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435B1 -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65435B1 KR100365435B1 KR1020000069623A KR20000069623A KR100365435B1 KR 100365435 B1 KR100365435 B1 KR 100365435B1 KR 1020000069623 A KR1020000069623 A KR 1020000069623A KR 20000069623 A KR20000069623 A KR 20000069623A KR 100365435 B1 KR100365435 B1 KR 1003654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acitor
- charging
- voltage
- current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칩 내부에 캐패시터를 형성하고,
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매우 작게 하여 내부 캐패시터의 충방전 시간을 외부 캐패시터의 경우와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기존의 외부 캐패시터를 칩 내부에 집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는 캐패시터와 내부 캐패시터, 제 1 및 제 2 비교 수단, 내부 캐패시터 충전 수단, 내부 캐패시터 방전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부 캐패시터는 칩 내부에 집적되는데, 충전된 전압이 가변이득 제어전압으로 사용된다. 제 1 비교 수단은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와 동작점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가 동작점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캐패시터를 충전하고,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가 동작점 기준 전압보다 크면 캐패시터를 방전한다. 제 2 비교 수단은 제 1 충전 전류와 제 1 방전 전류를 발생시키고,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과 바이어스 전압을 비교하여 바이어스 전압이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보다 크면 제 1 충전 전류를 발생시키며,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이 바이어스 전압보다 크면 제 1 방전 전류를 발생시킨다. 내부 캐패시터 충전 수단은 제 1 충전 전류에 의해 활성화되어 제 2 충전 전류를 발생시킨다. 내부 캐패시터 방전 수단은 제 1 방전 전류에 의해 활성화되어 제 2 방전 전류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모콘 수신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모콘 송수신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모콘 송신부(102)는 키 입력부(106)와 펄스 발생기(108), 변조기(110), 발광 다이오드(LED)(112) 등으로 구성되고, 리모콘 수신부(104)는 포토 다이오드(126)와 리모콘 신호 수신 회로(116), 중앙처리장치(MCU)(118) 등으로 구성된다. 리모콘 송신부(102)는 리모콘 내에 위치하며, 리모콘 수신부(104)는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기기 내에 위치한다.
먼저, 리모콘 송신부(102)에서 키 입력부(106)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키 입력이 발생하는 장치이다. 키 입력이 발생하면 펄스 발생기(108)에서는 해당 키에 대응하는 소정의 펄스 열(120)을 발생시킨다. 변조기(110)는 펄스 열(120)을 입력받아 진폭 편이 변조 방식인 ASK(Amplitude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한 변조 신호(122)를 발생시키는데, ASK 변조 방식에서는 펄스 열의 논리 1 구간에 일정한 주파수(f_o)를 곱하여 변조한다. 발광 다이오드(LED)(112)는 변조 신호(122)를 적외선 신호로 바꾸어 방사한다.
리모콘 수신부(104)에서 포토 다이오드(126)는 리모콘 송신부(102)의 발광 다이오드(122)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리모콘 신호 수신 회로(116)에 전달한다. 리모콘 신호 수신 회로(116)는 포토 다이오드(126)를 통해 수신된 적외선 신호(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원래의 펄스 열을 복원한다. 복원된 펄스 열은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기기의 중앙처리장치(MCU)(118)에 전달되고, 중앙처리장치(118)는 이를 통하여 최초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리모콘 송수신부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의 (1)은 펄스 발생기(108)에서 출력되는 펄스 열(122)로서 액티브 하이(active high)이고, (2)는 변조기(110)에서 출력되는 변조 신호(122)이며,(3)은 리모콘 신호 수신부(104)의 리모콘 신호 수신 회로(116)에서 출력되는 복조된 펄스 열(124)로서 액티브 로우(active low) 신호이다. 도 (b)는 리모콘 신호 송신부(102)에서 리모콘 신호 수신부(104)로 전송되는 리모콘 신호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낸 것인데, 하나의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첫 번째 프레임(#1)의 전송이 완료된 다음 3 프레임 크기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두 번째 프레임(#2)의 전송이 시작된다. 즉 하나의 프레임 시간이 T일 때 프레임 전송 주기는 4T가 된다.
