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267Y1 -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267Y1
KR910008267Y1 KR2019880013866U KR880013866U KR910008267Y1 KR 910008267 Y1 KR910008267 Y1 KR 910008267Y1 KR 2019880013866 U KR2019880013866 U KR 2019880013866U KR 880013866 U KR880013866 U KR 880013866U KR 910008267 Y1 KR910008267 Y1 KR 910008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output
input
m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625U (ko
Inventor
황인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3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267Y1/ko
Publication of KR9000056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6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2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2Comfort noise or silence co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8Noise substitution, i.e. substituting non-tonal spectral components by noisy sour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대한 각 부분의 동작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데크제어부 65 : 재생헤드
70 : 재생 등화 증폭기 75 : 외부 입력 버퍼
80 : 2입력 출력 증폭기 85 : 뮤팅 제어부
90 : 뮤팅 해제시간 제어부 95 : 출력증폭기 입력선택부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에서 녹음시 모니터(moniter) 및 뮤팅(muting)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레코더는 녹음시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에 녹음중인 녹음 신호를 모니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라 함은 녹음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녹음 신호 레벨의 감시를 위해서는 녹음 레벨 지시기가 사용되며 녹음의 내용을 감시하는 데이는 스피커, 헤드폰 등이 사용된다.
또한 테이프 레코더는 일반적으로 재생시 및 녹음 신호 모니터시를 제외하고는 불필요한 노이즈(noise)가 테이프 레코더의 최종 출력단을 통하여 스피커, 헤드폰, 외부 출력단자 등으로 출력되는 것을 뮤팅시켜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녹음 신호 모니터시에도 녹음시작이나 녹음 종료시에는 출력 신호의 절환 즉, 출력신호의 재생신호에서 녹음 신호로 절환 또는 녹음 신호에서 재생 신호로 절환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뮤팅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를 위하여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제어용 마이콤을 이용하거나 데크(deck) 제어부의 재생 뮤트 신호 단자를 이용하여 왔었다.
첫번째로 제어용 마이콤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어용 마이콤에 녹음 모니터 및 뮤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하여 기능을 변경시키는 것으로 간단한 기능 변경을 위하여 마이콤을 신규로 개발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두번째로 데크 제어부의 재생 뮤트 신호 단자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데크 제어부의 재생 뮤트 신호단자를 재생 등화 증폭기의 출력측에 연결하여 재생 신호만을 뮤팅함으로써 팝 노이즈를 제거한다. 또한 상기 이와의 경우 즉, 고속 전진(fast forward), 고속 후진(rewind), 녹음 시작 및 녹음 종료 등의 경우에 발생되는 팝 노이즈는 별도의 뮤팅 회로를 구성하여 테이프 레코더의 최종 출력단의 출력 신호를 뮤팅하도록 하여 왔었다. 이때 만일 상기와 같이 뮤팅회로를 2중으로 구성하지 않고 테크 제어부의 재생 뮤트 신호 단자만을 이용하여 테이프 레코더의 최종 출력단의 출력 신호를 뮤팅시킬 경우에는 녹음 신호로 뮤팅됨으로써 녹음 신호를 모니터 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데크 제어부의 재생 뮤트 신호 단자를 이용할 경우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회로는 제1도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1도의 구성중 참조부호 5는 조작 순간에 팝 노이즈 발생 원인이 되는 고속전진 스위치, 고속 후진 스위치 등을 구비한 조작 스위치부로서 각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여 일정 논리 상태의 신호를 발생한다.
10은 데크를 제어하기 위한 데크 제어부로서 기능 선택에 따라 재생 뮤트 신호 및 녹음/재생 신호를 발생한다.
20은 재생헤드로서 재생시 자기 테이프(도시하지 않았음)의 녹음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여 재생 신호를 출력한다.
30은 재생 등화 증폭기로서 상기 재생 헤드(20)에서 출력되는 재생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한다.
40은 외부 입력 버퍼로서 녹음하기 위한 외부 입력신호(IP)를 버퍼링하여 녹음신호로써 녹음 모니터를 위하여 출력하는 동시에 녹음 회로(도시하지 않았음)에 출력한다.
