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123Y1 -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123Y1
KR960008123Y1 KR92014143U KR920014143U KR960008123Y1 KR 960008123 Y1 KR960008123 Y1 KR 960008123Y1 KR 92014143 U KR92014143 U KR 92014143U KR 920014143 U KR920014143 U KR 920014143U KR 960008123 Y1 KR960008123 Y1 KR 960008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rray
plate
array plate
electromagne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4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711U (ko
Inventor
김진영
최현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92014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123Y1/ko
Publication of KR940004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1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15Orientation; Alignment;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9Feeding axial lead components, e.g. using vibrating bowls, magnet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배열판 진동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품배열판 진동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품배열판2 : 가이드판
3 : 플레이트4 : 탄성부재
5 : 베이스6 : 프레임
7 : 리니어베어링8 : 코어
9 : 코일10 : 영구자석
본 고안은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배열판의 진동을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로다른 형상을 가진 부품을 선택적으로 정렬하는 기존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는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회전하는 기구적 방식에 의해 부품배열판을 진동하여 부품을 정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구적 방식은 부품배열판을 일정하게 진동하므로 부품을 효율적으로 정렬하지 못하였다. 즉 부품크기에 따라 부품배열판의 진동을 조절할 수 없다는 결정이 있고, 또 기구의 마모로 인해 수명이 길지못한 결점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소하고자 부품의 크기에 따라 부품배열판의 진동을 전기적으로 조절하여 부품을 자동정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고안은 교류전류의 크기에 비례하는 전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전자력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는 부품배열판과, 상기 부품배열판의 위치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 및 부품배열판의 지지대인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부품배열판을 교류전류의 세기에 따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예시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고안의 일실시에 따른 부품배열판 진동장치의 단면도로서, 부품정렬시 부품이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판(2)이 형성된 부품배열판(1)을 지지하는 플레이트(3)와, 상기 플레이트(3)이 중앙하단부와 외주면에 서보트(11)로 지지되는 코일(9)이 환형형상으로 설치된 코어(8)의 상측단에 개재된 심봉(4A)과, 상기 심봉(4A)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부재(4)와, 일측이 베이스(5)에 고착된 프레임(6)의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코어(8)및 프레이트(3)가 상하직선운동을 하도록 탄성부재(4)의 외쪽면에 기밀하게 설치된 리니어 베어링(7)과, 상기 코어(8)에서 얻는 전자력과 상호작용하여 자력의 세기를 증가시키도록 베이스(5)의 중앙상단부에 일측면이 고정되어 있는 영구자석(1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진동장치내의 코일(9)에 교류전원(AC)를 공급하면, 코일(9)에 흐르는 전류방향에 따라 전자석의 코어(8) 상부가 N(S)극, 하부가 S(N)극으로 되어 영구자석(10)의 영향에 의해 서로 밀치거나 또는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 교류전원(AC)은 전류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기 때문에 코어(8)는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에따라 코어(8)에 부착되어 있는 심봉(4A)이 코어(8) 및 탄성부재(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프레이트(3)에 지지되어있는 부품배열판(1)이 진동한다. 상기 부품배열판(1)이 진동하면 배열판(1)위에 있는 부품이 안착홈으로 자동 정렬된다.
제2도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품정렬시 부품이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판(20)이 형성된 부품배열판(10)의 하단부에 양쪽이 하향절곡되어 기밀하게 접착되어 있는 플레이트(3)와, 일측단이 베이스(50)에 고착되어 있는 진동장치의 지지체(45)의 상측단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절곡하향된 플레이트(30)의 선단과 결합부재(35)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운동을 하는 탄성부재(40)와, 베이스(50)에 고착된 브래킷(80)에 의해 일면이 베이스(50)에 고착된 전자석(70)과, 상기 플레이트(30)의 저면 중앙위치에 설치되어 전자석(70)의 자력에 의해 플레이트(30)를 전자석(70)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래킷(60)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진 진동장치에서 부품배열판(10)을 진동시키고자 소정치의 교류전원(AC)를 전자석(70)에 공급하면, 전자석(70)내의 코어에 자력이 발생되므로 플레이트(30) 저면에 고착된 브래킷(60)이 전자석(70)이 있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브래킷(60)이 전자석(70)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플레이트(30)와 탄성부재(40)를 연결한 결합부재(35)가 아래로 움직이는데, 이때 일정이상 움직이면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위로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부품배열판(10)은 위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부품배열판(10)은 전자석(70)에 공급되는 교류전원(AC)의 주기에 따라 진동하게 된다. 즉, 전자석(70)에 의해 작용하는 전자력을 공급되는 교류전원(AC)의 세기 및 주파수를 변경시키면 부품배열판(10)을 원하는 진폭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 본고안의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는 교류전원(AC)의 세기에 따라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과, 이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움직는 부품배열판을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로 되어 부품배열판을 진동시키므로 부품의 형상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적으로 진동을 발생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교류전원(AC)의 세기에 비례하는 전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70)과, 상기 전자석(70)의 전자력에 의해 진동되는 부품배열판(10)과, 상기 부품배열판(10)의 위치이동거리에 해당하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40)와, 상기 부품배열판(10)을 지지하는 플레이트(30)를 구비하여 부품배열판(10)을 교류전원(AC)의 세기에 따라 진동시키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70)과 상호작용을 하여 전자력의 세기를 증가시키도록 전자석(70)의 자극단 안쪽에 영구자석(10)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
KR92014143U 1992-07-29 1992-07-29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 KR960008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143U KR960008123Y1 (ko) 1992-07-29 1992-07-29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143U KR960008123Y1 (ko) 1992-07-29 1992-07-29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711U KR940004711U (ko) 1994-02-24
KR960008123Y1 true KR960008123Y1 (ko) 1996-09-23

Family

ID=1933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4143U KR960008123Y1 (ko) 1992-07-29 1992-07-29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1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711U (ko) 199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18888A (en) Toy vehicular system
KR101157985B1 (ko) 리니어 진동모터
KR20180050605A (ko) 선형 진동모터
CN106357080A (zh) 线性振动马达
ATE357771T1 (de) Linearantrieb vom schwingungstyp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ES2113572T3 (es) Mezclador con un accionamiento vibratorio.
CN101237832B (zh) 用于个人护理用具的摆式驱动系统
KR101779290B1 (ko) 선형 진동자
KR960008123Y1 (ko) 부품배열판의 진동장치
JPH044338A (ja) 振動防止装置
JP4707846B2 (ja) 水平方向振動試験装置
CN110286553A (zh) 能够消除激光散斑的屏幕及屏幕系统
CN112845061A (zh) 一种用于振动盘的振动装置
JPH05125819A (ja) 除振装置
KR20200110715A (ko) 이중 영구자석을 활용한 수직 진동자
US5483225A (en) Structure of a shock device of a shock sensor of a burglar alarm
US2175237A (en) Vibratory electric motor
KR101578161B1 (ko) 진동 액추에이터
US20090261665A1 (en) Electromagnetic vibrating mechanism
JP3495442B2 (ja) 動電型振動試験装置
US6600283B1 (en) Device and method for a controlled generation of vibrations
JP2000166210A (ja) 発音振動体
JPS638666Y2 (ko)
CN219718068U (zh) 银幕振动器
JPH1119589A (ja) 振動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