리모콘 신호 수신 회로(116)에서 자동 이득 제어부(310)는 가변 이득 증폭기(304)로 하여금 리모콘 신호에 대해서는 가변이득 제어전압(326)의 변화가 없도록 하여 이득의 변화 없이 증폭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잡음 신호에 대해서는 가변이득 제어전압(326)을 높여줌으로써 이득을 감소시키게 한다.
리모콘 신호는 일반적으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3프레임 시간(3T)에 해당하는 블랭크(blank) 구간이 존재하므로, 프레임 구간에서 충전하고 블랭크 구간에서 방전함으로써 가변이득 제어전압(326)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러나 외부 잡음은 블랭크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존재하므로 가변이득 제어전압(326)을 증가시켜서 가변 이득 증폭기(304)의 이득을 감소시킨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리모콘 신호 수신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리모콘 신호 수신 회로(116)는 전치 증폭기(302)와 가변이득 증폭기(304), 대역통과필터(306), 비교기(308), 자동 이득제어부(310), 파형 검출부(312), 파형 정형부(314) 등으로 구성된다.
전치 증폭기(302)는 포토 다이오드(114)를 통해 수신된 미약한 신호를 약 45dB 증폭한다.
전치 증폭기(302)에서 증폭된 신호는 가변이득 증폭기(304)를 거치는데, 이 가변이득 증폭기(304)는 수신 신호와 외부잡음의 크기에 따라 이득이 가변적이다.
대역통과필터(306)는 주파수가 f_o인 신호만을 통과시키는데, 이 주파수 f_o은 리모콘 신호 송신부(102)의 변조기(110)에서 펄스 열(120)에 곱해진 주파수이다. 즉, 대역통과필터(306)에서 실질적인 복조가 이루어진다.
자동 이득 제어부(310)는 대역통과필터(306)를 통과한 신호의 종류에 따라 가변이득 증폭기(304)의 가변 폭을 제어한다. 대역통과필터(306)를 통과한 신호가 리모콘 신호이면 가변이득 증폭기(304)의 이득을 변화시키지 않고, 외부 잡음이면 외부 캐패시터(320)의 충전 전압을 높여서 가변이득 증폭기(304)의 이득을 감소시킨다. 외부 캐패시터(320)는 칩 외부에 탑재되는 개별 소자이다. 가변이득 증폭기(304)의 이득은 자동 이득 제어부(310)로부터 피드백 되는 제어 신호의 전압이 0∼수십㎷일 때 최대이고, 제어 신호의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외부 캐패시터(320)의 충방전을 통해 가변이득 증폭기(304)의 이득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즉, 자동 이득 제어부(310)는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322)의 진폭과 동작점 기준전압(324)을 비교하여 필터 출력이 동작점 기준전압(324)보다 크면 외부 캐패시터(320)를 충전하여 전압을 높인다(이득 감소). 반대로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322)가 동작점 기준전압(324)보다 작으면 외부 캐패시터(320)를 방전하여 전압을 낮춘다(이득 증가). 상술한 동작점 기준전압(324)은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322)의 직류 레벨로부터 만들어진다.
비교기(308)는 자동 이득 제어부(310)로부터 잡음제거 기준전압(328)과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322)의 진폭을 비교하여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322)의 진폭이 잡음제거 기준전압(328)보다 큰 경우에만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322)를 파형 검출부(312)에 전달한다. 상술한 각 신호들의 대소 관계는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의 직류 레벨)<(동작점 기준전압)<(잡음제거 기준전압)<<(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의 직류 레벨+Vt)이다.
파형 검출부(312)는 일종의 적분기로서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322)의 파형을 원래의 펄스 신호(도 1의 120)와 가깝게 복원하고, 파형 정형부(314)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로서 일차 복원된 펄스 신호를 원래의 펄스 신호에 더욱 가깝게 복원한다.
도 4는 종래의 자동 이득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드(452)의 전압이 VCC-2Vt로 바이어스 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역통과필터(306)에서의 출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322)가 동작점 기준전압(324)보다 작다. 따라서 트랜지스터(404)(414)가 턴 온되고, 트랜지스터(406)(420)는 턴 오프되어 트랜지스터(416)의 콜렉터 전류가 캐패시터(422)를 VCC-0.2V까지 충전한다.
