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100A -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100A
KR20220134100A KR1020210039300A KR20210039300A KR20220134100A KR 20220134100 A KR20220134100 A KR 20220134100A KR 1020210039300 A KR1020210039300 A KR 1020210039300A KR 20210039300 A KR20210039300 A KR 20210039300A KR 20220134100 A KR20220134100 A KR 20220134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shaft
tube
motor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6747B1 (ko
Inventor
홍성종
홍진용
노승희
윤현수
손재익
Original Assignee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7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테일게이트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힘이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는 사용자의 외력이 상기 테일게이트에 작용할 시에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제1 튜브와, 상기 제1 튜브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튜브와,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축과,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 시 상기 제2 튜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무빙축과, 상기 모터 및 상기 스핀들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스핀들축을 회전시키는 마찰축과, 상기 마찰축의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마찰축과 소정의 마찰력으로 마찰되는 와이어 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테일게이트를 자동 개폐할 수 있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미에는 화물칸인 트렁크 룸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테일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은 상태로 붙들고 있는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장치가 상기 테일게이트를 잠금해제한 후,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테일게이트를 들어올리면 가스리프터가 테일게이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수동적인 테일게이트 개폐장치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파워 테일게이트'가 개발되어,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든 채로 차량 후미 밑에 발을 집어넣는 동작으로, 센서가 상기 발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상기 모터가 작동되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었다.
국제공개번호 WO2017/081277(2017.05.18.)(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상기 파워 테일게이트인 '스핀들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종래 기술의 이해를 위해, 상기 종래 기술의 문헌에 기재된 주요구성에 도면부호를 병기하겠으나, 이 도면부호는 본 출원서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의 문헌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모터 유닛(9a)의 구동력에 의해 스핀들(11)이 회전됨으로써, 차량의 테일게이트인 플랩(2)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은 스핀들 구동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소유자는 상기 스핀들 구동 장치의 기능을 알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으나, 상기 스핀들 구동 장치의 기능을 모르고 있는 사람은 플랩(2)이 개방된 상태에서 플랩(2)을 수동으로 닫으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랩(2)이 개방된 상태에서 플랩(2)에 닫힐려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외력이 모터 유닛(9a)에 전달되어 상기 모터 유닛(9a)이 파손되거나 고장날 수 있으므로, 상기 종래 기술에는 상기 외력이 상기 모터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유닛(13)이 설치된다.
즉, 종래 기술은 플랩(2)에 닫힐려는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종래 기술 문헌의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핀들(11)이 역회전되면서 아래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조정부재(18)가 아래가 이동되면서 스프링 유닛(21)을 압착시키며, 스프링 유닛(21)의 복원력에 의해 제동대응부재(20)가 제동부재(19)와 마찰됨으로써, 제동부재(19)가 설치된 컴포넌트(15)의 역회전이 방지되므로, 상기 외력이 상기 모터 유닛(9a)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외력이 상기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정부재(18), 스프링 유닛(21), 제동대응부재(20) 및 제동부재(19) 등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플랩(2)을 닫으려고 외력을 가해도 플랩(2)이 닫히지 않게 되므로, 오로지 플랩(2)을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제동대응부재(20)가 제동부재(19)와 마찰되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차종에 따라 각기 다른 테일게이트의 중량에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국제공개번호 WO2017/081277(2017.05.18.)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테일게이트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힘이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는 사용자의 외력이 상기 테일게이트에 작용할 시에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브레이크 유닛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제1 튜브, 제2 튜브, 모터, 스핀들축, 무빙축 및 브레이크 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튜브는 상기 제1 튜브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된다. 상기 스핀들축은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스핀들축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스핀들축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무빙축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무빙축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무빙축은 상기 모터의 구동 시 상기 제2 튜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모터 및 상기 스핀들축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마찰축 및 와이어 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찰축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스핀들축을 회전시킨다. 상기 와이어 링은 상기 마찰축의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링은 상기 마찰축과 소정의 마찰력으로 마찰된다.
