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307Y1 - 도어 개폐완충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307Y1
KR960007307Y1 KR2019910022900U KR910022900U KR960007307Y1 KR 960007307 Y1 KR960007307 Y1 KR 960007307Y1 KR 2019910022900 U KR2019910022900 U KR 2019910022900U KR 910022900 U KR910022900 U KR 910022900U KR 960007307 Y1 KR960007307 Y1 KR 960007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ock absorber
closing
door open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2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378U (ko
Inventor
오시태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2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307Y1/ko
Publication of KR9300173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3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도어 개폐완충장치
제1도는 종래의 도어개폐 완충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도어개폐 완충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폐 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도면 3의 I-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회전축20 : 바디
21 : 요홈31, 32 : 걸림돌기
40 : 도어43 : 힌지축
본 고안은 각종 전자 제품에 예를 들면 VTR도어 등에 적용되는 도어개폐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전자제품상에는 기능에 따라 크고 작은 도어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도어의 개폐동작시 급속한 개방등으로 제품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회전축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과 소음발생 등의 문제점에 의해 이를 채용한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도어개폐 완충장치 및 댐퍼를 이용한 도어개폐 완충장치등이 제안되고 있다.
즉, 전자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도어개폐 완충장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개방 되어지는 도어의 힘을 완화시키는 형태의 개방장치를 말하며, 후자의 경우 즉, 댐퍼를 이용한 도어개폐 완충장치는 댐퍼내부에 점성이 강한 오일(그리이스)을 삽입하여 이를 통해 도어의 부드러운 개폐작동을 도모한 것이다.
이와같은 도어개폐 완충장치에 있어서, 조립 제조시 경제적인 측면에서 스프링을 이용한 도어 개폐 완충장치는 비교적 저렴한 제품에 많이 채용되게 되며, 댐퍼를 채용한 도어 개폐 완충장치는 비교적 고급제품에 많이 채용된다.
도면 1 및 도면 2에는 이와같은 도어개폐 완충장치중 댐퍼를 통한 완충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이는, 태양기어(10)를 일체로 구비하고 바디(20)의 요홈(21)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된 회전축(11)과, 회전축(11)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며, 제품의 프레임(미도시)에 삽입 고정되는 한쌍의 걸림돌기(31)(32)가 그 일측면에 연장 형성되며, 회전축(11)이 끼워 삽입된 요홈(21)에는 점성을 갖는 오일(22)이 충진된 바디(20)와, 태양기어(10)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회동하는 피동기어(42)와 제품의 패널(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43)을 포함하는 도어(4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개폐 완충장치는 도어(40)의 개방시 태양기어(10)와 피동기어(42)가 서로 맞물려 회동되므로 도어(40)는 힌지축(43)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10)과 바디(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점성이 큰 오일에 의해 서서히 개방되게 되므로 도어(40)의 급속한 개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이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도어개폐 완충장치에 있어서는 태양기어와 피동기어등 다수의 기어를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부품수 증간에 의한 단가상승과 조립작업성의 저하를 유발하였으며, 특히 기기의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어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 향상 및 경쟁력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고급화 추세에 부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댐퍼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수 감소에 따른 단가절감과 특히 전자기기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도어개폐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폐 완충장치는 그 내면에 점성오일이 충진되는 요홈을 갖는 바디와, 그 일측 외면에 상기 바디의 중심과 동일축선상으로 힌지축이 연장 형성된 도어와 ; 상기 힌지축과 대향되는 상기 도어의 일측 내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요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회전축 ; 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별도로 태양기어와 피동기어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부품수 감소에 따른 단가절감과 작업성의 향상 그리고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폐 완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면 1 및 도면 2를 참조하며 동일부품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 3 및 도면 4에서 본 고안은, 크게 바디(20)와 도어(40) 그리고 회전축(11)으로 대별된다.
전술한 바디(20)는 그 내부에 소정의 점성을 갖는 오일이 충진되는 요홈(21)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품의 프레임상에 결합되도록 한쌍의 걸리돌기(31, 32)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한편, 도어(40)의 외측에는 전술한 바디(20)의 중심과 동축방향으로 제품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43)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회전축(11)은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의 오일이 충진된 요홈(21)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것으로써, 특히 도어(40)의 내측면에 힌지축(43)과 동일축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어(40)을 도시되지 않은 개폐수단을 통해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게 되면, 이 도어(40)의 외측에 형성된 힌지축(43)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되고, 동시에 도어(40)의 내측면에 힌지축(43)과 동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디(20)의 요홈(21)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된 회전축(11)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의 회전축(11)이 바디(20)의 요홈(21)내에서 회전되는 과정에서 요홈(21)상에 충진된 오일의 점성력을 통해 상호간에 마찰력이 발생되게 됨으로써 이를 통해 도어(40)가 부드럽고 완충되면서 개방 또는 밀폐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폐 완충장치에 의하면, 도어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을 오일이 충진된 바디의 요홈상에 끼워 삽입하여 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완충효과를 얻음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부품수가 대폭적으로 감소된 것이다. 따라서 단가절감과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특히 제품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그 내면에 전성오일이 충진되는 요홈(21)을 갖는 바디(20)와 ;
    그 일측 외면에 상기 바디(20)의 중심과 동일축선상으로 힌지축(43)이 연장 형성된 도어와 ;
    상기 힌지축(43)과 대향되는 상기 도어(40)의 일측 내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바디(20)의 요홈(2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회전축(11) ;
    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완충장치.
KR2019910022900U 1991-12-19 1991-12-19 도어 개폐완충장치 KR960007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900U KR960007307Y1 (ko) 1991-12-19 1991-12-19 도어 개폐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900U KR960007307Y1 (ko) 1991-12-19 1991-12-19 도어 개폐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378U KR930017378U (ko) 1993-07-29
KR960007307Y1 true KR960007307Y1 (ko) 1996-08-28

Family

ID=1932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2900U KR960007307Y1 (ko) 1991-12-19 1991-12-19 도어 개폐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3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764A (ko) * 2002-10-24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어 댐퍼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378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3936B2 (en) Damping mechanism
US4652781A (en) Drive unit for adjusting window panes, sunroofs, seats and similar motor vehicle parts
EP0995627B1 (en) Openable and closable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US5090521A (en) One-way damper
KR102044158B1 (ko) 냉장고 도어용 댐핑 힌지 모듈
KR101995360B1 (ko)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끼임 방지 도어
KR960007307Y1 (ko) 도어 개폐완충장치
GB2281099A (en) Self-closing door hinge
JP2005156107A (ja) 冷蔵庫の扉装置
GB1397776A (en) Hinge having a door-opening detent
KR0138847Y1 (ko) 차량용 도어핸들 댐핑장치
KR100353062B1 (ko) 회전체용 로타리 오일 댐퍼 구조
KR20160146194A (ko) 세탁기용 도어 잠금 장치
KR910007307Y1 (ko) 도어댐퍼장치
KR20050089728A (ko) 저장고용 힌지장치 및 이를 갖춘 저장고
KR0114557Y1 (ko) 티브이씨알의 전면도어 개폐정치
KR0137083Y1 (ko) 브이씨알의 문개폐용 점성댐퍼
KR0135663B1 (ko) 카세트 하우징 댐핑장치
KR20010046610A (ko) 도어용 댐퍼장치
KR970003172Y1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 개폐시의 소음 발생 방지장치
KR0134493Y1 (ko) 창문용 호차
KR200390088Y1 (ko) 힌지 움직임 방지 리브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힌지조립체
KR950003068Y1 (ko) 전자기기 도어의 댐퍼장치
KR20220134100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20220076645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