(D5)에 역바이어스가 걸리게 되고, 이에따라 저항(Rl7)을 통해 콘덴서(Cl3)가 충전되어 충전 전위가 트리거 레벨에 도달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IO(c6)가 트리거되며 이에 의하여 (다)와 같이 그 비반전 출력단(Q)에서는 저항(Rl6) 및 콘덴서 (Cl2)로 정해지는 시간동안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반전출력단(/Q)에서는 로우신호가 출력 된다.
이때 콘덴서(Cl3)에 충전된 전압은 저항(Rl7)을 통해 방전된다
저항(Rl6)과 콘덴서(Cl2)로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비반전 출력단(Q)은 로우, 반전출력단(/Q)은 하이가 되므로 콘덴서 (Cl3)가 다시 충전되고 충전전위가 트리거 레벨에 도달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IC6)가 트리거되어 비반전 출력단(Q)은 하이, 반전출력단(/Q)은 로우가 되는 동작을 제11도의 (나) 및 (다)와 같이 부저구동 타이머부(16) 출력이 하이인 기간동안 반복하게 된다.
즉, 단속음 출력제어부(17)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트로 동작하여(다)도와 같은 구형파 발진펄스를 출력하게 된다.
이 구형파 발진펄스는 발진부(18)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시켜 (라)도와 같이 단속적인 발진신호의 출력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즉. 발진부(18)는 구형파 입력신호가 하이인 기간동안 다이오드(D6)에 역바이어스가 걸려 저항(Rl8)(Rl9)(R20) 및 콘덴서(Cl4)로 정해진 주파수에 따라 연산증폭기(A4)의 출력단에서 소정 주파수의 발진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구형파 입력신호가 로우인 기간동안 다이오드(D6)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걸려 연산증폭기(A4)에 반전입력단(-)이 로우레벨이 되므로 발진동작을 중간하게 된다.
따라서 발진부(18)에서는 단속적인 발진신호가 출력되고 이와같이 발진신호가 출력될때 트랜지스터(Q1)가 온/오프되어 마이크/스퍼커(8)로 단속적인 응답음이 출력되는 것이다. 즉, 발진부(18) 출력이 하이인 기간동안은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마이크/스피커(8)로는 발진음이 출력되지 않게 되어 박수소리의 입력이 가능하게 되고, 발진부(18) 출력이 로우인 기간동안 트랜지스터(Q1)가 온 되어 마이크/스퍼커(8)로 응답음이 출력되어 입/출력 상호간섭이 배제되면서 마이크/스퍼커 (8)를 박수소리의 입력과 응답음 출력으로 겸용하게 된다.
저항(R2l)은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바이어스 저항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리모콘 서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박수소리 이외의 잡음입력시에 카운터수단(다)의 카운트 동작을 중단시켜주는 오동작 방지수단 (마)을 포함한다
제13도 및 14도는 상기 제12도에 나타낸 실시예 회로구성의 상세 구성도로서 상기 제 2도 내지 제11도에 의한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리모콘 키이 조작시에 전원선을 따라 유입되는 잡음이나 또는 리모콘 사용중 진동에 의한 잡음으로부터 안정된 동작을 보장해주고 보다 더 간소화된 회로구성을 제시한다.
즉, 상기 잡음제거수단(나)은 박수 입력신호가 주로 분포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성분만을 통과시켜주는 대역통과 필터부(10)와, 필터링된 신호를 검파하여 트리거 신호로 후단에 공급하는 검파부(11A)와, 검파된 트리거 신호에 의하여 소정시간동안 후단의 카운터수단(다) 및 오동작 방지수단(마)을 동작시켜주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부(12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응답음 발생수단(라)은 입력 박수소리가 규정치에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로직부(15)와, 판단결과에 따라 응답음 발생시간을 통제하는 부저구동 타이머부(16)와, 타이머 설정시간동안 단속적인 응답음을 발생시켜 스퍼커 (8)로 출력시키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부(17A)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오동작 방지수단(마)은 박수 또는 잡음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잡음제거수반(나) 출력 신호폭의 차이에 대응하여 카운트 제어부(14)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어해주는 진동에 의한 오동작 방지부(20A)와, 리모콘 키이조작에 따른 적외선 신호출력부 동작시에 상기 카운트 제어부(14)를 디스에이블시켜주는 키이누름에 의한 오동작 방지부(20B)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부호 R22 내지 R36은 저항, Cl5 내지 C23은 콘덴서, A5 및 A6은 연산증폭기, IC7 및 IC10내지 IC12는 멀티바이브레이터 IC, IC8 및 IC9는 플립플롭, D7 내지 Dll은 다이오드, IRD는 적외선 다이오드, Q2는 트랜지스터, VCC는 전원, IN은 리모콘 마이컴으로부터의 키이코드 신호 입력단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리모콘 서치장치에서의 리모콘 서치동작은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제15도의 (가)와 같이 정상적인 박수신호가 입력되었을때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IC(IC7)의 출력단(/Q)에서 제15도의 (나)와 같은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따라 콘덴서(C23)가 제15도의 (다)와 같이 방전하게 되며, 그 방전레벨은 로우 트리거 레벨(ref)에 도달하지 못한다.