50은 2입력 출력 증폭기로서 상기 재생 등화 증폭기(30)의 출력 재생신호와 상기 외부 입력 버퍼(40)의 녹음신호중 하나를 내재된 스위치(50)로서 선택 입력하여 증폭 출력한다.
그리고 R11-R16은 저항이며, C11-C16은 캐패시터이며, D11-D16은 다이오드이며, T11-T16은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데크 제어부의 재생 뮤트 신호단자를 이용할 경우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도에서 데크 제어부(10)의 녹음/재생 신호단자(01)에서는 녹음/재생신호가 녹음시에만 "하이"로 기타의 경우에는 "로우"로 발생되며, 재생 뮤트 신호단자(02)에서는 재생 뮤트 신호가 재생시에만 "로우"로 기타의 경우에는 "하이"로 발생된다.
지금 테이프 레코더가 재생 상태로 동작한다면 재생헤드(20)는 자기 테이프의 녹음 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며, 재생된 재생 신호는 재생 등화 증폭기(30)에서 주파수 특성이 보정된다. 이때 상기 재생 등화 증폭기(30)의 출력단자에 콜렉터가 접속되며 상기 데크 제어부(10)의 재생 뮤트 신호단자(02)에서 출력되는 재생 뮤트 신호 "로우"를 저항(R15)를 통해 베이스에 입력하는 트랜지스터(R15)는 "턴 오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재생 등화 증폭기(30)의 출력 재생신호는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입력단자(H)에 그대로 인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데크 제어부(10)의 녹음/재생 신호단자(01)에서 출력되는 녹음/재생 신호 "로우"를 저항(R23)을 통해 베이스에 입력하는 트랜지스터(T14)가 "턴 오프"된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T14)의 콜렉터에 접속된 저항(R24)를 통한 전원전압(Vcc) "하이"가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스위치(51)에 인가됨으로써 상기 재생 등화 증폭기(30)의 출력 신호가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입력으로 선택되어 증폭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출력단자에 콜렉터가 접속되는 트랜지스터(T16)가 "턴오프" 상태라면 상기 재생 헤드(20)로서 재생한 재생 신호가 최종 출력신호(OP)로서 출력됨으로써 스피커나 헤드폰 또는 외부 출력단자로 출력된다.
한편 조작 스위치부(5)의 재생 또는 녹음중이 아닌 상태에서 작동되는 고속 전진 스위치, 고속 후진 스위치 등의 스위치 조작 순간에는 순간적으로 전원 변동이나 노이즈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출력 신호에 팝 노이즈가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상기 조작 스위치부(5)와 고속 전진 스위치와 고속 후진 스위치만을 구비하고 있다고 가정하며, 상기 고속 전진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대응한 일정 논리 상태의 신호는 노드점(8)으로 출력되며 상기 고속 후진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대응한 일정 논리 상태의 신호는 노드점(9)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지금 고속 전진 스위치가 눌려져 "온"되면 노드점(8)으로 "하이" 신호가 출력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노드점(8)에 접속된 캐패시터(C11)와 저항(R13)으로 이루어진 미분회로에서는 "하이"의 단펄스가 발생되어 다이오드(D11)를 거쳐 노드점(6)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16)가 상기 노드점(6)의 "하이" 신호에 의해 "턴 온"됨으로써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출력 신호는 접지되어 뮤팅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속 전진 스위치의 조작 순간의 팝 노이즈가 최종 출력신호(OP)로 나타나 스피커나 헤드폰 또는 외부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노드점(8)에 저항(R12)을 통하여 베이스가 접속된 트랜지스터(T11)가 상기 노드점(8)의 "하이" 신호에 의해 "턴온"됨으로써 캐패시터(C12)와 저항(R14)으로 이루어진 미분회로에서 "로우"의 단펄스가 발생되지만 다이오드(D12)에 의해 노드점(6)으로 출력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한 바와 반대로 상기 고속 전진 스위치가 "오프"되어 노드점(8)으로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T11)가 "턴오프"됨에 따른 상기 캐패시터(C12) 및 저항(R14)으로 이루어진 미분회로에서 발생되는 "하이"의 단펄스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T16)가 "턴온"됨으로서 스위치 조작 순간의 팝 노이즈가 뮤팅된다.