상기 소정의 마찰력은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상기 스핀들축의 회전력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마찰력은 상기 테일게이트에 가해지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상기 스핀들축의 회전력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유닛에는 조절볼트 및 커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트는 상기 와이어 링의 수축력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될 수 있고 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둘레면에는 볼트체결부 및 탄성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체결부에는 상기 조절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기 커버의 내외부로 통하게 상기 커버의 둘레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기 볼트체결부에 체결된 상기 조절볼트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볼트체결부의 내주면 및 상기 탄성조절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와이어 링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링은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볼트체결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링의 일단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탄성조절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링의 타단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탄성조절부가 상기 조절볼트에 의해 탄성변형될 시 상기 제1 돌기와 함께 상기 와이어 링의 수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마찰축은 축 본체 및 마찰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 본체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스핀들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마찰링은 상기 축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찰링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 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찰링의 외주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와이어 링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테일게이트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해 스핀들축이 회전되려고 할 때, 와이어 링이 마찰축에 마찰되어 상기 스핀들축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므로, 테일게이트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힘이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고 상기 테일게이트에 외력을 가할 시 상기 스핀들축이 상기 마찰축 및 상기 와이어 링의 마찰력을 이기고 회전되게 되므로,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는 사용자의 외력이 상기 테일게이트에 작용할 시에는 상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조절볼트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유닛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의 하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의 상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브레이크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브레이크 유닛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브레이크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커버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브레이크 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 포함되는 브레이크 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조절볼트를 이용하여 와이어 링의 수축력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의 하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의 상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차량의 후미에 구비된 화물칸인 트렁크 룸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도어인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로서, 두 개가 한 세트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 중, 어느 하나는 하단부가 상기 트렁크 룸의 좌측부 차체에 설치될 수 있고 상단부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하면 좌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하단부가 상기 트렁크 룸의 우측부 차체에 설치될 수 있고 상단부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하면 우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하나만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며,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일 때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의 위치에 따라서 상하로 구분하였고, 축방향은 상하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제1 튜브(100), 제2 튜브(200), 모터(300), 스핀들축(400), 무빙축(500), 브레이크 유닛(600), 가이드 튜브(700), 메인 스프링(800), 차체 결합부재(900) 및 테일게이트 결합부재(9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튜브(100)는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튜브(100)의 내부에는 원형 종단면을 가지는 내부 공간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튜브(200)도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튜브(200)의 내부에도 원형 종단면을 가지는 내부 공간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튜브(200)는 제1 튜브(100)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튜브(200)의 하단부가 제1 튜브(100)의 상단부로 삽입되어서, 제2 튜브(200)가 제1 튜브(10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어져 있으나, 제1 튜브(100)의 상단부가 제2 튜브(200)의 하단부로 삽입되어서, 제2 튜브(200)가 제1 튜브(10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가 결합된 상태일 때,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의 내부에는 폐쇄적이고 원형 종단면을 가지는 내부 공간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튜브(100)의 하단부는 제2 튜브(200)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튜브(200)의 상단부는 제1 튜브(100)의 상단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튜브(100)의 하단에는 차체 결합링(901)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차체 결합링(901)은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될 상태일 때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상기 차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튜브(200)의 상단에는 테일게이트 결합링(951)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테일게이트 결합링(951)은 상기 테일게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일 때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지지할 수 있다.
모터(300)는 제1 튜브(1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300)는 제1 튜브(100) 내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튜브(100)의 내경 및 외경이 제1 튜브(10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고, 제2 튜브(200)의 내경 및 외경도 제2 튜브(20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져 있으나, 제1 튜브(100)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 내경 및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서, 제1 튜브(100)의 하부 내부에는 모터(3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모터(300)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개폐하는 구동원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모터(30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테일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300)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튜브(200)는 제1 튜브(100)에 대해 상측으로 이동되어서,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의 상하길이가 늘어나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모터(300)의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튜브(200)는 제1 튜브(100)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되어서,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의 상하길이가 줄어들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다.
