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436B1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436B1
KR960007436B1 KR1019900017187A KR900017187A KR960007436B1 KR 960007436 B1 KR960007436 B1 KR 960007436B1 KR 1019900017187 A KR1019900017187 A KR 1019900017187A KR 900017187 A KR900017187 A KR 900017187A KR 960007436 B1 KR960007436 B1 KR 960007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body
socket
nipple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326A (ko
Inventor
하루끼 시마다
Original Assignee
닛타 ·무아 가부시키가이샤
니시오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429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5003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타 ·무아 가부시키가이샤, 니시오 히데오 filed Critical 닛타 ·무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with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7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hose being introduced into or onto the connecting member and automatically lock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with an inner support sleeve arranged within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the wedge element being axially displaceable for releasing th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 연결구
제1도는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 및 2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도a는 호스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제1도b는 호스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제1도c는 호스가 접속되고 호스에 내압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관열결구에 사용되는 콜릿(collet)의 일부 종단면도.
제3도는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의 관 연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a는 호스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일부 횡단면도.
제3도b는 호스부가 접속되고 호스에 내압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제4도a는 호스와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제4도b는 호스에서의 이탈조작을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제4도c는 호스와의 이탈상태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제5도는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의 관연결구 반단면도.
제6도a,b,c는 니플(nipple)의 대직경부와 "C"형 스냅링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전술한 "C"형 스냅링의 외경도.
제8도는 지지통의 반단면도.
제9도는 전술한 배관연결구에 의해 배관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제10도는 종래 관연결구위 반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니플 2, 101b : 소켓
3 : 인써트 4 : 콜릿
5 : 슬리브 10 : 소직경부
11 : 대직경부 11a : 배관삽입구
12 : 홈 21, 50 : 테이퍼부(내주면)
30 : 통과공구멍 40 : 외주면
H : 호스
본 발명은 배관을 연결하는 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관연결구에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플(1) 의 대직경부(11)내에 내주면의 직경이 축방향으로 향하여 감소하는 경사진 테이퍼부(50)를 가진 슬리브(sleeve)(5), 니플(1)의 소직경부(10)와 통하는 구멍(30)을 가지고 미끄럼운동을 하는 인써트(insert)(3) 및 슬리브(5) 의 테이퍼부(50)에 접속가능한 외주면(40)을 가지고 슬리브(5)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직경이 확대 축소되는 콜릿(collet)(4)을 설치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관연결구에서는 니플(1)의 대직경부(11) 구멍을 깊게 하지 않으면 니플(1)의 대직경부(11)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슬리브(5), 인써트(3) 및 콜릿(4)을 설치할 수 없고 니플(1)은 가공면에 있어서 대직경부(11)의 커다란 경량화가 필요하였다.
그 때문에 이 니플(1)의 대직경부(11) 가공은 절삭가공, 단조(hammering)등의 소성 가공에 의해서도 가공량이 대단히 많아지고, 가공량이 대단히 많아지게 되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가공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관연결구에서는 직경이 축방향으로향하여 감소하는 테이퍼부(50)를 슬리브(5)의 내주면에 설치하는데에는 선반등에 의한 절삭가공을 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슬리브(5)의 가공이 가격상승의 요인이 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관연결구에는 호스(H)를 일단 접속한다면 호스(H)와 관연결구를 분리할 수 없고 관연결구를 재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종래의 관연결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도 있었다.