또한 고속 후진 스위치 조작시에도 캐패시터(C13) 및 저항(R17)으로 이루어진 미분회로와 트랜지스터(T12)와 캐패시터(C14) 및 저항(R18)으로 이루어진 미분회로와 다이오드(D13, D14)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T16)가 "턴온"됨으로서 스위치 조작 순간의 팝 노이즈가 뮤팅된다.
다음에 지금 테이프 레코더가 녹음 상태로 동작한다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녹음을 하기 위한 외부 입력신호(IP)는 외부 입력 버퍼(40)에서 버퍼링되어 녹음 회로로 출력되어 녹음되는 동시에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입력단자(L)에 인가된다. 또한 재생 뮤팅 신호 "하이"에 의해 트랜지스터(T15)는 "턴온"됨으로써 재생 등화 증폭기(30)의 출력신호를 접지시켜 뮤팅시킨다. 이와 동시에 녹음/재생 신호 "하이"에 의해 트랜지스터(T14)는 "턴온"되며, 상기 트랜지스터(T14)의 콜렉터 출력 "로우" 신호가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스위치(51)에 인가됨으로써 외부 입력 버퍼(40)의 출력 신호가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입력으로 선택되어 증폭 출력된다.
통상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스위치(51)가 절환되는 순간에 팝 노이즈가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녹음/재생 신호가 "로우"에서 "하이"로 변화하는 순간에 캐패시터(C15)와 저항(R21)으로 이루어진 미분회로에서는 "하이"의 단펄스가 발생되어 다이오드(D15)를 거쳐 노드점(6)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16)가 "턴온"됨으로서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출력 신호는 접지되어 뮤팅된다.
그러므로 상기 녹음 시작시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스위치(51) 절환에 의해 팝 노이즈가 포함된 녹음 신호가 최종 출력 신호(OP)로 나타나 녹음 모니터를 위한 스피커나 헤드폰 또는 외부 출력 단자로 출력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녹음이 종료되는 순간에 녹음/재생 신호는 "하이"에서 "로우"로 변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14)가 "턴오프"되어 2입력 출력증폭기(50)의 스위치(51)에는 "하이"가 인가됨으로써 다시 재생 등화증폭기(30)의 출력신호가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입력으로 선택된다. 또한 상기 녹음/재생 신호 "로우"에 의해 트랜지스터(T13)가 "턴오프"되며 트랜지스터(T16)가 "턴오프"되는 순간에 캐패시터(C16)와 저항(R22)으로 이루어진 미분회로에 의한 "하이"의 단펄스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T16)가 "턴온"됨으로써 2입력 출력 증폭기(50)의 스위치(51)의 절환에 따른 팝 노이즈가 뮤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재생시에는 재생 헤드(20)에서 재생된 재생 신호가 최종 출력 신호(OP)로서 스피커나 헤드폰 또는 외부 출력단자로 출력되게 된다. 또한 녹음 시작 및 녹음 종료시에 발생되는 팝 노이즈는 뮤팅되어 최종 출력 신호(OP)로서 출력되는 것이 방지되고 팝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는 녹음 신호만이 최종 출력 신호(OP)로서 스피커나 헤드폰 또는 외부 출력단자로 출력됨으로써 안정된 녹음 모니터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재생중 또는 녹음중이 아닌 상태에서 고속 전진 스위치, 고속 후진 스위치 등으로 인한 팝 노이즈도 뮤팅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이콤을 이용하여 녹음신호의 모니터 및 뮤팅 제어를 하는 경우에 간단한 기능변경을 위하여 마이콤을 신규로 개발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데크제어부의 발생 뮤트신호단자를 이용하여 모니터 및 뮤팅 제어를 할 경우에 뮤팅회로를 2중으로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데크제어부의 재생뮤트 신호단자를 이용하면서도 뮤팅회로를 2중으로 구성하지 않고도 녹음시 모니터를 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뮤팅시간을 조절하여 팝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재생 뮤트 신호단자(03)와 녹음/재생 신호단자(04)를 포함하며 기능선택(녹음 또는 재생)에 따른 재생 뮤트 