제1 튜브(100) 내에는 감속기(3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감속기(350)는 제1 튜브(100) 내에서 모터(30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감속기(350)는 복수개의 기어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속기(350)의 입력축은 모터(300)의 회전축(301)과 연결될 수 있고, 감속기(350)의 출력축은 브레이크 유닛(600)의 마찰축(610, 도 4 내지 도 10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감속기(350)는 모터(300)의 회전축(301)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브레이크 유닛(600)의 마찰축(6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300)의 회전축(301)은 모터(300)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감속기(350)의 입력축은 감속기(350)의 하측에 배치되어 모터(300)의 회전축(301)과 연결될 수 있으며, 감속기(350)의 출력축은 감속기(350)의 상측에 배치되어 브레이크 유닛(600)의 마찰축(610)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600)의 마찰축(610)의 상단부는 스핀들축(400)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300)가 구동되면 스핀들축(400)이 모터(300)의 회전축(301)과 함께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스핀들축(400)은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스핀들축(40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스핀들축(400)의 하단부는 브레이크 유닛(600)의 마찰축(610)과 연결되어서, 스핀들축(400)은 모터(3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무빙축(500)은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가 이루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무빙축(50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스핀들축(400)의 상부는 무빙축(500)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다. 무빙축(500)은 두 개의 파트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핀들축(400)이 삽입되는 하부의 내외부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빙축(500)은 이종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테일게이트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스핀들축(400)의 하부는 무빙축(500)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무빙축(500)의 상부는 스핀들축(400)의 상단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스핀들축(40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무빙축(5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핀들축(400) 및 무빙축(500)은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300)가 구동되어 스핀들축(400)이 회전되면, 무빙축(500)은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 튜브(20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폐될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600)은 모터(300) 및 스핀들축(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해 스핀들축(400)이 회전력이 작용하면, 브레이크 유닛(600)은 스핀들축(400)의 회전을 방지하여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힘이 모터(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모터(300)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고 상기 테일게이트에 외력을 가하면, 브레이크 유닛(600)은 스핀들축(400)이 회전되도록 하여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6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하고, 가이드 튜브(700), 메인 스프링(800), 차체 결합부재(900) 및 테일게이트 결합부재(950)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가이드 튜브(700)는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가 이루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는 하단부가 제1 튜브(100) 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에는 원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내부 공간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의 내부 공간에는 스핀들 축(400)이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에는 무빙축(500)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의 하단에는 로워 플랜지(710)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빙축(500)의 상단부에는 어퍼 플랜지(510)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로워 플랜지(710) 및 어퍼 플랜지(510)는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가 이루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무빙축(500)의 하단부는 가이드 튜브(700)의 상단을 통해 가이드 튜브(7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무빙축(500) 중 어퍼 플랜지(510)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은 메인 스프링(800)의 상단을 통해 메인 스프링(8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튜브(700) 중 로워 플랜지(710)보다 위에 배치되는 부분은 메인 스프링(800)의 하단을 통해 메인 스프링(8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메인 스프링(800)은 코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스프링(800)은 어퍼 플랜지(510) 및 로워 플랜지(7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메인 스프링(800)의 상단은 어퍼 플랜지(510)에 지지될 수 있고, 메인 스프링(800)의 하단은 로워 플랜지(710)에 지지될 수 있다.