이 관연결구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단부에 숫나사부를 가진 원통모양의 니플(1)내에 이것과 동축상에 인써트(3)를 미끄럼운동을 하도록 설치하고, 이 인써트(3)와 니플(1)사이에 콜릿(4)을 앞뒤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설치한 구성으로서, 인써트(3)와 콜릿(4)의 접속힘에 의해 이들 상호간에 삽입된 배관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 때문에, 상기 니플(1)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단부를 배관삽입구(11a)로 하고 그 배관삽입구(11a)주위의 내주면에서 개방측을 향해서 직경이 축소하는 테이퍼부(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콜릿(4)은 탄성재로 구성되어 있고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을 상기 배관삽입구(11a)보다도 조금 크게 설정하고, 그 주위벽에 전술한 배관삽입구(11a)측을 향하여 개방하는 슬릿(4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콜릿(4)과 인써트(3)의 간격을 이것에 접속하는 배관의 두께보다 조금 적게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배관삽입구(11a)를 통해서 콜릿(4)과 인써트(3) 사이에 배관을 강제적으로 삽입하고 그 후 전술한 배관을 잡아당기면 콜릿(4) 및 인써트(3)는 배관과 함께 배관삽입구(11a)측으로 일체로 이동한다.
그리고 콜릿(4)이 전술한 테이퍼부(50)와 접할때, 콜릿(4)에는 테이퍼부(50)에서의 억압력이 지름이 축소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 콜릿(4)과 인써트(3)에 의한 배관에서의 접속힘은 증대하고 배관은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이 관연결구에서는 배관삽입구(11a)에서 배관을 삽입하고 그 후 자기 앞으로 끌어당기는 것만으로 간단히 배관을 접속할 수 있어 대단히 편리하다.
그런데, 상기 형식의 관연결구에서는 장기간 사용하여 콜릿(4)이 열화하여 접속된 배관이 밀리면 콜릿(4)이 파손해 버릴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재차 배관의 잡아당기는 조작을 행하더라도 안정된 접속력을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1목적은 가공이 간단하고 생산 가격을 저감할 수 있는 관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호스(H)를 일단 접속한 후에도 호스(H)와 관연결구를 분리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관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한 뒤에 배관에 압축력이 작용해도 배관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므로써 배관이 안정된 상태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관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여러 목적 및 이하 후술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즉,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관연결구는 한 쪽 단부에 소켓과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접속부에 한 쪽 단부가 접속되며, 다른 단부에 배관이 삽입되고,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단부 주위의 내주면에 바깥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가 설치된 소켓, 일정한 범위내에서 진퇴가능하도록 본체내부에 설치되는 인써트 및 상시 소켓의 내주면과 인써트 사이에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콜릿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관연결구는 내주면에 소직경부(10)와 대직경부(11)를 가지며 외주면에 홈(12)을 가진 니플(1), 상기 니플(1)의 홈(12)에 한쪽 단부가 접속되고, 내주면(21)의 직경이 상기 단부의 반대방향으로 감소하는 소켓(2), 상기 니플(1)의 소직경부(10)와 통하는 구멍(30)을 가지며, 시일부재(31)를 가진 단부가 상기 니플(1)의 대직경부(11)에 걸어맞춰져 미끄럼운동을 하는 인써트(3) 및 상기 소켓(2)의 내주면(21)에 접속가능한 외주면(40)을 가지며, 상기 소켓(2)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할 때 직경이 확대 축소되는 콜릿(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관연결구는 전술한 제2항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니플(1)이 인써트(3)로부터의 빠짐 방지 구조(15)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관연결구는 전술한 제2항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니플(1)과 소켓(2)의 자유롭게 접소도고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출원의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이고, 소직경부와 대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대직경부(119)측의 단부를 배관을 삽입하느 단부(11)로 한 주체(101), 상기 주체(101)의 소직경부(118)에 자유롭게 미끄럼운동하도록 접속되며, 상기 배관을 삽입하는 단부(110)를 향하여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 상기 주체(101)의 대직경부(119) 내주면과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사이에서 앞뒤로 움직이도록 설치된 지지통(103)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체(101)의 배관을 삽입하는 단부(110)주위의 내주면에 바깥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111)를 설치하고, 다른쪽 지지통(103)의 외경을 상기 배관을 삽입하는 단부(110)보다 크게 설정하는 동시에 지지통(130) 배관삽입구(110) 측단부에 개방되는 슬릿(130)을 형성하고, 앞두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과 지지통(103)의 간격을 삽입되는 배관의 두께보다도 적게 설정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주체(101)를 본체와 본체에 접속되는 별체의 소켓(101b)으로 구성하고, 본체는 소직경부(118)를 가지고, 소켓(101b)이 대직경부(119) 및 테이퍼부(111)를 가지고,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의 외주면에 홈(106)을 설치하고, 직경이 확대될 때 상기 주체(101)의 소직경부(118)보다도 외경이 커지는"C"형 스냅링(107)을 상기 홈(106)에 끼우며,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이 미끄럼운동을 하는 지역의 배관삽입 단부 주위로 이동했을 때 상기 (119)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는 상기 수단을 실시하기 우해서 다음과 같은 작용을 가진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원통형상의 본체에 소켓을 접속하기 위해서 본체를 경량화할 필요가 없어졌다.