신호 및 녹음/재생 신호를 발생하는 데크 제어부(60)와, 재생시 자기 테이프(도시하지 않았음)의 녹음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 출력하는 재생 헤드(65)와, 상기 재생헤드(65)에서 출력되는 재생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는 재생 등화 증폭기(70)와, 녹음하기 위한 외부 입력신호(IP)를 버퍼링하는 외부 입력버퍼(75)와, 상기 재생 등화 증폭기(70)의 출력 재생 신호와 상기 외부 입력 버퍼(75)의 녹음 신호를 내재된 스위치(81)로 선택 입력하는 증폭하는 2입력 출력 증폭기(80)와, 저항(R1)과 트랜지스터(T1)로 구성되어 상기 데크 제어부(60)의 재생 뮤트 신호에 의해 상기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출력 신호에 대한 뮤팅 동작을 행하여 최종 출력 신호(OP)를 출력하는 뮤팅 제어부(85)와, 다이오드(D1, D3)와 저항(R3)과 캐패시터(C1)와 인버터(I1-I3)로 구성되어 상기 데크 제어부(60)의 녹음/재생 신호에 의해 상기 뮤팅 제어부(85)의 뮤팅을 해제시키는 시간을 제어하는 뮤팅 해제시간 제어부(90)와, 저항(R4-R6)과 다이오드(D2)와 캐패시터(C2)와 트랜지스터(T2)로 구성되어 상기 데크 제어부(60)의 녹음/재생 신호에 의해 상기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입력 선택을 제어하며 입력을 선택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출력 증폭기 입력 선택부(95)로 구성된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에 대한 각 부분의 동작 타이밍도로서, 제3a도는 데크 제어부(60)의 재생 뮤트 신호 출력을 나타내고, 제3b도는 데크 제어부(60)의 녹음/재생 신호 출력을 나타내며, 제3c도는 출력 증폭기 입력 선택부(95)로부터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스위치(81)에 인가되는 입력 선택 신호를 나타내며, 제3d도는 데크 제어부(60)의 녹음/재생 신호가 뮤팅 해제 시간 제어부(90)에서 녹음 시작시 커패시터(C1)에 서서히 충전되며 녹음 종료시 급격히 방전함을 나타내며, 제3e도 및 제3f도와 제3g도는 상기 제3d도의 파형이 순차적으로 인버터(I1-I3)를 각각 통한 상태를 나타내며, 제3h도는 상기 제3a도의 신호 및 다이오드(D3)를 거친 상기 제3g도의 신호가 뮤팅 제어부(85)의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제3i도는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스위치(81)가 녹음에서 재생으로 또는 재생에서 녹음으로 절환할 때 발생되는 팝 노이즈를 나타내며, 제3j도는 뮤팅 제어부(85)에서 최종 출력 신호(OP)로서 출력되는 재생 신호 및 외부 입력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동작예를 제3도의 동작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2도에서 데크 제어부(60)의 재생 뮤트 신호단자(03)는 통상의 로직 데크일 경우에는 데크 제어기(deck controller)의 재생 뮤트 제어단자가 되고, 기계식 데크일 경우에는 재생 리프 스위치(leaf switch)가 된다. 상기 재생 뮤트 신호단자(03)의 출력 재생 뮤트 신호는 재생시에만 "로우"로, 기타의 경우에는 "하이"로 발생되며 라인(a)에서의 파형을 제3a도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데크 제어부(60)의 녹음/재생 신호단자(04)은 통상의 로직 데크일 경우에는 데크 제어기의 녹음/재생 신호의 절환 단자가 되고 기계식 데크일 경우에는 녹음/재생 절환 스위치 또는 녹음 검출 리프스위치가 된다. 상기 녹음/재생 신호단자(04)의 출력 녹음/재생신호는 녹음시에만 "하이"로, 기타의 경우에는 "로우"로 발생되며 라인(b)에서의 파형을 제3b도에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첫번째로 지금 테이프 레코더가 재생 또는 녹음 이외의 상태라면, 데크 제어부(60)의 재생 뮤트 신호단자(03)에서는 재생 뮤트 신호가 "하이"로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재생 뮤트 신호 "하이"를 저항(R1)을 거쳐 베이스에 입력하는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어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출력 신호를 접지시켜 뮤팅 시킴으로써 라인(j)의 최종 출력신호(OP)는 스피커나 헤드폰 또는 외부 출력단자에 나타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재생 또는 녹음 이외의 상태에서 고속 전진 스위치, 고속 후진 스위치가 조작된다 해도 스위치 조작 순간의 팝 노이즈는 모두 뮤팅하게 된다.