캐패시터(422)가 충전됨에 따라 이제는 트랜지스터(424)(428)(434)(442)(446)가 턴 온되고, 반대로 트랜지스터(426)(430)(416)(444)가 턴 오프된다. 이때 트랜지스터(414)는 계속 턴 오프되어 있고, 이 때문에 캐패시터(422)의 전압은VCC-0.2V로 계속 유지된다. 또, 트랜지스터(446)는 턴 온되어 있고, 트랜지스터(444)는 턴 오프되어 있으므로 턴 온되어 있는 트랜지스터(446)를 통한 외부 캐패시터(320)의 방전이 이루어져 가변이득 제어전압(326)의 레벨이 낮게 유지된다(이득 증가).
이득이 증가하여 대역통과필터(306)에서 출력이 발생하면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322)가 동작점 기준 전압(324)보다 커진다. 이때 트랜지스터(404)(414)는 턴 오프되고, 트랜지스터(406)(420)는 턴 온되어 캐패시터(422)의 충전 전압이 저항(418)을 통해 방전되고 외부 캐패시터(320)의 전위가 접지(GND) 레벨이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424)(428)(434)(442)(446)가 다시 턴 오프되고, 반대로 트랜지스터(426)(430)(416)(444)는 다시 턴 온되며, 턴 온된 트랜지스터(444)의 콜렉터 전류에 의해 외부 캐패시터(320)가 충전되어 가변이득 제어전압(326)의 레벨은 상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대역통과필터(306)의 출력에 따라 외부 캐패시터(320)의 충전 전압 레벨 즉 가변이득 제어전압(326)의 레벨이 변화하여 가변이득 증폭기(304)의 이득이 가변 제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자동 이득 제어부의 각 부 출력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5(1)에는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322)와 직류 신호인 동작점 기준 전압(324)이 도시되어 있다. 도 5(2)는 도 4의 회로도의 캐패시터(422)의 충전 전압(V454)을 도시하였고, 도 5(3)은 외부 캐패시터(320)의 충전 전압 즉 가변이득 제어전압(326)을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322)가 발생할때마다 외부 캐패시터(320)의 충전 전압인 가변이득 제어전압(326)이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리모콘 신호 수신부는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하여 매우 큰 용량의 캐패시터를 필요로 하는데, 칩 내부에 형성시킬 수 있는 캐패시터의 크기가 제한적이므로 칩 외부에 개별 소자 형태의 캐패시터를 채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칩을 몰딩할 때 외부 캐패시터의 크기 때문에 패키지가 매우 커지는 문제가 있다. 즉, 외부 캐패시터의 크기 때문에 칩의 몰딩 사이즈가 커지면 집적회로의 가장 큰 특징인 "소형"의 이점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부는 칩 내부에 캐패시터를 형성하고, 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매우 작게 하여 내부 캐패시터의 충방전 시간을 외부 캐패시터의 경우와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기존의 외부 캐패시터를 칩 내부에 집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부는 캐패시터와 내부 캐패시터, 제 1 및 제 2 비교 수단, 내부 캐패시터 충전 수단, 내부 캐패시터 방전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부 캐패시터는 칩 내부에 집적되는데, 충전된 전압이 가변이득 제어전압으로 사용된다.
제 1 비교 수단은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와 동작점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가 동작점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캐패시터를 충전하고,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가 동작점 기준 전압보다 크면 캐패시터를 방전한다.
제 2 비교 수단은 제 1 충전 전류와 제 1 방전 전류를 발생시키고,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과 바이어스 전압을 비교하여 바이어스 전압이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보다 크면 제 1 충전 전류를 발생시키며,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이 바이어스 전압보다 크면 제 1 방전 전류를 발생시킨다.
내부 캐패시터 충전 수단은 제 1 충전 전류에 의해 활성화되어 제 2 충전 전류를 발생시킨다.
내부 캐패시터 방전 수단은 제 1 방전 전류에 의해 활성화되어 제 2 방전 전류를 발생시킨다.