차체 결합부재(900)는 제1 튜브(100)의 하단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차체 결합부재(900)는 제1 튜브(100) 내에서 모터(30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차체 결합부재(900)에는 차체 결합링(901)이 형성될 수 있다. 차체 결합링(901)은 차체 결합부재(90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차체 결합링(901)은 제1 튜브(100)의 하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1 튜브(10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서 상기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테일게이트 결합부재(950)는 제2 튜브(200)의 상단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테일게이트 결합부재(950)는 제2 튜브(200) 내에서 무빙축(500)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테일게이트 결합부재(950)에는 테일게이트 결합링(951)이 형성될 수 있다. 테일게이트 결합링(951)은 테일게이트 결합부재(95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테일게이트 결합링(951)은 제2 튜브(200)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2 튜브(20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서 상기 테일게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되어 모터(300)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해 스핀들축(400)에 회전력이 작용하면, 브레이크 유닛(600)은 스핀들축(400)의 회전을 방지하여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힘이 모터(3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되어 모터(300)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고 상기 테일게이트에 외력을 가하면, 브레이크 유닛(600)은 스핀들축(400)이 회전되도록 하여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닫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물론, 모터(300)의 구동 시에 브레이크 유닛(600)은 스핀들축(4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서 상기 테일게이트가 모터(300)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유닛(6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브레이크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브레이크 유닛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브레이크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커버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브레이크 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 포함되는 브레이크 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조절볼트를 이용하여 와이어 링의 수축력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브레이크 유닛(600)은, 마찰축(610), 와이어 링(620), 조절볼트(630) 및 커버(6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축(610)은 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마찰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축(610)은 감속기(350)의 출력축과 스핀들축(400)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마찰축(610)의 하단부는 감속기(350)의 출력축과 결합될 수 있고, 마찰축(610)의 상단부는 스핀들축(400)의 하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마찰축(610)의 하단에는 스플라인 축부(613)가 형성될 수 있고, 감속기(350)의 상단부에 구비된 출력축에는 스플라인 홈부(353)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플라인 축부(613)의 외주면과 스플라인 홈부(353)의 내주면에는 각각 스플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플라인 축부(613)는 스플라인 홈부(353)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플라인 축부(613)가 스플라인 홈부(353)에 삽입된 상태일 때, 스플라인 축부(613) 및 스플라인 홈부(353)에 각각 형성된 스플라인은 서로 치합됨으로써, 스플라인 축부(613) 및 스플라인 홈부(353)은 서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마찰축(610)의 상단에는 제1 결합돌기(611A)가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611A)는 마찰축(610)의 상단에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 결합돌기(611A)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1 결합돌기(611A)는 마찰축(61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두 개의 제1 결합돌기(611A)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축(610)의 상단부 둘레면은 복수개의 제1 결합돌기(611A) 사이가 개구될 수 있다.
스핀들축(400)의 하단에는 제2 결합돌기(401)가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될수 있다. 제2 결합돌기(401)는 스핀들축(400)의 하단에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2 결합돌기(401)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복수개의 제2 결합돌기(401)는 스핀들축(40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두 개의 제2 결합돌기(401)로 형성될 수 있다. 스핀들축(400)의 하단부 둘레면은 복수개의 제2 결합돌기(401)가 사이가 개구될 수 있다.
마찰축(610)의 상단부 둘레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결합돌기(611A) 사이의 개구로, 스핀들축(4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결합돌기(401)가 삽입되고, 스핀들축(400)의 하단부 둘레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결합돌기(401) 사이의 개구로, 마찰축(6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611A)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마찰축(610)의 상단부는 스핀들축(4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마찰축(610)은 모터(300)의 구동력에 의해 스핀들축(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마찰축(610)은 모터(300)의 회전축(301)과 함께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모터(300)의 회전축(30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마찰축(610)은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모터(300)의 회전축(301)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마찰축(610)은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마찰축(610)의 외주면에는 와이어 링(620)이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 링(620)은 마찰축(610)의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 링(620)은 마찰축(610)과 소정의 마찰력으로 마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마찰력은,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스핀들축(400)의 회전력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테일게이트에 가해지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스핀들축(400)의 회전력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되어 모터(300)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해 스핀들축(400)에 회전력이 작용하면, 브레이크 유닛(600)은 스핀들축(400)의 회전을 방지하여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힘이 모터(3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되어 모터(300)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고 상기 테일게이트에 외력을 가하면, 브레이크 유닛(600)은 스핀들축(400)이 회전되도록 하여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닫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소정의 마찰력은 모터(300)의 구동력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서, 모터(300)의 구동 시에 브레이크 유닛(600)은 스핀들축(4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테일게이트가 모터(300)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조절볼트(630)는 와이어 링(620)의 수축력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볼트(630)가 조여지는 경우, 와이어 링(620)이 벌어져서 마찰축(61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수축력이 낮아져, 상기 소정의 마찰력은 낮아질 수 있다. 조절볼트(630)가 풀려지는 경우, 와이어 링(620)이 오므라들어서 마찰축(61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수축력이 높아져, 상기 소정의 마찰력은 높아질 수 있다.