두번째로 지금 테이프 레코더가 제3도의 t1점에서 재생 상태로 동작한다면, 데크 제어부(60)의 재생 뮤트 신호는 제3a도 같이 t1점에서 "로우"가 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시킴으로써 라인(j)의 최종 출력신호(OP)에 대한 뮤팅이 해제된다. 이때 데크 제어부(60)의 제3b도와 같은 녹음/재생 신호 "로우"에 의해 트랜지스터(T2)는 "턴오프"상태이므로 캐패시터(C2)의 충전 전원 전압(Vcc) "하이" 즉 라인(c)의 제3c도와 같은 신호가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스위치(81)에 인가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재생 등화 증폭기(70)의 출력신호가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입력으로 선택되어 증폭 출력된다.
이에 따라 재생 헤드(85)에 의해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재생 신호는 재생 등화 증폭기(70)에서 주파수 특성이 보정되고 2입력 출력 증폭기(80)에서 증폭된 후 라인(j)의 최종 출력 신호(OP)로서 제3j도와 같이 스피커나 헤드폰 또는 외부 출력 단자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3도의 재생시간(T1)동안 재생을 한 상태에서 지금 테이프 레코더가 제3도의 t2점에서 재생 종료를 한다면, 제3a도와 같이 데크 제어부(60)의 재생 뮤트 신호가 "하이"가 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됨으로써 상기 뮤팅 상태가 된다.
세번째로 지금 테이프 레코더가 제3도의 t3시점에서 녹음 상태로 동작한다면, 데크 제어부(60)의 녹음/재생 신호는 제3b도와 같이 t3점에서 "하이"가 되어 저항(R4)을 통해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에 인가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T2)를 "턴온"시킨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2)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는 다이오드(D2)를 통하여 급격히 방전된다.
따라서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스피커(81)에는 라인(c)의 제3c도와 같이 t3점에서 "로우"가 되는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외부 입력 버퍼(7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입력신호(IP)인 녹음 신호가 상기 스위치(81)의 절환에 의해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입력으로 선택되어 증폭 출력된다. 이때 제3i도와 같이 절환순간인 t3점에서 팝 노이즈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녹음 시각 지점인 제3도의 t3점에서 제3b도와 같이 "하이"가 되는 상기 녹음/재생 신호는 저항(R3)을 통하여 캐패시터(C1)에 라인(d)의 제3d도와 같은 파형으로 서서히 충전된다. 이때의 충전 시간은 적분회로인 상기 저항(R3)와 캐패시터(C1)의 RC 시정수에 따른다.