또한 소켓은 파이프재의 수축 가공에 의해 제작할 수 있었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니플(1)의 대직경부(11)측에 접속된 소켓(2)에 콜릿(4)을 설치하기 위해서 니플(1)의 대직경부(11)를 경량화할 필요가 없어졌다.
또한 콜릿(4)을 설치하도록 한 소켓(2)의 테이퍼부(21)는 파이프재의 수축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1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작용을 가지고, 호스를 접속할 경우 관연결구에 호스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 니플(1)로 부터 인써트(3)가 빠져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1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작용을 가지며 호스와 관연결구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특허청구범위 제5항 내지 제9항에 기재된 상기 제1항에 기재된 작용에 부가하여 다음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를 이용하여 배관을접속할 경우 종래의 기술란에 기재된 요령으로 행하면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상기 접속동작시, 즉 배관의 잡아당기는 조작을 했을 때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의 홈(106)내에 수용된 "C"형 스냅링(107)이 대직경부(119)로 이동했을 때 소직경부(118)보다도 큰 직경이 된다.
또한 상기 홈(106)은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이 미끄럼운동을 하는 지역의 배관삽입단부 주위로 이동했을때 상기 홈(106)이 소직경부(118)와 대직경부(119)의 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배관접속 상태에서는 "C"형 스냅링(107)은 상기 단부 주위에서 상기 홈(106)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직경이 확대된다.
따라서, 접속되어 있는 배관에 압축력이 작용했을 경우에서도 "C"형 스냅링(107)을 통해서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과 주체(101)가 걸림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통(102)의 이동은 제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4항에 기재된 발명과 대응하는 관연결구의 구성을 실시예로 나타낸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를 구성해야할 니플(1), 소켓(2), 인써트(3) 및 콜릿(4)으로 이루어진다.
니플(1)은 내주면에 소직경부(10)와 대직경부(11)를 가지며, 대직경부(11)측의 외주면에 홈(12)을 가진다.
상기 니플(1)은 소직경부(10)측의 외주면에 숫나사부(1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니플(1)은 제3도,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플(1) 대직경부(11)측 단부에 니플(1)의 축방향 또는 안쪽으로 돌출된 고리형태의 걸림부를 설치하므로써 후술하는 인써트(3)의 빠짐 방지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소켓(2)은 니플(1)의 (12)에 접속되고, 내주면의 직경이 축방향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21)를 가진다.