커버(640)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제1 튜브(1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튜브(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640)는 제1 튜브(100)와 대응되는 형상인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640)는 브레이크 유닛(600)의 외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600)은 제1 튜브(100) 내에서 모터(300) 및 감속기(350)보다 상측에 배치되므로, 커버(640)는 제1 튜브(100) 내에서 모터(300) 및 감속기(35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640)는 제1 튜브(100) 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커버(640)의 하단에는 제3 결합돌기(641)가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돌기(641)는 커버(640)의 하단에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3 결합돌기(641)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3 결합돌기(641)는 커버(64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4개의 제3 결합돌기(641)로 형성될 수 있다.
감속기(35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1 결합홈(351)이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홈(351)은 감속기(350)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결합홈(35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결합홈(351)은 제3 결합돌기(641)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1 결합홈(351)은 감속기(35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4개의 결합홈(35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640)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3 결합돌기(641)가, 감속기(350)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결합홈(351)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커버(640)의 하단은 감속기(35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커버(640)는 둘레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64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2 결합홈(64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642)은 커버(64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결합홈(64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결합홈(642) 각각은 커버(64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단이 개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2 결합홈(642)은 커버(64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2개의 제2 결합홈(642)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의 하단에는 제4 결합돌기(702)가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4 결합돌기(702)는 가이드 튜브(700)의 하단에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4 결합돌기(702)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4 결합돌기(702)는 복수개의 제2 결합홈(642)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4 결합돌기(702)는 가이드 튜브(700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제4 결합돌기(702)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4 결합돌기(702)가, 커버(640)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결합홈(642)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 튜브(700)의 하단은 커버(64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이드 튜브(700)는 둘레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640)의 둘레면에는 볼트체결부(646) 및 탄성조절부(647)가 형성될 수 있다.
볼트체결부(646)에는 조절볼트(630)가 체결될 수 있다. 커버(640)의 둘레면에는, 볼트체결부(646)에 제1 개구홀(643)이 형성될 수 있고, 탄성조절부(647)에 제2 개구홀(644)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체결부(646)에는 조절볼트(630)가 체결되는 볼트체결홀(646B)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체결홀(646B)은 제1 개구홀(643)과 연통될 수 있다. 조절볼트(630)는 제1 개구홀(643)을 통해 볼트체결홀(646B)에 체결될 수 있다. 볼트체결홀(646B)의 내주면에는 조절볼트(6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조절부(647)는 커버(640)의 내외부로 통하게 커버(640)의 둘레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640)의 둘레면에는 'ㄷ' 형상의 제3 개구홀(645)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개구홀(646)은 커버(640)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하게 개구될 수 있다. 커버(640)의 둘레면 중, 제3 개구홀(645)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부분이 탄성조절부(647)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개구홀(645)에 의해 구회되는 외측 부분이 볼트체결부(646)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조절부(647)는 볼트체결부(646)에 체결된 조절볼트(630)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다. 조절볼트(630)를 조이거나 푸는 것에 의해, 탄성조절부(647)가 탄성변형됨에 따라 와이어 링(620)의 수축력이 조절됨으로서, 와이어 링(620)이 마찰축(610)에 마찰되는 상기 소정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볼트체결부(646)의 내주면 및 탄성조절부(647)의 내주면에는, 와이어 링(62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646A, 647A)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링(620)은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부(625)가 형성될 수 있고, 회전방지돌기(646A, 647A))는 개구부(625)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축(610)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와이어 링(620)은 개구부(625)의 일측이 회전방지돌기(635)의 일측에 접촉되어 회전이 제지됨으로써, 와이어 링(620)은 마찰축(610)에 마찰될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646A, 647A)는 제1 돌기(646A) 및 제2 돌기(64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646A)는 볼트체결부(646)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와이어 링(620)의 일단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기(647A)는 탄성조절부(647)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와이어 링(620)의 타단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탄성조절부(647)가 조절볼트(630)에 의해 탄성변형될 시, 제2 돌기(647A)는 탄성조절부(647)와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제1 돌기(646A)와 함께 와이어 링(620)의 수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마찰축(610)은 축 본체(610A) 및 마찰링(610B)을 포함할 수 있다.