도면에서 T는 설정된 출력 펄스폭이고 박수신호의 폴링엣지에서 재트리거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정상적인 박수신호보다 입력시간이 긴 신호 즉, 리모큰 키이조작시의 전원선을 타고 유입되는 잡음이나 리모콘 사용중 진동에 의한 잡음이 제16도의 (가)와 같이 입력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IC(IC7)의 출력단(/Q) 신호는 제16도의 (나)와 같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따라 콘덴서(C23)의 방전레벨이 제16도의 (다)와 같이 로우 트리거 레벨(ref) 이하가 되므로 이 순간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IC(IC10)의 칩 디스에이블단(CD)에 디스에이블 신호가 걸리게 된다.
다른 경우로 리모콘 키이를 조작하게 되면 리모콘 마이컴으로부터 키이코드신호가 적외선 출력부의 트랜지스터 (Q2) 베이스에 입력되고, 이에따라 그 콜렉터 전위가 로우가 되어 콘덴서(C24)를 통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트 IC(IC10)의 칩 디스에이블단(CO)에 디스에이블 신호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경우에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IC(IC10)가 디스에이블되어 그 출력단(Q)이 로우가 되므로 카운터(13) 또한 디그에이블되어 잡음을 카운트하는 오동작 수행을 방지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청주파수 대역의 박수소리를 이용하여 리모콘을 찾아낼 수 있으므로 대기시의 리모콘측 소비전류를 40㎂ 이하로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저소비전력의 회로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응답요구용 송신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리모콘 서치장치 구성에 편리를 기할수 있고 넓은 장소에 걸쳐 배회하면서 박수를 쳐주는 동작만으로 리모큰 송신기가 응답하므로 공간적 제약의 극복이 가능하고 규정된 시간, 음압, 횟수를 만족할때만 응답하므로 여타 잡음으로부터의 오동작을 극복하여 기기동작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따른 품질향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박수소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스퍼커를 통해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 서치에 대한 응답요구 정보로서 박수소리를 입력으로 받아들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입력된 박수 소리에 대한 응답신호의 출력수단이 되는 입/출력수단과, 박수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박수신호가 주로 분포된 대역만을 분리하여 박수신호를 검출하는 잡음제거 수단과, 잡음제거된 박수신호를 규정된 시간내의 입력횟수로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과, 카운트 결과가 규정치를 만족하는 경우에 리모콘 서치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는 응답음을 발생수단과, 상기 입/출력수단이 입력 또는 출력수단으로 동작 가능하게 전환시켜주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 리모콘 서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제거수단은 박수입력신호가 주로 분포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성분을 통과시켜주는 대역통과필터부(10)와, 필터링된 신호레벨을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주는 레벨비교부(11)와, 박수소리의 횟수에 대응하는 카운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레벨비교된 신호에 포함된 지터잡음을 제거하여 주는 지터제거부(12)로 구성된 리모콘 서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수단은 잡음제거된 박수신호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13)와, 규정치의 박수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하여 박수소리가 연속적으로 입력되어야 할 규정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터(13)를 동작시켜주는 카운트 제어부(14)로 구성된 리모콘 서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응답음 발생수단은 입력 박수소리가 규정치에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로직부(15)와, 판단결과에 따라 응답을 발생시간을 통제하는 부저구동 타미어부(16)와, 타이머 설정시간 동안 응답음이 단속음으로 출력되게 제어하는 단속음 출력제어부(17)와, 단속음 출력제어를 받아 일정 주파수의 리모콘 서치 응답음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발진부(18)로 구성된 리모콘 서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필터부(10)는 신호증폭과 박수소리 주파수의 필터링을 위한 연상증폭기(A2)와, 박수소리의 필터링 대역을 정해주는 콘덴서(C2) (C3)(C4) 및 저항(R3)(R4) (VR2)을 포함하는 액티브 필터로 구성한 리모콘 서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레벨비교부(11)는 입력신호를 검파 및 적분하는 회로(Dl) (R5) (R6)(C5)와, 적분된 신호를 일정한 음압레벨에 대응하는 값과 비교하여 박수소리를 비교, 검출해내는 연산증폭기(A3)로 구성한 리모콘 서치장치 .
