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566Y1 - Ntsc/pal 겸용 시스템에서의 음성신호처리회로 - Google Patents

Ntsc/pal 겸용 시스템에서의 음성신호처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566Y1
KR960007566Y1 KR2019910025633U KR910025633U KR960007566Y1 KR 960007566 Y1 KR960007566 Y1 KR 960007566Y1 KR 2019910025633 U KR2019910025633 U KR 2019910025633U KR 910025633 U KR910025633 U KR 910025633U KR 960007566 Y1 KR960007566 Y1 KR 960007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ignal
signal processing
terminal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144U (ko
Inventor
류우태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5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566Y1/ko
Publication of KR930017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12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 H04N11/14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 H04N11/1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the chrominance signal alternating in phase, e.g. PAL-system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NTSC/PAL 겸용 시스템에서의 음성신호처리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음성신호처리회로의 회로도이다.
제2도는 NTSC 및 PAL 방식에 의한 주파수 및 이득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헤드R1, RV: 저항
C1, C2: 커패시터Q1, Q2, Q3: 트랜지스터
S : 선택단자A : 음성신호처리IC
본 고안은 NTSC 방식 및 PAL 방식의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 방식의 음성신호를 하나의 회로에서 재생할 수 있는 겸용의 음성신호처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VCR에서 사용되는 음성처리회로는 재생용 헤드드럼(drum)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주파수특성이 변화하므로, 이 주파수특성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전용음성처리회로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음성주파수출력의 피킹 포인트(picking point)가 NTSC 방식은 10kHz, PAL 방식은 8kHz로서, 차이가 발생하므로서 이 주파수대역을 포함하는 회로를 구성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의 오디오재생회로를 사용하여, NTSC/PAL 방식에 의한 오디오신호를 모두 재생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위한 본 고안은 정전용량조정용 커패시터(C1)(C2), 커패시터(C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1), NTSC/PAL 선택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트랜지스터(Q2), 이득조정용 저항(R1)(RV) 및 음성신호처리I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음성신호처리회로는 헤드(H)와 앰프이득조절부(RV)로부터 신호를 받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의 출력이 EQ앰프를 통하여 음성신호처리IC에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종래의 NTSC/PAL 겸용의 VCR의 음성재생회로에 있어서, 선택에 의하여 하이,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NTSC/PAL 선택단자(S)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1)(Q3)를 포함하는 스위칭부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에 입력되도록 연결되어지고,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자에 기준전압단자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가 연결되어지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텍터단자가 커패시터(C1)(C2)를 포함하는 재생음성신호패킹부의 커패시터(C2)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스위칭부 및 재생음성신호패킹부들과 병렬로 되도록 하여 트랜지스터(Q2)와 저항(R1)을 포함하는 신호간레벨 일치부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VCR에 삽입된 테이프의 신호가 PAL 방식이면, NTSC/PAL 선택단자(S)에는 로우(low)신호가 입력된다. 동시에 헤드(H)는 비디오테이프의 음성신호를 판독하여 음성신호처리IC(A)로 전송한다. 이때 스위칭부의 트랜지스터(Q3)에는 로우신호가 입력되므로 상기 스위칭부의 트랜지스터(Q1)에는 하이신호가 입력되어 도통되므로 헤드(H)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주파수는 재생음성신호피킹부의 커패시터(C1)(C2)가 병렬연결된 상태이므로 다음식에 의하여 정해진다.
단, L은 헤드의 인덕턴스(inductance)이다.
트랜지스터(Q1)이 도통되는 반면에 신호간레벨일치부의 트랜지스터(Q2)에는 베이스단자에 역방향전압이 걸리므로 트랜지스터(Q2)는 도통되지 않는다.
제2도에 도시된 것은 상기와 같이 정해진 음성주파수의 피킹 포인트이다.
따라서 음성신호주파수는 음성신호증폭용 음성신호처리IC(A)의 내부에 설치된 EQ앰프를 통과하여 음성신호처리IC(A)에 내장된 라인앰프에 입력된다, 이 입력된 신호는 다시 스피커(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출력된다. 이때는 저항(RV)을 사용하여 출력을 조정한다.
NTSC/PAL 선택잔자(S)에 하이(high)신호가 입력되면, 즉 비디오테이프가 NTSC 방식에 의하여 기록된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의 트랜지스터(Q3)에는 하이신호가 입력되므로 상기 스위칭부의 트랜지스터(Q1)에는 로우신호가 입력되어 도통되지 않는다. 따라서 헤드(H)로부터 발생된 신호의 음성주파수(f2)는 재생음성신호피킹부의 커패시터(C1)만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다음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단, L은 헤드의 인덕턴스(inductance)이다.
상기 스위칭부의 트랜지스터(Q1)가 차단되는 반면에 신호간레벨일치부의 트랜지스터(Q2)는 순방향전압이 걸리므로 도통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의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에 전류가 흐르므로 저항(R1)(RV)은 EQ앰프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병렬연결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서 재생레벨은 PAL 방식에 비하여 작아진다.
여기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EQ앰프의 부귀환을 위한 회로이다.
이와 같이 하여 PAL의 재생레벨은 향상시키고, NTSC 방식의 재생레벨은 하강시키므로써 거의 동일한 재생레벨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두가지의 상이한 방식의 모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의 피킹포인트를 조정하고, 재생레벨을 조정하여서 하나의 음성재생회로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시상과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