상기 라인(d)의 파형은 인버터(I1-I3)를 순차로 거치는데 라인(e-f)에서의 각각의 파형은 제3e도-제3g도와 같이 지연 및 정형된다. 상기 제3g도와 같이 t4점에서 "로우"가 되는 라인(g)의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라인(h)의 제3h도와 같은 신호 즉, 상기 재생뮤트 신호에 의한 "하이"를 "로우"로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1)가 "턴오프"됨으로서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출력 녹음 신호가 라인(j)의 최종 출력신호(OP)로서 출력된다. 즉 제3도의 t3점에서 녹음이 시작되어도 t4점 이전 시간동안은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출력 녹음 신호가 뮤팅됨으로써 스피커나 헤드폰 또는 외부 출력단자를 통한 녹음 모니터시 팝 노이즈가 뮤팅되며, 팝 노이즈가 나타나지 않는 t4 시점에서부터 녹음 신호만을 모니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3도의 녹음시간(T2) 동안 녹음을 한 상태에서 지금 테이프 레코더가 제3도의 t5점에서 녹음 종료를 한다면, 제3b도와 같이 데크 제어부(60)의 녹음/재생 신호가 "로우"가 되므로 캐패시터(C1)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가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라인(d)의 제3d도와 같이 급격히 방전됨으로써 인버터(I1-I3)를 통한 라인(g)의 신호도 제3g도와 같이 급격히 "하이"가 된다. 이에 따라 재생 뮤트 신호 "하이"가 라인(h)의 제3h도와 같이 그대로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1)가 제3도의 t5점에서 "턴온"됨으로써 라인(j)의 최종 출력신호(OP)는 다시 뮤팅이 된다.
또한 상기 녹음 종료 시점인 제3도의 t5점에서 제3b도와 같이 "로우"가 되는 녹음/재생 신호는 트랜지스터(T2)를 "턴오프" 시킴으로써 전원전압(Vcc)이 저항(R5-R6)을 통하여 캐패시터(C2)에 라인(c)의 제3c도와 같은 파형으로 서서히 충전된다. 이때의 충전시간은 적분회로인 상기 저항(R5-R6)과 캐패시터(C2)의 RC 시정수에 따른다. 상기 캐패시터(C2)에 충전이 완료되기 직전인 제3도의 t6점에서 라인(c)의 제3c도와 같이 "하이"의 신호에 의해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스위치(81)가 입력단자(H)로 절환된다. 이때 제3i도와 같이 절환순간인 t6점에서 팝 노이즈가 발생되지만, 이미 녹음 종료 시점인 t5점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라인(j)의 최종 출력 신호(OP)가 뮤팅되었으므로 스위치(81)의 절환으로 인한 팝 노이즈가 포함된 녹음 신호가 최종 출력신호(OP)로 나타나 녹음 모니터를 위한 스피커나 헤드폰 또는 외부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뮤팅 회로를 2중으로 구성하거나 제어용 마이콤의 기능을 변경시키지 않고도 재생시에는 재생 헤드(65)에서 재생된 재생 신호가 최종 출력신호(OP)로서 스피커나 헤드폰 또는 외부 출력 단자로 출력되게 된다. 또한 녹음 시작 및 녹음 종료시에 발생되는 팝 노이즈는 뮤팅되어 최종 출력신호(OP)로서 출력되는 것이 방지되고 팝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은 녹음 신호만이 최종 출력신호(OP)로서 스피커나 헤드폰 또는 외부 출력단자로 출력됨으로써 안정된 녹음 모니터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재생중 또는 녹음중이 아닌 상태에서 고속 전진 스위치, 고속 후진 스위치 등으로 인한 팝 노이즈도 뮤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스위치(81)의 절환으로 인한 팝 노이즈가 발생되는 시간이 뮤팅 동작중에 있도록 캐패시터(C1)와 저항(R3)으로 이루어진 적분회로 및 캐패시터(C2)와 저항(R5-R6)으로 이루어진 적분회로의 시정수에 의해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뮤팅회로를 2중으로 구성하거나 제어용 마이콤의 기능을 변경시키지 않고도 녹음모니터 및 뮤팅 제어를 할 수 있으며, 2입력 출력 증폭기의 입력 선택을 위한 절환시에 발생되는 팝 노이즈의 뮤팅 시점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팝 노이즈를 정확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재생뮤트 신호단자(03)와 녹음/재생 신호단자(04)를 포함하며 기능 선택에 따른 재생 뮤트 신호 및 녹음/재생 신호를 발생하는 데크 제어부(60)와, 재생시 자기 테이프의 녹음 되어 있는 신호를 읽어 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헤드(65)와, 상기 재생 신호를 입력하여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는 재생 등화 증폭기(70)와, 녹음시 외부에서 입력된 녹음 신호를 버퍼링하는 외부 이력 버퍼(75)와, 상기 재생 등화 증폭기(70)와 상기 외부 입력 버퍼(75)에서 출력된 신호중 하나를 선택 입력하여 증폭하는 2입력 출력 증폭기(80)와, 상기 데크 제어부(60)의 재생 뮤트 신호에 의해 상기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출력 