축 본체(610A)에는 모터(300)의 구동력이 입력될 수 있다. 축 본체(610A)는 감속기(350)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모터(300)의 구동력이 입력될 수 있다. 축 본체(610A)는 모터(300)의 구동력에 의해 스핀들축(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축 본체(610A)는 원판부(611), 미들축부(612) 및 스플라인 축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원판부(611)는 미들 축부(612) 및 스플라인 축부(613)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미들 축부(612)는 스플라인 축부(613)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결합돌기(611A)는 원판부(611)의 둘레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결합돌기(611A)의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미들 축부(612)는 원판부(611)의 하면 중심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미들 축부(612)의 외주면에는 마찰링(610B)과 결합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홈(도면부호 미표기)이 둘레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플라인 축부(613)는 미들 축부(612)의 하면 중심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플라인 축부(613)의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마찰링(610B)은 축 본체(610A)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찰링(610B)은 미들 축부(612)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 링(620)은 마찰링(610B)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마찰링(610B)의 내주면에는 미들 축부(6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도면부호 미표기)가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찰링(610B)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미들 축부(6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마찰링(610B)은 미들 축부(612)에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마찰링(610B)은 축 본체(610A)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마찰링(610B)의 외주면에는 와이어 링(620)이 삽입되는 삽입홈(615)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링(620)은 삽입홈(615)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와이어 링(620)은 삽입홈(615)에 삽입된 상태일 때, 와이어 링(620)의 내주면 부근만이 삽입홈(615)에 삽입되고, 와이어 링(620)의 외주면 부근은 삽입홈(615)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300)의 회전축(30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테일게이트는 개방될 수 있고, 모터(300)의 회전축(301)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테일게이트는 닫힐 수 있다. 즉, 모터(300)의 회전축(301)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마찰축(610)도 모터(300)의 회전축(301)과 동일한 방향인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와이어 링(620)이 마찰축(610)의 마찰링(610B)과 마찰되는 마찰력은 모터(300)의 회전축(301)의 회전력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마찰축(610)이 모터(300)의 회전축(30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또는 역회전되어, 상기 테일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일 때는 모터(300)가 구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해 스핀들축(400)이 약간 역회전되면서 마찰축(6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 때 와이어 링(620)이 마찰축(610)의 마찰링(610B)에 마찰된다. 그런데, 와이어 링(620)이 마찰축(610)의 마찰링(610B)에 마찰되는 마찰력은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스핀들축(400)의 회전력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축(610)은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힘이 모터(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되어 모터(300)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일 때, 사용자가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기 위해 상기 테일게이트에 외력을 가하면, 스핀들축(400)은 역회전되면서 마찰축(6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 때 와이어 링(620)이 마찰축(610)의 마찰링(610B)에 마찰된다. 그런데, 와이어 링(620)이 마찰축(610)의 마찰링(610B)에 마찰되는 마찰력은 상기 테일게이트에 상기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한 스핀들축(400)의 회전력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축(610)은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므로 상기 테일게이트는 닫힐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조절볼트(630)를 조이거나 풀어서 와이어 링(620)의 수축력을 조절하여 와이어 링(620)이 마찰축(610)의 마찰링(620)에 마찰되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해 스핀들축(400)이 회전되려고 할 때, 와이어 링(620)이 마찰축(610)에 마찰되어 스핀들축(40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므로,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힘이 모터(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고 상기 테일게이트에 외력을 가할 시 스핀들축(400)이 마찰축(610) 및 와이어 링(620)의 마찰력을 이기고 회전되게 되므로,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는 사용자의 외력이 상기 테일게이트에 작용할 시에는 상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조절볼트(630)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유닛(600)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100 : 제1 튜브
200 : 제2 튜브 300 : 모터
400 : 스핀들축 500 : 무빙축
600 : 브레이크 유닛 610 : 마찰축
610A : 축 본체 610B : 마찰링
615 : 삽입홈 620 : 와이어 링
625 : 개구부 630 : 조절볼트
640 : 커버 646 : 볼트체결부
647 : 탄성조절부 646A, 647A : 회전방지돌기

Claims (7)

  1.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튜브;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 시 상기 제2 튜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무빙축; 및
