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188B1 -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 - Google Patents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188B1
KR960008188B1 KR1019930021820A KR930021820A KR960008188B1 KR 960008188 B1 KR960008188 B1 KR 960008188B1 KR 1019930021820 A KR1019930021820 A KR 1019930021820A KR 930021820 A KR930021820 A KR 930021820A KR 960008188 B1 KR960008188 B1 KR 960008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mode
circuit
detec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219A (ko
Inventor
정상철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188B1/ko
Publication of KR95001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송 모드에 따는 음성 특성 절환 회로
제1도는 종래의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신호 절환 회로에 대한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에 따른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에 대한 블럭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방소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절환 회로 스위칭 출력단에 방송 모드에 따라 조합된 음성 신호를 마이콤에 의해 제어하여 이퀄라이징된 메인 투 캐리어 신호화 서브 투 캐리어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음성 신호 출력 회로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음성 신호의 현장감을 직접 느끼게 하는 음장 재생 회로 또는 음성 특성을 자동으로 절환하는 음성 특성 절환 회로에 대한 연구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후자의 회로에 대한 연구 개선점을 기술하고자 한다.
상기한 음성 특성 절환 회로에 대한 전형적인 형태로는 제1도에 도시된 것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신호 절환 회로에 대한 블럭 구성도이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모드에 따른 절환 회로는 외부로부터 음성 중간 주파수 신호를 인가받아 주음성 신호를 검파하여 메인 L/R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음성 검파 회로(10)와, 이 메인 음성 검파 회로(10)의 주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부 음성 신호를 검파하여 서브 L/R 신호를 출력하는 서브 음성 검파(20)와, 이 서브 음성 검파 회로(20)의 부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소정의 대역 폭으로 통과시킨 후, 고역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30)와, 이 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30)를 통하여 필터링된 신호를 인가받아 스테레오 및 음성 다중 신호로 검파하는 파일럿 신호 검파 회로(40)와, 상기 파일럿 신호 검파 회로를 통하여 검파된 주파수 신호를 제어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전압 변환기(50)와, 이 주파수/전압 변환기(50)를 통하여 변환된 제어 전압에 따라 듀얼 모드에 따른 해당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회로(60)와, 이 스위치(60)의 모드 신호에 의해 서브 또는 메인 L/R 신호가 절환되어 출력되는 스위치 수단(SW1),(SW2)과, 이 스위치 수단(SW1),(SW2)에 의해 절환된 신호를 가산하거나 감산하여 메인 또는 서브 2R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70) 및 감산기(8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신호 절환 회로는 외부로부터 음성 중간 주파수 신호(SiF)가 입력되면 메인 음성 검파 회로(10)와 서브 음성 검파 회로(20)를 통하여 각각 메인 L/R 신호와 L/R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서브 음성 검파 회로(20)의 부 음성 신호는 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20)를 통하여 소정 대역으로 필터링되어 파일럿 신호 검파 회로(40)에 의해 149.8Hz의 스테레오 신호와 276Hz의 음성 다중 신호로 되는 파일럿 신호로 검파된다. 