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627Y1 -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탈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627Y1
KR960007627Y1 KR92025685U KR920025685U KR960007627Y1 KR 960007627 Y1 KR960007627 Y1 KR 960007627Y1 KR 92025685 U KR92025685 U KR 92025685U KR 920025685 U KR920025685 U KR 920025685U KR 960007627 Y1 KR960007627 Y1 KR 960007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mold
cylinder chamber
piston
air line
mold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5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067U (ko
Inventor
박창섭
Original Assignee
김성웅
주식회사 기아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웅, 주식회사 기아기공 filed Critical 김성웅
Priority to KR92025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627Y1/ko
Publication of KR940015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6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52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for fluid driven presses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 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부금형 설치대101 : 실린더실
200 : 이젝트편201 : 피스톤
300 : 에어라인301 : 콤프레서
302 : 체크벨브303 : 감압밸브
304 : 스톱밸브
본 고안은 프레스금형에 작업시 상부금형에 달라붙는 성형물을 이탈시킴에 있어서, 특히 그 이탈장치를 간소화하여 제작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개선한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탈장치에관한 것이다.
종래의 성형물 이탈장치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금형 설치대(10)를 출입하는 이젝트핀(20)을 별도의 가설대(21)에 형성해주되, 이 가설대(21)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봉(22)을 고정지지대(11)에 조절나사(12)로 고정시켜 주었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금형 설치대(10)가 하강될 때 이젝트핀(20)이 하부금형위에 놓여있는 성형물에 간섭되어 더이상 내려가지 않는 상태로 금형작업이 수행된 다음, 상부금형 설치대(10)가 상승될 때 같이 상승되다가 양측의 조절봉(22)에 가설대(21)가 구속되면서 성형물이 이탈되도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성형물의 종류가 바뀔 때마다 양측의 조절봉(22)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가설대(21)의 승강을 구속해 주어야 되나 상기 조절봉(22)의 조절량이 서로 조금씩 상이하게 됨에 따라 승강구속이 정확하게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가설대(21)가 상부금형 설치대(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안전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실용신안공고 제85-414호와 같은 것에 있어서는 프레스가공직후에 녹아우트 작동시키지 않고 프레스슬라이드가 소정위치까지 상승된 후에 녹아우트 작동될 수 있게 설정할 수 있어서 피가공물을 프레스 밖으로 집어내기가 용이하고 프레스기계의 1공정마다 소요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과 일본 특허출원공고 제51-733호와 같은 것에 있어서는 공기탱크의 공기압의 흐름을 전자변에서 통제하고 공기압은 공유압식 구동장치에서 유압으로 변환시키며 유압은 슬라이드내로 들어가 이탈장치의 작동을 필요시간에 따라 제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을 악화하면서 고장에 따른 고장율이 높아 사용수명이 단축됨과 동시에 작동이 미비하여 사용에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부금형 설치대의 승강에 따라 상기 이젝트핀이 압축되었다가 팽창되면서 상부금형에 부착되는 성형물을 이탈시켜 주도록 한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금형설치대의 승강량에 따라 상기 이젝트핀의 압축력이 조절되도록 하여 이탈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금형을 설치할 수 있는 상부금형 설치대(100)의 내부에 밀폐되도록 구비되는 실린더실(101)과, 상기 실린더실(101)에 승강가능토록 구비되는 피스톤(201)과 상기 피스톤(201)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상부금형 설치대(100)의 하부로 돌설되며, 상기 상부금형 설치대(100)와 실린더실(101)내를 출입자재토록 형성된 이젝트핀(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금형 설치대(100)의 승강에 따라 피스톤(201)이 압축되었다가 복권되면서 상기 이젝트핀(200)이 승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201)의 외주연과 실린더실(101)의 사이에는 마찰감소부재(202)가 설치되어 있고,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패킹(203)이 피스톤(201)에 부착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서 되는 본 고안은 금형작업시 상,하부금형이 겹쳐져서 금형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이젝트핀(200)에 의해 피스톤(201)이 실린더실(101)내의 상부로 상승됨과 동시에 압축되었다가 상부금형 설치대(100)가 상승되며, 상기 이젝트핀(200)이 구속해제 되면서 압축되었던 피스톤(201)이 복원되어, 결과적으로 이젝트핀(200)이 하강하여 상부금형에 부착되어 있는 성형물을 이탈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피스톤(201)의 압출력을 조절해 주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201)을 가압하도록 실린더실(101) 상부의 일측과 콤프레서(301)를 연결시키는 에어라인(300)과, 상기 에어라인(300)상에 콤프레서(301)의 압력이 실린더로 향하도록 설치된 체크밸브(302)와, 상기 에어라인(300)상에 실린더실(101)의 압력을 조정하여 줄 수 있도록 설치된 감압밸브(303)와, 상기 에어라인(300)을 개폐하는 스톱밸브(304)와로 구성하여 준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서 되는 본 고안은, 성형물의 종류가 바뀌어 상부금형의 승강량이 조정될 경우에 특히 필요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콤프레서(301)에서 에어라인(300)을 통하여 실린더(101)내로 적정의 증기압을 설정해준 다음 스톱밸브(304)를 잠기어 에어라인(300)이 차단되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되면 피스톤(201)이 상승될 때 에어라인(300)을 따라 이동되는 증기가 체크밸브(302)에 의해 저지되면서 압축되었다가 상부금형 설치대(100)가 상승될 때 그 압축력이 해제되어 복원되는 것이다.