    상기 모터 및 상기 스핀들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스핀들축을 회전시키는 마찰축; 및
    상기 마찰축의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마찰축과 소정의 마찰력으로 마찰되는 와이어 링;을 포함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마찰력은,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상기 스핀들축의 회전력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테일게이트에 가해지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상기 스핀들축의 회전력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와이어 링의 수축력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조절볼트; 및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되는 통형의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둘레면에는, 상기 조절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체결부와, 상기 커버의 내외부로 통하게 상기 커버의 둘레면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볼트체결부에 체결된 상기 조절볼트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탄성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부의 내주면 및 상기 탄성조절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와이어 링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링은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볼트체결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링의 일단에 접촉 배치되는 제1 돌기; 및
    상기 탄성조절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링의 타단에 접촉 배치되고, 상기 탄성조절부가 상기 조절볼트에 의해 탄성변형될 시 상기 제1 돌기와 함께 상기 와이어 링의 수축력을 조절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찰축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스핀들축을 회전시키는 축 본체; 및
    상기 축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링이 외주면에 설치되는 마찰링;을 포함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찰링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 링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1020210039300A 2021-03-26 2021-03-26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102566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300A KR102566747B1 (ko) 2021-03-26 2021-03-26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300A KR102566747B1 (ko) 2021-03-26 2021-03-26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100A true KR20220134100A (ko) 2022-10-05
KR102566747B1 KR102566747B1 (ko) 2023-08-16

Family

ID=8359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300A KR102566747B1 (ko) 2021-03-26 2021-03-26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7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6973A (ja) * 2015-05-19 2016-12-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抵抗発生装置
WO2017081277A1 (de) 2015-11-11 2017-05-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Bamberg Spindelantrieb
KR102164350B1 (ko) * 2020-06-11 2020-10-12 (주)성건엔지니어링 탄성 조절 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6973A (ja) * 2015-05-19 2016-12-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抵抗発生装置
WO2017081277A1 (de) 2015-11-11 2017-05-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Bamberg Spindelantrieb
KR102164350B1 (ko) * 2020-06-11 2020-10-12 (주)성건엔지니어링 탄성 조절 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747B1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2856B2 (en) Electromechanical strut with electromechanical brake and method of allowing and preventing movement of a closure member of a vehicle
US10208844B2 (en) Drive device
US20150376929A1 (en) Electromechanical strut with integrated flex coupling and slip device and clutch/coupling assembly therefor
US4652781A (en) Drive unit for adjusting window panes, sunroofs, seats and similar motor vehicle parts
US10767412B2 (en) Electromechanical strut with power actuator having supplemental friction control
JP6651513B2 (ja) 駆動構成およびハッチ制御
US20180216390A1 (en) Actuator and actuator for opening/closing vehicle door
HUE033083T2 (en) Adjusting drive with at least one adjusting lever
JPH11159265A (ja) ロールスクリーン
US11021903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20030228918A1 (en) One-way damper
US4984666A (en) Speed governor for toilet or the like
JPH05318331A (ja) スクリュードライバーにおけるクラッチ装置
WO2020208878A1 (ja) 過負荷防止機構付き角度位置保持装置
US7028573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220134100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20220076645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JP2001099346A (ja)
KR20220060161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20220129166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US20210396062A1 (en) Object moving mechanism
KR20220063423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20220052480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US6932205B2 (en) Clutch
KR20220053153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