상기한 파일럿 신호는 주파수/전압 변환기(50)에 인가되어 소정의 제어 전압으로의 변환 출력된 후, 스위치 회로(60)를 통하여 모노 모드, 스테레오 모드 및 듀얼 모드에 따른 해당 모드 신호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 회로(60)의 모드 신호가 모노 모드일때, 메인 음성 검파 회로(10)의 메인 L/R 신호와 서브 음성 검파 회로(20)이 서브 L/R 신호는 스위치 수단(SW1),(SW2)의 접점(S1)(S4)의 절환 동작에 따라 그대로 모노 모드의 메인 L/R 신호와 서브 L/R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또한 스위치 회로(60)의 모드 신호가 스테레오 모드일때, 메인 음성 검파 회로(10)의 메인 L/R 신호와 서브 음성 검파 회로(20)의 서브 L/R 신호는 스위치 수단(SW1),(SW2)의 접점(S2),(S3)의 절환 동작에 따라 가산기(70)와 감산기(80)를 통하여 스테레오 모드의 메인 2R 신호와 서브 2L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종래의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신호 절환 회로는 외부로부터 음성 중간 주파수 신호를 인가받아 검파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최종 음성 신호 출력단에서는 각각의 해당 모드에 따른 음질의 변화없이 단순한 음성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음질의 현장감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이러한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신호를 절환하여 출력하는 절환 회로에 있어서, 텔레비젼 방송의 음성 모드와 연동되어 각각의 음성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절환하여 해당 모드에 따른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 음성 검파 회로와, 서브 음성 검파 회로와, 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와, 파이럿 신호 검파 회로와, 주파수/전압 변환기와, 스위치 회로와, 상기 메인 음성 검파 회로 및 서브 음성 검파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과, 이 스위칭 수단의 절환된 신호를 가산 및 감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 및 감산기로 구성된 NTSC 투 캐리어 음성 신호 검파 회로에 있어서, 스위치 회로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모노 모드, 스테레오 모드 및 음성 다중 모드에 따른 제어 전압을 제어하여 해당 모드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각각의 제어 신호 출력단과 상기 서브/메인 신호의 최종 출력단에 접속되어 해당 모드에 따라 이퀄라이징된 특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및 제2 이퀄라이져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에 대한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는 음성 중간 주파수 신호(SiF)를 인가받아 주 음성 신호를 검파하는 메인 음성 검파 회로(11)와, 이 음성 검파 회로(1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부 음성 신호를 검파하는 서브 음성 검파 회로(21)와, 이 음성 검파 회로(1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소정 대역을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31)와, 상기 필터(3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해당 모드에 따른 파일럿 신호를 검파하는 파일럿 신호를 검파하는 파일럿 신호 검파 회로(41)와, 상기 파일럿 신호 검파 회로(4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주파수 신호를 해당 제어 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는 주파수/전압 변환기(51)와,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기(5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해당 모드에 따른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회로(61)와, 상기 스위치 회로 모드 신호에 따라 메인 음성 검파 회로(11) 및 서브 음성 검파 회로(21)의 출력 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 수단(SW3),(SW4)와, 상기 스위치 수단(SW3),(SW4)의 절환된 신호를 가산 및 감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71) 및 감산기(81)와, 상기 스위치 회로(6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해당 모드에 따른 제어 전압을 제어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201)과, 상기 마이컴(201)의 각각의 제어 신호 출력단(SL)(SM)(SH)과 상기 가산기(71) 및 가산기(8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해당 모드에 따라 이퀄라이징된 특정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및 제2 이퀄라이징(91),(101)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메인 음성 검파 회로(11)와, 서브 음성 검파 회로(21)와, 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31)와, 파일럿 신호 검파 회로(41)와, 주파수/전압 변환기(51)와, 스위치 회로(61)와, 스위칭 수단(SW3)(SW4)와, 가산기(71) 및 감산기(81)로 구성된 NTSC 투 캐리어 음성 신호 검파 회로는 제1도의 동작 설명과 동일하고 스위치 회로(61)의 출력단에 접속된 마이컴(201)과, 이 마이컴(201)의 제어 신호 출력단과 상기 가산기(71) 및 감산기(81)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1이퀄라이져(91) 및 제2이퀄라이져(101)의 동작 관계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201)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프로우 챠트도를 나타낸다.