  7. 제2항에 있어서, 지터제거부(12)는 입력신호에 의하여 트리거되고 트리거 이후 일정시간 동안은 트리거 입력에 관계없이 안정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성한 리모콘 서치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카운터(13)는 2비트 2진 카운터로 하여 3회의 박수소리 카운터로 구성하고 카운터 제어부(14)는 최초 박수검출신호가 입력되면 규정된 일정시간 동안만 카운터를 인에이블시키는 타이머로 구성한 리모콘 서치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판단로직부(15)는 앤드게이트로 구성한 리모콘 서치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단속음 출력제어부(17)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서한 리모콘 서치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발진부(18)의 출력이 있는 경우 입/출력수단에 발진신호를 공급하고 발진부(18)의 출력이 없는 기간에는 입/출력수단을 발진부(18)의 출력단과 분리시켜주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한 리모콘 서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박수소리 이외의 잡음입력시에 카운터 수단의 카운터 동작을 중단시켜주는 오동작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리모콘 서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제거수단은 박수 입력신호가 주로 분포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성분만을 통과시켜주는 대역통과 필터부(10)와, 필터링된 신호를 검파하여 트러거 신호로 후단에 공급하는 검파부(11A)와, 검파된 트리거 신호에 의하여 소정시간동안 후단의 카운터수단 및 오동작 방지수단을 동작시켜주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부(12A)로 구성된 리모콘 서치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음 발생수단은 입력 박수소리가 규정치에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로직부(15)와, 판단결과에 따라 응답음 발생시간을 통제하는 부저구동 타이머부(16)와. 타이머 설정시간동안 단속적인 응답음을 발생시켜 입/출력수단의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부(17A)로 구성된 리모콘 서치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동작 방지수단은 박수 또는 잡음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잡음 제거수단의 출력 신호폭의 차이에 대응하여 카운트 제어부(14)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어해주는'진동에 의한 오동작 방지부(20B)와, 리모콘 키이조작에 따른 적외선 신호 출력부 동작시에 상기 카운트 제거부(14)를 디스에리블 시켜주는 키이 누름에 의한 오동작 방지부(2OB)로 구성된 리모콘 서치장치.
KR1019920020128A 1992-05-26 1992-10-30 리모콘 서치장치 KR960008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128A KR960008435B1 (ko) 1992-05-26 1992-10-30 리모콘 서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8937 1992-05-26
KR920008937 1992-05-26
KR1019920020128A KR960008435B1 (ko) 1992-05-26 1992-10-30 리모콘 서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530A KR930024530A (ko) 1993-12-22
KR960008435B1 true KR960008435B1 (ko) 1996-06-26

Family

ID=1933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128A KR960008435B1 (ko) 1992-05-26 1992-10-30 리모콘 서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54370A (ko)
KR (1) KR960008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5223A1 (en) * 1994-01-28 1995-08-0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Antitumor agent, novel 3(2H)-pyridazinone derivatives and their preparation
JP2004031508A (ja) 2002-06-24 2004-01-29 Nec Corp 光電気複合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モジュールを構成要素とする光入出力装置
WO2020227955A1 (zh) * 2019-05-15 2020-11-1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声音识别方法、交互方法、声音识别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可移动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54370A (ja) 1994-02-25
KR930024530A (ko) 199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8553A (en) Apparatus for warning of approaching emergency vehicle and method of warning motor vehicle operators of approaching emergency vehicles
US4531237A (en) Energy conservation circuit for standby operation
US6100814A (en) Remote control wake up detector system
US5994689A (en) Photoelectric cell with stabilised amplification
US5680102A (en) RF data communication link for wireless audible indication system
KR910004438B1 (ko) 알람시계 혹은 타이머용 알람중단장치
US5680112A (en) Wireless audible indication system with battery status indicator
US4037141A (en) Energy conservation system
KR960008435B1 (ko) 리모콘 서치장치
US5568122A (en) Wireless audible indication system with low power signal processing
US4350971A (en) Circuit for use in the detection of the condition of an isolated switch contact
JP4018372B2 (ja) コンパレータ回路および赤外線信号受信装置
JPH0666701B2 (ja) 信号処理装置
US5220613A (en) Audio amplifier circuit
KR20000036046A (ko) 데이터 전송중 메인-동기 간섭신호를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
US5371800A (en) Speech detection circuit
KR100575351B1 (ko)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는 적외선 수신장치
CA1227573A (en) Adaptive speech detector system
JP3558969B2 (ja) キャリア検出回路
KR100365435B1 (ko)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
JPH0693632B2 (ja) 送信機
JPH04303900A (ja) 音声検出装置
JPH04135398A (ja)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フォンシステム
KR920007018Y1 (ko) 종속제품의 전원자동 온/오프 장치
JPS5919495B2 (ja) シヨツクノイズ防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5201003051;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