도 1은 일반적인 리모콘 송수신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리모콘 송수신부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리모콘 신호 수신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4는 종래의 자동 이득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종래의 자동 이득 제어부의 각 부 출력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원(602)과 트랜지스터(604)(606)(608)(610)가 전류 미러 차동 증폭기를 형성하여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672)와 동작점 기준전압(674)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672)의 발생 여부를 검출한다.
트랜지스터(614)(620)는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672)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보적(complementary)으로 온/오프된다.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672)가 발생하지 않으면 차동 증폭기의 트랜지스터(604)와 함께 트랜지스터(614)가 턴 온된다. 트랜지스터(614)가 턴 온됨으로써 트랜지스터(620)는 턴 오프되어 캐패시터(622)의 방전 경로는 차단된다. 반대로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672)가 발생하면 차동 증폭기의 트랜지스터(606)가 턴 온되고 트랜지스터(614)는 턴 오프된다. 트랜지스터(614)가 턴 오프됨으로써 트랜지스터(620)는 턴 온되어 캐패시터(622)의 방전 경로가 형성된다.
캐패시터(622)의 충전 전압은 또 다른 전류 미러 차동 증폭기에 의해 노드(676)의 바이어스 전압과 비교된다. 트랜지스터(624)(626)(628)(630)와 전류원(632)이 또 다른 전류 미러 차동 증폭기를 형성하여 노드(676)에서 제공되는 VCC-2Vt의 바이어스 전압과 캐패시터(622)의 충전 전압의 차를 검출하여 증폭한다.
노드(676)의 전압이 VCC-2Vt로 바이어스 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672)가 발생하지 않으면 동작점 기준전압(674)이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672)보다 더 크다. 따라서 트랜지스터(604)(614)가 턴 온되고, 트랜지스터(606)(620)는 턴 오프되어 트랜지스터(616)의 콜렉터 전류가 캐패시터(622)를 VCC-0.2V까지 충전한다.
캐패시터(622)가 충전됨에 따라 이제는 트랜지스터(624)(628)(634)(642)(646)가 턴 온되고, 반대로 트랜지스터(626)(630)(616)(644)가 턴 오프된다. 이때 트랜지스터(614)는 계속 턴 오프되어 있고, 이 때문에 캐패시터(622)의 전압은 VCC-0.2V로 계속 유지된다.
이득이 증가하여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672)가 발생하면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672)가 동작점 기준 전압(674)보다 커진다. 이때 트랜지스터(604)(614)는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606)(620)는 턴 온되어 캐패시터(622)의 충전 전압이 저항(618)을 통해 방전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624)(628)(634)(642)(646)가 다시 턴 오프되고, 반대로 트랜지스터(626)(630)(616)(644)는 다시 턴 온되며, 턴 온된 트랜지스터(644)의 콜렉터 전류에 의해 내부 캐패시터(678)가 충전되어 가변이득 제어전압(680)의 레벨은 상승한다.
결과적으로,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672)가 발생하지 않으면 캐패시터(622)가 충전되어 트랜지스터(646)가 턴 온되고, 반대로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672)가 발생하면 캐패시터(622)가 방전되어 트랜지스터(644)가 턴 온된다.
도 6에서, 내부 캐패시터 충전 회로(668)와 내부 캐패시터 방전 회로(670)의 동작은 상술한 트랜지스터(644)(646)의 온/오프 동작과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내부 캐패시터 충전 회로(668)는 트랜지스터(644)(648)(650)(652)와 부하 저항(654)(656)으로 구성되는 차동 증폭기이다. 종래의 경우 트랜지스터(644)만이 캐패시터의 충전에 관여하던 것이 내부 캐패시터 충전 회로(668)를 구성하는 차동 증폭기 전체가 내부 캐패시터(678)의 충전에 관여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부하 저항(658)(660)과 트랜지스터(662)(664)(666)(646)로 구성되는 차동 증폭기 회로인 내부 캐패시터 방전 회로(670)가 내부 캐패시터(678)의 방전에 관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신호 수신 회로의 자동 이득 제어부에서, 기존의 외부 캐패시터를 칩 내부에 집적화 시키기 위해서는 캐패시터의 크기가 적어도 1/100 정도로 감소되어야 하고, 이 때문에 충전 용량 역시 수십 ㎋에서 수백 ㎊로 감소한다. 따라서 내부 캐패시터(678)의 충전 전류도 같은 비율인 1/100으로 감소해야만 고유의 시정수가 유지되어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때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를 안정적으로 확보해 트랜지스터의 전류 이득(Hfe)이 안정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류 이득(Hfe)은 베이스 전류에 따른 콜렉터 전류의 크기를 나타낸다. NPN 트랜지스터는 콜렉터 전류에 따른 전류 이득(Hfe)이 거의 일정한 반면, PNP 트랜지스터는 전류 이득(Hfe)의 변화가 매우 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부는 칩 내부에 집적된 내부 캐패시터(678)의 충방전 전류의 크기를 기존의 1/100으로 감소시키고 또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콜렉터 전류보다 더 작은 크기의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미세 전류와 기존의 콜렉터 전류의 차를 이용하여 내부 캐패시터(678)를 충방전 시킨다.