제2도에서 파일럿 신호 검파 회로(41)를 통하여 검파된 파일럿 신호는 모노시 0HZ, 스테레오시 149.8Hz, 듀얼 모드시에는 276Hz로 출력되므로, 이 신호가 주파수/전압 변환기(51)와 스위치 회로(61)를 경유하면 모노시 '로우 레벨', 스테레오시 '중간 레벨', 듀얼 모드시 '하이 레벨'의 제어 전압(S)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 전압(S)이 마이컴(201)에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201)은 로우 레벨 판단 단계(S1)와, 중간 레벨 판단 단계(S3), 하이 레벨 판단 단계(S5)를 통하여 어떤 레벨의 제어 전압을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201)에서 스위치 회로(61)의 모드 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모노 모드에 해당되는 SL=SM=SH=XV인 등가 회로의 제어 전압을 출력하고, 중간 레벨이면 SL=X'V, SM=Y'V, SH=Z'V인 등가 회로의 제어 전압을 출력하며, 하이 레벨이면 SL=X V, SM=Y V, SH=Z V인 등가 회로의 제어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컴(201)의 제어 전압을 제1이퀄라이져(91)와 이 제2이퀄라이져(101)에 동시에 입력되고, 가산기(71)와 감산기(81)의 메인 2R 신호 및 서브 2L 신호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이퀄라이져(91)(101)에 각각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퀄라이져(91)는 마이컴(201)의 제어 전압(SL)(SM)(SH)에 따라 소정의 주파수 특정 신호로 이퀄라이징하여 각각의 해당 모드(모노·스테레오, 음성 다중)에 따른 메인 2R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이퀄라이징된 서브 2L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는 방송 신호 모드인 모노·스테레오 듀얼 모드에 따라 마이컴의 제어 전압을 인가받아 이퀄러이져에 의해 주파수 특성을 자동으로 절환하여 현장감이 있는 적절한 음성 신호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메인 음성 검파 회로와, 서브 음성 검파 회로와, 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와 파일럿 신호 검파 회로와, 주파수/전압 변환기와, 스위치 회로와, 상기 메인 음성 검파 회로 및 서브 음성 검파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절환된 신호를 가산 및 감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 및 감산기로 구성된 NTSC 투 캐리어 음성 신호 검파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모노 모드, 스테레오 모드 및 음성 다중 모드에 따른 제어 전압을 제어하여 해당 모드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과 ; 상기 마이컴의 각각의 제어 신호 출력단과 상기 서브/메인 신호의 최종 출력단에 접속되어 해당 모드에 따라 이퀄라이징된 특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및 제2이퀄라이져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
KR1019930021820A 1993-10-20 1993-10-20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 KR960008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820A KR960008188B1 (ko) 1993-10-20 1993-10-20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820A KR960008188B1 (ko) 1993-10-20 1993-10-20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219A KR950013219A (ko) 1995-05-17
KR960008188B1 true KR960008188B1 (ko) 1996-06-20

Family

ID=1936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820A KR960008188B1 (ko) 1993-10-20 1993-10-20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949B1 (ko) * 2007-02-06 200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498B1 (ko) * 1996-07-25 1999-11-15 전주범 방송 프로그램별 음성등화 자동설정 시스템
KR100339035B1 (ko) * 1998-09-22 2002-07-18 윤종용 돌비 서라운드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949B1 (ko) * 2007-02-06 200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219A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1344A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KR930010183B1 (ko) 텔레비젼 수신기용 음성회로
US5742687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signal combining circuit stereophonic audio reproduction system including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an audio-visual reproduction system including the stereophonic audio reproduction system
CA1192139A (en) Television receiver for demodulating a two-language stereo broadcast signal
US4761814A (en) Variable bandwidth multivoice demodulating circuit
KR0163436B1 (ko) 음향부가회로
KR960008188B1 (ko)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
EP0584719B1 (en) Control circuit for a spatial stereo expander
JPH0424948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用音声回路
JPH09271100A (ja) 音響信号処理装置
KR19990025250A (ko) 자동 이퀄라이저 장치
KR960002405Y1 (ko) 의사 스테레오 회로
JPH0983905A (ja) 音声多重放送信号処理装置
JP2594740B2 (ja) 受信装置
KR20000002038A (ko) 디지털/아날로그 방송 겸용 오디오 신호처리장치
KR950003804Y1 (ko) 음성검파 출력을 이용한 써라운드 및 우퍼회로
KR950005648Y1 (ko) 하이 파이 브이씨알(vcr) 탑재 티브이씨알(tvcr)의 원음 음성 청취 및 영상 오프 장치
JPH0744159Y2 (ja) カラ−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70003436B1 (ko) 복합 음성다중회로
JPH10174018A (ja) サラウンドモード切換装置
JPH08186776A (ja) 音声制御装置
KR0121241Y1 (ko) 자동음량 제어장치
JPH0698399A (ja) 音声出力切換回路
JPH08130520A (ja) 音声多重復調回路
JPS58157300A (ja) ステレオ音質調整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