상기 소켓(2)은 제1도, 제3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니플(1)의 둘레홈(12)에 걸리므로써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소켓(2)은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정착시에는(제4도 참조) 니플(1)측의 소켓(2)단부에 근접한 곳에 형성된 구멍(22)에 소켓(2)의 두께보다도 큰 직경의 볼(23)을 삽입하고, 소켓(2)의 외주에 접속된 바깥 슬리브(24)의 내측볼록부(25)와 소켓(2)의 외측볼록부(26)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스프링(27)의 탄력에 의해 바깥 슬리브(24)를 니플(1)로부터 밀어내므로써 바깥슬리브(24)의 내측볼록부(25)에 의해서 볼(23)이 억압되고 니플(1)의 홈(12)에 볼이 끼워 넣어지도록 하고 이탈시에는(제4도(b) 참조) 전술한 스프링(27)의 탄력에 빈하여 바깥 슬리브(24)를 소켓(2)측으로 복원시키므로써 바깥 슬리브(24)의 내측오목부(28)에 볼(23)을 밀어내어 니플(1)의 홈(12)에서 볼(23)이 솟아오르게 하므로써 니플(1)과 자유롭게 접속 또는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소켓(2)을 형성할 때에 금속제(혹은 이것과 동등한 강도를 가진 재료)파이프재를 이용하고 상기 파이프재에 수축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퍼부(21)를 설치하면 종래와 같은 슬리브의 내주면에 테이퍼부(50)를 설치하기 위해서 선반등으로 절삭가공할 필요가 없어지고 생산 가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써트(3)는 니플(1)의 소직경부(10)와 통하는 구멍(30)을 가지고 니플(1)의 대직경부(11)과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시일부재(31)로서 "O"링을 가진 단부가 니플(1)의 대직경부(11)에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상기 인써트(3)는 외주면에 호스(H)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고리형태의 리브(32) 및 호스(H)와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부재(33)로 "O"링을 가진다.
콜릿(4)은 소켓(2)의 테이퍼부(21)에 접속가능한 외주면(40)을 가지고, 소켓(2)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할때 직경이 확대 축소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콜릿(4)의 내경은 정상 상태에서는 호스(H)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콜릿의 내주면에선 호스(H)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고리형태의 홈(41)이 있다.
또한, 상기 콜릿(4)이 소켓(2)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할 때 직경이 확대 축소하도록 하는 데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복수의 슬릿(42)을 설치한 구조로 할 수 있지만, 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를 조립하는 데에는 우선 인써트(3)를 니플(1)의 대직경부(11)에 인써트(3)의 시일부재(31)를 가진 단부가 니플(1)의 소직경부(10)단부에 닿을 때까지 삽입한다.
그리고, 콜릿(4)을 인써트(3)의 외주에 콜릿(4)의 단부가 니플(1)의 대직경부(11)단부에 닿을때까지 삽입하고, 소켓(2)을 니플(1)의 홈(12)에 부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명에서 관밴드에 호스(H)를 접속하는것을 제1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2)의 한 단부(20)측에서 호스(H)를 인써트(3)의 외주면과 콜릿(4)의 내주사이에 호스(H)의 단부가 니플(1)의 대직경부(11)의 단부에 닿을 때까지 삽입하므로써 행해진다.
또한 호스(H)에 내압이 가하여지면 제1도(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써트(3)는 소켓(2)의 단부(20)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호스(H)도 콜릿(4)을 따라 소켓(2)의 개구(20)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콜릿(4)의 외주면(40)이 소켓(2)의 테이퍼부(21)에 접속되고, 콜릿(4)은 테이퍼부(21)에 접속되며, 콜릿(4)은 직경이 축소한다.
그리고, 호스(H)의 단부는 콜릿(4)의 내주면과 인써트(3)의 외주면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를 니플(1)로 하고 있지만 이것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켓(2)과 니플(1)을 접속하는 것에 관해서 코킹(calking) 고정을 채택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사고정등의 고정기술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도 인써트(3)의 압축을 제지하기 위해서 소직 경부(10)와 대직경부(11)의 단부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직경부(10)와 대직경부(11)를 동일 직경으로 하고, "C"형링을 대신하여 안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해도 좋다.
즉, 인써트(3)의 압축이 규제된 시점에서 인써트(3)측의 내주가 대직경부(11)에 형성되고, 인써트(3)가 닿은 부분만이 소직경부(10)에 형성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제 5항 내지 제 9항에 기재된 발명과 대응하는 관연결구의 구성을 실시예로서 나타낸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이 관연결구는 제 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통모양의 주체(101)와 상기 주체(101)내에 동축상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부착된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과 상기주체(101)와 통(102)사이에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통(103)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체(101)는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를 구성해야할 니플(101a)의 한단부에 소켓(101b)를 코킹고정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소켓(101b)의 단부를 배관삽입단부(110)로 하고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주체(101)를 상기와 같이 본체를 구성해야할 니플(101a)과 소켓(101b)으로 나누었지만 이와 같이 별체로 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니플(101a)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면에 대직경부(113)와 소직경부(114)를 가진 구성으로 하고 있고, 상기 대직경부(113)에서 소켓(101b)과 접속하는 단부에는 상기 배관삽입단부(110)를 향하여 경사진 안쪽으로 돌출된 부분(115)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101b)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두께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것으로 단부를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도록 배관삽입단부(110) 근방의 내주부분에 테이퍼부(111)를 형성하고 있다.