신호에 대한 뮤팅 동작을 행하여 최종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뮤팅 제어부(85)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 장치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데크 제어부(60)의 녹음/재생 신호에 의해 상기 뮤팅 제어부(85)의 뮤팅을 해제시키는 시간을 제어하는 뮤팅 해제시간 제어부(90)와, 상기 데크 제어부(60)의 녹음/재생 신호에 의해 상기 2입력 출력 증폭기(80)의 입력 선택을 제어하며 입력을 선택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출력증폭기 입력 선택부(95)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 모니터 및 뮤팅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뮤팅 해제시간 제어부(90)가 뮤팅 해제 시정수를 갖게하는 적분회로와, 상기 적분회로의 응답속도를 상승시키는 다이오드(D1)와, 상기 적분회로의 출력신호는 소정지연 및 정형하여 상기 뮤팅 제어부(85)를 제어하는 지연 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 모니터 및 뮤팅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증폭기 입력선택부(95)가 상기 2입력 출력증폭기(80)의 입력을 선택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적분회로와, 상기 적분회로의 출력의 응답속도를 상승시키는 다이오드(D2)와, 상기 2입력 출력증폭기(80)의 입력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 모니터 및 뮤팅회로.
KR2019880013866U 1988-08-25 1988-08-25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 KR910008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866U KR910008267Y1 (ko) 1988-08-25 1988-08-25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866U KR910008267Y1 (ko) 1988-08-25 1988-08-25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625U KR900005625U (ko) 1990-03-09
KR910008267Y1 true KR910008267Y1 (ko) 1991-10-15

Family

ID=1927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866U KR910008267Y1 (ko) 1988-08-25 1988-08-25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2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625U (ko) 199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26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 모니터 및 뮤팅 제어회로
US5300892A (en) Audio signal amplifier circuit
US20010055475A1 (en) Audio and video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US4618834A (en) Variable characteristics amplifier circuit
US5764780A (en) Circuit for eliminating noise of audio signal
CA1046633A (en) Transient suppression for tape player integrated circuit preamplifier
KR880004359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자동절환신호 발생회로
JP3283284B2 (ja) 再生音量自動補正回路
JPS61173508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JP3157461B2 (ja) 平滑回路
JP2885374B2 (ja) ホールド回路
JPH0326445B2 (ko)
KR920000843Y1 (ko) 음향기기에서의 녹음. 재생 주파수별 자동이득 조정회로
JPH0447362B2 (ko)
KR960007566Y1 (ko) Ntsc/pal 겸용 시스템에서의 음성신호처리회로
KR890006632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잡음 방지회로
JPS6023784Y2 (ja) テ−プレコ−ダの曲間検出回路
JPH0449161B2 (ko)
KR910003761Y1 (ko) 캠코더의 영상신호 세기에 따른 음성자동조절회로
KR900009081Y1 (ko) 오디오 출력의 자동 조절회로
KR930008693Y1 (ko) 녹음재생기의 잡음저감회로
KR880000037Y1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오더에서의 뮤팅회로
KR930007496Y1 (ko) 음성 페이드 인/아웃트 회로
KR920004016Y1 (ko) Vtr의 재생시 영상신호가 없을때 테이프 속도절환회로
KR910002995Y1 (ko) 하이파이 브이씨알의 음성신호 자동 스위칭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