  1. 헤드(H)와 앰프이득조절부(RV)로부터 신호를 받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의 출력이 EQ앰프를 통하여 음성신호처리IC에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종래의 NTSC/PAL 겸용의 VCR의 음성재생회로에 있어서, 선택에 의하여 하이,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NTSC/PAL 선택단자(S)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1), (Q3)를 포함하는 스위칭부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에 입력되도록 연결되어지고,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자에 기준전압단자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가 연결되어지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가 커패시터(C1)(C2)를 포함하는 재생음성신호피킹부의 커패시터(C2)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스위칭부 및 재생음성신호피킹부들과 병렬로 되도록 하여 트랜지스터(Q2)와 저항(R1)을 포함하는 신호간레벨일치부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처리회로.
KR2019910025633U 1991-12-31 1991-12-31 Ntsc/pal 겸용 시스템에서의 음성신호처리회로 KR960007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633U KR960007566Y1 (ko) 1991-12-31 1991-12-31 Ntsc/pal 겸용 시스템에서의 음성신호처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633U KR960007566Y1 (ko) 1991-12-31 1991-12-31 Ntsc/pal 겸용 시스템에서의 음성신호처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144U KR930017144U (ko) 1993-07-29
KR960007566Y1 true KR960007566Y1 (ko) 1996-08-30

Family

ID=1932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633U KR960007566Y1 (ko) 1991-12-31 1991-12-31 Ntsc/pal 겸용 시스템에서의 음성신호처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5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144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566Y1 (ko) Ntsc/pal 겸용 시스템에서의 음성신호처리회로
US3946249A (en) Signal control circuit
KR100256013B1 (ko) 디지탈 신호 처리 장치
JP2790049B2 (ja) 記録装置
KR930004525Y1 (ko) 칼러신호 분리회로
KR880004359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자동절환신호 발생회로
KR890004227B1 (ko) 색신호 처리장치
KR900008892Y1 (ko) Vtr의 오디오 신호 결손 보상회로
KR940006304Y1 (ko) Vtr 다기능시 노이즈 방지회로
KR910004666Y1 (ko) Vtr의 음성신호 기록제어회로
KR870001155Y1 (ko) 의사 영상 동기 신호를 이용한 음성신호 녹음회로
KR880003787Y1 (ko) 스피커의 마이크 겸용 회로
KR870001635Y1 (ko) 음향기기의 더빙기능 제어회로
KR910002994Y1 (ko) 저음출력레벨 강조회로
KR900006804Y1 (ko) 스피커와 마이크 공용 사용회로
JPH0629764Y2 (ja) 高域補償回路
KR910009481Y1 (ko) 자동 음량 조절 회로
JPH0734533Y2 (ja) 録音再生装置
KR91000826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
JPS6325532Y2 (ko)
KR900009753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변속재생시 잡음신호 제거회로
KR900008894Y1 (ko)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의 오디오 신호 뮤팅회로
KR900003446Y1 (ko) 잡음 보상회로
KR930007373Y1 (ko) 자동화질 개선 회로
JPS6326157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