즉, 이것에서는 니플(101a)에 형성된 대ㆍ소직경부(113),(114)가 상기 수단의 난에 기재된 주체(101)의 소직경부(118)로 되고, 소켓(101b)의 구멍부가 수단의 난에 기재된 주체(101)의 대직경부(119)로 되어 있는 것이다.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직경부(120),중직경부(121) 및 소직경부(122)가 순차적으로 늘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대직경부(120)를 대직경부(113)에 수용되어 니플(101a)에 부착되어 있다.
대직경부(120)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플(101a)의 대직경부(113)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외주면에 홈(125)에 "O"링을 장착하여 상기 통(102)의 대직경부(120)와 니플(101a)의 대직경부(113)의 사이에 밀폐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중직경부(121)는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을 상기 안쪽으로 돌출된 부분(115)의 내경보다 적게 설정하고 있고, 축방향으로 중간정도에 홈(10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106)에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C"형 스냅링(107)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106)은 상기 통(102)이 이것의 습동지역에서의 배관삽입단부(110)주위로 이동했을 때 상기 홈(106)이 니플(101a)의 나부보다 배관삽입구(110)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C"형 스냅링(107)의 외경은 원형상의 것으로 제6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플(101a)의 대직경부(113)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안쪽으로 돌출된 부분(115)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소직경부(112)는 접속되는 배관이 외경에 대략 일치되고, 제5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홈(12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홈(126)내에 "O"링이 설치되어 있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H)이 상기 통(102)과 지지통(103)에 의해 끼워질때 배관(H)의 내주면과 상기 통(102)의 외주면의 사이에 밀폐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통(102)은 대직경부(113)와 소직경부(114)와의 단부와 안쪽으로 돌출된 부분(115) 사이에 범위를 미끄럼운동하는 상태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통(103)은 탄성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제5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을 상기 배관삽입단부(110)보다 크게 설정하고 배관삽입단부(110)측의 외주에 상기 테이퍼부(111)와 대응하는 테이퍼부(132)를 형성하고 있고, 지지통(103)의 내주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통(103)이 외주에 한 단부에 개방되는 슬릿(13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것에서는 상기 통(102) 및 지지통(103)이 주체(101)내에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용된 상태에서 통(102)과 지지통(103)과의 간격이 삽입시킨 제9도에 나타낸 배관(H)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관연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체(101)의 배관삽입단부(110)를 통하여 배관(H)을 상기 통(102)과 지지통(103)사이에 강제적으로 삽입하면 지지통(103)에서의 탄성복귀력에 의해서 배관(H)에는 지지통(103)과 상기 통(102)에 의해 전술한 배관(H)을 잡아당기며, 전술한 작용에 의해 배관(H)은 지지통(103)의 걸림돌기(133)와 상기 통(102)의 외주에 의해서 강력한 힘으로 끼워지게 되고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돌기(133)가 배관의 외주면으로 들어가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것에서는 상기 접속조작, 즉 배관(H)의 장력조작을 했을때 상기통(102)의 홈(106)내에 수용시킨 "C"형 스냅링(107)은 제6도(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안쪽으로 돌출된 부분(115)과의 걸림에 의해서 직경이 축소되고 그후 전술한 걸림이 해제되어 직경이 확대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홈(106)은 상기 통(102)이 미끄럼운동을 하는 지역의 배관삽입단부(110)주위로 이동했을때 상기 홈(106)이 니플(101a)의 단부보다도 배관삽입구(110)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관 접속 상태에서는 "C"형 스냅링(107)은 안쪽으로 돌출된 부분(115)보다 배관삽입구(110)측으로 직경이 확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되어 있는 배관에 압축력이 작용했을때에도 "C"형 스냅링(107)을통해서 상기 통(102)과 니플(101a)이 걸림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통(102)의 이동은 제지되고, 그 결과 배관(H)의 접속상태는 안정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관연결구에서는 