또한, 감압밸브(303)를 조절하여 콤프레서(301)에서 공급되는 증기압을 조절한 다음 실린더실(101)내로 공급되도록 해주면, 피스톤(201)의 압축력이 가감되어 결과적으로 이젝트핀(200)의 승강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실(101)에 콤프레서(301)의 공기 과잉공급으로 인하여, 과압이 설정될 경우에는 실린더실(101)과 체크밸브(302) 사이의 스톱밸브(304)를 개방시켜 실린더실(101)내에 과압이 설정되지 않도록 해준 뒤 다시 잠그어 주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금형 설치대(100)상에 부설되는 이젝트핀(200)이 이 실린더실(101)내에서 압축 및 압축해제의 과정을 반복하는 피스톤(201)에 의하여 승강되는 특징적인 구성에 의해 성형물의 이탈이 편리해지고, 또한 그 압축력을 조절하여 줄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상부금형이 설치되고 승강 작동되는 상부금형 설치대와, 상기 상부금형 설치대의 하부로 돌설되고 상부금형에 부착되는 성형물을 이탈시키는 이젝트핀과, 상기 상부금형 설치대의 내부에 밀폐되도록 구비되는 실린더실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실에 승강가능토록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결합된 이젝트핀과로 구성되고, 상부금형 설치대의 승강에 따라 피스톤이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이젝트핀이 승강되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도록 실린더실 상부의 일측과 콤프레서를 연결시키는 에어라인과, 상기 에어라인상에 콤프레서의 압력이 실린더실로 향하도록 설치된 체크밸브와, 상기 에어라인상에 실린더실의 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감압밸브와, 상기 에어라인을 개폐하는 스톱밸브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송장치.
KR92025685U 1992-12-17 1992-12-17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탈장치 KR960007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685U KR960007627Y1 (ko) 1992-12-17 1992-12-17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685U KR960007627Y1 (ko) 1992-12-17 1992-12-17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067U KR940015067U (ko) 1994-07-19
KR960007627Y1 true KR960007627Y1 (ko) 1996-09-06

Family

ID=1934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5685U KR960007627Y1 (ko) 1992-12-17 1992-12-17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6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067U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1877B2 (en) Method of producing molds
US3606641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960007627Y1 (ko) 프레스금형의 성형물 이탈장치
EP0720878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moulds
US2921355A (en) Method and means for molding
EP0490701B1 (en) Compressed air blowing apparatus for use in green sand mold molding facility
CN110891709A (zh) 铸模高度变更单元、脱框造型机以及铸模高度变更方法
EP0139119B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dichten von kornförmigen Formstoffen z.B. Giessereiformsand
JPH0444283Y2 (ko)
CN220049973U (zh) 压铸模具
JPH0124047B2 (ko)
US4846253A (en) Apparatus for compressing foundry moulding material by means of compressed gas
JPS63281816A (ja) 金型装置
JP3213874B2 (ja) 機械式プレス機
JPH0596547A (ja) タイヤ加硫プレス
JPS6222318Y2 (ko)
JP2577677Y2 (ja) 高速シリンダ装置
JPH0710828Y2 (ja) 生型造型設備における圧縮空気吹込み装置
JPS6056422A (ja) 対向液圧成形可能な単動トライプレス
SU440273A1 (ru) Пресс
JPS6295207A (ja) トランスフアモ−ルドプレス
JPH10263747A (ja) 圧縮空気吹込み装置
JP2021164956A (ja) スタンピングプレス機に適用されたシリンダにおけるステムの戻り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JPH0723056Y2 (ja) 空圧式ダイクッション装置の上限ダンパ装置
US2871513A (en) Molding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