그림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충전 전류(I1)가 미러링되어 트랜지스터(644)(648)의 콜렉터에 동일하게 흐른다. 트랜지스터(644)의 콜렉터 전류는 트랜지스터(652)의 콜렉터 전류와 동일하고, 트랜지스터(650)의 콜렉터 전류는 트랜지스터(652)의 콜렉터 전류에 두 저항(654)(656)의 비(R656/R654)를 곱한 값의 전류가 흐른다. 즉, 트랜지스터(650)의 콜렉터 전류는 (I1×R656)/R654가 된다. 그러므로 기존의 충전 전류의 1/100 크기의 제 2 충전 전류(I3)를 내부 캐패시터(678)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두 저항(654)(656)의 크기를 R654=0.99R656으로 하여 트랜지스터(648)의 콜렉터 전류가 1일 때 트랜지스터(650)의 콜렉터 전류가 99가되도록 한다. 이 경우 내부 캐패시터(678)를 충전하는 제 2 충전 전류 I3은이 된다.
내부 캐패시터 방전 회로(670)에서도 제 2 방전 전류(I4)의 크기가 제 1 방전 전류(I2)의 1/100의 크기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저항(658)(660)의 크기의 비를 R660=0.99R658이 되도록 한다. 이때 제 2 방전 전류(I4)는가 된다.
위에 언급한 내부 캐패시터의 충방전 전류는 칩 내부에 집적되는 내부 캐패시터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내부 캐패시터 충전 회로(668)의 저항 비와 내부 캐패시터 방전 회로(670)의 저항 비는 내부 캐패시터(678)의 용량에 따른 적절한 충전 전류(I3)와 방전 전류(I4)를 발생시키도록 그 비율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신호 수신 회로의 자동 이득 제어부는 캐패시터의 충방전 전류를 기존의 충방전 전류보다 크게 줄임으로써 외부에 연결되었던 큰 용량의 외부 캐패시터 대신 매우 작은 용량의 캐패시터를 칩 내부에 집적화 시켜서 칩의 몰딩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
-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서,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되는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와 동작점 기준 전압을 입력받아 비교하여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이득 제어전압을 발생시키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는,캐패시터와;칩 내부에 집적되고, 충전된 전압이 상기 가변이득 제어전압인 내부 캐패시터와;상기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와 상기 동작점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가 상기 동작점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캐패시터를 충전하고, 상기 대역통과필터 출력 신호가 상기 동작점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캐패시터를 방전하는 제 1 비교 수단과;제 1 충전 전류와 제 1 방전 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과 바이어스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압이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보다 크면 제 1 충전 전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이 상기 바이어스 전압보다 크면 제 1 방전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 2 비교 수단과;상기 제 1 충전 전류에 의해 활성화되어 제 2 충전 전류를 발생시키는 내부 캐패시터 충전 수단과;상기 제 1 방전 전류에 의해 활성화되어 제 2 방전 전류를 발생시키는 내부 캐패시터 방전 수단을 포함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캐패시터 충전 수단은,제 1 부하 저항과 제 2 부하 저항을 갖는 전류 미러 회로로 구성되고;상기 제 1 충전 전류에 상기 제 1 부하 저항과 상기 제 2 부하 저항의 비를 곱한 크기의 제 2 충전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인 리모콘 신호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캐패시터 방전 수단은,제 3 부하 저항과 제 4 부하 저항을 갖는 전류 미러 회로로 구성되고;상기 제 1 방전 전류에 상기 제 1 부하 저항과 상기 제 2 부하 저항의 비를 곱한 크기의 제 2 방전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인 리모콘 신호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9623A KR100365435B1 (ko) | 2000-11-22 | 2000-11-22 |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9623A KR100365435B1 (ko) | 2000-11-22 | 2000-11-22 |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9808A KR20020039808A (ko) | 2002-05-30 |