한단부가 배관접속부의 구조를 배관을 바깥으로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했지만 배관을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는 것도 좋고, 상기 전술한 대ㆍ소직경부(113)(114)를 같은 직경으로 설정하고, 중간부분에 안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통(102)은 전술한 안쪽 돌출부와 안쪽돌출편(115)과의 사이를 미끄럼운동 상태로 앞뒤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의 주체(101)를 니플(101a)에 소켓(101b)을 코킹고정하도록 하여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니플(101a)과 소켓(101b)은 나사결합 등의 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구성해도 좋다.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주체를 경량화할 필요가 없어지고, 소켓은 파이프재의 수축가공에 의해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이 간단하게 되고 생산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관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니플(1)의 대직경부(11)측에 접속된 소켓(2)에 콜릿(4)을 설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니플(1)을 대직경부(11)를 경량화할 필요가 없어지고, 가공량이 대단히 적어질 뿐만 아니라, 콜릿(4)을 구비한 소켓(2)의 테이퍼부(21)는 파이프재의 수축가공에 의해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이 대단히 간단하게 되므로 생산가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2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호스(H)를 접속할 경우에 관연결구에 호스를 완전히 삽입하지 못하여 니플(1)로부터 인써트(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관연결구와 호스(H)의 접속이 확실하게 되어 안정성이 뛰어나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1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호스(H)와 관연결구와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관연결구르 재사용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5항 내지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1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접속되어 있는 배관에 압축력을 작용했을 경우에도 "C"형 스냅링(107)을 통해서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과 주체(101)가 결합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통(102)의 이동은 제지되고, 그 결과 배관의 접속상태는 안정된다.
또한 여기서 도시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이고, 각 부품등의 형상 크기등에 대한 변경은 본 발명의 취지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벗어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한 쪽 단부에 소켓과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본체 ; 상기 본체의 접속부에 한 쪽 단부가 접속되며, 다른 단부에 배관이 삽입되고,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단부 주위의 내주면에 바깥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가 설치된 소켓 ; 일정한 범위에서는 진퇴가능하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인써트 ; 및 상기 소켓의 내주면과 인써트 사이에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콜릿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2. 내주면에 소직경부(10)와 대직경부(11)를 가지며, 외주면에 홈(12)을 가진 니플(1) ; 상기 니플의 홈에 한 쪽 단부가 접속되고, 내주면(21)의 직경이 상기 단부의 반대방향으로 감소하는 소켓(2) ; 상기 니플의 소직경부(10)와 통하는 구멍(30)을 가지며, 시일 부재(31)를 가진 단부가 상기 니플(1)의 대직경부(11)에 걸어맞춰 미끄럼운동을 하는 인써트(3) ; 및 상기 소켓(2)의 내주면(21)에 접속가능한 외주면(40)을 가지며 상기 소켓(2)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할때 직경이 확대축소되는 콜릿(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1)이 인써트(3)로부터의 빠짐방지구조(15)를 가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1)과 소켓(2)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5. 양단이 개방된 원통모양이고, 소직경부(118)와 대직경부(119)를 가지며, 상기 대직경부(119)측의 배관을 삽입하는 단부(110)로 한 주체(101), 상기 주체(101)의 소직경부(118)에 자유롭게 미끄럼운동하도록 접속되며, 상기 배관을 삽입하는 단부(110)를 향하여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 상기 주체(101)의 대직경부(119) 내주면과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사이에서 앞뒤로 움직이도록 설취된 지지통(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체(101)의 배관을 삽입하는 단부(110)주위의 내주면에 바깥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111)를 설치하고, 지지통(103)의 외경을 상기 배관을 삽입하는 단부(110)보다 크게 설정하는 동시에 지지통(103)에 배관을 삽입하는 단부(110)에 개방되는 슬릿(130)을 형성하고,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과 지지통(103)과의 간격을 삽입되는 배관의 두께보다도 적게 설정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주체(101)를 본체와 본체에 접속되는 별체의 소켓(101b)으로 구성하고, 본체가 소직경부(118)를 가지고, 소켓(101b)이 대직경부(119) 및 테이퍼부(111)를 가지고,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의 외주면에 홈(106)을 설치하고, 직경이 확대될 때 상기주체(101)의 소직경부(118)보다도 외경이 커지는 "C"형 스냅링(107)을 상기 홈(106)에 끼우며, 앞뒤로 움직이는 가느다란 통(102)이 미끄럼운동을 하는 지역의 배관삽입단부 주위로 이동했을 때 상기 홈(106)이 상기 소직경부(118)와 대직경부(119)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6. 제5항에 있어서, 주체(101)의 소직경부(118)를 배관을 삽입하는 단부(110)에 안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진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7. 제6항에 있어서, 안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배관을 삽입하는 단부(110)를 향하여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관연결구.
  8. 제7항에 있어서, "C"형 스냅링(107)의 직경이 확대될 때, 외경이 안쪽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9. 제5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형 스냅링(107)의 단면형상으로 원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는 관연결구.
KR1019900017187A 1989-10-25 1990-10-25 관 연결구 KR960007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795089 1989-10-25
JP89-277950 1989-10-25
JP7429290A JP2745003B2 (ja) 1990-03-23 1990-03-23 管継手
JP90-74292 1990-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326A KR910008326A (ko) 1991-05-31
KR960007436B1 true KR960007436B1 (ko) 1996-05-31

Family

ID=2641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187A KR960007436B1 (ko) 1989-10-25 1990-10-25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12087A (ko)
EP (1) EP0425230B1 (ko)
KR (1) KR960007436B1 (ko)
CN (1) CN1022345C (ko)
DE (1) DE6900204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799A (en) * 1992-06-26 1994-06-07 Dayco Products, Inc. Method of making hose coupling with ferrule end bent over insert
US5788289A (en) * 1994-10-14 1998-08-04 Cronley; Gerald One-piece coupler for connecting hoses
JP2706629B2 (ja) * 1994-12-28 1998-01-28 株式会社日本ピスコ 管継手
CN1061375C (zh) * 1996-07-19 2001-01-31 中国科学院上海生物工程研究中心 利用异源启动子在链霉菌中表达透明颤菌血红蛋白
US6142538A (en) * 1998-07-28 2000-11-07 Perfection Corporation Stab-type coupling with conduit inner diameter seal
DE19935246B4 (de) * 1999-06-04 2004-07-22 Friatec Ag Steckverbinder
FR2826705B1 (fr) * 2001-07-02 2004-08-06 Geci Raccord recuperable adaptable aux extremites d'un tuyau souple arme
US6746055B1 (en) * 2001-08-01 2004-06-08 Continental Industries, Inc. Transition coupling between metal and plastic piping systems
US7140645B2 (en) * 2002-06-27 2006-11-28 Gerald Cronley Quick-connecting coupler for hoses, pipes and faucets
US6786516B2 (en) 2002-06-27 2004-09-07 Gerald Cronley Quick-connecting coupler for hoses, pipes and faucets
US6932389B2 (en) * 2003-12-31 2005-08-23 Perfection Corporation Connector with fluid line installation indicator
WO2007045033A1 (en) * 2005-10-19 2007-04-26 Jtl Australia Pty Ltd A slip type pipe joint
AU2006303813B2 (en) * 2005-10-19 2011-07-07 Norma Pacific Pty Ltd A slip type pipe joint
US7699354B2 (en) * 2006-04-28 2010-04-20 Beard Michael E Marine riser assembly