KR100365435B1 true KR100365435B1 (ko) | 2002-12-18 |
Family
ID=1970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69623A KR100365435B1 (ko) | 2000-11-22 | 2000-11-22 |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6543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5089A (ko) * | 1993-07-27 | 1995-02-18 | 김광호 | 리모콘 수신용 전치증폭기(preamp) |
JPH07184261A (ja) * | 1993-12-22 | 1995-07-21 | Opt Kk | テレコントロール用受信機 |
JPH0984142A (ja) * | 1995-09-19 | 1997-03-28 | Seiko Instr Inc | リモコン受信回路 |
KR19980026878A (ko) * | 1996-10-11 | 1998-07-15 | 김광호 | 리모콘 수신용 집적회로의 신호 검출 및 적분장치 |
-
2000
- 2000-11-22 KR KR1020000069623A patent/KR10036543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5089A (ko) * | 1993-07-27 | 1995-02-18 | 김광호 | 리모콘 수신용 전치증폭기(preamp) |
JPH07184261A (ja) * | 1993-12-22 | 1995-07-21 | Opt Kk | テレコントロール用受信機 |
JPH0984142A (ja) * | 1995-09-19 | 1997-03-28 | Seiko Instr Inc | リモコン受信回路 |
KR19980026878A (ko) * | 1996-10-11 | 1998-07-15 | 김광호 | 리모콘 수신용 집적회로의 신호 검출 및 적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9808A (ko) | 2002-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98664A (en) | Offset cancelling amplifier circuit having Miller integrator as offset detector | |
KR100265064B1 (ko) | 파형정형회로 및 이를 사용하는 적외선 데이터 통신장치 | |
US608155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power operation with high sensitivity in a communications receiver | |
JPH06232917A (ja) | デジタルデータ受信機 | |
JPH06310937A (ja) | ディジタル受信器の自動オフセット制御回路 | |
US7054389B2 (en) | Carrier detection circuit and infrared ray remote control receiver | |
US6359517B1 (en) | Photodiode transimpedance circuit | |
US4446443A (en) | Amplifier having reduced power dissipation and improved slew rate | |
US5679953A (en) | Automatic threshold setting circuit | |
US7299022B2 (en) | Carrier detecting circuit and infrared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 |
US6480311B1 (en) | Peak-hold circuit and an infrared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with such a circuit | |
KR20010021687A (ko) | 전자 기기를 위한 웨이크업 회로 | |
JP2005101798A (ja) | 光空間通信用受信回路 | |
KR100365435B1 (ko) | 리모콘 수신부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 | |
JP3305534B2 (ja) | 赤外線受信機 | |
EP0939504B1 (en) | Infrared signal receiver with attenuating circuit | |
KR200179443Y1 (ko) | 적외선 수신장치 | |
US20030112037A1 (en) | Comparator circuit and infrared signal receiving apparatus | |
US5113068A (en) | Photoelectrical sensor with multistaged, filtered amplifier circuit | |
KR100802518B1 (ko) | 이득 제어 기능을 갖는 트랜스임피던스 전치 증폭기 | |
JPH1118179A (ja) | 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回路 | |
JP3698988B2 (ja) | キャリア検出回路および赤外線リモコン受信機 | |
KR100217529B1 (ko) | 적외선 수신기 및 자동 문턱값 설정 회로 | |
JP3610511B2 (ja) | 自動閾値設定回路及び赤外線レシーバ | |
JP3088138B2 (ja) | 検波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