GB0624784D0 (en) * 2006-12-12 2007-01-17 Guest John I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RU2482374C2 (ru) * 2008-04-03 2013-05-20 Плассим Фиттингс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FR2934029B1 (fr) * 2008-07-16 2010-08-13 Contitech Anoflex Sas Raccord enfichable pour tuyau
ES1070533Y (es) * 2009-06-15 2009-12-23 Multitubo Montaje Y Distribuci Accesorio para acoplamiento de tubos por deslizamiento
US10174870B2 (en) 2011-11-04 2019-01-08 Telebrands Corp. Expandable and contractible garden hose
US8757213B2 (en) 2011-11-04 2014-06-24 Blue Gentian, Llc Commercial hose
US8479776B2 (en) * 2011-11-04 2013-07-09 Blue Gentian, Llc Expandable garden hose
ITVR20110207A1 (it) * 2011-11-24 2013-05-25 Seneci Brenda Sofia Raccordo per tubi
EP2637274B1 (en) * 2012-03-05 2022-05-04 Vetco Gray Scandinavia AS Power cable termination arrangement
AT518582B1 (de) * 2016-05-09 2018-01-15 Henn Gmbh & Co Kg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Verbindungsabschnittes eines Schlauches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mit einem Steck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2904C (de) * 1951-08-19 1953-04-09 Mueller & Borggraefe Kommandit Schlauchverbindung
FR1161980A (fr) * 1956-04-25 1958-09-08 Neue Argus Gmbh Raccord pour un tuyau souple en caoutchouc ou en matière synthétique de grand diamètre, et procédé de fixation de ce raccord sur le tuyau
US3352576A (en) * 1965-08-24 1967-11-14 Olin Mathieson Tube coupling having split ring locking means
FR2383385A1 (fr) * 1977-03-09 1978-10-06 Legris France Sa Perfectionnement aux raccords rapides pour tuyaux flexibles renforces multicouches pour fluides
FR2398958A2 (fr) * 1977-07-28 1979-02-23 Legris France Sa Perfectionnement aux raccords rapides pour tuyaux flexibles renforces multicouches pour fluides
US4775171A (en) * 1987-04-06 1988-10-04 Marshall Don J High pressure field repair coupling
JPH0633844B2 (ja) * 1987-09-29 1994-05-02 ブリヂストンフロ−テック株式会社 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5230B1 (en) 1993-06-23
EP0425230A1 (en) 1991-05-02
CN1022345C (zh) 1993-10-06
DE69002047D1 (de) 1993-07-29
KR910008326A (ko) 1991-05-31
CN1051237A (zh) 1991-05-08
US5112087A (en) 1992-05-12
DE69002047T2 (de) 199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436B1 (ko) 관 연결구
CA1316961C (en) Controlled leak path
US4645245A (en) Quick connect tube coupling
US4188051A (en) Tube coupling
AU668316B2 (en) Coupling for outer surface engagement of polymeric pipe
US4993755A (en) Quick connect fitting
US4915136A (en) Stuffer plug quick connector assembly
US4193616A (en) Quick connect fitting
US4902043A (en) Fluid coupling and seal assembly
US7032932B2 (en) Tube couplings
US5472244A (en) Plastic coupling for plastic tubing
US4302036A (en) Tube coupling
WO1994025786A1 (en) Quick-action coupling for pipes or hoses
US5791693A (en) Pup joint with integral wing nut retention shoulder
US3853338A (en) Coupling
US4653781A (en) Quick connect coupling assembly
GB2104607A (en) Hose couplings
GB2043814A (en) Pipe Couplings
JP2009144740A (ja) アダプターを備えた継手
US6443501B1 (en) Mid-line coupling
US5243823A (en) Master cylinder with non-threaded end cap retention
JPH07110087A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2554658Y2 (ja) 管継手
KR930003266Y1 (ko) 유체 접속구의 소켓
JP2775079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